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721A -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721A
KR20140001721A KR1020120107160A KR20120107160A KR20140001721A KR 20140001721 A KR20140001721 A KR 20140001721A KR 1020120107160 A KR1020120107160 A KR 1020120107160A KR 20120107160 A KR20120107160 A KR 20120107160A KR 20140001721 A KR20140001721 A KR 20140001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dsorption
desorption
unit
ad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443B1 (ko
Inventor
박용기
최원춘
강나영
서휘민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443B1/ko
Priority to PCT/KR2013/000583 priority patent/WO2014051221A1/ko
Priority to EP13841840.5A priority patent/EP2902088B1/en
Priority to US14/350,363 priority patent/US8894753B2/en
Priority to ES13841840.5T priority patent/ES2682920T3/es
Publication of KR2014000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01D53/1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with dispersed adsorbents
    • B01D53/1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with dispersed adsorbents according to the "fluidised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62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01D53/0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according to the "moving bed"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1Solid phase processes
    • B01D53/83Solid phase processes with mov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7/00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4C1/00, B04C3/00, or B04C5/00; Multiple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of the groups B04C1/00, B04C3/00, or B04C5/00; Combinations of apparatu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B04C1/00, B04C3/00, or B04C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30Alkali meta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40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5Other waste gases from metallurgy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65Employing advanced heat integration, e.g. Pinch 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에 연결된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를 순환하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를 포함하는 제1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 상기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에 연결된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 상기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를 순환하는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를 포함하는 제2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상기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와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온도 및 탈착온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포집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of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 제철소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많은 산업분야에서 발생된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극지방의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에 의하여 지구 곳곳에서 기상 이변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 방출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방출량을 규제하기 위한 국제적 규약이 체결되고 있고, 탄소 배출권의 도입 등에 의하여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이 각국의 경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은 태양 에너지, 풍력 에너지와 같이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려는 방향과, 화석 연료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포집하여 저장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후자의 기술을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이라고 하는데, 크게는 발전소나 제철소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분야의 기술과,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지중 또는 해양에 저장하는 기술로 나누어진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기술은 포집 단계의 적용에 따라서 연소 후 포집, 연소 전 포집, 순산소 포집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원리에 따라서 분리막을 사용하여 농축하는 막 포집 기술(membrane separation), 아민 또는 암모니아수 등의 액체 흡착제를 사용하는 액상 포집 기술(liquid phase separation),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등과 같은 고체상의 흡착제를 사용하는 건식 포집 기술(solid phase separation)로 구분할 수 있다.
건식 포집 기술은 크게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갖는 고상 흡착제의 개발과 이들 고상 흡착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산화탄소 포집 효율은 고상 흡착제의 성능뿐만 아니라 흡착 공정의 구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고상 흡착제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크게 유기계, 무기계, 탄소계, 유-무기 하이브리드계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산화탄소가 흡착제에 흡착되는 형태에 따라 물리적 흡착제, 화학적 흡착제로 구분될 수 있다. 유기계 흡착제로는 아민계 고분자 흡착제가, 무기계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계 또는 알칼리, 알칼리 토금속계 흡착제가, 탄소계 흡착제로는 알칼리 금속으로 수식된 활성탄계 흡착제가, 유-무기 하이브리드계 흡착제로는 MOF, 아민기를 갖는 유기물로 그래프팅(grafting)된 다공성 실리카 흡착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제올라이트계 및 카본계 흡착제는 이산화탄소가 물리적 흡착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외의 흡착제들은 화학적으로 이산화탄소가 흡착제와 반응하여 흡착되는 화학적 흡착특성을 나타낸다.(Energy Environ. Sci. 2011, 4, 42. ChemSusChem 2009, 2, 796.)
건식 포집 기술은 이산화탄소를 흡착 대상체에 흡착시키는 단계와,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탈착시켜서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탈착은 가역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데,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탈착은 열의 교환 또는 외부 압력의 변화를 통하여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식 흡착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공정은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탈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압력차를 이용하는 압력 스윙 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공정과, 온도차를 이용하는 온도 스윙 흡착(Temperature Swing Adsorption, TSA) 공정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의 이산화탄소 포집에는 고정층 흡착탑을 사용한 압력 스윙 흡착 공정이 유리하나, 발전소나 대형 연소로와 같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스케일 업(scale-up)이 용이한 유동층 흡착 및 탈착탑으로 구성된 온도 스윙 흡착 공정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고체 흡착제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대용량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유동 흡착탑 및 유동 탈착탑으로 구성된 온도 스윙 흡착 공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온도 스윙 흡착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탑 및 탈착탑은 운전 영역에 따라 탑 내에서의 흡착제 농도가 높은 기포 유동층(Bubbling Fluidized Bed)과 흡착제 농도가 낮은 고속 유동층(Diluted Fluidized Bed)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 유동층과 고속 유동층을 흡착탑과 탈착탑에 적용하면, ⅰ)고속 유동층-고속 유동층, ⅱ)고속 유동층-기포 유동층, ⅲ)기포 유동층-고속 유동층, ⅳ)기포 유동층-기포 유동층의 4가지 조합의 구성이 도출될 수 있다("Fluidization Engineering", D. Kunii and O. Levenspiel, Robert E. Krieger, 1977).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5-0003767호, 제2010-0099929호, 제2011-0054948호 등이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고체상의 건식 흡착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데 있어 고속유동층 흡착탑 및 기포유동층 탈착탑으로 구성된 온도 스윙 흡착 개념의 이산화탄소 유동층 포집공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온도 스윙 흡착 개념의 건식 포집 공정은 흡착제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온도 스윙 흡착 공정으로 탈착시키기 위해서 2 GJ/t-CO2 이상의 막대한 에너지가 소요되기 때문에 흡착제 비용과 함께 포집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포집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흡착제로부터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적은 에너지로 효과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서로 다른 흡착 및 탈착온도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열을 탈착 과정에 이용하도록 하는 다단계 방식의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이산화탄소가 흡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이 이산화탄소의 탈착 과정에 이용되도록 하여 이산화탄소의 포집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 및 탈착속도가 모두 느린 흡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호 열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네 번째 과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속도가 느리고 탈착속도가 빠른 흡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호 열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섯 번째 과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속도가 빠르고 탈착속도가 느린 흡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호 열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여섯 번째 과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속도와 탈착속도가 모두 빠른 흡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호 열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곱 번째 과제는 서로 다른 이산화탄소 흡착 및 탈착 온도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정 효율을 향상시킨 이산화탄소 포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로서,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에 연결된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를 순환하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를 포함하는 제1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 상기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에 연결된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 상기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를 순환하는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를 포함하는 제2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상기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와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온도 및 탈착온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의 연결은,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를 관통하거나,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가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는 열매체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의 농도가 0.1 내지 1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의 농도가 10 내지 8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는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의 농도가 0.1 내지 1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는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의 농도가 10 내지 8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로서, 충진된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과 탈착 영역을 순환하면서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이산화탄소 탈착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 충진된 흡착제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 충진된 흡착제와 서로 다른 이산화탄소 흡착 온도와 탈착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는 방식은, 흡착열이 전달되는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과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이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는 방식은, 열매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과 탈착 영역 사이에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는 충진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흡착 온도 및 탈착 온도에 따라 고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및 저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구분되고, 상기 고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중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며, 상기 중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저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기포유동성 탈착탑과, 상기 기포유동성 흡착탑의 하부와 기포유동성 탈착탑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과, 상기 기포유동성 탈착탑의 하부와 기포유동성 흡착탑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과 기포유동성 흡착탑 사이에 형성된 싸이클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네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속유동성 탈착탑과, 상기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 사이에 형성된 싸이클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섯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기포유동성 탈착탑과, 상기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 사이에 형성된 싸이클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여섯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속유동성 탈착탑과, 상기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을 연결하는 저장탑과, 상기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저장탑 및 고속유동성 탈착탑과 저장탑 사이에 형성된 싸이클론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일곱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방법으로서,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탈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서 이용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와 서로 다른 이산화탄소 흡착 및 탈착 온도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는 상호 열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서로 다른 온도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탈착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구비하며, 어느 하나의 흡탈착부에서 발생된 흡착열을 다른 흡탈착부에서 전달받아서 이산화탄소의 탈착에 이용하므로 이산화탄소의 흡탈착에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이산화탄소 흡착 및 탈착 온도가 서로 다른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하므로 이산화탄소 흡착열을 이산화탄소 탈착에 이용함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복수개로 연결된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서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탈착부를 고속유동성 또는 기포유동성으로 선택하여 설계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흡착 및 탈착 속도에 대한 흡착제의 특성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이산화탄소 흡착열의 전달을 직접 전달방식으로 선택하면 흡착열의 전달 과정에서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이산화탄소 흡착열의 전달에 열 매체를 이용하면,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대형화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저온 영역, 중온 영역, 고온 영역으로 이산화탄소 흡착-탈착 싸이클을 구성한 경우에 이산화탄소 흡착열을 이산화탄소 탈착에 필요한 열로 이용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열 매체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열의 이산화탄소 탈착에 필요한 영역으로 전달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열 매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에 연결된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를 순환하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를 포함하는 제1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 상기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에 연결된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 상기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를 순환하는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를 포함하는 제2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상기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와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온도 및 탈착온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저온 영역, 중온 영역, 고온 영역으로 이산화탄소 흡착-탈착 싸이클을 구성한 경우에 이산화탄소 흡착열을 이산화탄소 탈착에 필요한 열로 이용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온도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착 및 탈착하는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들이 다단으로 연결된 경우, 각각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 및 탈착이 일어나면서 에너지의 전달이 가능하다. 즉, 고온, 중온 및 저온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는 서로 다른 흡탈착 온도를 가지는 흡착제가 충진되어 있고,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탈착하는 과정에서 흡착열이 발생되는데 이 흡착열을 인접한 영역으로 전달하여 이산화탄소의 탈착을 유도하거나 탈착에 필요한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온 영역의 흡착제가 이산화탄소 흡착 시에 방출하는 흡착열을 중온 영역의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탈착 시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하고, 중온 영역의 흡착제가 이산화탄소 흡착 시에 방출하는 흡착열을 저온 영역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탈착 시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 흡착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탈착 시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탈착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구성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먼저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탈착부를 각각 기포유동층 또는 고속유동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ⅰ)기포유동성 흡착부-기포유동성 흡착부, ⅱ)기포 유동성 흡착부-고속유동성 탈착부, ⅲ)고속유동성 흡착부-기포유동성 탈착부, ⅳ)고속유동성 흡착부-고속유동성 탈착부와 같이 4가지 조합이 가능하다. 이때 기포유동성 흡착부 또는 탈착부는 흡착제의 농도가 10 내지 8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착제의 농도가 30 내지 60 부피%가 될 수 있다. 고속유동성 흡착부 또는 탈착부는 흡착제의 농도가 0.1 내지 1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착제의 농도가 0.5 내지 5 부피%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에서 이산화탄소 흡착열을 이산화탄소 탈착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징적인 구성이 요구된다.
이산화탄소 흡착열을 인접한 이산화탄소 탈착부로 전달하는 방법도 변형이 가능한데, 한 가지는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탈착부가 직접 접촉한 상태로 열이 교환되는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별도의 열 매체를 이용하여 열을 교환하는 방식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정리하면 이산화탄소 흡착부 및 탈착부의 구성과 열 전달 방식에 따라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8가지 방식으로 구별된다.
열교환방식 (흡착부)-(탈착부) 결합형태
직접식
(열매체 없음)
(기포유동층)- (기포유동층) (기포유동층)- (고속유동층) (고속유동층)- (기포유동층) (고속유동층)- (고속유동층)
간접식
(열매체 이용)
(기포유동층)- (기포유동층) (기포유동층)- (고속유동층) (고속유동층)- (기포유동층) (고속유동층)- (고속유동층)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각각의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한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기포유동성 흡착부와 기포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이산화탄소 흡탈착부가 저온, 중온 및 고온의 3단으로 연결될 수 있고, 중온 영역의 흡착제가 이산화탄소 흡착 시 발생하는 흡착열로부터 저온 영역의 이산화탄소 탈착에 필요한 에너지를 반응기 벽면의 직접적 열 교환을 통하여 공급받고, 고온 영역의 흡착제가 이산화탄소 흡착 시 발생하는 흡착열로부터 중온 영역의 이산화탄소 탈착에 필요한 에너지를 반응기 벽면의 직접적 열 교환을 통하여 공급받는다. 즉, 온도가 높은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착 시 발생하는 흡착열을 온도가 낮은 영역의 이산화탄소 탈착 시 필요한 탈착 에너지로 순차적으로 공급받는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포유동성-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포집장치(100)는 저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고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가지고, 각각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는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101),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102), 싸이클론 (103, 104), 열 교환기(105), 제1전달관(106), 제2전달관(107)을 포함한다. 저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이산화탄소 흡착 온도 및 탈착 온도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충진되고, 고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이산화탄소 흡착 온도 및 탈착 온도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충진된다.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101)의 하부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가스가 공급되고,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101)의 상부에 형성된 싸이클론(103)을 통해서는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된다.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101) 내부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위 →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전달관(106)을 통하여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102)의 상부로 공급된다.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102)에서는 이산화탄소의 탈착이 일어나면서 싸이클론(104)을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이산화탄소가 탈착된 흡착제는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102)의 하부에서 제2전달관(107)을 통하여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101)의 상부로 다시 전달된다. 이러한 싸이클이 반복되면서 배가스의 이산화탄소가 포집되어서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하여 연결된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탈착부는 열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도면에서는 이산화탄소 흡착부의 내부로 이산화탄소 탈착부가 관통하도록 도시하였지만, 열의 직접적 교환이 가능하다면 관통하는 형태가 아닌, 벽을 사이로 흡착부와 탈착부가 연결된 구조 등 여러 가지의 구성이 모두 가능하다.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101)에는 냉각을 위한 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102)에는 가열을 위한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101)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미리 냉각될 수 있고,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102)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미리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열 교환기(105)가 이용될 수 있고,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필요한 위치에 추가적인 열 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동을 위한 압축기 또는 블로워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한 경우 압축기 또는 블로워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기포유동성 흡착부과 기포유동성 탈착부로 구성한 것은 흡착부 및 탈착부에서의 흡착제가 체류하는 시간을 흡착 및 탈착에 필요한 시간 동안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하여 전달관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이산화탄소의 흡착속도 및 탈착속도가 모두 느린 흡착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경우에 유리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기포유동성 흡착부와 고속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도 저온, 중온 및 고온의 3단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고온 영역에서 중온 영역으로, 중온 영역에서 저온 영역으로 이산화탄소 흡착열이 전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포유동성-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포집장치(200)는 저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고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가지고, 각각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는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201),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202), 싸이클론 (203), 및 열 교환기(205)를 포함한다.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201)의 하부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가스가 공급되고,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201)의 상부로는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된다.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201) 내부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위 →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202)의 하부로 공급된다.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202)에서는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아래 → 위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산화탄소의 탈착이 일어나고, 싸이클론(203)을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며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다시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201)의 상부로 공급된다. 인접하여 연결된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탈착부는 열 교환이 가능하도록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202)가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201)의 내부를 관통하며 벽을 통하여 열이 교환된다. 이 경우에도 열의 직접적 교환이 가능하다면 관통하는 형태가 아닌, 벽을 사이로 흡착부와 탈착부가 연결된 구조 등 여러 가지의 구성이 모두 가능하며,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201)의 냉각 수단,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202)의 가열수단,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예비 가열 또는 냉각 수단 및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동을 위한 압축기 또는 블로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포유동성 흡착부와 고속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이산화탄소 흡착부에서의 흡착제 체류시간을 흡착에 필요한 만큼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탈착부에서의 흡착제 체류시간은 운전조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포유동성 흡착부과 고속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속도가 느리고 탈착속도가 빠른 흡착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경우에 유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고속유동성 흡착부와 기포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도 저온, 중온 및 고온의 3단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고온 영역에서 중온 영역으로, 중온 영역에서 저온 영역으로 이산화탄소 흡착열이 전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속유동성-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포집장치(300)는 저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고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가지고, 각각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는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301),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302), 싸이클론 (303), 및 열 교환기(305)를 포함한다.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301)의 하부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가스가 공급되고,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301)의 상부에 형성된 싸이클론(303)을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된다.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301) 내부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아래 → 위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302)의 상부로 공급된다.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302)에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위 →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산화탄소의 탈착이 일어나고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301)로 이동한다. 인접하여 연결된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탈착부는 열 교환이 가능하도록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301)가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302)의 내부를 관통하며 벽을 통하여 열이 교환된다. 이 경우에도 열의 직접적 교환이 가능하다면 관통하는 형태가 아닌, 벽을 사이로 흡착부와 탈착부가 연결된 구조 등 여러 가지의 구성이 모두 가능하며,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301)의 냉각 수단,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302)의 가열수단,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예비 가열 또는 냉각 수단 및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동을 위한 압축기 또는 블로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속유동성 흡착부과 기포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운전조건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흡착부에서의 흡착제 체류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고속유동성 흡착부과 기포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속도가 빠르고 탈착속도가 느린 흡착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경우에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고속유동성 흡착부와 고속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도 저온, 중온 및 고온의 3단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고온 영역에서 중온 영역으로, 중온 영역에서 저온 영역으로 이산화탄소 탈착열이 전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속유동성-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00)는 저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고온 싸이클 영역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가지고, 각각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는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401),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402), 싸이클론 (403, 404), 열 교환기(405) 및 저장탑(406, 407)을 포함한다.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401)의 하부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가스가 공급되고,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401)의 상부에 형성된 싸이클론(403)을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된다.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401) 내부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위 →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저장탑(406)의 상부로 공급되고, 다시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402)의 하부로 공급된다.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402)에서는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아래 → 위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산화탄소의 탈착이 일어나고 싸이클론(404)을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배출된 후에 저장탑(407)을 통하여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401)의 하부로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공급된다. 이 경우에 저장탑(406, 407)이 필요한 이유는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흡착부 및 탈착부에서 모두 아래 → 위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싸이클론으로부터 분리된 흡착제를 담아둘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접하여 연결된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탈착부는 열 교환이 가능하도록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401)가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402)의 내부를 관통하며 벽을 통하여 열이 교환된다. 이 경우에도 열의 직접적 교환이 가능하다면 관통하는 형태가 아닌, 벽을 사이로 흡착부와 탈착부가 연결된 구조 등 여러 가지의 구성이 모두 가능하며,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401)의 냉각 수단,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402)의 가열수단,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예비 가열 또는 냉각 수단 및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동을 위한 압축기 또는 블로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속유동성 흡착부과 고속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운전조건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탈착부에서의 흡착제 체류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고속유동성 흡착부과 기포유동성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속도와 탈착속도가 모두 빠른 흡착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경우에 유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열 매체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열의 이산화탄소 탈착에 필요한 영역으로 전달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열 매체 이용 이산화탄소 포집장치(500)는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501),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502) 및 열 매체(503)를 포함한다. 열 매체(503)는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501)와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502)를 연결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 흡착열이 탈착부로 전달되는 매체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열 매체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면 장치의 각 구성을 설계하는 것이 자유로워져서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거나 대형화하는데 유리하다. 열 매체는 열 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구성되고, 외부에 단열수단이 구비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단열된 형태의 워터 자켓이나 실리콘 오일 자켓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와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기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에도 열 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7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각각의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다. 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들로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특성 및 운전조건에 따라 일부의 구성이 삭제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직접 열교환 방식의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으로 이루어진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각각 차이가 있는 부분은 이산화탄소 흡수탑과 이산화탄소 탈착탑의 구성 및 연결 관계인데, 이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배가스의 주입, 이산화탄소의 배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동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필요한 구성을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는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싸이클론, 흡착제 전달관, 열 교환기, 유체 순환기, 히터 및 유량 조절 밸브 등을 포함한다.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배가스는 압축기 또는 배풍기로 이루어진 유체 순환기(C1)를 통하여 공급되며, 유량 조절 밸브(V1, V2, V3)에 의하여 각 온도 영역의 흡착탑에 이산화탄소 함유 배가스가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하였다. 각 온도 영역의 흡착제가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로 흡착탑에 도입될 수 있도록 열 교환기(HX3, HX6)를 통하여 가열되어 도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저온, 중온, 고온 영역의 흡착제 모두 이산화탄소 흡착 온도보다 탈착 온도가 높기 때문에 흡착-탈착 싸이클을 반복 시 이들 온도차에 의한 열효율 저하를 막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이 끝난 흡착제가 탈착탑에 투입되기 전 가열되어 투입되도록, 그리고 이산화탄소 탈착이 끝난 흡착제가 흡착탑에 투입되기 전 냉각되도록 열 교환기(HX1, HX2, HX4, HX5, HX7, HX8)를 각 단의 흡착탑과 탈착탑 사이에 두어 열 교환이 되도록 하였다. 이들 열 교환기를 열매체가 순환하면서 열 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유체 순환기(C2, C5, C8)를 두었다. 즉, 흡착이 끝난 흡착제는 탈착탑에 투입되기 전 가열되도록 하였으며, 탈착이 끝난 흡착제는 흡착탑에 투입되기 전 냉각되도록 하여 흡착 및 탈착에 필요한 열이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흡착제의 이송을 위하여 스트림 넘버(S4, S17, S29)를 지난 흡착제는 전달관을 통하여 싸이클론(CY1, CY3, CY5)에 각각 투입되도록 하였다(S4 → CY1, S17 → CY3, S29 → CY5). 반응기 벽면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저온, 중온, 고온영역에 이산화탄소 흡탈착부(SC3, SC5, SC6)를 설치하였다.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서 배출되는 기체로부터 흡착제를 분리하기 위하여 싸이클론(CY1, CY2, CY3, CY4, CY5, CY6)를 두었다. 고온 영역 흡착제의 탈착에 필요한 에너지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하여 히터(FH1)를 두어 공급받도록 하였으며, 공급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열 교환기(HX9, HX10)을 두어 탈착탑을 빠져 나온 농축된 이산화탄소 및 가열로 배가스와 열교환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열 매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대부분의 구성은 도 7 내지 도 10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고, 열 매체의 이용과 관련된 구성에서 차이가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열 매체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열과 탈착열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열 교환기와 유체 순환기(C4, C7)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포유동성-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01: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
102: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
103, 104: 싸이클론 105: 열 교환기
106: 제1전달관 107: 제2전달관
200: 기포유동성-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201: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
202: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
203: 싸이클론 205: 열 교환기
300: 고속유동성-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301: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
302: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
303: 싸이클론 305: 열 교환기
400: 고속유동성-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401: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
402: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
403, 404: 싸이클론 405: 열 교환기
406, 407: 저장탑
500: 열 매체 이용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501: 고속유동성 이산화탄소 흡착부
502: 기포유동성 이산화탄소 탈착부
503: 열 매체
C1 ~ C10 : 유체 순환기 CY1 ~ CY6 : 싸이클론
FH1 : 히터 HX1 ~ HX10 : 열 교환기
SC1 ~ SC6 :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S1 ~ S46 : 스트림 넘버 V1 ~ V3 : 유량 조절 밸브

Claims (19)

  1.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에 있어서,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에 연결된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와,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를 순환하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를 포함하는 제1이산화탄소 흡탈착부; 및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상기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에 연결된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와, 상기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를 순환하는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를 포함하는 제2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상기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와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온도 및 탈착온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의 연결은,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를 관통하거나,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가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산화탄소 흡착부와 제2이산화탄소 탈착부는 열매체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의 농도가 0.1 내지 1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이산화탄소 탈착부는 제1이산화탄소 흡착제의 농도가 10 내지 8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는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의 농도가 0.1 내지 1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이산화탄소 흡착부는 제2이산화탄소 흡착제의 농도가 10 내지 80 부피%로 충진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8.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에 있어서,
    충진된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과 탈착 영역을 순환하면서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이산화탄소 탈착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 충진된 흡착제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 충진된 흡착제와 서로 다른 이산화탄소 흡착 온도와 탈착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는 방식은, 흡착열이 전달되는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과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이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는 방식은, 열매체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과 탈착 영역 사이에 열교환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는 충진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흡착 온도 및 탈착 온도에 따라 고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및 저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구분되고, 상기 고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중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며, 상기 중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흡착 영역에서 발생된 흡착열이 저온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의 이산화탄소 탈착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3.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기포유동성 흡착탑;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기포유동성 탈착탑; 상기 기포유동성 흡착탑의 하부와 기포유동성 탈착탑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 상기 기포유동성 탈착탑의 상부와 기포유동성 흡착탑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 및 상기 제2연결관과 기포유동성 흡착탑 사이에 형성된 싸이클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4.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기포유동성 흡착탑;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속유동성 탈착탑; 및 상기 기포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 사이에 형성된 싸이클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5.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속유동성 흡착탑;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기포유동성 탈착탑; 및 상기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기포유동성 탈착탑 사이에 형성된 싸이클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6.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속유동성 흡착탑;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속유동성 탈착탑; 상기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고속유동성 탈착탑을 연결하는 저장탑; 및 상기 고속유동성 흡착탑과 저장탑 및 고속유동성 탈착탑과 저장탑 사이에 형성된 싸이클론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7.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탈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에서 이용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와 서로 다른 이산화탄소 흡착 및 탈착 온도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는 상호 열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산화탄소 흡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이산화탄소 흡탈착부와 서로 다른 온도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착과 탈착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방법.
KR1020120107160A 2012-06-27 2012-09-26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38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60A KR101381443B1 (ko) 2012-06-27 2012-09-26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PCT/KR2013/000583 WO2014051221A1 (ko) 2012-09-26 2013-01-25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EP13841840.5A EP2902088B1 (en) 2012-09-26 2013-01-25 Carbon dioxide capturing apparatus
US14/350,363 US8894753B2 (en) 2012-09-26 2013-01-25 Carbon dioxide capture systems
ES13841840.5T ES2682920T3 (es) 2012-09-26 2013-01-25 Aparato de captura de dióxido de carbon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295 2012-06-27
KR20120069295 2012-06-27
KR1020120107160A KR101381443B1 (ko) 2012-06-27 2012-09-26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21A true KR20140001721A (ko) 2014-01-07
KR101381443B1 KR101381443B1 (ko) 2014-04-04

Family

ID=5038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160A KR101381443B1 (ko) 2012-06-27 2012-09-26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94753B2 (ko)
EP (1) EP2902088B1 (ko)
KR (1) KR101381443B1 (ko)
ES (1) ES2682920T3 (ko)
WO (1) WO20140512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389B1 (ko) * 2014-01-28 2015-04-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판형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WO2020262795A1 (ko) * 2019-06-28 2020-12-30 한국화학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포집공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4312B2 (en) * 2013-03-13 2017-07-04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Carbon dioxide capture apparatus
IN2013MU03191A (ko) * 2013-10-09 2015-07-03 Reliance Ind Ltd
AU2015345356B2 (en) * 2014-11-10 2019-02-1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capturing CO2 from a gas stream
US9387430B2 (en) * 2014-11-19 2016-07-12 Apach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of enhanced carbon dioxide recovery
CN106345222A (zh) * 2016-09-29 2017-01-25 天津大学 一种太阳能光热辅助的变温吸附碳捕集系统
CN112844033A (zh) * 2021-01-07 2021-05-28 太原理工大学 一种捕获co2鼓泡输送流化床反应装置和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7534A (en) * 1922-06-15 1926-03-23 Silica Ge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r recovering alpha gas from alpha mixture of gases
US3719573A (en) * 1970-01-26 1973-03-06 Environment One Corp Periodically reversed gas flow ozone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3786135A (en) * 1971-09-07 1974-01-15 Aluminum Co Of America Recovery of solid selectively constituted high purity aluminum chloride from hot gaseous effluent
US3921544A (en) * 1972-04-26 1975-11-25 Combustion Power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le collection in the exhaust of a fluid bed disposal apparatus
US4373935A (en) * 1981-05-01 1983-02-15 Union Carbide Corporation Adsorption separation cycle
US4405343A (en) * 1982-09-01 1983-09-20 Othmer Donald F Methanol dehydration
EP0127683B1 (en) * 1982-11-04 1987-04-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at exchanger
US4950311A (en) * 1988-03-07 1990-08-21 White Jr Donald H Heaterless adsorption system for combined purification and fractionation of air
US5110323A (en) 1990-01-04 1992-05-05 Stone & Webster Engineering Corp. Process for the return of recovered particulate solids by a cyclone separator to a vessel
US5156657A (en) 1990-03-29 1992-10-20 The Boc Group, Inc. Process for pre-purification of air for separation
US5170633A (en) * 1991-06-24 1992-12-15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Desiccant based air conditioning system
JPH05237329A (ja) * 1991-08-30 1993-09-17 Chiyoda Corp ガス分離方法とその装置
US5676738A (en) * 1995-08-22 1997-10-14 Cioffi; Lawrence VOC control/solvent recovery system
US6199388B1 (en) * 1999-03-10 2001-03-13 Semco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JP2001137646A (ja) 1999-11-15 2001-05-22 Kureha Techno Enji Kk 排ガスの吸着処理装置及び方法
EP1590080A2 (en) * 2002-12-18 2005-11-02 University Of Ottawa Amine modified adsorbent, its preparation and use for dry scrubbing of acid gases
KR100527420B1 (ko) 2003-07-04 2005-1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Co2 분리회수장치
US20070283812A1 (en) * 2006-06-09 2007-12-1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ulfur from fuel gas streams
KR100870756B1 (ko) * 2007-04-23 2008-11-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두 개의 유동층 사이에서 고체이송순환을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912250B1 (ko) 2007-11-09 2009-08-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 회수시스템의 사이클론익스펜더
US8500851B2 (en) * 2008-11-10 2013-08-06 Phillips 66 Company Multiple fixed-fluidized beds for contaminant removal
KR101069191B1 (ko) 2009-03-04 2011-09-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송 재생반응기를 갖는 co₂회수장치
KR101146710B1 (ko) * 2009-06-16 2012-05-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소배가스에서 온도변동 흡착공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를 회수 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1094325B1 (ko) 2009-11-18 2011-12-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볼텍스 튜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수분리시스템
KR101045061B1 (ko) 2009-11-19 2011-06-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단유동층 열교환기 형태의 재생반응기를 갖는 co₂회수장치
JP5641194B2 (ja) 2010-03-31 2014-12-17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二酸化炭素ガス回収装置
GB2486476A (en) * 2010-12-16 2012-06-20 Doosan Power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generation of a capture medium
US20120160098A1 (en) * 2010-12-22 2012-06-2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rbon dioxide removal
KR101336778B1 (ko) * 2011-12-12 2013-12-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종의 고체입자를 이용하는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389B1 (ko) * 2014-01-28 2015-04-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판형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WO2020262795A1 (ko) * 2019-06-28 2020-12-30 한국화학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포집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221A1 (ko) 2014-04-03
EP2902088B1 (en) 2018-06-06
EP2902088A1 (en) 2015-08-05
ES2682920T3 (es) 2018-09-24
US8894753B2 (en) 2014-11-25
EP2902088A4 (en) 2016-06-15
US20140251136A1 (en) 2014-09-11
KR101381443B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443B1 (ko)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US99750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rbon dioxide capture and sequestration from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CO2 mixtures
CN111278529B (zh) 气体回收浓缩装置
JP6498483B2 (ja) ガス回収濃縮装置
Pröll et al. Introduction and evaluation of a double loop staged fluidized bed system for post-combustion CO2 capture using solid sorbents in a continuous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process
CN103801172B (zh) 使用循环流化移动床捕获电厂烟气中co2的工艺及装置
CN104162341A (zh) 一种固态胺吸附剂脱除烟气中co2的装置及方法
KR102033745B1 (ko)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포집공정
CN102198360A (zh) 利用胺类固体吸附剂脱除烟气中co2的工艺及设备
KR101571966B1 (ko)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336778B1 (ko) 다종의 고체입자를 이용하는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N113813744B (zh) 一种提升燃煤锅炉烟气中co2捕集经济性的系统和方法
WO2015056272A2 (en) A multi-compression system and process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KR102055976B1 (ko)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단일 압축 시스템 및 공정
KR101509389B1 (ko) 다단판형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N108771947B (zh) 一种高湿度烟气深度余热回收与co2捕集一体化装置及方法
JP2020527455A (ja) Co2の吸着及び捕捉のためのv型吸着剤及びガス濃縮の使用
JP2009262086A (ja) 石炭ボイラ排ガスの二酸化炭素回収方法及び石炭ボイラ排ガスの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
Habib et al. Flexible carbon capture using MOF fixed bed adsorbers at an NGCC plant
KR101480654B1 (ko) 다중관형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N101757832A (zh) 从多组分混合流体中分离至少一种组分的方法及其装置
KR20220085903A (ko) 판형 열교환기를 이용한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공정
González Plaza et al. Development of carbon-based vacuum,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swing adsorption post-combustion CO2 capture processes
JPH07275635A (ja) 特定ガス連続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