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420B1 - Co2 분리회수장치 - Google Patents

Co2 분리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420B1
KR100527420B1 KR10-2003-0045260A KR20030045260A KR100527420B1 KR 100527420 B1 KR100527420 B1 KR 100527420B1 KR 20030045260 A KR20030045260 A KR 20030045260A KR 100527420 B1 KR100527420 B1 KR 10052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solid
recovery
fluidized b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767A (ko
Inventor
이창근
진경태
선도원
한근희
배달희
박재현
조성호
유호정
이승용
박상도
문길호
유정석
우광제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4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4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O2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전달반응기와, CO2를 잡고있는 고체입자가 CO2를 놓아주면서 원래의 상태로 재생되는 재생반응기로 구성된 CO2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CO2함유가스(11)가 건식고체흡수제와 접촉하여 CO2를 회수하는 회수반응기(1); 상기 회수반응기(1)와 연결되어 기체는 배출시키고 CO2를 함유하고 있는 고체만 분리하는 사이클론1(3a); 상기 사이클론1(3a)과 연결된 루프실(5)을 포함하는 고체이송파이프(7)를 통해 CO2를 함유하고 있는 고체를 공급받아 유동화가스(8)를 이용하여 CO2와 건식고체흡수제로 분리하고, 분리된 건식고체흡수제를 이송수단을 통해 다시 회수반응기(1)로 보내는 재생용 유동층반응기(2); 및 상기 재생용 유동층반응기(2)에서 분리된 CO2를 외부로 저장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CO2분리회수장치이다.

Description

CO2 분리회수장치{CO2 capturing process}
본 발명은 CO2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O2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전달반응기와, CO2를 잡고있는 고체입자가 CO2를 놓아주면서 원래의 상태로 재생되는 재생반응기로 구성된 CO2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CO2를 회수하는 공정으로는 습식법에 의한 공정이었다. 즉 아민류 계통의 용액을 통과하여 CO2를 흡수하게 하고 재생탑에서 그 용액을 재생하는 방식인 것이다. 습식법의 경우 폐수가 생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건식법이 발명되었다. 건식법은 2탑 반응기를 사용하여 CO2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으로, 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CO2 가스와 건식고체흡수제를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하여 CO2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하여 회수한다.
종래의 기술은 회수반응기를 이동층으로 사용하였으나 반응이 발열반응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온도조절에 문제점이 있으며 낮은 유속으로 반응기의 크기가 커야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CO2를 회수하는 반응기로서 높은 유속의 전달반응기 또는 유동층반응기를 이용하여, 반응기의 온도조절과 연속운전이 용이한 CO2분리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CO2함유가스(11)가 건식고체흡수제와 접촉하여 CO2를 회수하는 회수반응기(1); 상기 회수반응기(1)와 연결되어 기체는 배출시키고 CO2를 함유하고 있는 고체만 분리하는 사이클론1(3a); 상기 사이클론1(3a)과 연결된 루프실(5)을 포함하는 고체이송파이프(7)를 통해 CO2를 함유하고 있는 고체를 공급받아 유동화가스(8)를 이용하여 CO2와 건식고체흡수제로 분리하고, 분리된 건식고체흡수제를 이송수단을 통해 다시 회수반응기(1)로 보내는 유동층반응기(2); 및 상기 유동층반응기(2)에서 응축 분리된 CO2를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방출하는 사이클론2(3b)을 포함하는 CO2분리회수장치이다.
상기에서 이송수단은 재생반응기(2)의 측면과 회수반응기(1)의 하부를 연결하는 루프실(5)을 포함하는 고체이송파이프(6a)이고, CO2포함가스는 회수반응기(1)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이송수단은 재생반응기(2)의 하단과 회수반응기(1)의 하부를 연결하며 수평으로 형성된 고체이송파이프(6b)이고, CO2포함가스는 상기 고체이송파이프(6b)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은, 고체이송가스(9)가 건식고체흡수제를 이송시키는 상승관(12); 상기 상승관(12)과 연결되어 이송가스는 배출시키고 고체만 분리하는 사이클론1(3a); 상기 사이클론1(3a)과 연결된 루프실(5)을 포함하는 고체이송파이프(7)를 통해 상기 고체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CO2함유가스(11)를 공급받아 CO2회수반응기 역할을 하는 유동층반응기1(2'); 상기 유동층반응기(2')와 고체이송파이프(10)로 연결되고, 유동화가스(8)를 이용하여 CO2와 건식고체흡수제로 분리하고, 분리된 건식고체흡수제를 이송수단을 통해 다시 상승관(12)으로 보내는 재생용 유동층반응기2(2); 및 상기 유동층반응기1(2') 및 유동층반응기2(2)에서 분리된 CO2를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방출하는 사이클론2,3(3b, 3c)을 포함하는 CO2분리회수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써, 회수반응기(1), 재생반응기인 유동층반응기(2), 사이클론(3a,3b), 고체이송파이프(6a,7)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유동층반응기를 사용함으로써, 유속을 높임으로 인한 반응기의 단면적이 줄어들고 공정 구성도 간단하게 되며, 발열이 적어 온도제어가 수월해진다.
CO2포함가스(11)는 가스분산판(4)을 통과하여 회수반응기(1)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회수반응기(1) 안에서 건식고체흡수제와 접촉하여 CO2가 회수된다.
상기 상승관과 연결된 사이클론(3a)에서는 고체와 기체를 분리하여 CO2와 결합한 고체입자만 통과시키고, 기체를 외부로 방출한다.
사이클론(3a)를 통과한 고체입자는 루프실(5)이 형성된 고체이송파이프(7)를 거쳐 재생반응기인 유동층반응기(2)에 주입된다.
여기서 루프실(5)은 양 반응기 사이의 기체흐름의 차단 역할을 한다.
유동층반응기(2)에서는 하부에서 유동화가스(8)가 가스분산판(4)을 거쳐 공급되어, 사이클론(3a)를 통과한 고체입자를 유동화에 의해 재생하여 CO2와 건식고체흡수제로 분리하고, 분리된 건식고체흡수제를 이송수단인 루프실(5)를 포함하는 고체이송파이프(6a)를 통해 다시 회수반응기(1)로 보낸다.
이 때, 발생한 CO2를 사이클론2(3b)를 이용하여 분리된 CO2 가스를 사용하기 위해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 고체이송파이프(7,6a)에서 고체의 이송은 고체의 자중에 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써, 회수반응기(1), 재생반응기인 유동층반응기(2), 사이클론(3a,3b), 고체이송파이프(6b,7)로 구성되어 있다.
제1실시예와의 차이는 재생반응기인 유동층반응기(2)에서 회수반응기(1)로의 고체흐름이 수평으로 형성된 고체이송파이프(6b)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평형상의 고체이송파이프(6b)를 사용하여 공정이 간단하게 구성된다.
다만, 수평형상의 고체이송파이프(6b)를 사용하므로 고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CO2함유가스(11)를 고체이송파이프(6b)에 직접 유입하여 고체를 회수반응기로 이송하는 고체이송가스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상승관(12), 2개의 유동층반응기(2,2'), 사이클론(3a,3b,3c), 고체이송파이프(6b,7,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동층반응기(2')가 CO2의 흡수반응을 일으키는 회수반응기이고, 유동층반응기(2)이 재생반응기로써 역할한다. 여기서, 상승관(12)은 단지 고체를 상향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수반응기와 재생반응기인 유동층반응기(2,2')는 고체이송파이프(10)에 의해 연결된다.
재생반응기인 유동층반응기(2)로부터 회수반응기인 유동층반응기(2')로 입자를 이송시키기 위해서 고체이송파이프(6b)와 상승관(12)을 사용하였다.
CO2함유가스(11)는 유동층반응기(2')에 유입된다. 또한, 수평형태의 고체이송파이프(6b)에는 고체의 이송을 원할히 하기 위해 고체이송가스(9)를 주입하였다.
상승관(12)과 유동층반응기(2,2')에는 사이클론(3a,3b,3c)가 각각 연결되어 기체상태의 물질 만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본 발명으로서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저감 및 처리를 위한 대책으로 지구 온난화 방지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즉, 두 반응기 사이의 고체의 흐름이 정체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으며, 복잡한 기계적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공정의 관점에서 볼 때는 공정이 간결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재생용 고체 흡수제를 이용한 CO2회수장치개발로 에너지가 절약되고 저가의 CO2분리회수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세대 예연소(pre-combustion) CO2포획기술과 CLC(Chemical Looping Combustor)에 적용 가능한 공정기술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공정도
도 2는 실시예 2의 공정도
도 3은 실시예 3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회수반응기 2,2': 유동층반응기
3a,3b,3c: 사이클론 4: 가스분산판
5: 루프실 6a,6b,7,10: 고체이송파이프
8: 유동화가스 9: 고체이송가스
11: CO2포함가스 12: 상승관

Claims (4)

  1. 외부로부터 공급된 CO2함유가스(11)가 건식고체흡수제와 접촉하여 CO2를 회수하는 회수반응기(1);
    상기 회수반응기(1)와 연결되어 기체는 배출시키고 CO2를 함유하고 있는 고체만 분리하는 사이클론1(3a);
    상기 사이클론1(3a)과 연결된 루프실(5)을 포함하는 고체이송파이프(7)를 통해 CO2를 함유하고 있는 고체를 공급받아 유동화가스(8)를 이용하여 CO2와 건식고체흡수제로 분리하고, 분리된 건식고체흡수제를 이송수단을 통해 다시 회수반응기(1)로 보내는 유동층반응기(2); 및
    상기 유동층반응기(2)에서 분리된 CO2를 이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 방출하는 사이클론2(3b)을 포함하는 CO2분리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송수단은 재생반응기(2)의 측면과 회수반응기(1)의 하부를 연결하는 루프실(5)을 포함하는 고체이송파이프(6a)이고, CO2포함가스는 회수반응기(1)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2분리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송수단은 재생반응기(2)의 하단과 회수반응기(1)의 하부를 연결하며 수평으로 형성된 고체이송파이프(6b)이고, CO2포함가스는 상기 고체이송파이프(6b)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2분리회수장치
  4. 고체이송가스(9)가 건식고체흡수제를 이송시키는 상승관(12);
    상기 상승관(12)과 연결되어 이송기체는 배출시키고 고체만 분리하는 사이클론1(3a);
    상기 사이클론1(3a)과 연결된 루프실(5)을 포함하는 고체이송파이프(7)를 통해 고체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CO2함유가스(11)를 공급받아 회수반응기의 역할을 하는 유동층반응기1(2');
    상기 유동층반응기(2')와 고체이송파이프(10)로 연결되고, 유동화가스(8)를 이용하여 CO2와 건식고체흡수제로 분리하고, 재생된 건식고체흡수제를 이송수단을 통해 다시 상승관(12)으로 보내는 재생용 유동층반응기2(2); 및
    상기 유동층반응기1(2') 및 유동층반응기2(2)에서 분리된 CO2를 이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 방출하는 사이클론2,3(3b, 3c)을 포함하는 CO2분리회수장치
KR10-2003-0045260A 2003-07-04 2003-07-04 Co2 분리회수장치 KR10052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60A KR100527420B1 (ko) 2003-07-04 2003-07-04 Co2 분리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60A KR100527420B1 (ko) 2003-07-04 2003-07-04 Co2 분리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767A KR20050003767A (ko) 2005-01-12
KR100527420B1 true KR100527420B1 (ko) 2005-11-09

Family

ID=3721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260A KR100527420B1 (ko) 2003-07-04 2003-07-04 Co2 분리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4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87B1 (ko) * 2007-11-09 2009-08-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회수시스템의 경사진재생반응기
KR101045061B1 (ko) 2009-11-19 2011-06-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단유동층 열교환기 형태의 재생반응기를 갖는 co₂회수장치
CN102257341A (zh) * 2008-12-19 2011-11-23 乔治洛德方法研究和开发液化空气有限公司 通过低温冷凝捕集二氧化碳的方法
US8241408B2 (en) 2007-02-12 2012-08-14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Carbon dioxide capturing device including water vapor pretreatment apparatus
KR101823643B1 (ko) 2015-11-26 2018-02-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상압 다탑 유동층의 차압조절방법, 차압조절장치, 그 차압조절장치를 갖는 다탑 유동층 시스템
KR20190087690A (ko) * 2018-01-15 2019-07-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전환율 향상을 위한 이산화탄소 회수시스템 및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20B1 (ko) * 2005-07-28 2007-02-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수분주입부를 구비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KR100912250B1 (ko) * 2007-11-09 2009-08-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 회수시스템의 사이클론익스펜더
KR101069191B1 (ko) * 2009-03-04 2011-09-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송 재생반응기를 갖는 co₂회수장치
KR101233297B1 (ko) 2010-11-30 2013-02-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398012B1 (ko) * 2012-04-25 2014-05-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흡수제 역류방지가 가능한 재생반응기
KR101381443B1 (ko) 2012-06-27 2014-04-04 한국화학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US9694312B2 (en) 2013-03-13 2017-07-04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Carbon dioxide capture apparatus
KR102033745B1 (ko) 2019-06-28 2019-10-17 한국화학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포집공정
KR102398216B1 (ko) 2021-12-10 2022-05-16 한국화학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포집공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7013A (en) * 1980-10-06 1982-04-23 Kawasaki Steel Corp Producing and recovering method for gaseous co2
KR19980028707A (ko) * 1996-10-24 1998-07-15 손영목 연소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회수용 2단식 흡착분리공정과 그 운전방법
JP2000128515A (ja) * 1998-10-28 2000-05-09 Shimadzu Corp 炭素の製造方法
JP2002079052A (ja) * 2000-09-08 2002-03-19 Toshiba Corp 二酸化炭素回収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387337B1 (en) * 2000-07-14 2002-05-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arbon dioxide capture process with regenerable sorb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7013A (en) * 1980-10-06 1982-04-23 Kawasaki Steel Corp Producing and recovering method for gaseous co2
KR19980028707A (ko) * 1996-10-24 1998-07-15 손영목 연소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회수용 2단식 흡착분리공정과 그 운전방법
JP2000128515A (ja) * 1998-10-28 2000-05-09 Shimadzu Corp 炭素の製造方法
US6387337B1 (en) * 2000-07-14 2002-05-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arbon dioxide capture process with regenerable sorbents
JP2002079052A (ja) * 2000-09-08 2002-03-19 Toshiba Corp 二酸化炭素回収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1408B2 (en) 2007-02-12 2012-08-14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Carbon dioxide capturing device including water vapor pretreatment apparatus
KR100914887B1 (ko) * 2007-11-09 2009-08-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회수시스템의 경사진재생반응기
CN102257341A (zh) * 2008-12-19 2011-11-23 乔治洛德方法研究和开发液化空气有限公司 通过低温冷凝捕集二氧化碳的方法
KR101045061B1 (ko) 2009-11-19 2011-06-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단유동층 열교환기 형태의 재생반응기를 갖는 co₂회수장치
KR101823643B1 (ko) 2015-11-26 2018-02-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상압 다탑 유동층의 차압조절방법, 차압조절장치, 그 차압조절장치를 갖는 다탑 유동층 시스템
KR20190087690A (ko) * 2018-01-15 2019-07-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전환율 향상을 위한 이산화탄소 회수시스템 및 작동방법
KR102019670B1 (ko) 2018-01-15 2019-09-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전환율 향상을 위한 이산화탄소 회수시스템 및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767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420B1 (ko) Co2 분리회수장치
KR100898816B1 (ko) 수증기 전처리기를 포함한 co2 분리회수장치
Yi et al. Continuous operation of the potassium-based dry sorbent CO2 capture process with two fluidized-bed reactors
US86032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ination/carbonation cycle processing
CA2479886C (en) Combustion method with integrated carbon dioxide separation by means of carbonation
KR101347551B1 (ko) 다단 공급형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US8764890B2 (en) Dry carbon dioxide capturing device using multi sorbents
JP2008279441A (ja) 燃焼煙道ガス中の二酸化炭素を低減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H05237329A (ja) ガス分離方法とその装置
Khongprom et al. Compact fluidized bed sorber for CO2 capture
KR20180081750A (ko) 산업 공정으로부터 co2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7746726B (zh) 一体式co2捕获与煤气化制合成气的工艺和装置
JP4990401B2 (ja) Co2回収システム用再生反応器
KR101645975B1 (ko) 에너지 소비가 최적화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0547904B1 (ko)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US911435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eneration of precipitating solvent
DK2359925T3 (en) METHOD AND DEVICE FOR BIOMASS BURNING AND SIMULTANEOUS CAPTURE OF CARBON DIOXIDE In a combustor-carbonator
KR100912250B1 (ko)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 회수시스템의 사이클론익스펜더
US20230330589A1 (en) Gas Capture System with Combined Temperature and Pressure Swings Using Moving Adsorbent
US20150174546A1 (en) Fluidized bed reactor capable of varying flow velocity
JP2004189993A (ja) ガス精製方法、ガス精製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石炭ガス化発電システム
WO2016074977A1 (en) Device for capturing a target ga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KR101110660B1 (ko)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KR20090084584A (ko)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회수시스템의 양방향비기계식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