KR20140002484U - 수격 방지기 - Google Patents

수격 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484U
KR20140002484U KR2020120009491U KR20120009491U KR20140002484U KR 20140002484 U KR20140002484 U KR 20140002484U KR 2020120009491 U KR2020120009491 U KR 2020120009491U KR 20120009491 U KR20120009491 U KR 20120009491U KR 20140002484 U KR20140002484 U KR 201400024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ammer
housing
opening
presen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170Y1 (ko
Inventor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Priority to KR2020120009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7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4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펌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배관의 파손을 방지하는 수격 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플랜지(13)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12)와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된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펌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부(2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충격흡수부가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격 방지기{Water Hammer Arrester}
본 고안은 펌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배관의 파손을 방지하는 수격 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흡수부가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수격 방지기(Water Hammer Arrester)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가압송수펌프가 기동되어 송수를 시작할 때 초기에는 펌프에서부터 급작스럽게 압력이 상승되어 관로망으로 퍼져나간다. 주 펌프는 용량이 크므로 이 충격적인 압력(순간적인 고압)은 배관에 연결된 방수장치(예: 헤드, 일제 개방 밸브 등)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진동, 누수 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펌프 직상부나 곡관부위 및 관의 말단에 수격 방지기를 부착한다. 수격방지기는 내부에 공기실이 있어 순간적인 이상 고압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유용한 종래의 수격 방지기(100)는 다수가 출원된바 있으나, 도 1(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장시간 사용시 불량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특히 상기 종래 수격 방지기는 작동시 비틀어지게 작동하여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배관과 밸브에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00-0019531호(출원번호 제1999-0006128호)(명칭: 수격 방지기)가 출원된바 있다. (선행기술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0144071호(출원번호 제1995-0028002호)(명칭: 수격 방지기)가 등록된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우징 및 고정작동구와 가동작동구가 구비된 충격흡수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제2목적은펌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배관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며, 특히 본 고안의 제3목적은 충격흡수부가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원활한 작동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시에도 불량률이 낮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수격 방지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플랜지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펌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 방지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 및 고정작동구와 가동작동구가 구비된 충격흡수부가 구비된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펌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배관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충격흡수부가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원활한 작동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시에도 불량률이 낮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종래 수격 방지기의 개폐판이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단
면도이고,
(b)는 종래 수격 방지기의 개폐판이 작동하여 열린 상태를 보인 단
면도이며,
(c)는 종래 수격 방지기의 개폐판이 비틀어지게 열린 상태를 보인
제품 사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수격 방지기의 개폐판이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보
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수격 방지기의 개폐판이 작동하여 열린 상태를 보
인 단면도.
본 고안에 적용된 수격 방지기는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플랜지(13)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12)와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된 하우징(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펌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부(20)가 구비된 수격 방지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원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고안에 적용된 상기 충격흡수부(20)는 하우징(10)의 내부 상단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작동구(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작동구(21)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며, 하단에 개폐판(26)이 일체로 형성된 가동작동구(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작동구(21)와 가동작동구(23)의 외주면에는 상승된 개폐판(26)을 탄발력에 의해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탄성구(28)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가동작동구(23)의 상단 내주면에는 가동작동구(23)가 고정작동구(21)의 외주면을 따라 원활히 슬라이딩 작동 되도록 하면서 잡아주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링(25)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작동구(21)의 상부와 가동작동구(23)의 하부에는 내부로 들어온 물을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22)(24)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단과 개폐판(26)의 상단에는 탄성구(28)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15)(27)가 돌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고정작동구(21)와 가동작동구(23)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되지 않도록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수격 방지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충격흡수부가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밸브가 구비된 배관의 적소에 수격 방지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관에 수격 방지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과정에서 배관으로 흐르는 유체는 밸브를 개방시키게 되면 토출구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때 유체가 배출되는 상태에서 밸브를 급히 폐쇄하면 배관의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이 순간적으로 차단되면서 수격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배관 이송라인에 수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에도 수격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격현상이 발행하면 유체는 도 2 에서 도 3 과 같은 상태로 작동하여 충격흡수부(2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와 같은 상태에서는 탄성구(28)의 반발력에 의해 충격흡수부(20)가 하강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26)은 출입구(12)를 막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격 방지기에 수격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유체가 출입구(12)를 통해 내부 공간부(11)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유체가 도 3 과 같이 개폐판(26)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공간부(11) 내부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개폐판(26)은 탄성구(28)를 압축시키게 되고 아울러 개폐판(26)과 일체로 형성된 가동작동구(23)도 함께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상부로 상승하는 가동작동구(23)는 고정작동구(21)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로 상승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삐뚤어지지 않고 정확히 상부로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된 가동작동구(23)와 개폐판(26)은 유체가 출입구(12)로 빠져나가면 다시 탄성구(28)의 반발력에 의해 하강하여 최초의 상태로 개폐판(26)이 출입구(12)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작동구(23)의 상부 내주면에는 지지링(25)이 구비되어 있어 고정작동구(21)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역할을 하면 견고히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고정작동구(21)의 상부와 가동작동구(23)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22)(24)이 구비되어 작동구 관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관 외부로 배출시켜 충격흡수부(20)가 상하로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주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하우징(10)의 내부 상단과 개폐판(26)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15)(27) 안쪽에 탄성구(28)를 끼워 넣으므로 해서 탄성구(28)가 수축 및 벌어지는 작동 과정에서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충격흡수부(20)가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소음과 진동 또한 방지하여 수격 방지기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 수격 방지기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충격흡수부

Claims (6)

  1. 플랜지(13)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12)와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된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펌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삐뚤어짐 없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여 배관 및 밸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부(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 방지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20)는,
    하우징(10)의 내부 상단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작동구(21);
    상기 고정작동구(21)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며, 하단에 개폐판(26)이 일체로 형성된 가동작동구(23); 및
    상기 고정작동구(21)와 가동작동구(23)의 외주면에는 상승된 개폐판(26)을 탄발력에 의해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탄성구(2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 방지기.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가동작동구(23)의 상단 내주면에는 가동작동구(23)가 고정작동구(21)의 외주면을 따라 원활히 슬라이딩 작동 되도록 하면서 잡아주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링(2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 방지기.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동구(21)의 상부와 가동작동구(23)의 하부에는 내부로 들어온 물을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22)(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 방지기.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단과 개폐판(26)의 상단에는 탄성구(28)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15)(27)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 방지기.
  6.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동구(21)와 가동작동구(23)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되지 않도록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격 방지기.
KR2020120009491U 2012-10-19 2012-10-19 수격 방지기 KR200476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91U KR200476170Y1 (ko) 2012-10-19 2012-10-19 수격 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91U KR200476170Y1 (ko) 2012-10-19 2012-10-19 수격 방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84U true KR20140002484U (ko) 2014-04-29
KR200476170Y1 KR200476170Y1 (ko) 2015-02-04

Family

ID=5244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491U KR200476170Y1 (ko) 2012-10-19 2012-10-19 수격 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748U (ko) 2014-11-14 2016-05-24 유운상 피스톤 타입 수격 방지기
KR102459313B1 (ko) * 2022-04-11 2022-10-26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934Y2 (ja) * 1991-12-24 1997-12-08 株式会社タブチ 調圧機能付き水撃防止装置
KR0148756B1 (ko) * 1994-11-10 1998-11-02 윤은중 수격방지기
KR200292303Y1 (ko) * 2002-07-30 2002-10-18 임관섭 유체배관라인의 수격방지장치
KR20090036724A (ko) * 2007-10-10 2009-04-15 장관섭 안전장치를 갖는 수격방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748U (ko) 2014-11-14 2016-05-24 유운상 피스톤 타입 수격 방지기
KR102459313B1 (ko) * 2022-04-11 2022-10-26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70Y1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955B1 (ko) 스토퍼 체크 밸브
KR200476170Y1 (ko) 수격 방지기
WO2021017917A1 (zh) 一种多功能角阀
KR102039184B1 (ko) 체크밸브 장치
US20080072967A1 (en) Self-sealing floor drain
JP2013170604A (ja) 空気弁装置
KR20110096374A (ko) 안전 방출 밸브
KR20190081437A (ko)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
JP5295861B2 (ja) 逆止弁
KR200403467Y1 (ko) 수도계량기 밸브의 역류방지장치
CN108105416B (zh) 电磁阀
KR101388176B1 (ko) 캐비테이션-수충격 방지구를 구비하는 컨트롤 밸브
JP5643586B2 (ja) 逆止弁
CN209781785U (zh) 防漏水装置
KR101204446B1 (ko) 스윙 체크 밸브
KR101662596B1 (ko) 방폭밸브
JP7361863B2 (ja) 凍結破損防止型空気弁
CN204900869U (zh) 一种高温蝶阀
KR20170064889A (ko) 디스크를 구비한 밸브
CN110017399B (zh) 防漏水角阀
CN203979526U (zh) 轴流式止回阀
CN203906892U (zh) 一种安全止回单向阀
CN203670923U (zh) 一种止回消防阀
RU101762U1 (ru) Заглушк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JP6116294B2 (ja) 空気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