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403A - Blower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wer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403A
KR20140001403A KR1020120068882A KR20120068882A KR20140001403A KR 20140001403 A KR20140001403 A KR 20140001403A KR 1020120068882 A KR1020120068882 A KR 1020120068882A KR 20120068882 A KR20120068882 A KR 20120068882A KR 20140001403 A KR20140001403 A KR 20140001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cut
dual ring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66310B1 (en
Inventor
이남준
호 이
백승호
박대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310B1/en
Publication of KR2014000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lower for a vehicle, wherein the blower has an improved structure in which not only whistle noise due to a gap between a cut-off region and a dual ring but also irregular rumble noise due to a resisting body on an air flow path can be minimized. The blower for a vehicle comprises: an intake unit allowing indoor air or outdoor air to flow into the same; a scroll case having an air in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unit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take unit; and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installed inside the scroll case and blowing the air flowing from the air inlet to an air conditioning case, wherein the scroll case has the dual ring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let inside the same, the cut-off region on a connecting position between a circular flow path and spiral flow path for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and at least one blocking rib blocking the part of a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cut-off region and the dual ring. In addition, the blocking rib connects the cut-off region and the dual ring, and the entire connecting surface of the blocking rib between the cut-off region and the dual ring is flat. Therefore, not only the whistle noise generated when the cut-off region is formed to be closed to the dual ring is prevented, but also the air uniformly flows along the flat surface of the blocking rib so that the irregular rumble noise is removed.

Description

차량용 송풍장치{BLOWER UNIT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n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n apparatus for a vehicle for selectively forcing forced air or outside air into an air conditioning cas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n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an interior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or circulating air in the room to heat or cool the room. The apparatus includes a blowing device for blowing the inside /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 evaporator for cooling action and a heater core for heating action are provided, and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is selectively blown in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일측에 디프로스트 벤트(12)와 페이스 벤트(14)가 각각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그 내부에 내기 또는 외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장치(20)와, 송풍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30) 및 증발기(3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송풍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어(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증발기(30)의 상류 측에는 케이스(52)에 고정된 필터(50)가 구비되며, 히터코어(40) 측으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템프도어(미도시)를 포함한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1,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 having a defrost vent 12 and a face vent 14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blowing device (not shown)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inside air or the outside air An evaporator 30 for cool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ing device 20 and a heater core 40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ing device 20 adjacent to the evaporator 30, . In this case, a filter 50 fixed to the case 52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30 and includes a tempo door (not shown) for selectively flowing air to the heater core 40 side.

또한,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장치(20)는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가 형성되고,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를 선회하면서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5)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21)과, 인테이크 유닛(21)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22)와, 스크롤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23) 또는 외기유입구(24)로부터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26) 및 블로어 모터(27)로 구성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air blowing apparatus for a vehicle. 2, the air blowing apparatus 20 is provided with an inflow inlet 23 and an outside air inlet 24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inflow inlet 23 and the inflow inlet 23 while rotating the inflow inlet 23 and the outside air inlet 24, An intake unit 21 having an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25 for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outside air inlet 24, a scroll case 2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21, And a blower wheel 26 and a blower motor 27 for blowing the axial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23 or the outside air inlet 24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인테이크 유닛(21)과 스크롤 케이스(2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부위인 스크롤 케이스(22)의 상부측에 공기유입구(29)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29)의 상단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28)가 설치된다. 아울러, 스크롤 케이스(22)는 상부 스크롤 케이스(91) 및 하부 스크롤 케이스(92)로 구성되며, 상부 스크롤 케이스(91)와 하부 스크롤 케이스(92)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22)가 제조됨에 따라, 스크롤 케이스(22)의 내부 공간부에 블로어 휠(26) 및 블로어 모터(27)가 설치된다.In addition, an air inlet 29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scroll case 22, which is an area where the intake unit 21 and the scroll case 22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upper end of the air inlet 29 is formed. An air filter 28 is provided for purification. In addition, the scroll case 22 includes an upper scroll case 91 and a lower scroll case 92, and the upper scroll case 91 and the lower scroll case 92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scroll case having a space therein ( As the 22 is manufactured, a blower wheel 26 and a blower motor 27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croll case 22.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상부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스크롤 케이스(91)에는 원형의 공기유입구(29)가 형성되고, 축 방향의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일 측에 나선형의 공기 토출구(9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크롤 케이스(22)의 공기유입구(29) 주변의 원형 유로에서 나선형 유로로 연결되는 공기 토출구(93)의 시작단의 연결 부위를 컷 오프(Cut off) 부위(94)라고 하며, 컷 오프 부위(94)의 형상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달라진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upper scroll case of a conventional vehicle blower. Referring to FIG. 3, a circular air inlet 29 is formed in the upper scroll case 91, and a spiral air outlet 93 is formed at one side to blow air in the axial direction in a rad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of the start end of the air discharge port 93 connected to the spiral flow path in the circular flow path around the air inlet port 29 of the scroll case 22 is called a cut off part 94 and is cut.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d air vari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ff portion 94.

또한, 스크롤 케이스(22)의 공기유입구(29) 측에는 공기의 유입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벨 마우스(96)가 형성된다. 벨 마우스(96)는 공기유입구(29)의 가장자리를 따라 스크롤 케이스(2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아울러, 벨 마우스(96)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는 원주면을 따라 스크롤 케이스(22)의 내측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듀얼 링(90)이 구비된다. 듀얼 링(90)은 블로어 휠(26)의 상단을 감싸, 블로어 휠(26)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블로어 휠(26)의 상단에서 퍼지는 현상 및 와류 현상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bell mouth 96 is formed on the air inlet 29 side of the scroll case 22 so as to reduce the inflow resistance of the air. The bell mouth 96 extends inward of the scroll case 22 along the edge of the air inlet 29 and protrudes. In addition, the dual ring 90 protrude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scroll case 22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ell mouse 9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ual ring 90 surrounds the upper end of the blower wheel 26 to prevent the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er wheel 26 from spreading at the upper end of the blower wheel 26 and the vortex phenomenon.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A" 부위와 같이 스크롤 케이스(22)의 컷 오프 부위(94)와 듀얼 링(90) 사이가 가까운 경우, 컷 오프 부위(94)와 듀얼 링(90) 간의 틈에 의한 휘슬성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hicle blower may have a cutoff portion 94 when the cutoff portion 94 of the scroll case 22 and the dual ring 90 are clos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There was a problem that whistle noise is generated due to a gap between the dual rings 90.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컷 오프 부위와 듀얼 링 간의 틈에 의한 휘슬성 소음뿐만 아니라 공기 유로 상의 저항체에 의한 불규칙성 럼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low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minimize the whistle noise caused by the gap between the cut-off portion and the dual ring as well as the irregular rumble noise caused by the resistor on the air passage.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인테이크 유닛과, 인테이크 유닛과 연통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인테이크 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크롤 케이스와,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 및 블로어 모터를 포함하며, 스크롤 케이스의 내측에 공기유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듀얼 링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크롤 케이스에는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원형 유로와 나선형 유로의 연결 위치에 컷 오프 부위가 형성되고, 컷 오프 부위와 듀얼 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리브를 구비한다.An air blow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ake unit for introducing an inside or an outside air, an air in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unit, and a scroll c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and air installed and introduced into the scroll case. It includes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for blowing the ai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dual ring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let in the scroll case, the scroll case of the circular flow path and the spiral flow path of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A cut off portion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sition, and has at least one blocking rib for blocking a portion of the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cut off portion and the dual ring.

또한, 차단 리브는 컷 오프 부위와 듀얼 링의 사이를 연결하되, 연결 면 전체가 평탄한 면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locking rib is connected between the cut-off portion and the dual ring, but the entire connecting surface is composed of a flat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컷 오프 부위와 듀얼 링의 사이 거리가 가까울 때 휘슬성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탄면으로 구성되는 차단 리브의 구조를 통해 공기가 평탄면을 타고 균일한 유동을 나타내어 불규칙성 럼블 소음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vehicle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s a phenomenon in which whistle noise occur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ut-off portion and the dual ring is close, and the air is flat through a structure of a blocking rib composed of a flat surfac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even remove irregular rumble noise by showing uniform flow in the ai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상부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과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에 따른 소음 레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ventilator for a vehicl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n upper scroll case of a conventional vehicle blow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blow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scroll case of a vehicle blow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blowe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BB of FIG.
9 is a graph comparing the noise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vehicle blower.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송풍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blower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blow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20)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순차로 설치되는 공조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어,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용 송풍장치(120)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스크롤 케이스(122)와,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vehicle blower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an air conditioner case in which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are sequentially installed therein. An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lectively blow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to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hat is, the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120 includes an intake unit 121, a scroll case 122, a blower wheel 126, and a blower motor 127.

인테이크 유닛(121)은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123)와 외기유입구(124)가 형성되며, 내부에 내외기 전환도어(125)를 구비한다. 내외기 전환도어(125)는 내기유입구(123)와 외기유입구(124)를 선회하는 구동에 따라, 내기유입구(123)와 외기유입구(1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내기 또는 외기를 인테이크 유닛(121) 내부로 선택적으로 유입시킨다.The intake unit 121 has an internal air inlet 123 and an external air inlet 124 formed at both upper sides thereof, and includes an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125 therein.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125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ternal air inlet 123 and the external air inlet 124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urning the internal air inlet 123 and the external air inlet 124 to intake unit 121. Selectively flow into the inside.

스크롤 케이스(122)는 인테이크 유닛(121)의 하부에 결합 설치된다. 아울러, 인테이크 유닛(121)과 스크롤 케이스(12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부위인 스크롤 케이스(122)의 상부에는 공기유입구(129)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29)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연통되기 위한 것으로서, 내기유입구(123) 또는 외기유입구(124)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129)는 후술할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이루어진다.The scroll case 122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121. In addition, an air inlet 129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oll case 122,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intake unit 121 and the scroll case 122 face each other. The air inlet 129 is to communicate with the intake unit 121, and introduces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ernal air inlet 123 or the external air inlet 124 into the scroll case 122. In this case, the air inlet 129 has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는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구(129)로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강제 순환시켜 송풍한다. 이 경우,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는 공기유입구(129)의 직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유입구(129)로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전환시켜 송풍을 수행한다. 또한, 공기유입구(129)의 상류 측, 즉, 공기유입구(129)의 상단에는 에어 필터(128)가 구비된다. 에어 필터(128)는 공기유입구(129)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한다.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are provided inside the scroll case 122 to forcibly circulat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29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blow air. In this case, 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are disposed directly below the air inlet 129 to convert the axial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29 into a radial direction to blow air. In addition, an air filter 128 is provided upstream of the air inlet 129,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air inlet 129. The air filter 128 purifies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29.

이 경우, 스크롤 케이스(122)는 상부 스크롤 케이스(131) 및 하부 스크롤 케이스(132)로 구성되며, 상부 스크롤 케이스(131)와 하부 스크롤 케이스(132)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스크롤 케이스(122)가 제조됨에 따라,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가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scroll case 122 includes an upper scroll case 131 and a lower scroll case 132, and the upper scroll case 131 and the lower scroll case 132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therein. As the case 122 is manufactured, 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are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in the scroll case 122.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scroll case of a vehicle blower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측에 공기유입구(129)의 원주면을 따라 듀얼 링(160)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스크롤 케이스(131)에는 원형의 공기유입구(129)가 형성되고, 축 방향의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일 측에 나선형의 공기 토출구(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부 스크롤 케이스(13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크롤 케이스(122)로 명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5 and 6, the dual ring 16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let 129 inside the scroll case 122.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croll case 131 is formed with a circular air inlet 129, the spiral air discharge port 150 is formed on one side to blow the air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Hereinafter, the upper scroll case 131 will be described as a scroll case 12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스크롤 케이스(122)에는 공기유입구(129)로 유입되는 공기의 원형 유로와 나선형 유로의 연결 위치에 컷 오프 부위(155)가 형성된다. 즉, 컷 오프 부위(155)는 스크롤 케이스(122)의 공기유입구(129) 주변의 원형 유로에서 나선형 유로로 연결되는 공기 토출구(150)의 시작단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다. 아울러, 스크롤 케이스(122)의 공기유입구(129) 측에는 공기의 유입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벨 마우스(156)가 형성된다. 벨 마우스(156)는 공기유입구(129)의 가장자리를 따라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In addition, a cut-off portion 155 is formed in the scroll case 122 at a connection position between a circular flow path and a spiral flow path of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29. That is, the cut-off portion 155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art end of the air discharge port 150 connected to the spiral flow path in the circular flow path around the air inlet 129 of the scroll case 122. In addition, the bell mouth 156 is formed at the air inlet 129 side of the scroll case 122 to reduce the inflow resistance of the air. The bell mouse 156 extends and protrudes inward of the scroll case 122 along the edge of the air inlet 129.

또한,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측에는 공기유입구(129)의 원주면을 따라 듀얼 링(160)이 형성된다. 즉, 듀얼 링(160)은 벨 마우스(156)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원주면을 따라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측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형성된다. 이러한 듀얼 링(16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형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블로어 휠(126)의 상단을 감싸 블로어 휠(126)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블로어 휠(126)의 상단에서 퍼지는 현상 및 와류 현상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dual ring 160 is formed inside the scroll case 122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let 129. That is, the dual ring 16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scroll case 122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ell mouse 15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ual ring 1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er wheel 126 is wrapped around the top of the blower wheel 126 at the top of the blower wheel 126. Prevents spreading and vortex flow.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20)는 컷 오프 부위(155)와 듀얼 링(160)의 사이에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를 구비한다.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는 컷 오프 부위(155)와 듀얼 링(160)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게 된다. 결국,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가 컷 오프 부위(155)와 듀얼 링(160)의 사이를 연결하여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컷 오프 부위(155)와 듀얼 링(160)의 사이 거리가 가까울 때 휘슬성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vehicle blower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cking rib 161 and a second blocking rib 162 between the cut-off portion 155 and the dual ring 160. do. The first blocking rib 161 and the second blocking rib 162 block a portion of the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cut off portion 155 and the dual ring 160. As a result, the first blocking rib 161 and the second blocking rib 162 connect the cutoff portion 155 and the dual ring 160 to block the flow path, thereby cutting off the cutoff portion 155 and the dual ring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whistle noise occur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160 is close.

이 경우,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는 각각 듀얼 링(160)으로부터 컷 오프 부위(155)까지 듀얼 링(16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단 리브를 듀얼 링(160)의 제조 시 일체로 성형 가능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locking rib 161 and the second blocking rib 162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blocking rib 161 and the second blocking rib 162 are cut from the dual ring 160, respectively. The off site 155 is integrally formed in the dual ring 160.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blocking ribs may be integrally molded in the manufacture of the dual ring 160 to facilitate manufacturing.

이하,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한 본 발명의 차량용 송풍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vehicle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blowe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7 and 8, the vehicle blow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not be repeated descriptions, Detaile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20)는 컷 오프 부위(155)와 듀얼 링(160)의 사이에 차단 리브를 구비한다. 이 경우, 차단 리브는 컷 오프 부위(155)와 듀얼 링(160)의 사이를 연결하되, 연결 면 전체가 평탄한 면으로 구성된다.The vehicle blower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ing rib between the cut-off portion 155 and the dual ring 160. In this case, the blocking rib is connected between the cut-off portion 155 and the dual ring 160, but the entire connecting surface is a flat surface.

즉,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의 사이에는 평탄 부재(170)가 결합되어, 차단 리브 전체가 균일한 형태의 평탄면이 구성된다.That is, the flat member 170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rib 161 and the second blocking rib 162 to form a flat surface in which the entire blocking rib is uniform.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서 리브 구조에 의해 휘슬성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의 사이에는 이격된 틈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어 공기가 불규칙한 흐름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공기가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에 각각 부딪혀 불규칙성 럼블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histle noise may be prevented by the rib structure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ribs 161 and the second blocking ribs 162 by spaced apart gaps, thereby indicating an irregular flow of air, which causes air to flow through the first blocking ribs 161 and the second blocking ribs 162. Each of the blocking ribs 162 has a disadvantage of generating irregular rumble noise.

하지만,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서 평탄면으로 구성되는 차단 리브의 구조를 통해 공기가 평탄면을 타고 균일한 유동을 나타내어 휘슬성 소음뿐 아니라 불규칙성 럼블 소음까지도 제거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8,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air has a uniform flow through the blocking rib formed of the flat surface, thereby eliminating not only whistle noise but also irregular rumble noise.

아울러, 제1 차단 리브(161) 및 제2 차단 리브(162)의 사이에 평탄 부재(170)가 결합된 구조를 통해,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차단 리브의 평탄면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외에도 차단 리브는 별도의 평탄 부재(170)를 구비하지 않고 평탄면을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flat member 170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rib 161 and the second blocking rib 162, the flat surface structure of the blocking rib may be realized in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e blocking ribs may be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the flat surface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flat member 170.

도 9는 본 발명과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에 따른 소음 레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9 is a graph comparing the noise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vehicle blower.

도 9를 참조하면, 차단 리브가 없는 종래의 듀얼 링 구조에 비해, 제1 실시 예에서는 종래 구조보다 더 낮은 소음을 나타내며,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 예보다 더 낮은 소음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embodiment exhibits lower noise than the conventional dual ring structure without the blocking rib, and the second embodiment exhibits lower noise than the first embodiment.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vehicle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20 : 송풍장치 121 : 인테이크 유닛
122 : 스크롤 케이스 123 : 내기유입구
124 : 외기유입구 125 : 내외기 전환도어
126 : 블로어 휠 127 : 블로어 모터
128 : 에어 필터 129 : 공기유입구
150 : 공기 토출구 155 : 컷 오프 부위
160 : 듀얼 링 161 : 제1 차단 리브
162 : 제2 차단 리브 170 : 평탄 부재
120: blower 121: intake unit
122: scroll case 123: bet inlet
124: outdoor air inlet 125: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126: Blower wheel 127: Blower motor
128: air filter 129: air inlet
150: air discharge port 155: cut-off site
160: dual ring 161: first blocking rib
162: second blocking rib 170: flat member

Claims (4)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상기 인테이크 유닛(121)과 연통되기 위한 공기유입구(129)가 형성되어 상기 인테이크 유닛(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크롤 케이스(122)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측에 상기 공기유입구(129)의 원주면을 따라 듀얼 링(160)이 형성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케이스(122)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29)로 유입되는 공기의 원형 유로와 나선형 유로의 연결 위치에 컷 오프 부위(155)가 형성되고; 상기 컷 오프 부위(155)와 상기 듀얼 링(160)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An intake unit 121 for introducing inside or outside air, an air inlet 129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unit 121, and a scroll case 12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121; A blower wheel 126 and a blower motor 127 are installed inside the scroll case 122 to blow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air inlet 129 is disposed inside the scroll case 122. In the vehicle blower that the dual ring 16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 cut-off portion 155 is formed at the scroll case 122 at a connection position between a circular flow path and a spiral flow path of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29; And at least one blocking rib blocking a portion of a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cut-off portion (155) and the dual ring (16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리브는 상기 컷 오프 부위(155)와 상기 듀얼 링(160)의 사이를 연결하되, 연결 면 전체가 평탄한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rib is connected between the cut-off portion 155 and the dual ring 160, the vehicle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connection surface is composed of a flat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리브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차단 리브는 상기 듀얼 링(160)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ribs are formed in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ir of blocking ribs for a vehicle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dual ring (16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단 리브의 사이에는 평탄 부재(170)가 결합되어 평탄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flat blow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surface is coupled between the pair of blocking ribs constitute a flat surface.
KR1020120068882A 2012-06-27 2012-06-27 Blower unit for vehicle KR101566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882A KR101566310B1 (en) 2012-06-27 2012-06-27 Blower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882A KR101566310B1 (en) 2012-06-27 2012-06-27 Blower uni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03A true KR20140001403A (en) 2014-01-07
KR101566310B1 KR101566310B1 (en) 2015-11-05

Family

ID=5013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882A KR101566310B1 (en) 2012-06-27 2012-06-27 Blower uni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3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819A1 (en) * 2020-03-09 2021-09-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Blowing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819A1 (en) * 2020-03-09 2021-09-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Blowing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310B1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555B2 (en) Centrifugal blower
US10913324B2 (en) Blower
KR101211520B1 (en) Blower unit for car air conditioner
KR101703662B1 (en)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820793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7473078B2 (en) Centrifugal blower
KR20140001403A (en) Blower unit for vehicle
KR20170077885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41042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JP2004068644A (en) Centrifugal blower
US20210270287A1 (en) Centrifugal fan and centrifugal blower
KR102121971B1 (en) Intake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JP623732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7310578B2 (en) centrifugal blower
JP6794318B2 (en) Centrifugal blower for vehicle air conditioners
JP6685249B2 (en) Centrifugal blower
KR101988343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WO2018025532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KR20170051807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11883B1 (en) Blower of car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40007579A (en) Intake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US20230097990A1 (en) Blowing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WO2021085086A1 (en) Blower
KR20210113958A (en)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692221B1 (en)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