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313B1 -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313B1
KR102459313B1 KR1020220044546A KR20220044546A KR102459313B1 KR 102459313 B1 KR102459313 B1 KR 102459313B1 KR 1020220044546 A KR1020220044546 A KR 1020220044546A KR 20220044546 A KR20220044546 A KR 20220044546A KR 102459313 B1 KR102459313 B1 KR 10245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flange
space
flange
tub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Priority to KR102022004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구성이 향상되어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균일한 수격 흡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를 개시한다.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는 배관에 결합되어 배관과 연통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고,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튜브 및 제2 공간에 수용되고, 제2 공간 측으로 유동되는 완충튜브를 지지하여 완충튜브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완충유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Water hammer absorber for firefighting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 유동되는 배관에서 갑자기 물의 흐름이 차단될 경우, 배관 내에서 유동 중이던 물의 유속이 급속하게 변화되면서 물에 격렬한 압력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배관에 물의 유속 보다 큰 충격이 가해지는 수격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수격 현상은 배관 전체에 진동을 발생시켜 배관을 손상시킴은 물론, 주변에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수격 방지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수격 방지 장치는 배관의 단부에 연결되고, 물의 압력 변동 시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격렬한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수격 방지 장치는 배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되고 유체의 압력이 가해지면 실린더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되어 피스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수격 방지 장치는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실린더와 분리된 상태로 실린더 내에 배치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유체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피스톤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장기간 사용 시 정확한 수격 흡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031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되어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균일한 수격 흡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격 흡수 구조를 개선하여 충분한 완충력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배관 내의 급격한 물의 압력을 완충 및 완화시켜 배관의 파손을 예방함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는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는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과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튜브; 및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공간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완충튜브를 지지하여 상기 완충튜브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완충유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과 연통되고, 상기 완충튜브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용되며, 축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어 상기 완충튜브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출입구와, 상기 완충튜브의 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1 보조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제1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튜브의 타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2 보조 플랜지와, 상기 완충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는 반구형상의 제2 실린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튜브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출입구 측을 향하여 돌출된 타원형상의 튜브바디; 및 상기 튜브바디의 단부로부터 상기 튜브바디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의해 고정되는 압입링;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바디는 상기 유체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 실린더 바디 측을 향하여 돌출되었다가, 상기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튜브바디의 일면에는 곡면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튜브바디의 타면에는 허니콤 구조를 이루는 탄성 지지물들이 형성되며, 상기 압입링은, 상기 튜브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지지되는 링커버; 상기 링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금속성 재질의 지지링; 상기 지지링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접하여 내부에 제1 에어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에어포켓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압착되는 제1 흡착부; 및 상기 지지링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접하여 내부에 제2 에어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 에어포켓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압착되는 제2 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의 둘레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실린더 바디와 상기 제2 실린더 바디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브라켓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는,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를 탄성적으로 가압 및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링 홀더; 및 상기 링 홀더와 상기 실린더부 사이에 압입되는 패킹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 홀더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실린더 바디와 상기 제2 실린더 바디를 정렬시키는 원호형태의 제1 탄성 가압부; 상기 제1 탄성 가압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결합되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상기 제1 보조 플랜지를 가압 및 지지하는 평판형태의 제2 탄성 가압부; 및 상기 제1 탄성 가압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결합되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를 가압 및 지지하는 평판형태의 제3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링은, 상기 제1 탄성 가압부에 가압되어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패킹부; 상기 제2 탄성 가압부에 가압되어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밀착되는 제2 패킹부; 상기 제3 탄성 가압부에 가압되어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밀착되는 제3 패킹부; 및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 사이에 압입되는 제4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유로들을 형성하는 격자 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난류성 유동을 층류성 유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수격 안정화 튜브; 및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완충튜브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지지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 조립체는, 상기 제2 실린더 바디의 내면에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 튜브; 상기 가이드 튜브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튜브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튜브; 상기 슬라이드 튜브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공간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완충튜브를 지지하는 반구형상의 지지캡; 및 상기 가이드 튜브와 상기 슬라이드 튜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격을 흡수하는 탄성체 재질의 완충튜브가 수격 흡수기의 하우징에 고정되므로, 완충튜브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변형 및 파손이 예방되고, 반복적으로 수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균일한 수격 흡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튜브에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허니컴 구조가 적용됨은 물론, 완충튜브와 함께 하우징 내에 다중의 수격 흡수 구조가 배치되므로, 충분한 완충력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관 내의 급격한 물의 압력을 완충 및 완화시켜 배관의 파손을 예방함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가 수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튜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입링이 보조 플랜지들에 압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와 하우징의 체결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에 수격 안정화 튜브 및 탄성 지지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가 수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1000)(이하 '소방용 수격 흡수기(1000)'라 함)는 하우징(1), 완충튜브(2) 및 완충유체(3)를 포함한다.
하우징(1)은 배관(P)에 결합되어 유체(F)가 유입되도록 배관(P)과 연통되고, 내부에 완충튜브(2) 및 완충유체(3)가 수용된다.
하우징(1)은 플랜지부(11) 및 실린더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1)는 실린더부(12)의 단부에 배치되어 배관(P)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11)는 배관(P)의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져 플랜지부(11)와 배관(P)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서로 체결되는 체결수단들을 통해 배관(P)의 단부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실린더부(12)는 플랜지부(11)에 결합되어 배관(P)과 연통되고, 완충튜브(2)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실린더부(12)의 내부공간은 완충튜브(2)에 의해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12)는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츠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실린더부(12)는 축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완충튜브(2)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여 완충튜브(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실린더부(12)는 제1 실린더 바디(121)와, 제2 실린더 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 바디(121)는 유체(F)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고, 단부에 유체(F)가 유입 및 배출되는 출입구(12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린더 바디(121)는 완충튜브(2)의 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1 보조 플랜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린더 바디(122)는 제1 실린더 바디(121)에 대향 배치되고, 완충유체(3)의 유동 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린더 바디(122)는 제1 보조 플랜지(121B)에 대향 배치되고, 제1 보조 플랜지(121B)에 결합되어 완충튜브(2)의 타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2 보조 플랜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린더 바디(122)는 완충유체(3)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12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튜브(2)는 하우징(1)에 결합되어 하우징(1)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으로 구획한다.
완충튜브(2)는 제1 공간(S1)으로 유입되는 유체(F)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완충튜브(2)는 튜브바디(21) 및 압입링(22)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바디(21)는 실린더부(12)의 내부에 수용되고, 출입구(121A) 측을 향하여 돌출된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튜브바디(21)는 유체(F)의 압력이 가해지면 제2 실린더 바디(122) 측을 향하여 돌출되었다가, 유체(F)의 압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압입링(22)은 튜브바디(21)의 단부로부터 튜브바디(2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완충유체(3)는 제2 공간(S2)에 수용되고, 제2 공간(S2) 측으로 유동되는 완충튜브(2)를 지지하여 완충튜브(2)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유체(3)는 액체 또는 기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튜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튜브바디(21)는 곡면홈들(211)과, 탄성 지지물들(212)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홈들(211)은 제1 공간(S1)에 노출되는 튜브바디(2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지지물들(212)은 제2 공간(S2)에 노출되는 튜브바디(21)의 타면에 형성되고, 허니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입링이 보조 플랜지들에 압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압입링(22)은 링커버(221), 지지링(222), 제1 흡착부(223) 및 제2 흡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링커버(221)는 튜브바디(21)와 연결되어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에 지지되고,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링(222)은 링커버(221)의 내부에 수용되고,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착부(223)는 지지링(22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 보조 플랜지(121B)에 접하여 내부에 제1 에어포켓(223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흡착부(223)는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에어포켓(223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제1 보조 플랜지(121B)에 압착될 수 있다.
제2 흡착부(224)는 지지링(222)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2 보조 플랜지(122A)에 접하여 내부에 제2 에어포켓(224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흡착부(224)는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제2 에어포켓(224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제2 보조 플랜지(122A)에 압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와 하우징의 체결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소방용 수격 흡수기(1000)는 브라켓 조립체(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조립체(4)는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의 둘레에 체결되어 제1 실린더 바디(121)와 제2 실린더 바디(122)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 조립체(4)는 링 홀더(41) 및 패킹링(42)을 포함할 수 있다.
링 홀더(41)는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를 탄성적으로 가압 및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 홀더(41)는 제1 탄성 가압부(411), 제2 탄성 가압부(412) 및 제3 탄성 가압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가압부(411)는 제1 보조 플랜지(121B)의 외주면과 제2 보조 플랜지(122A)의 외주면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절곡된 원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탄성 가압부(411)는 제1 보조 플랜지(121B)의 외주면과 제2 보조 플랜지(122A)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보조 플랜지(121B)의 외주면과 제2 보조 플랜지(122A)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제1 실린더 바디(121)와 제2 실린더 바디(122)를 정렬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탄성 가압부(412)는 제1 탄성 가압부(4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보조 플랜지(121B)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평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탄성 가압부(412)는 제1 보조 플랜지(121B)에 결합되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제1 보조 플랜지(121B)를 가압 및 지지할 수 있다.
제3 탄성 가압부(413)는 제1 탄성 가압부(41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보조 플랜지(122A)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평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3 탄성 가압부(413)는 제2 보조 플랜지(122A)에 결합되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제2 보조 플랜지(122A)를 가압 및 지지할 수 있다.
패킹링(42)은 링 홀더(41)와 실린더부(12) 사이에 압입될 수 있다.
패킹링(42)은 제1 패킹부(421), 제2 패킹부(422), 제3 패킹부(423) 및 제4 패킹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킹부(421)는 제1 탄성 가압부(411)에 가압되어 제1 보조 플랜지(121B)의 외주면과 제2 보조 플랜지(122A)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패킹부(422)는 제2 탄성 가압부(412)에 가압되어 제1 보조 플랜지(121B)에 밀착될 수 있다.
제3 패킹부(423)는 제3 탄성 가압부(413)에 가압되어 제2 보조 플랜지(122A)에 밀착될 수 있다.
제4 패킹부(424)는 제1 패킹부(421)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 사이에 압입되어 제1 보조 플랜지(121B)와 제2 보조 플랜지(122A)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격 흡수기에 수격 안정화 튜브 및 탄성 지지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소방용 수격 흡수기(1000)는 수격 안정화 튜브(5) 및 탄성 지지 조립체(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격 안정화 튜브(5)는 출입구(121A)에 배치되고, 내부에 하우징(1)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유로들(511)을 형성하는 격자 형상의 프레임(51)이 형성되어, 제1 공간(S1)으로 유입되는 유체(F)의 난류성 유동을 층류성 유동으로 전환하여 유체(F)의 흐름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탄성 지지 조립체(6)는 제2 공간(S2)에 배치되고, 제2 공간(S2) 측으로 유동되는 완충튜브(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 조립체(6)는 제2 실린더 바디(122)의 내면에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 튜브(61), 가이드 튜브(61)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 튜브(6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튜브(62), 슬라이드 튜브(62)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2 공간(S2) 측으로 유동되는 완충튜브(2)를 지지하는 반구형상의 지지캡(63) 및 가이드 튜브(61)와 슬라이드 튜브(62)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캡(6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격을 흡수하는 탄성체 재질의 완충튜브(2)가 수격 흡수기의 하우징(1)에 고정되므로, 완충튜브(2)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변형 및 파손이 예방되고, 반복적으로 수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균일한 수격 흡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튜브(2)에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허니컴 구조가 적용됨은 물론, 완충튜브(2)와 함께 하우징(1) 내에 다중의 수격 흡수 구조가 배치되므로, 충분한 완충력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관(P) 내의 급격한 물의 압력을 완충 및 완화시켜 배관(P)의 파손을 예방함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소방용 수격 흡수기
1. 하우징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11. 플랜지부
12. 실린더부
121. 제1 실린더 바디
121A. 출입구
121B. 제1 보조 플랜지
122. 제2 실린더 바디
122A. 제2 보조 플랜지
122B. 노즐
2. 완충튜브
21. 튜브바디
211. 곡면홈들
212. 탄성 지지물
22. 압입링
221. 링커버
222. 지지링
223. 제1 흡착부
223A. 제1 에어포켓
224. 제2 흡착부
224A. 제2 에어포켓
3. 완충유체
4. 브라켓 조립체
41. 링 홀더
411. 제1 탄성 가압부
412. 제2 탄성 가압부
413. 제3 탄성 가압부
42. 패킹링
421. 제1 패킹부
422. 제2 패킹부
423. 제3 패킹부
424. 제4 패킹부
5. 수격 안정화 튜브
51. 프레임
511. 유로들
6. 탄성 지지 조립체
61. 가이드 튜브
62. 슬라이드 튜브
63. 지지캡
64. 탄성부재
P. 배관
F. 유체

Claims (3)

  1.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과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튜브; 및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공간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완충튜브를 지지하여 상기 완충튜브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완충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과 연통되고, 상기 완충튜브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용되며, 축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어 상기 완충튜브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출입구와, 상기 완충튜브의 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1 보조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제1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튜브의 타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2 보조 플랜지와, 상기 완충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는 반구형상의 제2 실린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튜브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출입구 측을 향하여 돌출된 타원형상의 튜브바디; 및
    상기 튜브바디의 단부로부터 상기 튜브바디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의해 고정되는 압입링;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바디는 상기 유체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 실린더 바디 측을 향하여 돌출되었다가, 상기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튜브바디의 일면에는 곡면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튜브바디의 타면에는 허니콤 구조를 이루는 탄성 지지물들이 형성되며,
    상기 압입링은,
    상기 튜브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지지되는 링커버;
    상기 링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금속성 재질의 지지링;
    상기 지지링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접하여 내부에 제1 에어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에어포켓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에 압착되는 제1 흡착부; 및
    상기 지지링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접하여 내부에 제2 에어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 에어포켓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상기 제2 보조 플랜지에 압착되는 제2 흡착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2. 삭제
  3. 삭제
KR1020220044546A 2022-04-11 2022-04-11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KR10245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546A KR102459313B1 (ko) 2022-04-11 2022-04-11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546A KR102459313B1 (ko) 2022-04-11 2022-04-11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313B1 true KR102459313B1 (ko) 2022-10-26

Family

ID=8378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546A KR102459313B1 (ko) 2022-04-11 2022-04-11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3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126B1 (ko) 1998-05-22 2001-11-30 광 진 박 수격흡수장치
KR20090063436A (ko) * 2007-12-14 2009-06-18 (주)엔에스브이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KR20140002484U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수격 방지기
KR20160040033A (ko) * 2014-10-02 2016-04-12 신영공업 주식회사 수격방지기
JP6041799B2 (ja) * 2010-04-13 2016-12-14 メディミューン,エルエルシー Trailr2特異的多量体足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126B1 (ko) 1998-05-22 2001-11-30 광 진 박 수격흡수장치
KR20090063436A (ko) * 2007-12-14 2009-06-18 (주)엔에스브이 피스톤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격방지기
JP6041799B2 (ja) * 2010-04-13 2016-12-14 メディミューン,エルエルシー Trailr2特異的多量体足場
KR20140002484U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수격 방지기
KR20160040033A (ko) * 2014-10-02 2016-04-12 신영공업 주식회사 수격방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5978B2 (ja) 液封防振装置
US9816581B2 (en) Vibration prevention device
US10465718B2 (en) Accumulator
KR102459313B1 (ko) 내구성이 개선된 소방용 수격 흡수기
US9222541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JP2006258217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8002497A (ja) 液体封入式防振装置
KR102003674B1 (ko) 중첩형 리저보어를 갖는 좌굴 안정형 스너버
KR20090089621A (ko) 수격방지기
CN105840945A (zh) 一种节流孔板
JP2008169780A (ja) マフラ
KR102437724B1 (ko) 소방용 수격 흡수기
WO1994018488A1 (en) Pulsation damper device
KR101388176B1 (ko) 캐비테이션-수충격 방지구를 구비하는 컨트롤 밸브
CN205679276U (zh) 一种孔板节流装置
CN205745840U (zh) 一种多孔式节流孔板
CN220366111U (zh) 一种降低排水管道瞬时排水压力的排水装置
CN215335143U (zh) 静音装置、泵组件、净水机
KR0148756B1 (ko) 수격방지기
CN217736090U (zh) 缓冲机构及离合器液压系统和车辆
CN213628638U (zh) 液压阻尼器
JP2008138802A (ja) 防振装置
KR20000075319A (ko) 비탄성체의 흡수성을 이용한 관로의 파손 및 소음 방지장치
JP2007009961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2007218335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