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24U - 수경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수경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24U
KR20140000924U KR2020130006309U KR20130006309U KR20140000924U KR 20140000924 U KR20140000924 U KR 20140000924U KR 2020130006309 U KR2020130006309 U KR 2020130006309U KR 20130006309 U KR20130006309 U KR 20130006309U KR 20140000924 U KR20140000924 U KR 201400009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machine
cultivation apparatu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노리 요시다
아키히코 키요미야
Original Assignee
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09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 Greenhous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과제)
실내에서의 야채의 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수경 재배장치에 있어서, 재배하는 야채를 최적의 환경에서 육성할 수 있는 수경 재배장치의 제공.
(해결 수단)
재배장치 본체에 모판을 배치하는 재배실과, 상기 모판을 향해서 상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배치한 광원실이 구획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 내를 통과해서 본체 밖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1 통기계, 및 상기 광원실을 통과해서 본체 밖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2 통기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단일의 통기용 팬이 설치되어 있는 수경 재배장치.

Description

수경 재배장치{WATER CULTURE APPARATUS}
본 고안은 실내에서의 야채의 재배가 가능한 수경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육성하는 식물 육성장치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식물 육성장치에서는 용기 내에 육성용 공기의 통기 순환계를 구비한다. 즉, 용기 내에서 식물 육성실과 기계실이 칸막이벽으로 칸막이되고, 식물 육성실의 상측에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에는 공기 조화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용기 내의 온도나 습도를 검출하는 검출계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벽의 저벽에는 통기 구멍이 형성되고, 칸막이벽의 상부에는 식물 육성실과 기계실을 연통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의 측벽에는 육성용 공기를 용기 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 구멍, 및 육성용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배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식물 육성장치에서는 공기 조화장치의 구동에 수반하여 도입 구멍으로부터 용기 내에 유입(流入)된 육성용 공기는 검출계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공기 조화장치에 의해 조화되고, 칸막이벽의 저벽의 통기 구멍을 통과해서 식물 육성실에 공급된다. 그리고, 육성용 공기는 상승해서 광원을 통과하면 가열되고, 가열된 육성용 공기는 개구부로부터 기계실로 리턴되어 공기 조화장치에 의해 처리되어서 식물 육성실에 공급된다. 또한, 육성용 공기는 배기 구멍으로부터 적당하게 배출된다.
그런데, 최근 가정 등의 실내에서의 야채의 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수경 재배장치가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있고, 이것에도 광원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형의 수경 재배장치에 있어서 광원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광원은 좁은 공간에 설치되어 광원과 수경실 내의 야채의 위치 관계가 근접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의 발열이 야채에 주는 악영향 및 광원 자체의 과열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경실 내의 습기가 광원장치나 각종 제어하는 장치에 주는 악영향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 2599881호 공보
그래서, 본 고안은 가정 등의 실내에서의 야채의 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수경 재배장치에 있어서, 재배하는 야채를 최적의 환경에서 육성할 수 있는 수경 재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재배장치 본체에 모판을 배치하는 재배실과, 상기 모판을 향해서 상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배치한 광원실이 구획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 내를 통과해서 본체 밖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1 통기계, 및 상기 광원실을 통과해서 본체 밖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2 통기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단일의 통기용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통기용 팬을 구동함으로써 본체 밖으로부터 제 1 통기계를 공기가 이동해서 재배실에 있는 모판에 심어진 야채에 공기가 공급되고, 통기용 팬을 구동함으로써 본체 밖으로부터 제 2 통기계를 공기가 이동해서 광원을 배치한 광원실에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단일의 통기용 팬을 이용하여 재배실의 야채에 신선한 공기를 이송하고, 광원실의 광원으로부터의 열을 냉각시킨다고 하는 장치 환경을 단일의 팬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는 상기 재배장치 본체에는 그 한쪽 측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밖 공기를 도입하는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의 도입구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다른쪽 측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를 유통한 공기를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재배장치 본체의 한쪽 측부의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제 1 통기계(재배실) 및 제 2 통기계(광원실)을 통과한 후, 재배장치 본체의 다른쪽 측부의 배출구부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상기 재배장치 본체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한쪽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도입구부를 갖는 종상자부가 설치되고,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다른쪽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배기구부를 갖는 종상자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상면에는 양측의 상기 종상자부의 상부간을 연락하는 연통용 횡상자부가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통기계를 통과하는 공기는 한쪽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도입구부를 갖는 종상자부의 측부로부터 도입되고, 계속해서 재배실을 흘러서 식물에 신선한 공기를 접촉시키고, 다른쪽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배기구부를 갖는 종상자부에 도달하면 배기구부로부터 배기되고, 제 2 통기계를 통과하는 공기는 한쪽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도입구부를 갖는 종상자부의 측부로부터 도입되고, 계속해서 연통용 횡상자부를 흘러서 광원을 냉각시키고, 다른쪽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배기구부를 갖는 종상자부에 도달하면 배기구부로부터 배기된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상기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 상기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 및 상기 연통용 횡상자부 중 적어도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 및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폭은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좌우 측벽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통기계와 제 2 통기계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루트를 구비하고, 한쪽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도입구부를 갖는 종상자부, 다른쪽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배기구부를 갖는 종상자부를 콤팩트하게 형성한 수경 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상기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에 있어서 그 앞뒷벽 중 적어도 한쪽에도 도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에 있어서 그 앞뒷벽 중 적어도 한쪽에도 배기구부가 형성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종상자부의 측부에 한하지 않고 그 앞뒷벽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도 공기가 도입되고, 종상자부의 측부에 한하지 않고 그 앞뒷벽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도 공기가 배기된다. 따라서, 수경 재배장치를 전후 좌우로 배열해서 설치해도 종상자부 앞뒷벽의 도입구부와 배기구부가 막힐 일이 없고, 통기로의 통기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상기 연통용 횡상자부는 상기 광원실의 일부 및 상기 제 2 통기계의 통기로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원실을 통과해서 본체 밖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2 통기계를 연통용 횡상자부에서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상기 통기용 팬은 상기 배기구부를 갖는 상기 종상자부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배기구부는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의 공통의 배기구부로 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통기계와 제 2 통기계의 배기로 및 배기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배기계를 콤팩트하고 또한 간략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상기 도입구부는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의 공통의 도입구부로 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통기계와 제 2 통기계의 도입구부를 공통으로 함으로써 도입구의 형성을 필요 최소한으로 간략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상기 통기용 팬에 의해 상기 제 1 통기계를 통과해서 흡입되는 공기량이 상기 제 2 통기계를 통과해서 흡입되는 공기량보다 커지도록 설정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통기계인 재배실을 통과시키는 공기량을 보다 많게 해서 재배에 바람직한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에서는 상기 통기용 팬의 흡입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통기계의 통기로의 개구 면적이 상기 제 2 통기계의 통기로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설정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팬의 흡입 영역에 대한 각 통기계의 통기로의 개구 면적의 대소를 설정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각 통기계의 통과하는 공기량을 설정할 수 있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의 수경 재배장치는 재배장치 본체에 모판을 배치하는 재배실과, 모판을 향해서 상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배치한 광원실이 구획 형성되고, 재배실 내를 통과해서 본체 밖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1 통기계, 및 광원실을 통과해서 본체 밖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2 통기계를 구비하고,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단일의 통기용 팬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통기계를 재배용 공기가 이동함으로써 재배 야채에 신선한 재배용 공기가 공급되고, 제 2 통기계를 냉각용 공기가 이동함으로써 광원실에 냉각용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에서의 야채의 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수경 재배장치에 있어서 재배하는 야채를 최적의 환경에서 육성할 수 있는 수경 재배장치가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인 수경 재배장치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수경 재배장치의 다른쪽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수경 재배장치의 뒷벽의 일부(하부)를 생략한 상태의 하방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수경 재배장치의 일방향(우측)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동 수경 재배장치의 타방향(좌측)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동 수경 재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동 수경 재배장치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의 정면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수경 재배장치의 저벽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수경 재배장치의 천벽 및 통기 상자를 생략한 상태의 정면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수경 재배장치의 좌우 방향 중심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절단한 후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동 수경 재배장치의 급기 경로부를 좌우 방향을 따라 절단한 후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동 수경 재배장치의 전후 방향 중심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절단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동 도면 12에 있어서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동 도면 12에 있어서의 B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동 도면 13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 도면 14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수경 재배장치를 설명한다. 이 수경 재배장치는 유저가 실내에서 야채의 재배를 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 재배장치(1)는 상자형의 재배장치 본체(2)를 구비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 재배장치(1)는 재배장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케이스(3), 케이스(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판(4)을 구비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경 재배장치(1)는 광원장치(5)를 구비하고,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기계 형성 상자(6)를 구비한다.
[재배장치 본체]
재배장치 본체(2)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저벽(7)(특히, 도 7 참조)과, 저벽(7)의 우측부에 세워서 설치된 우측벽(한쪽 측벽)(8)과, 저벽(7)의 좌측부에 세워서 설치된 좌측벽(다른쪽 측벽)(9)과, 저벽(7)의 후방부에 세워서 설치된 뒷벽(10)과, 우측벽(8) 및 좌측벽(9)을 이들 상단부에서 연설하는 천벽(11)을 구비한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재배장치 본체(2)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뒷벽(10), 우측벽(8), 및 좌측벽(9)은 투명하다. 또한, 재배장치 본체(2)는 저벽(7), 우측벽(8), 좌측벽(9), 천벽(11)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개방되는 전방부 개구(1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앞벽(덮개판)(13)을 구비한다. 이 앞벽(13)은 투명하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7), 우측벽(8), 좌측벽(9), 천벽(11), 앞벽(1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이 재배실(14)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7)의 이면측에는 전방부 개구(12)를 개방한 후에 앞벽(13)을 수납하는 수납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15)는 앞벽(13)을 저벽(7)의 벽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16)를 구비한다. 가이드(16)에는 수납부(15)에 수납된 앞벽(13)을 유지하는 유지부(17)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원장치]
광원장치(5)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배장치 본체(2)의 내부에 있어서 재배실(14)의 상측에 배치된 광원실(18)과, 광원실(18)에 배치된 LED(19)를 구비한다. 재배실(14)과 광원실(18)은 투명한 구획벽(2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광원실(18)에는 광원인 LED(19)를 좌우 방향으로 배열해서 복수개 장착한 LED 유지체(20)가 배치되어 있다. LED 유지체(20)는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유지체(20)는 광원실(18) 내에 있어서 구획벽(21) 부근에 있고, 전후 방향으로 이간해서 3개 병설되어 있다(도 9 참조).
광원실(18)의 전방부에는 전원장치 및 타이머 등의 전장 부품(22)(도 10 참조)이 배치되고, 광원실(18)의 전방부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전원 조작편)(23) 및 시각 설정 스위치(현재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편)(24)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도 7 참조). 이 중 전원 스위치(23)는 앞벽(13)의 개폐와는 무관계로 상시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시각 설정 스위치(24)는 앞벽(13)을 개방한 상태에서만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기 경로부(본체측 급기 경로부)]
수경 재배장치(1)는 케이스(3)에 저장된 재배용 양액(재배용 저수)(W)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경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급기 경로부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배장치 본체(2)측에 설치된 본체측 급기 경로부(25)와, 케이스(3)측에 설치된 케이스측 급기 경로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실선인 X선은 재배용 양액(W)을 만수(滿水)로 한 위치를 나타내고, 가상선인 Y선은 재배용 양액(W)이 부족한 위치를 나타낸다.
[케이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는 재배장치 본체(2)의 재배실(14)에 착탈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3)는 재배장치 본체(2)의 저벽(7)인 재배실(14)의 저벽(7)에 적재됨으로써 재배장치 본체(2)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케이스(3)는 저벽(7)을 따르도록 해서 인출·수납 가능하다. 케이스(3)는 저벽(7)의 평면 형상과 상대(相對) 형상인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저판(저벽)(37)과, 저판(37)의 4변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서 설치된 주판(케이스벽)을 구비한다. 주판은 뒷판(38), 앞판(39), 우판(40), 및 좌판(41)을 구비한다.
특히, 뒷판(38)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중심부는 전방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뒷판(38)의 좌우 방향 중심부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전방을 향해서 만곡되는 후방 만곡판부(42)로 되어 있다. 케이스(3)를 재배장치 본체(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후방 만곡판부(42)와 뒷벽(10) 사이에는 케이스측 급기 경로부(26)의 일부를 집어넣게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앞판(39)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중심부는 후방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판(39)의 좌우 방향 중심부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후방을 향해서 만곡되는 전방 만곡판부(43)로 되어 있다.
도 7,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 전방측의 한 모서리부에는 저판(37)의 대각선 중심부를 향해서 만곡되는 모서리 만곡판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의 전방측의 한 모서리부와 모서리 만곡판부(44)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플로트(45)가 장착된다.
[급기 경로부(케이스측 급기 경로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는 급기 경로부 중 케이스측 급기 경로부(26)를 구비한다. 케이스측 급기 경로부(26)는 케이스(3)의 뒷판(38)에 있어서 그 좌우 방향 대략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측 급기 경로부(26)는 삽입부(일단 입구부)(46), 토출부(타단 출구부)(47), 및 역류 방지부(48)를 구비한다.
토출부(47)는 뒷판(38)의 앞면측에서 그 하측 부근에 있고, 케이스(3)의 저판(37)에 놓여지는 도시하지 않는 토출 노즐(재배용 저수에 침지됨)에 접속된다.
[모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판(4)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 케이스(3)의 저판(37)과 상대 형상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판(4)은 저판(37)에 비해서 약간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판(4)은 도 7,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면에 복수의 재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재배용 구멍은 판면의 대각선 중심 부근에 빽빽하게 되도록(구멍끼리의 이간 간격이 좁게) 배치된 내측 구멍(55)과, 중심 부근 이외의 영역에 내측 구멍(55)에 비해서 성기게 되도록(이간 간격이 넓게) 배치된 외측 구멍(56)을 구비한다.
모판(4)의 내부[내측 구멍(55) 및 외측 구멍(56)의 주위]에 부력용 공간(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케이스(3)에 재배용 저수가 저수되면 모판(4)은 재배용 양액(W)으로부터의 부력을 받아서 뜬다. 소위 플로트식의 모판이다.
수경 재배장치(1)는 재배실(14)의 외부[재배장치 본체(2)의 외부]와 내부[재배실(14)] 사이에서 공기(AR1)를 통기시키는 제 1 통기계, 및 광원실(18)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공기(AR2)를 통기시키는 제 2 통기계를 구비하고 있다.
[통기계 형성 상자]
통기계 형성 상자(6)는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와,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와, 연통용 횡상자부(64)를 구비한다(도 2 참조).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는 재배장치 본체(2)의 우측벽(8)에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는 재배장치 본체(2)의 좌측벽(9)에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연통용 횡상자부(64)는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 및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의 상부끼리를 재배장치 본체(2)의 천벽(11)(상부)에 있어서 연통하도록 횡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통기계 형성 상자(6)는 정면으로 보았을 때 하측 개방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는 재배장치 본체(2)의 우측벽(8)에 비해서 전후 방향의 폭은 작게 설정됨으로써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벽(8)의 전후 방향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는 재배장치 본체(2)의 좌측벽(9)에 비해서 전후 방향의 폭은 작게 설정됨으로써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벽(9)의 전후 방향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연통용 횡상자부(64)는 천벽(11)에 비해서 전후 방향의 폭은 작게 설정됨으로써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천벽(11)의 전후 방향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통기계]
제 1 통기계는 통기계 형성 상자(6) 중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 및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를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고 있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에서는 전방측 종벽(70), 후방측 종벽(72), 및 측부 종벽(7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재배장치 본체(2)의 우측벽(8)측을 개방한 단면 대략 「コ」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에는 측부 종벽(74)에 도입구부(76)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측부 종벽(74)은 그 하부에만 외측(우측)을 향해서 팽출(膨出)되는 도입구용 팽출부(77)를 구비한다. 도입구용 팽출부(77)는 전방측 종벽(70), 후방측 종벽(72), 및 측부 종벽(74)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용 팽출부(77)의 상부는 외측일수록 하방을 향해서 경사져서 형성되고, 하부는 외측일수록 상방을 향해서 경사져서 형성되고, 상하 방향 도중 부분은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부(76)는 측부 종벽(74)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부(76)는 복수조의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 종벽(70) 및 후방측 종벽(72)은 보조 도입구부(78)를 구비한다. 보조 도입구부(78)는 특히 도입구부(76)가 막혔을 경우에 기능한다. 보조 도입구부(78)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복수조의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4 참조).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기계는 재배장치 본체(2)의 우측벽(8)에 형성된 급기용 통기 구멍(80)을 구비한다. 급기용 통기 구멍(80)은 예를 들면 각진 구멍이며, 우측벽(8) 상하 방향 도중 부분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급기용 통기 구멍(80)의 외측에는 급기용 필터(81)가 우측벽(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급기용 통기 구멍(80)은 도입구부(76)에 연통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기계는 재배장치 본체(2)의 좌측벽(9)에 형성된 배기용 통기 구멍(82)을 구비한다. 배기용 통기 구멍(82)은 좌측벽(9)의 상부에 개구된 개구부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용 통기 구멍(82)은 측면으로 보았을 때 원형의 상부를 제거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메쉬 형상으로 구획된 작은 구멍의 집합으로 된다. 배기용 통기 구멍(82)의 내측에는 배기용 필터(83)가 좌측벽(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1 통기계는 통기용 팬(84)을 구비한다. 통기용 팬(84)으로서 그 회전 중심축(85)을 횡축으로 한 축류 팬이 사용되고 있다. 통기용 팬(84)의 회전 중심축(85)의 위치는 배기용 통기 구멍(82)의 중심(원형으로 했을 경우의 중심)에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3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에서는 전방측 종벽(71), 후방측 종벽(73), 및 측부 종벽(75)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재배장치 본체(2)의 좌측벽(9)측을 개방한 단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에는 측부 종벽(75)에 배기구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 종벽(75)은 그 하부에만 외측(좌측)을 향해서 팽출되는 배기구용 팽출부(87)를 구비한다. 배기구용 팽출부(87)는 전방측 종벽(71), 후방측 종벽(73), 및 측부 종벽(75)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용 팽출부(87)의 상부는 외측일수록 하방을 향해서 경사져서 형성되고, 하부는 외측일수록 상방을 향해서 경사져서 형성되고, 상하 방향 도중 부분은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구부(86)는 측부 종벽(75)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부(86)는 복수조의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 종벽(71) 및 후방측 종벽(73)은 보조 배기구부(88)를 구비한다. 보조 배기구부(88)는 특히 배기구부(86)가 막혔을 경우에 기능한다. 보조 배기구부(88)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복수조의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통기용 팬(84)이 회전 중심축(85) 주위에서 회전하면 수경 재배장치(1)의 외부로부터 공기(AR1)가 부압 상태로 되어 있는 도입구부(76)에 도입되고, 급기용 통기 구멍(80)을 통과해서 재배실(14) 내에 도입되고, 그 후에 배기용 통기 구멍(82), 통기용 팬(84)을 통과하여 배기구부(86)로부터 배기된다. 즉, 공기(AR1)는 도입구부(76),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의 내부 공간, 재배실(14), 배기용 통기 구멍(82),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의 내부 공간 및 배기구부(86)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통기계의 제 1 통기로(91)를 흐른다(도 5 참조).
[제 2 통기계]
제 2 통기계는 통기계 형성 상자(6)를 구비한다. 통기계 형성 상자(6)는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와,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와, 연통용 횡상자부(64)를 구비한다. 즉,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 및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는 제 2 통기계에 겸용된다. 또한, 통기용 팬(84)은 제 2 통기계에 겸용된다. 제 2 통기계는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 및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의, 각각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배장치 본체(2)의 천벽(11)의 전후 방향 중심에 좌우 방향에 걸쳐서 연통 개구부(95)가 형성되고, 연통용 횡상자부(64)는 연통 개구부(95)를 덮도록 천벽(11)에 부착되어 있다. 즉, 연통용 횡상자부(64)는전방측 횡벽(96), 후방측 횡벽(97), 및 상부 횡벽(9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연통 개구부(95)를 폐쇄하는 단면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21)에 있어서의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측의 단부의 소정 영역은 구획벽(21)에 있어서의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측의 영역에 비해서 하방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측의 단부의 소정 영역에 하부일수록 외측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경사벽(99)과, 경사벽(99)의 외측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벽(100)에 의해 광원실(18) 상하 방향 높이가 넓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수평벽(100)은 통기용 팬(84)의 상반부 부분의 중간에 있고, 통기용 팬(84)의 상부는 제 2 통기계에 있어서의 광원실(18)(통기로)에 임하고, 통기용 팬(84)의 하부는 제 1 통기계에 있어서의 배기용 통기 구멍(82)(통기로)에 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기용 팬(84)이 회전 중심축(85) 주위에서 회전하면 수경 재배장치(1)의 외부로부터 공기(AR2)가 부압 상태로 되어 있는 도입구부(76)에 도입되고,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의 내부 공간을 통과해서 광원실(18) 내에 도입되고, 그 후에 통기용 팬(84)을 통과하여 배기구부(86)로부터 배기된다. 즉, 공기(AR2)는 도입구부(76),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의 내부 공간, 광원실(18),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의 내부 공간 및 배기구부(86)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통기계의 제 2 통기로(92)를 흐른다.
상기 구성의 수경 재배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수경 재배장치(1)의 유저는 모판(4)의 내측 구멍(55), 외측 구멍(56) 중 어느 하나를 재배하려고 하는 식물(야채)에 따라서 선택하고, 그 구멍에 스펀지 등의 흡수성 재료인 모판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채우고, 상기 모판 부재에 야채의 종자를 심는다. 또한, 재배용 양액(W)을 케이스(3)에 저수해 둔다. 그렇게 하면, 모판 부재가 재배용 양액(W)을 흡수해서 종자에 재배용 양액(W)이 주어진다.
그리고, 재배장치 본체(2)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 에어 펌프(급기 펌프)(AP)를 구동하면 에어 펌프(AP)의 급기구에 접속된 급기관(33)으로부터 본체측 급기 경로부(25), 케이스측 급기 경로부(26)를 공기(AR1)가 이동하여 토출로(47a)로부터 노즐을 통해서 공기(AR1)가 기포로서 재배용 양액(W) 내에 공급된다(도 10, 도 11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재배용 양액(W) 내가 산소 부족이 되는 상태를 상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재배 대상의 뿌리에 산소를 공급한다고 하는 역할 등을 담당하고 있다.
유저는 시각 설정 스위치(24)를 조작해서 현재 시각을 설정해 놓는다. 그리고, 앞벽(13)을 재배장치 본체(2)의 하부로부터 인출하여 전방부 개구(12)를 폐쇄한다. 전방부 개구(12)를 폐쇄해도 전원 스위치(23)는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이 전원 스위치(23)를 누를 수 있다. 유저는 이 전원 스위치(23)를 누르면 광원실(18)에 배치된 LED(19)가 점등한다. 재배실(14)과 광원실(18)은 투명한 구획벽(2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인공 광원인 LED(19)의 광이 종자에 조사된다.
또한, 유저가 시각 설정 스위치(24)를 조작해서 현재 시각을 설정하고, 전원 스위치(23)를 누르면 본 실시형태의 수경 재배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LED(19)가 18시간의 점등, 6시간의 소등을 순차 반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용 팬(84)도 또한 LED(19)의 점등과 소등에 동기해서 구동·정지한다.
통기용 팬(84)이 구동을 하면 수경 재배장치(1)의 외부로부터 공기(AR1)가 부압 상태로 되어 있는 도입구부(76)에 도입되고, 급기용 통기 구멍(80)을 통과해서 재배실(14) 내에 도입되고, 그 후에 배기용 통기 구멍(82), 통기용 팬(84)을 통과하여 배기구부(86)로부터 배기된다. 즉, 공기(AR1)는 도입구부(76),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의 내부 공간, 재배실(14), 배기용 통기 구멍(82),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의 내부 공간 및 배기구부(86)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통기계의 제 1 통기로(91)를 흐른다. 이러한 공기(AR1)의 흐름에 의해, 재배실(14) 내에는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어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환경 조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통기용 팬(84)의 부근에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재배실(14)의 온도를 검출해서 재배실(14)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통기용 팬(84)의 풍량을 증가시키도록 자동 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방측 종벽(70) 및 후방측 종벽(72)은 보조 도입구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경 재배장치(1)가 실내의 벽을 따르도록 설치되어서 도입구부(76)가 막혔을 경우에 보조 도입구부(78)로부터 공기(AR1), 공기(AR2)가 도입된다.
또한, 통기용 팬(84)이 회전 중심축(85) 주위에서 회전하면 수경 재배장치(1)의 외부로부터 공기(AR2)가 부압 상태로 되어 있는 도입구부(76)에 도입되고,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의 내부 공간을 통과해서 광원실(18) 내에 도입되고, 그 후에 통기용 팬(84)을 통과하여 배기구부(86)로부터 배기된다. 즉, 공기(AR2)는 도입구부(76),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62)의 내부 공간, 광원실(18),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의 내부 공간 및 배기구부(86)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통기계의 제 2 통기로(92)를 흐른다. 이러한 공기(AR2)의 흐름에 의해, 광원실(18)에서 발생하는 LED(19)의 발열이 냉각되어 LED(19)의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에 대하여 광원의 휘도 저하 및 색의 변화를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재배실(14) 내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해버리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으며,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환경 조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재배실(14)과 광원실(18)은 구획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실의 습기가 상방의 광원실(18)로 도입되는 일도 없어 광원장치 등에 주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종벽(71) 및 후방측 종벽(73)은 보조 배기구부(88)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수경 재배장치(1)가 실내의 벽을 따르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보조 배기구부(88)로부터 공기(AR2), 공기(AR1)가 배기된다.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측의 단부의 소정 영역에 하부일수록 외측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경사벽(99)과, 경사벽(99)의 외측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벽(100)에 의하여 광원실(18) 상하 방향 높이가 넓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광원실(18) 내에 도입된 공기(AR2)는 통기용 팬(84)을 직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배기구부(86)로부터 원활하게 배기된다. 이렇게, 광원실(18) 상하 방향 높이가 넓혀져 있음으로써 통기용 팬(84)을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에 겸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경 재배장치(1)의 제조 비용이 저렴해진다.
환언하면, 넓혀진 광원실(18)에 의해 통기용 팬(84)은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에 있어서의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63)에 있어서, 제 1 통기계의 제 1 통기로(91) 및 제 2 통기계의 제 2 통기로(92)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경 재배장치(1)가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라는 복수의 통기계를 구비하고 있었다고 해도 필요한 통기용 팬(84)의 수가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기용 팬의 흡입 영역에 대한 제 1 통기로(91)의 개구 면적과 제 2 통기로(92)의 개구 면적의 대소를 설정함으로써 각 통기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의 대소 설정을 행하는 예에 대해서 말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통기로(91)의 도입구부의 개구율과 제 2 통기로(92)의 개구율을 조정해서 각 통기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의 대소 설정을 행하는 등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또한, 개구 면적의 설정의 방법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통기로 내에 방해판을 설치하는 등 적당하게 하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기용 팬(84)은 배기구부(86)를 갖는 종상자부 내에 설치하는 예에 대해서 말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흡입측을 도입구부(76)를 향해서 배치하고, 도입구부(76)를 갖는 종상자부 내에 설치하는 등 적당하게 설치하는 장소를 설정하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기용 팬(84)으로서 축류 팬을 사용했지만, 예를 들면 다익 팬(시로코 팬), 크로스플로 팬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원장치로서 LED(19)를 사용했지만, 형광등이라도 좋다.
1 : 수경 재배장치 2 : 재배장치 본체
4 : 모판 5 : 광원장치
6 : 통기계 형성 상자 7 : 저벽
8 : 우측벽 9 : 좌측벽
10 : 뒷벽 11 : 천벽
13 : 앞벽 14 : 재배실
18 : 광원실 20 : LED 유지체
21 : 구획벽 23 : 전원 스위치
62 : 도입구 형성용 종상자부 63 : 배기구 형성용 종상자부
64 : 연통용 횡상자부 76 : 도입구부
77 : 도입구용 팽출부 78 : 보조 도입구부
80 : 급기용 통기 구멍 81 : 급기용 필터
82 : 배기용 통기 구멍 83 : 배기용 필터
84 : 통기용 팬 85 : 회전 중심축
86 : 배기구부 87 : 배기구용 팽출부
88 : 보조 배기구부 91 : 제 1 통기로
92 : 제 2 통기로 95 : 연통 개구부
96 : 전방측 횡벽 97 : 후방측 횡벽
98 : 상부 횡벽 99 : 경사벽
100 : 수평벽 AR1 : 공기
AR2 : 공기

Claims (10)

  1. 재배장치 본체에 모판을 배치하는 재배실과, 상기 모판을 향해서 상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배치한 광원실이 구획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 내를 통과해서 상기 재배장치 본체 밖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1 통기계, 및 상기 광원실을 통과해서 상기 재배장치 본체 밖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 2 통기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단일의 통기용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장치 본체에는 그 한쪽 측부에 있어서 상기 재배장치 본체 밖의 공기를 도입하는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의 도입구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다른쪽 측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를 유통한 공기를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장치 본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한쪽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도입구부를 갖는 종상자부가 설치되고,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다른쪽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배기구부를 갖는 종상자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상면에는 양측의 상기 종상자부의 상부간을 연락하는 연통용 횡상자부가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 상기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 및 상기 연통용 횡상자부 중 적어도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 및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폭은 상기 재배장치 본체의 좌측벽, 우측벽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에 있어서 그 앞뒷벽 중 적어도 한쪽에도 도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는 종상자부에 있어서 그 앞뒷벽 중 적어도 한쪽에도 배기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용 횡상자부는 상기 광원실의 일부 및 상기 제 2 통기계의 통기로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팬은 상기 배기구부를 갖는 상기 종상자부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배기구부는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의 공통의 배기구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부는 상기 제 1 통기계 및 제 2 통기계의 공통의 도입구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팬에 의해 상기 제 1 통기계를 통과해서 흡입되는 공기량은 상기 제 2 통기계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량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팬의 흡입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통기계의 통기로의 개구 면적은 상기 제 2 통기계의 통기로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KR2020130006309U 2012-07-31 2013-07-29 수경 재배장치 KR20140000924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9889A JP6063667B2 (ja) 2012-07-31 2012-07-31 水耕栽培装置
JPJP-P-2012-169889 2012-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24U true KR20140000924U (ko) 2014-02-10

Family

ID=5001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309U KR20140000924U (ko) 2012-07-31 2013-07-29 수경 재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63667B2 (ko)
KR (1) KR20140000924U (ko)
CN (1) CN203416690U (ko)
TW (1) TWM47113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4666B2 (ja) * 2014-03-14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植物栽培装置
CN104247637A (zh) * 2014-06-17 2014-12-31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植物箱
JP6582235B2 (ja) * 2015-03-24 2019-10-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US20220087120A1 (en) * 2018-09-20 2022-03-24 Wavesee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lant Growing Environment
CN109496817B (zh) * 2018-11-21 2020-10-27 广东海洋大学 一种方便补充营养液的水稻稻瘟病抗性鉴定装置
US20220095552A1 (en) * 2020-09-30 2022-03-31 Cambridge Research & Development, Inc. Methods for cultivation using protected growing wells and related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5170A (ja) * 2010-09-06 2012-03-22 Mrt:Kk 植物生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416690U (zh) 2014-02-05
TWM471134U (zh) 2014-02-01
JP6063667B2 (ja) 2017-01-18
JP2014027896A (ja)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7212B2 (ja) 植物育成装置、ボックス、端部ユニット
KR20140000924U (ko) 수경 재배장치
TWI629932B (zh) 植物育成裝置
JP4893502B2 (ja) 多段式植物育成装置の育成棚各段への加湿空気流供給システム
JP2013034402A (ja) 水耕栽培装置
JP2006262750A (ja) 立体水耕栽培装置
JP2006262750A5 (ko)
KR102696662B1 (ko) 식물 재배 장치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47702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059523A (ko) 파드 및 파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장치
KR20130011757A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KR101845603B1 (ko) 송풍 기능과 조사 기능이 구비된 저면관수식 화분
KR20210047705A (ko) 식물 재배장치
JP2016041016A (ja)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施設
JP2016163596A (ja) 水耕栽培装置
JP6280313B2 (ja) 植物栽培装置の送風装置
KR101419366B1 (ko) 식물수경재배기
JP2016178941A (ja) 水耕栽培装置
KR20170121879A (ko) 자동급수 및 햇빛조절 가능한 자동재배장치
CN218868977U (zh) 一种家用水培装置
CN218483367U (zh) 热对流式生物培育装置
CN218353860U (zh) 用于生物培育的装置
KR20240097506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47706A (ko) 식물 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