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388U - 릴레이 - Google Patents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388U
KR20140001388U KR2020120007645U KR20120007645U KR20140001388U KR 20140001388 U KR20140001388 U KR 20140001388U KR 2020120007645 U KR2020120007645 U KR 2020120007645U KR 20120007645 U KR20120007645 U KR 20120007645U KR 20140001388 U KR20140001388 U KR 201400013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contactor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894Y1 (ko
Inventor
김갑동
조태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9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26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01H31/32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with rectilinearly-movab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5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making a resilient or flexible conn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접촉자;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가동접촉자와 연결되고 자기력에 의해 선형구동하는 구동축; 및 가동접촉자와 구동축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접촉자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가동접촉자를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가동접촉자와 상기 엑추에이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상기 구동축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를 구현하여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안정적으로 면 접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릴레이{Relay}
본 고안은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접촉성능을 향상시킨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Relay)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중지하는 전기적인 접점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릴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릴레이의 A-A 부분단면도이다.
종래의 릴레이는 케이스(10), 베이스(20), 고정접점(30), 가동접점(40)을 구비하며, 통상적으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접점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게 가동접점(40)을 구동시키는 전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고정접점(30)은 가동접점(40)과 접촉 및 분리되어 스위치 역할을 한다. 베이스(20)는 고정접점(30)을 고정하는 프레임이고, 케이스(10)는 베이스(20), 고정접점(30), 가동접점(40) 및 엑추에이터를 포함한 릴레이의 전체 구성을 수용한다.
전기 액추에이터는 전기자, 가동자 및 복귀스프링을 포함한다. 전기자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며, 가동자는 전기자의 전원 인가시 전기자의 자기력에 의해 이끌려 움직인다. 복귀스프링은 전기자의 전원 차단시 가동자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기 엑추에이터는 가동접점(40)과 연결된 샤프트(51)가 가동자에 고정되어 가동접점(40)을 움직인다. 가동접점(40)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샤프트(51)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또한 종래의 릴레이는 가동접점(40)과 샤프트(51) 사이에 구비되는 접압스프링(52)을 더 포함하여 접촉상태에서 가동접점(40)을 고정접점(30)에 밀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릴레이는 통전하고자 할 때에는 전기 액추에이터의 전기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그 자기력에 의해 가동자가 전기자 쪽으로 이동하여 가동접점(40)이 고정접점(30)에 접촉된다. 한편, 전류를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전기자에 인가되었던 전원을 차단하여 자기력 발생을 중지하고, 가동자가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가동접점(40)이 고정접점(30)과 분리된다.
이러한 종래의 릴레이에 있어서, 가동접점(40)과 샤프트(51)의 연결부가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아 가동접점(40)이 고정접점(30)에 접촉할 때 두 개의 고정접점(30) 중 어느 하나와 먼저 접촉하거나 접촉시 면 접촉이 아닌 점 접촉을 하여 단락, 발열 등의 우려가 있었다.
KR2010-0125806 10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안정적으로 면 접촉하여 발열이나 단락의 우려가 없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고정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와 연결되고 자기력에 의해 선형구동하는 구동축;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구동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접촉자를 상기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엑추에이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상기 구동축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중심부를 수용하는 빈공간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고정접촉자와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체; 및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기 제1지지체가 형성된 측과 반대되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체와 함께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2지지체;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접촉자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일측 고정접촉자에 인접하는 부분과 타측 고정접촉자에 인접하는 부분의 형상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에 의해 가동접촉자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고정접촉자에 면 접촉하므로 단락 또는 발열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릴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릴레이의 A-A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부분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가동접점, 구동축, 지지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실시예의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및 기능>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부분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가동접촉자, 구동축, 지지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실시예의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는 고정접촉자(110), 가동접촉자(120), 엑추에이터(130),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를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접촉자(110)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려는 부하(예를 들어 자동차의 와이퍼 모터, 방향표시등, 전기 자동차의 엔진 등)와 연결되는 단자이다. 이러한 고정접촉자(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의 직경이 크고 타단의 직경이 작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직경이 큰 단부는 부하와 연결되고, 직경이 작은 단부는 후술할 가동접촉자(120)와 접촉한다. 미도시되었으나, 고정접촉자(110)는 직경이 큰 단부측이 개방된 내경이 형성되어 부하의 접촉단자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고정접점(30)에 형성된 나사산의 내경이 고정접촉자(1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접촉자(110)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20)에 의해 고정된다. 다만, 고정접촉자(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원공급을 제어하려는 부하와 통전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베이스(20)는 이러한 고정접촉자(110)가 가동접촉자(120)와 접촉되게 고정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가동접촉자(120)는 고정접촉자(110)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단자이다. 가동접촉자(120)는 상술한 고정접촉자(11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 단부와 접촉한다. 가동접촉자(120)는 한 쌍의 고정접촉자(110) 중 한 고정접촉자(110)의 접촉단부부터 다른 고정접촉자(110)의 접촉단부까지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동접촉자(120)는 고정접촉자(110)와 대향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체이다. 또한 가동접촉자(120)는 구동축(131)에 대해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둥글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동접촉자(120)는 후술할 구동축(131)에 고정되어 구동축(131)이 축방향으로 선형구동함에 따라 고정접촉자(110)에 접촉 또는 분리된다. 이때 가동접촉자(120)의 중심에는 고정접촉자(110)와 대향하는 평평한 편에 수직하게 관통공이 형성되어 구동축(131)의 일단부가 관통한다. 다만, 가동접촉자(12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고정접촉자(110)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가동접촉자(120)는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고정접촉자(110)와 접촉하는 접점 및 접점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엑추에이터(130)는 자기력에 의해 가동접촉자(120)를 고정접촉자(110)와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장치이다. 이러한 엑추에이터(130)는 구동축(131), 탄성부재(132), 복귀스프링(133), 전기자(134), 가동자(135), 보빈(136) 및 요크(137)를 포함한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엑추에이터(13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축(131)은 봉 형상의 긴 샤프트로 일단에는 가동접촉자(120)가 고정되고 타단은 가동자(135)에 고정된다. 또한 구동축(131)은 후술할 고정코어(134a)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구동축(131)은 가동접촉자(120)가 고정되는 단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외경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후술할 탄성부재(132)의 일단과 접하여 탄성부재(132)를 고정하고, 후술할 고정코어(134a) 상단에 구동축(131)이 걸려 더 이상 하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이다. 플랜지는 탄성부재(132)가 가동접촉자(12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탄성부재(132)의 길이와 같거나 더 짧게 고정접촉자(120)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동축(1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가동접촉자(120)의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한다. 다만, 구동축(131)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접촉자(120)를 선형구동시키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탄성부재(132)는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접촉할 때 소정의 접촉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구동축(131)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스프링이다. 탄성부재(132)는 구동축(131)의 가동접촉자(120)측 단부 둘레에 끼워지고, 상술한 바와 같은 플랜지에 탄성부재(132)의 일단이 걸려 고정된다. 즉, 탄성부재(132)는 구동축(131) 단부에 고정된 가동접촉자(120)와 구동축(131)의 플랜지 사이에 구비된다. 다만, 탄성부재(132)는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접촉할 때 고정접촉자(110)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복귀스프링(133)은 고정코어(134a)와 가동자(135)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코어(134a)에서 자기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가동자(135)가 복귀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코어(134a)에서 떨어져 원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이러한 복귀스프링(1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31)의 고정코어(134a)와 가동자(135) 사이에 대응하는 외면에 끼워져 구비된다. 이때, 복귀스프링(133)의 일단은 고정코어(134a)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고, 복귀스프링(133)의 타단은 가동자(135)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된다.
전기자(134)는 고정코어(134a)와 코일(134b)을 포함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코일(134b)은 보빈(136) 둘레에 권선되고, 고정코어(134a)는 코일(134b) 내부, 구체적으로 보빈(136) 내부에 구비된다. 고정코어(134a)는 원통형상이며, 중심축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구동축(131)이 선형구동되게 관통한다. 또한 고정코어(134a)의 가동자(135)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구동축(131) 외면과의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복귀스프링(133)의 일단이 삽입된다. 이러한 전기자(134)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전시 자기력이 발생하여 가동자(135)를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가동자(135)는 통상적으로 아마추어라고도 하며, 상술한 고정코어(134a)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이고 중심축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구동축(131)의 타단부가 관통한다. 가동자(135)를 관통하는 구동축(131)의 타단부는 가동자(135)에 고정되어 가동자(135)와 함께 축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가동자(135)의 고정코어(134a)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구동축(131) 외면과의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복귀스프링(133)의 타단이 삽입된다. 전기자(134)에서 자기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가동자(135)는 복귀스프링(133)에 의해 고정코어(134a)와 이격되는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보빈(136)은 양 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술한 코일(134b)이 보빈(136)의 플랜지 사이에 권선된다. 또한 보빈(136)은 중심축을 따라 상술한 고정코어(134a)와 가동자(135)를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다만, 보빈(136)은 코일(134b)이 권선되고 고정코어(134a) 및 가동자(135)를 수용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요크(137)는 상술한 고정코어(134a) 및 가동자(135)와 함께 자로를 형성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36)의 양 단 및 보빈(136)에 권선된 코일(134b)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술한 엑추에이터(130)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력에 의해 구동축(131)이 축방향으로 선형구동하여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접촉 및 분리되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가동접촉자, 구동축, 지지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지지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부(140)는 구동축(131)에 연결된 가동접촉자(120)를 지지하여 가동접촉자(12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한 쌍의 고정접촉자(110)와 안정적으로 면 접촉되게 한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지지몸체(141) 및 수용부(142)를 포함한다. 지지몸체(14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4개의 측면 중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이 개방되고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몸체(141)의 내부에는 가동접촉자(120)의 중심부를 수용하는 빈공간인 수용부(14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42)는 구동축(131)의 일단이 관통하는 가동접촉자(120)의 중심부를 수용한다. 이러한 지지몸체(1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이 각각 개방되어 수용부(142)가 외부와 연통된다. 지지몸체(141)의 개방되지 않은 측면은 가동접촉자(12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지지몸체(141)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형상은 가동접촉자(120)의 단면형상에 따라 변형가능하다. 지지몸체(141)의 상면과 하면은 구동축(131)의 일단부가 수직하게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구동축(131)을 중심으로 한 쌍의 고정접촉자(110) 중 일측 고정접촉자(110)와 인접한 부분과 타측 고정접촉자(110)에 인접한 부분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부(140)는 가동접촉자(120)가 지지부(140)의 측면을 관통하여 가동접촉자(120)의 중심부가 수용부(142)에 삽입된다. 즉, 지지부(14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하나의 고정접촉자(110)가 가동접촉자(120)의 대향면과 접촉하도록 지지부(140)가 배치된다. 지지부(140)의 상면과 하면은 구동축(131)의 일단부가 수직하게 관통하여 구동축(131)에 고정된다. 구동축(131)은 수용부(142)에 삽입된 가동접촉자(120)의 중심부 역시 관통하므로, 지지부(140)는 구동축(131)과 가동접촉자(120)에 모두 접하여 가동접촉자(120)를 견고하게 구동축(131)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지지몸체(141)의 상면은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대향하는 면, 즉 가동접촉자(120)의 상면 중심에 구비되어 구동축(131)의 끝과 고정접촉자(110)를 단단히 고정한다. 또한 지지몸체(141)의 하면은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 즉 가동접촉자(120)의 하면 중심에 구비되어 구동축(131)과 고정접촉자(110)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특히 지지몸체(141)의 하면은 탄성부재(132)의 일단과 접하여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이 가동접촉자(120)에 균형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몸체(141)의 상면 및 하면은 각각 가동접촉자(120)와 접할 수도 있고 소정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40')가 구동축(131) 및 가동접촉자(120)와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일 실시예의 지지부(14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부(140')는 지지몸체(141')와 수용부(142)를 포함하며, 지지몸체(141')는 제1지지체(141a)와 제2지지체(141b)를 포함한다. 제1지지체(141a)와 제2지지체(141b)는 상술한 지지몸체(141)가 상하부로 나뉜 형상이다. 즉, 제1지지체(141a)는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대향하는 면의 중심에 구비된 프레임이고, 제2지지체(141b)는 제1지지체(141a)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제1지지체(141a)와 함께 수용부(142)인 빈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제1지지체(141a)와 제2지지체(141b) 각각에는 수직하게 구동축(131)의 일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다만, 제1지지체(141a)와 제2지지체(141b)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대향하는 면, 즉 상면과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 즉 하면에 각각 구비되어 가동접촉자(120)의 중심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구동축(131)이 관통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통전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US 계열의 금속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지지부(140)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축(131)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구동접촉자(120)의 양측을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대칭위치에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지지부(140)는 구동접촉자(120)의 중심부를 수용하여 구동축에 고정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는 고정접촉자(110), 가동접촉자(120), 엑추에이터(130), 지지부(140)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릴레이를 구성하는 케이스(10)와 동일하다. 다만, 케이스는 고정접촉자(110), 가동접촉자(120), 엑추에이터(130), 지지부(140)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으며,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설치장소에 따라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부(140)에 의해 가동접촉자(120)는 구동축(131)과 견고하게 연결되고, 가동접촉자(120)에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골고루 전달된다. 따라서, 가동접촉자(120)는 고정접촉자(110)와 접할 때 한 쌍의 고정접촉자(110)와 동시에 접촉하고, 접압력도 균일하여 안정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는 전기 자동차의 베터리와 베터리 관리 시스템 사이에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인가/차단하는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자(134)에서 발생한 자기력에 이끌려 가동자(135)가 움직이고, 가동자(135)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구동축(131)이 고정접촉자(110) 쪽으로 움직여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와 접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140)에 의해 가동접촉자(12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양 고정접촉자(110)와 동시에 면접촉하므로 단락이나 발열의 염려가 없다. 릴레이에 전원이 차단되면 전기자(134)에서 자기력의 발생이 중단되어 가동자(135)가 복귀스프링(133)에 의해 고정코어(134a)로부터 이격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구동축(131)도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가동접촉자(120)가 고정접촉자(110)로부터 분리되며, 지지부(140)에 의해 가동접촉자(120)가 양 고정접촉자(110)로부터 동시에 분리되고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20 : 베이스
30 : 고정접점 40 : 가동접점
51 : 샤프트 52 : 접압스프링
110 : 고정접촉자 120 : 가동접촉자
130 : 엑추에이터 131 : 구동축
132 : 탄성부재 133 : 복귀스프링
134 : 전기자 134a : 코일
134b : 가동코어 135 : 가동자
136 : 보빈 137 : 요크
140, 140' : 지지부 141, 141' : 몸체
141a, 141b : 제1,2지지체 142 : 수용부

Claims (8)

  1. 고정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와 연결되고 자기력에 의해 선형구동하는 구동축;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구동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접촉자를 상기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엑추에이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상기 구동축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동접촉자를 수용하는 빈공간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고정접촉자와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체; 및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기 제1지지체가 형성된 측과 반대되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체와 함께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2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KR2020120007645U 2012-08-28 2012-08-28 릴레이 KR200481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45U KR200481894Y1 (ko) 2012-08-28 2012-08-28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45U KR200481894Y1 (ko) 2012-08-28 2012-08-28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88U true KR20140001388U (ko) 2014-03-10
KR200481894Y1 KR200481894Y1 (ko) 2016-11-23

Family

ID=5244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45U KR200481894Y1 (ko) 2012-08-28 2012-08-28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1970A1 (ko) * 2019-05-29 2020-12-03 엘에스일렉트릭㈜ 직류 릴레이
WO2020241968A1 (ko) * 2019-05-29 2020-12-03 엘에스일렉트릭㈜ 직류 릴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806B1 (ko) 1994-01-19 1997-12-24 김정순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2-t-부톡시카르보닐프로프-2-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피리디늄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JP2010010057A (ja) * 2008-06-30 2010-01-14 Omron Corp 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806B1 (ko) 1994-01-19 1997-12-24 김정순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2-t-부톡시카르보닐프로프-2-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피리디늄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JP2010010057A (ja) * 2008-06-30 2010-01-14 Omron Corp 電磁継電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1970A1 (ko) * 2019-05-29 2020-12-03 엘에스일렉트릭㈜ 직류 릴레이
WO2020241968A1 (ko) * 2019-05-29 2020-12-03 엘에스일렉트릭㈜ 직류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894Y1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7655B2 (en) Contact device
JP6025414B2 (ja) 電磁継電器
JP2019083171A (ja) 電磁継電器
EP2722864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19083173A (ja) 電磁継電器
JP2019083174A (ja) 電磁継電器
KR102159887B1 (ko) 전자기 릴레이
JP7076633B2 (ja) 直流リレー
KR20170008047A (ko)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JP5821030B2 (ja) 電磁リレー
JP2011108452A (ja) 電磁継電器
KR20140001388U (ko) 릴레이
JP2013030308A (ja) 電磁リレー
JP2014112482A (ja) 電磁接触器
EP2388794B1 (en) Polar electromagnet
KR20140064493A (ko) 가압부재가 구비된 릴레이
JP4645663B2 (ja) リレー
US11158476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5776449B2 (ja) 電磁スイッチ
JP2019139885A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継電器
JP5853224B2 (ja) 接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開閉装置
JP5336271B2 (ja) 接点装置
JP2019079652A (ja) リレーユニット
JP2017195097A (ja) 電磁リレー
JP2018107046A (ja) 駆動回路及び接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