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705A - 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705A
KR20210047705A KR1020190131609A KR20190131609A KR20210047705A KR 20210047705 A KR20210047705 A KR 20210047705A KR 1020190131609 A KR1020190131609 A KR 1020190131609A KR 20190131609 A KR20190131609 A KR 20190131609A KR 20210047705 A KR20210047705 A KR 20210047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water
plant cultivation
cultiv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영
이태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705A/ko
Priority to US17/771,435 priority patent/US20220361420A1/en
Priority to PCT/KR2020/011007 priority patent/WO2021080144A1/en
Priority to EP20878261.5A priority patent/EP4048060A4/en
Publication of KR2021004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커버가 얹히는 부위가 베드커버와 함께 재배실 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이 베드커버가 얹히는 부위의 이외 부위는 필요에 따라 재배실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구성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파드를 분리하지 않고도 베드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재배장치{plants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공기 순환과 빛의 공급 및 급수를 수행하면서 식물이 재배될 수 있도록 한 식물 재배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재배장치는 씨앗 상태의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실내에서 간편히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재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는 수경식 재배장치와 토양식 재배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경식 재배장치는 식물의 뿌리를 배양액이 공급된 물에 담근 상태로 재배하는 방식의 장치로써, 공개특허 제10-2012-0007420호(선행기술 1), 공개특허 제10-2012-0028040호(선행기술 2), 등록특허 제10-1240375호(선행기술 3), 등록특허 제10-1422636호(선행기술 4)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4와 같은 수경식 재배장치의 경우는 식물의 뿌리가 잠긴 공급수가 지속적으로 순환되거나 교체되지 않고 사용된다면 녹조의 발생과 같은 공급수의 오염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급수의 오염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었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토양식 재배장치는 화분에 담긴 토양에 식물(혹은, 씨앗)을 심고, 이 화분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방식의 장치로써, 등록특허 제10-1400375호(선행기술 5)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46호(선행기술 6)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465385호(선행기술 7)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이러한 토양식 재배장치의 경우 배양액을 이용한 수경식 재배장치에 비해 식물의 성장이 빠르고 토양의 다양한 영양분에 의해 식물의 발육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전술된 선행기술 5의 경우 배지와 물저장부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흡수부재로 상기 물저장부 내의 물을 배지 내의 토양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배 공간이 작을 수밖에 없고,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은 양액으로 인해 변질 및 오염이 쉽게 발생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술된 선행기술 5는 흡수부재의 연결 구조로 인해 물저장부를 취출하거나 혹은, 배지를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어려울 수밖에 없고, 이로써 물저장부의 지속적인 유지관리(청소 등)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변질 및 오염이 쉽게 발생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행기술 6 및 선행기술 7의 경우는 주기적으로 토양(플러그트레이, 재배용기)에 수분을 분사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액이 주변(재배실 내부나 도어)으로 튀어 벽면 등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탱크(양액통, 수용탱크)에 저장된 물은 양액으로 인해 변질 및 오염이 쉽게 발생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술된 선행기술 6의 경우는 저면급액베드가 취출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세척 등의 유지 관리가 어려워 오염이 심각히 발생될 수밖에 없다.
물론, 선행기술 7의 경우는 재배 선반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른 유지 관리가 가능하지만, 이러한 재배 선반은 수용 용기와 함께 취출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취출 후 수용 용기를 따로 분리한 후 세척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상기 수용 용기의 취출 시간이 길면 길수록 재배 선반에 재배되는 식물이 외부 환경에 오랜기간 노출되기 때문에 생육에 좋지 않은 영향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그 보관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 7은 식물의 재배가 완료되어 해당 식물을 수확할 때 재배 선반과 수용 용기를 동시에 취출한 후 재배 선반에 대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수시로 청소를 수행하거나 혹은, 여타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것은 어려웠다.
공개특허 제10-2012-0007420호 공개특허 제10-2012-0028040호 등록특허 제10-1240375호 등록특허 제10-1422636호 등록특허 제10-140037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4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5385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베드에 공급수가 잔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수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재배실 내의 오염이나 악취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수가 급수되는 베드와 식물이 재배되는 베드커버를 동시에 취출하거나 혹은, 베드커버는 취출하지 않고 베드만 취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드를 분리하지 않아도 베드의 세척이나 유지 보수가 손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드와 테두리프레임 간의 분리 부위가 평상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베드의 세척이나 유지 보수시에만 베드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드의 급수홈 내로 공급수가 공급될 때 베드의 주위로 공급수가 넘치지 않고 급수홈에 정확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커버가 얹히는 부위가 베드커버와 함께 재배실 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이 베드커버가 얹히는 부위의 이외 부위는 필요에 따라 재배실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구성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파드를 분리하지 않고도 베드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조립체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테두리프레임과 베드로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만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조립체를 이루는 테두리프레임에 베드커버가 얹혀 구속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커버가 원치않게 취출되거나 혹은,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가 테두리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되도록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베드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에 공급수가 저장될 수 있는 급수홈이 제공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만 재배실 외부로 취출하여 청소하더라도 충분히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조립체의 테두리프레임이 캐비넷 내의 재배실로부터 전후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시 베드뿐 아니라 파드가 얹힌 베드조립체 전체를 재배실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테두리프레임이 테두리부와, 물받이부 및 제1급수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테두리프레임에 베드커버를 얹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베드의 급수홈 내로 공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물받이부가 테두리부의 후방측 벽면의 외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공급수를 공급받는 위치가 재배실 내의 재배 공간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재배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커버에 얹힘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테두리프레임에는 얹힘홈이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상기 베드커버가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얹힌 상태에서 원치않게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테두리프레임의 얹힘홈이 테두리부와 물받이부 간의 연결 부위에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커버의 후방측 부위가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테두리프레임의 얹힘홈이 테두리부의 양측 상면 전방측에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커버의 전방측 부위가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커버에 형성된 얹힘돌기의 저부 끝단은 라운드지게 말도록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커버를 베드조립체에 얹거나 취출하는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의 상면 전방측에는 베드커버의 얹힘돌기를 받쳐주는 받침턱이 상향 돌출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의 과도한 삽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제1급수유로는 테두리프레임의 상면을 하향 함몰시켜 형성하고, 제2급수유로는 베드의 상면 후방측 부위를 하향 함몰시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의 급수홈으로 공급수가 공급되는 도중 주변으로 흐름을 방지할 수 잇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제1급수유로와 제2급수유로는 물받이부로부터 베드에 형성된 급수홈의 표면 높이에 이르기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물받이부로 공급된 공급수가 상기 급수홈에 이르기까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테두리프레임의 상면 중 제1급수유로가 함몰된 부위의 양측에 제1제방부가 돌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제1급수유로를 따라 공급수가 흐르는 도중 주변으로 넘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의 상면 중 상기 제2급수유로가 함몰된 부위의 양측에 제2제방부가 돌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제2급수유로를 따라 공급수가 흐르는 도중 주변으로 넘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조립체를 이루는 베드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베드를 테두리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손잡이홈은 베드의 전방측 끝단 저면으로부터 상향 요입되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손잡이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테두리프레임은 베드조립체의 둘레 부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베드는 상기 베드조립체의 바닥 부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테두리프레임과 베드의 결합으로 베드조립체가 쟁반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조립체를 이루는 테두리프레임과 베드 간의 대향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테두리프레임과 베드가 단일체를 이루거나 혹은, 필요시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요철돌부는 테두리프레임의 양측 내면과 후방측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요철요부는 베드의 양측 내면 및 후방측 내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테두리프레임과 베드의 기밀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테두리프레임의 전면에 베드의 전면을 가로막는 전면커버체가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를 취출하지 않는 한 상기 베드와 테두리프레임 간의 결합 부위가 재배실 내로 노출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전면커버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전면커버체를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아래의 각종 효과를 가지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조립체가 각 재배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재배 공간이 최대화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의 급수홈에 공급되는 공급수는 일정 높이(수위 센서가 센싱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 이상은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각 파드로는 필요한 양만 수시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수되어 상기 급수홈에 잔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잔수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재배실 내의 오염이나 악취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파드가 얹힌 베드커버를 필요에 따라 재배실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파드의 교체 등을 위한 작업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파드가 얹힌 베드커버는 취출하지 않고 베드만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베드의 세척이나 유지 보수가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와 테두리프레임 간의 분리 부위가 전면커버체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개폐도어를 투시 가능한 재질(예컨대, 유리)로 형성할 수 있어서 식물 재배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고급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전면커버체에 의해 베드의 세척이나 유지 보수시에만 베드가 노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베드의 원치않는 취출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각 급수유로 및 제방부의 구조로 인해 급수홈 내로 공급수가 공급될 때 베드의 주위로 상기 공급수가 넘쳐 흐름이 방지되면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폐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파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파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기계실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기계실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A”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베드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테두리프레임과 베드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테두리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테두리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전방 상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테두리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베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베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베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베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테두리프레임과 베드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테두리프레임과 베드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베드조립체 중 파드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7의 “B”부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조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상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조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조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하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조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순환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7의 “C”부 확대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급수모듈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급수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급수모듈의 개폐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급수모듈의 설치프레임 에 워터펌프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3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기계실 내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 내로의 공급수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는 크게 캐비넷(100)과, 기계실용 프레임(200)과, 파드(10)가 얹히는 베드조립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베드조립체(300)는 베드커버(310)가 얹히는 테두리프레임(320)으로부터 베드(330)가 선택적으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파드(10)를 분리하지 않고도 베드(330)에 대한 청소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식물 재배장치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파드(10)에 대하여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파드(10)는 상부로 개방된 용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드(10) 내에는 양액물질(도시는 생략됨)이 포함된 상토(11)가 충전된다.
상기 양액물질은 식물이 더욱 잘 자랄 수 있도록 공급하는 영양소가 포함된 물질이다. 이러한 양액물질은 물에 점진적으로 녹는 수용성의 캡슐형으로 제공하여 공급수의 공급시마다 조금씩 녹으면서 공급수에 함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상토(11)의 상면에는 시드페이퍼(12)가 제공된다. 상기 시드페이퍼(12)는 씨앗들이 일정 배열을 갖도록 심겨진 부위이며, 이를 상기 상토(11)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공급수가 공급되면 상기 시드페이퍼(12)는 녹아서 없어지고 씨앗은 상기 상토(11)에 남게된다.
또한, 상기 시드페이퍼(12)의 상면에는 브릭(13)이 제공된다.
이러한 브릭(13)은 토양의 수분 및 습도 조절과 곰팡이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질석 또는,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와 같은 무기물 광석이 분말상태로 가공된 후 압착되어 만들어진다.
그리고, 파드(10)의 상면은 보호지(15)로 덮혀 그 내부가 보호된다.
특히, 상기 브릭(13)의 상면과 보호지(15) 사이에는 패킹부재(14)가 더 구비되면서 상기 브릭(1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보호지(15)의 표면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가 프린팅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드(1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6)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6)는 저면에 통수공(16a)이 형성된 통체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상기 돌출부(16)는 상하로 개방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6) 내에는 베드(300a,300b)로 급수된 공급수를 흡수하는 제1흡수부재(17)가 구비되고, 상기 제1흡수부재(17)와 상토 사이에는 평판 형상의 제2흡수부재(18)가 구비된다. 상기 제2흡수부재(18)는 상기 제1흡수부재(17)가 흡수한 공급수를 상토(11)의 전 부위로 고르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은, 상기 캐비넷(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식물 재배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캐비넷(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케이스(110)와 내측 벽면을 이루는 이너케이스(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아웃케이스(110)는 상면은 폐쇄되고 저면 및 전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아웃케이스(110)와는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아웃케이스(110) 사이에는 발포 단열재(도시는 생략됨)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120) 내부는 재배실(121,122)이 마련된다. 상기 재배실(121,122)은 식물의 재배를 위해 제공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재배실(121,122)은 상측의 재배실(121)과 하측의 재배실(12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두 재배실(121,122)은 각각의 독립된 재배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개폐도어(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개폐도어(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재배실(121,122)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한 개폐도어(130)의 제공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는 밀폐형의 재배장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밀폐형의 재배장치로써 후술될 조명모듈(401,402)과 순환팬 어셈블리(500) 및 온도제어모듈(600)에 의한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면서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130)는 회전식 개폐 구조 혹은, 슬라이딩 방식의 개폐 구조 중 어느 한 구조의 개폐 구조로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을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개폐도어(130)가 회전식 개폐 구조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개폐도어(130)는 내측이 개방된 사각틀 구조의 도어프레임(131) 및 상기 도어프레임(131)의 개방된 내측을 가로막는 투시창(132)으로 구성됨을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투시창(132)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32)을 유리로 형성할 경우 상기 유리에는 보호필름(도시는 생략됨)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필름은 재배실 내의 빛이 실내로 투과되어 비침을 최소화하는 빛 차단(일부 차단)용 필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호필름 대신 상기 투시창(132) 자체가 어두운 색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빛의 실내 투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30)는 도어프레임(131)없이 투시창(132)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기계실용 프레임(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바닥 부위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저부에 연장 설치되며,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211)와, 양측 벽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212)와,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플레이트(213)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개방된 저면이 얹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와 이너케이스(12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측면플레이트(212) 및 배면플레이트(213)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양측면과 배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은 기계실(201)로 제공된다.
즉, 상기 기계실(201)과 재배실(121,122)은 이너케이스(120) 내의 공간과 기계실용 프레임(200) 내의 공간으로 구분 형성됨으로써 서로는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기계실(201) 내부에는 후술될 온도제어모듈(600)의 일부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재배실(121,122)과 기계실(201)의 사이에는 두 공간을 구획하는 별도의 구획용 벽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재배실(121,122)과 기계실(201)이 서로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201)의 전방인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개방된 전면에는 흡토출그릴(22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흡토출그릴(220)은 실내로부터 기계실(201) 내로 흡입되는 공기 혹은, 기계실(201) 내로부터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면서 기계실(201)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흡토출그릴(220)에는 흡입구(221) 및 토출구(2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21)와 토출구(222)는 후술될 분리격벽(230)에 의해 서로 구분된 위치에 분리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에서 볼 때 좌측의 흡입구(221)와 우측의 토출구(222)로 구분되도록 이루어짐을 그 예로 제시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 내에는 기계실(201) 내의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는 분리격벽(23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분리격벽(230)에 의해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 및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가 구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는 상기 흡토출그릴(220)의 흡입구(221)가 위치되는 측의 공간이고, 상기 기계실(201) 내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는 상기 흡토출그릴(220)의 토출구(222)가 위치되는 측의 공간이다.
이와 함께, 상기 분리격벽(230)에 의해 분리된 기계실(201) 내의 양측 공간은 해당 공간의 후방측 부위에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 부위가 기계실(201) 내의 후방측 벽면에까지는 닿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나뉘어진 양측의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 부위에 개구공(도시는 생략됨)을 형성함으로써 기계실(201) 내의 양측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리격벽(230)은 일자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사 또는, 절곡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격벽(230)이 절곡 구조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분리격벽(230)의 일부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후술될 응축기(620) 및 압축기(610)의 설치 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충분히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기계실(201) 내에는 응축수받이(2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응축수받이(240)는 기계실(201) 중 흡입구(22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바닥에 위치되면서 후술될 응축기(620)로부터 흘러내린 응축수를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응축수(620)를 기계실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배면플레이트(213)에는 방열공(20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방열공(202)은 후술될 압축기(610)를 방열한 공기의 배출(혹은,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구멍이다. 즉, 상기 방열공(202)의 추가 형성을 통해 공기의 배출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바닥플레이트(211)에도 압축기(610)를 방열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도시는 생략됨)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214)의 후방측 부위는 여타 부위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기계실(201) 내부의 후방측 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높은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기계실(201)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610)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후방측 부위를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플레이트(214)의 상면과 이에 대향되는 이너케이스(120)의 저면 사이의 전방측 공간에는 식물 재배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20)(첨부된 도 6 참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부(20)는 각종 제어회로를 가지는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베드조립체(3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드조립체(300)는 파드(10)가 안착되면서 식물이 재배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상기 베드조립체(300)는 상기 캐비넷(100)의 재배실(121,122) 내에 제공된다. 특히, 상기 재배실(121,122) 내의 양측 벽면(이너케이스 내의 양측 벽면)에는 제1가이드레일(101)(첨부된 도 1 참조)이 구비되고, 상기 베드조립체(30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01)의 안내를 받아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재배실(121,122)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드조립체(300)는 베드커버(310)와 테두리프레임(320) 및 베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테두리프레임(320)과 베드(33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베드(330)는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베드커버(310)는 각 파드(10)가 정위치에 놓이도록 안착되는 부위이다.
상기 베드커버(310)의 상면 둘레에는 얹힘턱(311)이 외향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베드커버(310)의 내측에는 각 파드(10)의 안착을 위한 복수의 안착홈(312,313)이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안착홈(312,313)은 상기 파드(10)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도 상기 파드(10)가 일부 요입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베드커버(310)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베드커버(3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베드커버(310)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어 부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안착홈(312,313)에는 상기 파드(10)의 흡수관(12)이 관통되도록 관통공(312a,313a)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관통공(312a,313a)의 위치 및 흡수관(12)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파드(10)를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안착홈(312,313)은 전방측 열의 파드(10)들이 안착되는 전열측 안착홈(312) 및 후방측 열의 파드(10)들이 안착되는 후열측 안착홈(313)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전열측 안착홈(312)의 관통공(312a) 및 후열측 안착홈(313)의 관통공(313a)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즉, 테두리프레임(320)에 베드커버(310)가 얹힐 경우 각 관통공(312a,313a)은 베드(330)에 형성되는 급수홈(331) 내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드커버(310)의 얹힘턱(311)을 이루는 끝단측 부위에는 얹힘돌기(314)가 하향 돌출된다. 상기 얹힘돌기(314)는 테두리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얹힘홈(326)에 얹히면서 해당 베드커버(310)가 정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얹힘돌기(314)의 저부 끝단은 라운드지게 말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얹힘돌기(310)의 끝단을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부상을 방지하며, 또한 사용자가 대략적으로 안착시키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안착홈(312,313)에 형성되는 관통공(312a,313a)은 통상의 홀(hall)이 될 수도 있고, 랜싱(lancing)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 부위가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은 베드조립체(300)의 둘레측 부위를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테두리프레임(320)은 상기 캐비넷(100) 내의 재배실(121,122)로부터 전후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의 인출에 의해 베드조립체(300) 및 이에 얹히는 각 파드(10)들 전체가 재배실(121,122)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 10과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은 테두리부(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두리부(321)는 양측 벽면을 이루는 두 측벽단(321a) 및 후방측 벽면을 이루는 후벽단(3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면이 개방된 사각틀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두 측벽단(321a)과 후벽단(321b)의 상측 끝단에는 상측 벽면을 이루는 얹힘단(321c)이 외향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얹힘단(321c)에는 상기 베드커버(310)의 얹힘턱(311)이 얹힌다.
이와 함께, 상기 두 측벽단(321a)의 외벽면에는 레일가이드(321d)가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재배실(121,122) 내의 양측 벽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전후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한 레일가이드(321d) 및 제1가이드레일(101)의 구조에 의해 테두리프레임(320)과 이 테두리프레임(320)에 얹혀지는 베드커버(310) 및 테두리프레임(320)에 결합되는 베드(330) 등 베드조립체(300) 전체가 일괄적으로 취출되거나 혹은, 삽입될 수 있다.
상기한 테두리부(321)의 두 측벽단(321a) 및 후벽단(321b)의 하측 끝단에는 베드조립체(300)의 바닥 중 둘레 부위를 형성하는 둘레바닥(321e)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둘레바닥(321e)은 베드(330)와 함께 베드조립체(300)의 바닥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베드(330)와의 결합 부위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은 물받이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물받이부(322)는 공급수를 급수받는 부위이다.
이러한 물받이부(322)는 상기 테두리부(321)의 후벽단(321b) 외면(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물받이부(322)는 상면이 개방되면서 둘레와 바닥을 갖는 통체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물받이부(322)의 바닥은 어느 한 측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물받이부(322)의 바닥 중 가장 낮은 부위에는 후술될 제1급수유로(323)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322)의 상면 중 테두리부(321) 간의 연결 부위에는 제1얹힘홈(3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얹힘홈(322a)은 베드커버(310)의 후방측에 형성된 얹힘돌기(314)가 얹히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이와 함께, 테두리부(321)를 이루는 두 측벽단(321a)의 상면 중 전방측 부위에는 상기 베드커버(310)의 전방측에 형성된 얹힘돌기(314)가 얹히도록 제2얹힘홈(321f)이 형성된다.
즉, 상기 베드커버(31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형성되는 얹힘돌기(314)가 상기 제1얹힘홈(322a) 및 제2얹힘홈(321f)에 각각 얹혀 전후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베드커버(310)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은 제1급수유로(3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급수유로(323)는 상기 물받이부(322)로 급수받은 공급수를 베드(330)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제1급수유로(323)는 테두리프레임(320)을 이루는 테두리부(321)의 상면 중 상기 물받이부(322)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그 전방에 위치되는 베드(330)에 이르기까지의 부위를 하향 함몰시켜 형성된다.
즉, 상기 물받이부(322)의 공급수는 상기 제1급수유로(323)를 따라 상기 베드(330)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급수유로(323)는 상기 물받이부(322) 내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베드(330)에 이르기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테두리부(321)의 상면 중 상기 제1급수유로(323)가 함몰된 부위의 양측에는 상기 테두리부(321)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제1제방부(3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급수유로(323)를 따라 유동되는 공급수는 상기 제1제방부(324)에 의해 상기 제1급수유로(323)를 넘쳐 외부로 흘러 내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제방부(324)의 높이는 상기 물받이부(322)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제방부(324)의 경사는 상기 제1급수유로(323)의 경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드(330)는 베드조립체(300)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이다.
상기 베드(330)는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되도록 설치(첨부된 도 37 내지 도 39 참조)된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베드(330)만 재배실(121,122)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각 파드(10)를 분리하지 않고도 베드(330)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첨부된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330)는 평판 구조로 형성되며, 내측 부위에는 급수홈(331)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급수홈(331)은 각 파드(10)로 공급수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특히, 상기 베드(330)의 상면에는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을 이루는 제1급수유로(323)로부터 공급수를 전달받아 상기 급수홈(331)에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제2급수유로(333)가 형성된다.
상기 제2급수유로(333)는 상기 베드(330)의 후방측 상면 중 상기 제1급수유로(323)와 연결되는 부위로부터 상기 급수홈(331)에 이르기까지의 부위를 함몰하여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베드(330)의 상면 중 상기 제2급수유로(333)가 함몰된 부위의 양측에는 상기 베드(33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제2제방부(3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급수유로(333)를 따라 유동되는 공급수는 상기 제2제방부(334)에 의해 상기 제2급수유로(333)를 넘쳐 외부로 흘러 내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제방부(334)의 높이는 상기 제1제방부(324)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제방부(334)의 경사는 상기 제2급수유로(333)의 경사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330)와 테두리프레임(320) 간의 대향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돌부(341)(첨부된 도 15 및 도 16 참조) 및 요철요부(342)(첨부된 도 19 내지 도 21 참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철돌부(341) 및 요철요부(342) 간의 맞물림으로 인해 베드(330)와 테두리프레임(320)이 서로 정확히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베드(330)의 인출 혹은, 인입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서 베드(330)와 테두리프레임(320) 간의 정확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요철돌부(341)는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의 테두리부(321)를 이루는 둘레바닥(321e)의 내면으로부터 내향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요부(342)는 상기 베드(330)의 양측 내면 및 후방측 내면에 요입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요철요부(342)의 후방측 양 끝단 요입 높이는 그의 전방측 부위의 요입 높이에 비해 상하로 더욱 큰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요철요부(342)의 후방측 끝단에 대한 요입 높이를 높게 형성함으로써 해당 베드(330)를 테두리부(321)로부터 취출한 후 다시 결합할 때 요철돌부(341)에 원활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요철돌부(341)는 상기 베드(330)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요철요부(342)는 상기 테두리프레임(3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드(330)의 전방측 부위에는 손잡이홈(335)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홈(335)은 사용자가 상기 베드(330)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제공되는 홈이다.
이러한 손잡이홈(335)은 상기 베드(330)의 전방측 끝단 저면으로부터 상향 요입되게 형성(첨부된 도 20 참조)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홈(335)은 전방측 끝단 상면으로부터 하향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베드(330)의 전면에 내향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330)에 형성된 급수홈(331) 내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급수홈(331)의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댐부(33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댐부(336)는 베드(330)의 좌우 방향으로 긴 장형의 돌출 부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댐부(336)를 기준으로 상기 급수홈(331)은 원형 링이나 타원형 링 혹은, 사각형 링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복수의 파드(10)가 베드조립체(30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의 열을 이루면서 안착될 때 전방측 열의 파드(10)들은 후방측에 흡수관(12)이 위치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급수홈(331) 내의 각 부위 중 댐부(336)의 전방측 부위에 위치되고, 후방측 열의 파드(10)들은 전방측에 흡수관(12)이 위치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급수홈(321) 내의 각 부위 중 댐부(336)의 후방측 부위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댐부(336)는 상기 급수홈(331)의 바닥에 비해 상향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급수가 잔존하지 않으며, 각 파드(10)의 흡수관(12)이 위치되는 부위로만 공급수를 정확히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홈(331) 내의 바닥면 중 상기 제2급수유로(333)와 연통되는 부위에는 유동안내홈(337)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급수유로(333)를 따라 유동되는 공급수는 급수홈(331) 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안내홈(337)의 안내를 받아 상기 급수홈(331)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다른 한 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안내홈(337)은 상기 급수홈(331) 내의 바닥면에 비해 더욱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안내홈(337)의 타측 끝단은 상기 급수홈(331) 내의 어느 한 측을 향하도록 상기 유동안내홈(337)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라운드(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급수홈(331) 내의 바닥면에는 센싱용돌부(338)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센싱용돌부(338)의 상면은 급수홈(331) 내의 바닥면에 비해서는 높게 위치됨과 동시에 베드(330)의 상면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드(330)의 상면 전방측에는 베드커버(310)의 얹힘돌기(314)를 받쳐주는 받침턱(339)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턱(339)에 의해 베드커버(310)가 더욱 정확히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드조립체(300)는 전면커버체(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체(350)는 테두리프레임(320)을 이루는 테두리부(321)의 개방된 전면에 제공된다. 이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전면커버체(350)는 베드(330)의 전면을 가로막거나 혹은, 베드(33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동작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전면커버체(350)가 베드(330)의 전면을 가로막아 재배실(121,122) 내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베드(330)의 인출시에는 베드(33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동작되면서 상기 베드(330)의 인출에 따른 간섭을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전면커버체(350)는 양측면 상단이 상기 테두리부(321)의 두 측벽단(321a)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351)로 결합된다. 즉, 상기 힌지(351)를 기준으로 전면커버체(350)를 회전시킴으로써 테두리부(321)의 전면이 개방되거나 혹은, 가로막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힌지(351)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조작이 발생되지 않는 한 전면커버체(35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전면커버체(350)에는 구속후크(3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후크(352)는 상기 전면커버체(3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두 측벽단(321a)의 적어도 어느 한 전면에 형성된 후크홈(321g)에 걸려 구속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반복적인 구속후크(352)의 가압 조작에 의해 상기 구속후크(352)가 후크홈(321g)에 구속되거나 혹은, 구속 해제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전면커버체(350)의 전면은 개폐도어(130)의 내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전면커버체(350)의 전면과 상기 개폐도어(130)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도록 한다. 즉, 상기 틈새를 통해 공기가 상측의 재배실(121)과 하측의 재배실(122)을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하측의 재배실(122)을 유동한 공기는 상기 틈새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개폐도어(130)의 표면에는 습기가 발생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드조립체(3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각 베드조립체(300)는 재배실(121,122) 내에 서로 상하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각 베드조립체(300) 간의 상하 이격 거리는 재배실(121,122) 내의 크기나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재배실(121,122) 내의 양측 벽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레일(101)을 높낮이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각 베드조립체(300) 간의 상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조명모듈(401,402)에 대하여 첨부된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명모듈(401,402)은 재배실(121,122) 내의 베드(300)에 얹힌 각 파드(10)로 광원을 조사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조명모듈(401,402)의 제공에 의해 밀폐형의 재배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식물에 지속적인 광원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조명모듈(401,402)은 LED(421)로써 광원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모듈(401,402)은 외관을 형성하는 조명케이스(410)와, LED(421)가 실장되는 회로기판(420) 및 조명케이스(410)를 덮는 조명커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케이스(410)는 회로기판(420)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와 함께, 상기 조명케이스(410)에는 복수의 조사공(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420)은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상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420)에 실장된 각 LED(421)는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각 조사공(411)을 통해 광원을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430)는 조명케이스(410)의 저면을 가로막도록 결합되어 재배실(121,122) 내로 노출되면서 각 회로기판(420)을 재배실(121,122) 내의 수분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조명커버(430)의 표면은 빛의 확산을 위한 코팅이나 표면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각 LED(421)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이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재배실(121,122) 내의 전 부위로 고르게 분산되어 제공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상면은 상면커버(460)로 감싸여지도록 설치된다.
한편, 이너케이스(120) 내의 재배실(121,122)을 상하의 두 재배공간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명모듈(401,402)은 이너케이스(100) 내의 상측 벽면에 구비되는 제1조명모듈(401)과, 상측 재배실(121)과 하측 재배실(122)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면서 하측 재배실(122)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제2조명모듈(402)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즉, 상기 제2조명모듈(402)이 두 재배실(121,122)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벽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획 벽이 제공되지 않아도 되며, 이로써 각 재배실(121,122)의 크기가 최대한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조명모듈(402)은 후술될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슈라우드(520)에 후단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조명모듈(402)의 상면에는 잔수 감지센서(440)가 구비된다. 상기 잔수 감지센서(440)는 상측 재배공간에 수납되는 베드(330)의 급수홈(331)에 잔존하는 잔존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잔수 감지센서(440)는 베드(330)의 저부 중 센싱용돌부(338)가 형성된 부위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센싱용돌부(338)의 상면에 잔존수가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급수홈(331) 내의 잔수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잔수 감지센서(440)는 정전용량식의 센서로 구성하여 상기 급수홈(331) 내의 잔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잔수 감지센서(440)는 도시되지 않은 여타의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로팅 방식과 같은 기구식 센서 혹은, 두 전극을 이용하는 전자식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조명모듈(402)의 상면에는 온도센서(4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450)는 재배실(121,122)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제어모듈(600)에 의한 공기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은, 순환팬 어셈블리(500)에 대하여 도 6 및 도 7과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재배실(121,12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캐비넷(100) 내의 공간 중 재배실(121,122)의 후방측 공간에 구비되며, 해당 재배실(121,122) 내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해당 재배실(121,122) 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각 재배실(121,122)마다 하나씩 제공될 수도 있고, 하나의 순환팬 어셈블리(500)로써 모든 재배실(121,122)에 대한 공기 순환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가 상기 각 재배실(121,122)마다 하나씩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 즉, 각 순환팬 어셈블리(500)에 의해 각각의 재배실(121,122)에 대한 공기 순환이 동일 혹은, 달리 이루어지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재배실(121,122)별로 공기 순환이 달리 이루어지게 제어된다면 각 재배실(121,122)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재배 환경을 요구하는 식물도 동시에 재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순환팬(510)과, 슈라우드(520) 및 구획격벽(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팬(510)은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동되는 팬이다. 상기 순환팬(5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방사 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슈라우드(520)는 상기 순환팬(510)이 설치되면서 순환팬(51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슈라우드(520)에는 순환팬(510)이 설치되는 설치공(5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슈라우드(520)의 전면에는 상기 순환팬(510)을 통해 캐비넷(100) 내의 후방측 공간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재배실(121,122) 내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5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522)는 상기 순환팬(510)의 방사 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해당 재배실(121,122) 내의 상측 공간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획격벽(530)은 상기 슈라우드(520)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재배실(121,122)로부터 상기 슈라우드(520)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부위이다.
즉, 상기 구획격벽(530)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로부터 순환팬(5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구획격벽(530)의 하단측 부위는 재배실(121,122) 내부에 대하여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로써 상기 재배실(121,122) 내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개방된 구획격벽(530) 하단측 부위를 통해 캐비넷(100) 내의 후방측 공간으로 유동된 후 해당 공간에 위치된 증발기(630)와 열교환되며, 계속해서 상기 순환팬(510)의 송풍력 및 슈라우드(522)의 유동 안내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구획격벽(530)의 양측면은 이너케이스(120) 내의 양측 벽면 혹은, 배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슈라우드(520)는 상기 구획격벽(530)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은, 온도제어모듈(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온도제어모듈(600)은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재배실(121,122)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조절를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온도제어모듈(600)은 압축기(610)와 응축기(620)와 증발기(630)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한 냉동시스템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610)와 응축기(620)는 기계실용 프레임(200) 내의 기계실(201)에 구비된다. 이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620)는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 내의 분리격벽(230)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된 두 공간 중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응축기(620)를 통과한 공기가 경유하는 부위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분리격벽(230)에 의해 분할된 두 공간 중 공기가 유출되는 측의 공간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기계실(201) 내로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620)를 우선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압축기(610)는 다량의 열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공기가 압축기(610)를 지난 후 응축기(620)와 열교환되도록 구성될 경우 그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압축기(610)보다 응축기(620)를 먼저 지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응축기(620)는 상기 기계실(201) 내의 전방측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기계실(201) 내의 후방측 공간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압축기(610)와 응축기(620)의 위치를 최대한 구획됨과 더불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610)의 고온 열기가 응축기(620)에 영향을 미침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방측 부위인 압축기(610)의 공기 유입측에는 방열팬(611)이 구비되면서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610)를 방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열팬(611)은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방측 부위에서 응축기(620)가 위치된 공기 유입측 공간과 압축기(610)가 위치된 공간을 사실상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압축기(610)의 고온 열기가 응축기(620)에 영향을 미침을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증발기(630)는 이너케이스(120) 내의 각 부위 중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후방측 공간에 배치된다. 즉,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동작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해당 재배실(121,122) 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순환 동작시 상기 공기가 상기 증발기(6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증발기(630)는 판형 증발기로 구성됨으로써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공간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좁은 공간에서의 열교환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온도제어모듈(600)에는 전기히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통상의 실내 환경보다 더욱 고온의 환경에서 서식하는 식물을 재배 할 경우 상기 전기히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급수모듈(7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급수모듈(700)은 베드(330)의 급수홈(331)으로 공급수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급수모듈(700)이 공급수를 미리 저장한 상태에서 급수가 필요시 그 필요한 양만 상기 베드(300)로 펌핑하여 급수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즉, 종래에는 공급수를 필요한 양만큼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물저장부에 공급수를 충분히 저장한 상태에서 이 저장된 공급수를 흡수부재로 토양에 공급하는 방식이며, 이때 상기 공급수에는 양액이 혼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공급수의 오염에 따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드(10)의 배지(11)에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공급수는 필요한 양만큼만 공급되면서 워터탱크(710) 이외의 부위에는 잔수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급수의 오염으로 인한 냄새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급수모듈(700)은 워터탱크(710)와, 워터펌프(720) 및 공급호스(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워터탱크(710)는 공급수가 저장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워터탱크(710)는 상부로 개방된 사각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120) 내의 바닥면과 베드(30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120) 내의 바닥면과 베드(300) 사이에는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상면플레이트(214) 중 일부가 기계실(201) 내의 압축기(610)의 높이로 인해 상향 돌출되는 틈새가 형성됨을 고려할 때, 이러한 틈새에 상기 워터탱크(710)를 위치시킴으로써 재배실(121,122) 내의 재배공간에 대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워터탱크(710)는 상기 캐비넷(100) 내의 전방측 공간에 위치되면서 캐비넷(100)의 전방으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기계실(201)의 경우 압축기(610)의 높이로 인해 후방측이 높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기계실(201)의 상향 돌출 부위로 인해 마련되는 이너케이스(120) 내의 저부측 공간 중 전방측 공간에 워터탱크(710)를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 내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워터탱크(7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102)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워터탱크(710)는 개폐도어(130)의 개방에 의해 실내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도어(130)가 재배실(121,122)뿐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710)까지도 가로막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개폐도어(130)의 개방시 상기 워터탱크(710)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워터탱크(710)를 취출하여 공급수를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워터탱크(710)의 전면에는 손잡이(711)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711)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710)를 서랍식으로 취출하거나 혹은, 인입하면 된다.
특히, 상기 워터탱크(710)의 손잡이(711) 역시 베드(300)의 전면커버체(350)와 같이 개폐도어(130)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손잡이(711)의 전면과 상기 개폐도어(130)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워터펌프(720)는 상기 워터탱크(710) 내의 공급수를 펌핑하는 펌프이다.
이러한 워터펌프(720)는 이너케이스(120) 내의 저부측 공간 중 상기 워터탱크(710)가 설치되는 부위의 후방측 공간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탱크(710)와 상기 워터펌프(720) 사이에는 설치프레임(740)이 구비되며, 상기 워터펌프(720)는 상기 설치플레임(74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설치프레임(740)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710)의 취출시 상기 워터펌프(720)가 외부로 노출됨이 방지되며, 상기 워터펌프(720)가 항상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740)의 전면에는 상기 워터탱크(710)의 취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741)(첨부된 도 31 참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741)는 근접센서로 구성되면서 상기 워터탱크(710)가 인접될 경우 해당 워터탱크(710)가 장착되었음으로 판단한다. 물론, 상기 감지부(741)는 접촉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감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프레임(740)의 상면에는 그 상측에 위치되는 드(300)의 급수홈(331)에 잔존하는 잔수를 감지하는 잔수 감지센서(742)가 설치된다.
특히, 잔수 감지센서(742)는 베드(330)의 저부 중 센싱용돌부(338)가 형성된 부위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센싱용돌부(338)의 상면에 잔존수가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급수홈(331) 내의 잔수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잔수 감지센서(742)는 정전용량식의 센서로 구성하여 상기 급수홈(331) 내의 잔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잔수 감지센서(742)는 도시되지 않은 여타의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로팅 방식과 같은 기구식 센서 혹은, 두 전극을 이용하는 전자식 센서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프레임(740)의 전면에도 잔수 감지센서(74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프레임(740)의 전면에 설치되는 잔수 감지센서(743)는 상기 워터탱크(710) 내의 공급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호스(730)는 상기 워터펌프(720)에 의해 펌핑된 공급수를 각 베드(300)로 공급하는 연결 호스이다.
이러한 공급호스(730)는 일단이 상기 워터펌프(720)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베드조립체(300)를 이루는 테두리프레임(320)의 물받이부(322) 직상방에 위치(첨부된 도 14 참조)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급수모듈(700)을 이루는 워터탱크(710)의 개방된 상면은 개폐덮개(750)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개폐덮개(750)에는 상기 워터탱크(710) 내에 저장된 공급수를 워터펌프(720)로 전달하도록 워터펌프(720)에 연결되는 급수연결관(76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워터펌프(720)가 상기 워터탱크(710)에 직접 결합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급수연결관(7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워터탱크(710)만 캐비넷(100)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연결관(760)은 상기 개폐덮개(750)의 후방측 저면으로부터 상기 워터탱크(710) 내로 돌출된 급수관(761)과, 상기 급수관(761)의 상단 후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워터펌프(720)에 연결되는 연결관(7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워터탱크(710)의 수납시에는 상기 연결관(762)이 상기 워터펌프(720)에 연결되면서 상기 워터펌프(72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710) 내부의 공급수가 공급호스(730)로 펌핑될 수 있고, 상기 워터탱크(710)의 취출시에는 상기 연결관(762)이 상기 워터펌프(7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급수관(761)은 상기 워터탱크(710) 내의 바닥에 이르기까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워터탱크(710) 내의 공급수 보충 주기를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 부호 745는 워터탱크(710) 내의 공급수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에는 디스플레이모듈(8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해당 식물 재배장치의 각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을 통해 표시되는 각 상태는 재배실(121,122) 내의 온도, 재배 시간, 동작 여부 표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디스플레이모듈(800)은 터치식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버튼식이나 스위치식으로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캐비넷(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개폐도어(1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이 개폐도어(130)에 구비된다면 각종 신호선이나 전원선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캐비넷(100)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개폐도어(130)의 내측 부위를 이루는 투시창(132)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유리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각 조명모듈(401,402) 중에서도 제2조명모듈(402)의 전방에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작용을 각 과정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파드(10)의 제공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새로운 파드(10)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폐도어(130)를 열어 이너케이스(120) 내의 재배실(121,122)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 재배실(121,122)에 위치된 베드조립체(300) 전체를 취출한다.
이때, 상기 베드조립체(300)는 제1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120) 내의 재배실(121,122)로부터 취출된다. 물론, 상기 베드조립체(300)는 완전히 취출하지 않고 파드(10)의 안착 작업이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만 취출될 수도 있다.
이의 상태에서 준비된 파드(10)의 보호필름(도시는 생략됨)을 제거한 후 해당 파드(10)를 베드커버(310)의 각 안착홈(312,313)에 얹는다.
이때, 상기 파드(10)는 그의 저면에 형성된 흡수관(12)이 상기 안착홈(312,313)에 형성된 관통공(312a,313a)과 일치되도록 설치하며, 이로써 상기 파드(10)는 상기 안착홈(312,313) 내에 일부가 수납된 상태로 안착된다.
만일, 상기 베드커버(310)의 안착홈(312,313)에 식물 재배가 완료된 파드(10)가 존재한다면 해당 파드(10)를 베드커버(310)로부터 취출한 후 해당 안착홈(312,313)에 새로운 파드(1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파드(10)의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베드조립체(300)를 밀어 재배실(121,122) 내로 수납한다.
상기한 작업은 상측 재배실(121)의 베드조립체(300) 및 하측 재배실(122)의 베드조립체(300) 중 어느 한 곳 혹은, 두 곳 모두 순차적 혹은,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다음은, 재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된 설명에서와 같이 재배실(121,122) 내의 각 베드조립체(300)에 파드(10)가 제공된 상태에서는 해당 파드(10)에 심겨진 씨앗의 발아 혹은, 발아된 씨앗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의 유지와 광량 제공 및 공급수 급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20)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수가 있고, 사용자가 일일이 지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가 기본적으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프로그램은 각 식물의 종류나 재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는 디스플레이모듈(800)의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즉, 재배실(121,122) 내에 파드(10)가 설치된 베드조립체(300)가 제공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모듈(800)을 조작하여 재배 운전을 수행하게 되면 제어부(20)는 온도제어모듈(600)과 순환팬 어셈블리(500)와, 조명모듈(401,402) 및 급수모듈(700)을 제어하면서 해당 식물을 자동으로 재배한다.
여기서, 온도제어모듈(600)의 동작이 제어되면 압축기(610)와 응축기(620)와 증발기(630)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 및 방열팬(611)이 동작되면서 냉동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냉동 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기계실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된 흡토출그릴(220)의 흡입구(221)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기계실 내로 흡입됨과 더불어 상기 흡토출그릴(220)의 토출구(222)를 통해 상기 기계실 내를 경유한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21)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응축기(620)와 방열팬(611) 및 압축기(6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열교환 및 방열한 후 토출구(22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 냉동 운전시에는 순환팬 어셈블리(500)를 이루는 순환팬(510)이 동작된다.
이에 따라,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순환팬(510)을 통과하여 재배실(121,122) 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해당 재배실(121,122) 내를 유동한 후 재배실(121,122) 후방에 위치된 구획격벽(530)의 하단측 개방 부위를 통해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공간으로 유동되며, 계속해서 해당 공간에 위치된 증발기(630)와 열교환된 다음 상기 순환팬(510)의 송풍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면서 상기 재배실(121,122) 내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순환팬(510)의 동작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의 공기 순환이 반복되는 도중에는 해당 재배실(121,122)의 후방측 공간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는 도중 해당 공간에 위치된 증발기(6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다음 각 순환팬 어셈블리(500)를 통해 각 재배실(121,122) 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재배실(121,122) 내로 유입된 공기는 해당 재배실(121,122) 내부를 유동하면서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게 되며, 이로써 재배 식물은 최적의 온도 조건에서 재배될 수 있다.
한편, 상측의 재배실(121)을 순환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측 베드조립체(300)의 전면과 개폐도어(13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하측의 재배실(122)로 유동되고, 하측의 재배실(121)을 순환하는 공기 중 일부는 하측 베드조립체(300)의 전면과 개폐도어(13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각 틈새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개폐도어(130)의 표면에는 습기가 발생됨이 방지된다.
또한, 재배 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조명모듈(401,402)의 동작도 제어된다.
이러한 조명모듈(401,402)의 동작 제어에 의해 LED(421)는 주기적으로 점등(혹은, 지속적으로 점등)되면서 재배실(121,122) 내의 식물로 광원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상기 조명모듈(401,402)의 제어에 의한 LED(421)의 발광이 이루어지더라도 개폐도어(130)를 이루는 투시창(132)의 보호필름(혹은, 어두운 색상의 투시창)(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의 빛이 실내로 투과되어 비침을 최소화하여 실내 사용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재배 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급수모듈(700)의 동작 제어도 주기적(혹은, 필요시)으로 이루어진다.
즉, 재배 식물이 결정되어 급수 주기가 결정되면 해당 급수 주기마다 워터펌프(72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워터펌프(720)의 동작 제어시 감지부(741)의 감지에 의해 워터탱크(710)가 존재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워터펌프(720)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반면, 감지부(741)가 워터탱크(710)의 존재를 확인한다면 상기 워터펌프(720)가 동작되면서 워터탱크(710) 내에 저장된 공급수를 각 베드(30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수는 급수연결관(760)을 통해 워터펌프(720)로 펌핑되며, 공급호스(730)를 통해 각 베드조립체(300)의 물받이부(322)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322)로 공급된 공급수는 상기 물받이부(322)에 연결된 제1급수유로(323)의 안내를 받아 베드(330)의 제2급수유로(333)에 전달된 후 상기 제2급수유로(333)를 따라 급수홈(331)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급수유로(323) 및 제2급수유로(333)의 양측에는 제방부(324,334)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급수는 상기 각 급수유로(323,333)를 따라 급수홈(331) 내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급수유로(323,333)와 급수홈(331) 간의 연통 부위에는 유동 안내홈(33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홈(331)은 댐부(336)가 중앙 부위에 위치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각 급수유로(323,333)에 안내되어 상기 급수홈(331)의 어느 한 부위로 유동된 공급수는 상기 유동 안내홈(337)의 안내를 받아 상기 급수홈(331)의 어느 한 부위로부터 타측 부위를 향해 유동되면서 해당 급수홈(321) 내를 순차적으로 채우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이렇게 급수홈(331)에 채워지는 공급수는 상기 급수홈(3361) 내의 공급수에 닿도록 설치된 각 파드(10)의 흡수관(12)을 통해 해당 파드(10)의 배지(11)로 흡수되어 식물로 공급된다.
한편, 전술된 급수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잔수감지센서(440,742)에 의해 급수홈(331) 내의 공급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즉, 잔수감지센서(440,742)가 급수홈(331)의 센싱용돌부(338) 표면에 공급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되고, 만일 공급수가 존재함으로 확인된다면 워터펌프(720)의 동작을 정지하여 더 이상 공급수가 급수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잔수감지센서(440,742)를 이용한 급수 방식은 베드(330)의 급수홈(331)에 잔수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필요로 하는 양만큼 급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급수로 인한 잔수 발생 및 이렇게 발생된 잔수의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식물이 자랄 수록 점차 많은 공급수가 필요함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식은 해당 식물에 의한 수분의 흡수가 많이 될 수록 더욱 많은 양이 급수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이 자라는 과정에서는 필요로 하는 수분양이 달라지더라도 항상 적절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베드(330)의 청소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드(330)의 급수홈(331)은 수시로 세척(또는, 청소)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파드(10)로의 급수가 필요한 양만큼 수행됨으로써 상기 급수홈(331)에 잔존수를 남기지 않는 방식으로 식물을 재배하지만, 파드(10)에 존재하는 배지의 일부가 급수홈(331) 내에 낙하되어 잔존하거나, 급수홈(331) 내로 공급된 공급수의 일부가 예상치 못한 원인(예컨대, 급수 오류 등)에 의해 잔존하거나 혹은, 여타의 이유로 베드(330)를 주기적으로 세척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베드(330)의 세척시에는 재배 식물이 존재하는 파드(10)는 분리 혹은, 취출하지 않고 베드(330)만 재배실(121,122)로부터 취출한 후 세척한다.
즉, 베드(330)의 세척시에는 베드조립체(300) 전체를 재배실(121,122)로부터 취출하지 않고 베드(330)만 취출하여 세척함으로써 베드조립체(300) 전체를 취출함으로써 야기되는 불편함(예컨대, 각 파드의 분리 및 베드커버의 분리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베드(330)를 세척하는 동안에도 파드(10)에 심겨진 재배 식물은 재배실(121,122) 내의 최적 재배 환경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베드(330)의 취출시에는 베드조립체(300)를 이루는 전면커버체(350)를 조작한다. 즉, 상기 전면커버체(350)를 회전시켜 베드(330)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한 후 상기 베드(330)의 손잡이홈(335)을 파지한 상태로 해당 베드(330)를 인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베드(330)를 인출하면 이 베드(330)의 요철요부(342)는 테두리프레임(320)의 요철돌부(341)에 안내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전방으로 취출된다.
따라서, 베드조립체(300) 중 베드(330)만 인출되며, 이렇게 인출된 베드(330)의 각 부위를 세척한 후 인출과는 역순으로 테두리프레임(320)에 장착한다.
한편, 식물의 재배가 완료되면 전술된 각 파드의 제공 과정과 같이 베드조립체(300) 전체를 재배실(121,122)로부터 취출한 후 각 파드(10)를 베드커버(310)로부터 분리하고, 이후 새로운 파드(10)들을 베드커버(310)에 순차적으로 장착시킨다.
물론, 베드커버(310)를 교체함으로써 새로운 파드(10)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재배가 완료된 파드(10)들이 장착된 베드커버(310)를 새로운 파드(10)들이 장착된 베드커버(310)를 일괄적으로 교체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조립체(300)가 각 재배실(121,122)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재배 공간이 최대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330)의 급수홈(331)에 공급되는 공급수는 일정 높이(수위 센서가 센싱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 이상은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각 파드(10)로는 필요한 양만 수시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수되어 상기 급수홈(331)에 잔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잔수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재배실(121,122) 내의 오염이나 악취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파드(10)가 얹힌 베드커버(310)를 필요에 따라 재배실(121,122)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파드(10)의 교체 등을 위한 작업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파드(10)가 얹힌 베드커버(310)는 취출하지 않고 베드(330)만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베드(330)의 세척이나 유지 보수가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330)와 테두리프레임(320) 간의 분리 부위가 전면커버체(3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개폐도어(130)를 투시 가능한 재질(예컨대, 유리)로 형성할 수 있어서 식물 재배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고급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전면커버체(350)에 의해 베드(330)의 세척이나 유지 보수시에만 베드(330)가 노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베드(330)의 원치않는 취출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각 급수유로(323,333) 및 제방부(324,334)의 구조로 인해 급수홈(331) 내로 공급수가 공급될 때 베드(330)의 주위로 상기 공급수가 넘쳐 흐름이 방지되면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 파드 11. 상토
12. 시드페이퍼 13. 브릭
14. 패킹부재 15. 보호지
16. 돌출부 17. 제1흡수부재
18. 제2흡수부재 100. 캐비넷
101,102. 가이드레일 110. 아웃케이스
120. 이너케이스 121,122. 재배실
130. 개폐도어 131. 도어프레임
132. 투시창 200. 기계실용 프레임
201. 기계실 202. 방열공
211. 바닥플레이트 212. 측면플레이트
213. 배면플레이트 214. 상면플레이트
220. 흡토출그릴 221. 흡입구
222. 토출구 230. 분리격벽
240. 응축수받이 300. 베드조립체
310. 베드커버 311. 얹힘턱
312. 전열측 안착홈 313. 후열측 안착홈
312a,313a. 관통공 314. 얹힘돌기
320. 테두리프레임 321. 테두리부
321a. 측벽단 321b. 후벽단
321c. 얹힘단 321d. 레일가이드
321e. 둘레바닥 321f. 제2얹힘홈
321g. 후크홈 322. 물받이부
322a. 제1얹힘홈 323. 제1급수유로
324. 제1제방부 330. 베드
331. 급수홈 333. 제2급수유로
334. 제2제방부 335. 손잡이홈
336. 댐부 337. 유동안내홈
338. 센싱용돌부 339. 받침턱
341. 요철돌부 342. 요철요부
350. 전면커버체 351. 힌지
352. 구속후크 401,402. 조명모듈
410. 조명케이스 411. 조사공
420. 회로기판 421. LED
430. 조명커버 440,742. 잔수 감지센서
450. 온도센서 500. 순환팬 어셈블리
510. 순환팬 520. 슈라우드
521. 설치공 522. 에어가이드
530. 구획격벽 600. 온도제어모듈
610. 압축기 620. 응축기
630. 증발기 700. 급수모듈
710. 워터탱크 720. 워터펌프
730. 공급호스 740. 설치프레임
741. 감지부 745. 수위 감지센서
750. 개폐덮개 760. 급수연결관
761. 급수관 762. 연결관
800.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20)

  1. 재배실을 가지는 캐비넷;
    캐비넷 내의 바닥에 위치되는 급수모듈;
    상기 급수모듈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급수모듈로부터 공급수를 공급받는 베드조립체;
    상기 베드조립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양액물질이 포함된 상토를 가지는 파드;
    상기 베드조립체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식물 재배를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베드조립체는
    상기 파드가 얹히는 안착홈이 함몰 형성된 베드커버와,
    공급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진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테두리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급수홈이 함몰 형성된 베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조립체의 테두리프레임은 상기 캐비넷 내의 재배실로부터 전후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조립체의 테두리프레임은
    테두리프레임의 둘레측 벽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전면은 개방되게 형성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어느 한 외벽에 형성되면서 공급수를 급수받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로 급수받은 공급수를 상기 베드 내로 안내하는 제1급수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측 벽면의 외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커버에는 얹힘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에는 상기 얹힘돌기가 요입되는 얹힘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얹힘홈은 상기 테두리부와 물받이부 간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제1얹힘홈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얹힘홈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얹힘홈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얹힘돌기의 저부 끝단은 라운드지게 말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상면에는 상기 얹힘돌기의 전면을 받쳐주는 받침턱이 상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상면에는 상기 제1급수유로로부터 전달받은 공급수를 상기 급수홈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급수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유로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면을 하향 함몰시켜 형성하고,
    상기 제2급수유로는 상기 베드의 상면 후방측 부위를 하향 함몰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유로와 제2급수유로는 상기 물받이부로부터 상기 베드에 형성된 급수홈의 표면 높이에 이르기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제1급수유로가 함몰된 부위의 양측에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제1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드의 상면 중 상기 제2급수유로가 함몰된 부위의 양측에는 상기 베드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제2제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조립체를 이루는 베드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홈은 상기 베드의 전방측 끝단 저면으로부터 상향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상기 베드조립체의 둘레 부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드는 상기 베드조립체의 바닥 부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조립체를 이루는 테두리프레임과 베드 간의 대향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돌부 및 요철요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돌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양측 내면과 후방측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요철요부는 상기 베드의 양측 내면 및 후방측 내면에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는 그의 전면이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전면에 비해 더욱 테두리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베드의 전면을 가로막는 전면커버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체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베드의 전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KR1020190131609A 2019-10-22 2019-10-22 식물 재배장치 KR20210047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09A KR20210047705A (ko) 2019-10-22 2019-10-22 식물 재배장치
US17/771,435 US20220361420A1 (en) 2019-10-22 2020-08-19 Plant cultivation apparatus
PCT/KR2020/011007 WO2021080144A1 (en) 2019-10-22 2020-08-19 Plant cultivation apparatus
EP20878261.5A EP4048060A4 (en) 2019-10-22 2020-08-19 PLANT GROW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09A KR20210047705A (ko) 2019-10-22 2019-10-22 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05A true KR20210047705A (ko) 2021-04-30

Family

ID=7561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609A KR20210047705A (ko) 2019-10-22 2019-10-22 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61420A1 (ko)
EP (1) EP4048060A4 (ko)
KR (1) KR20210047705A (ko)
WO (1) WO2021080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1221B (zh) * 2021-06-10 2022-08-19 赣州市和裕实业有限公司 一种食用菌栽培温控辅助装置
USD1019715S1 (en) * 2021-12-13 2024-03-26 Lg Electronics Inc. Pod for indoor plant cultivator
USD1021978S1 (en) * 2021-12-13 2024-04-09 Lg Electronics Inc. Pod for indoor plant cultivat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420A (ko) 2010-07-14 2012-01-20 조태인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KR20120028040A (ko) 2010-09-14 2012-03-22 황영모 고효율 식물 재배 장치
KR200465385Y1 (ko) 2011-06-14 2013-02-15 이현주 식물 재배 장치
KR101240375B1 (ko) 2012-10-26 2013-03-07 (주)우성하이텍 식물재배장치
KR200467246Y1 (ko) 2010-07-16 2013-06-04 대한민국 가정용 식물 공장
KR101400375B1 (ko) 2013-10-18 2014-06-03 윤병섭 식물재배장치
KR101422636B1 (ko) 2013-03-21 2014-07-24 김동열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6831B1 (ja) * 2012-10-12 2013-07-17 邦彦 山中 植木鉢用受皿
WO2014190798A1 (zh) 2013-05-30 2014-12-04 海尔集团公司 蔬菜保鲜种植箱及蔬菜保鲜种植箱的管路连接控制方法
CN103416292B (zh) * 2013-09-11 2015-07-22 王爱武 家用全自动蔬菜种植机
EP3358940A4 (en) * 2015-10-08 2019-07-03 Massivia Grow Holdings LLC GROWTH SYSTEMS AND METHODS
KR101818644B1 (ko) * 2016-01-21 2018-01-31 (주)디케이에코팜 식물 재배 장치
EE01401U1 (et) * 2016-06-03 2017-07-17 Natufia Labs Oü Hüdropooniline taimekasvatuskapp
CN106489707B (zh) * 2017-01-06 2022-04-19 中国农业大学 一种室内微纳米气泡水培装置
TR201708590A2 (tr) * 2017-06-09 2018-12-21 Arcelik As Işik şi̇ddeti̇ kontrol edi̇len bi̇r bi̇tki̇ yeti̇şti̇rme kabi̇ni̇
CN207022807U (zh) * 2017-07-07 2018-02-23 江苏白雪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栽培装置
KR102013939B1 (ko) * 2017-09-08 2019-08-23 주식회사 교원 가정용 식물재배기
CN207531574U (zh) * 2017-10-30 2018-06-26 江苏白雪电器股份有限公司 植物栽培柜
TR201720201A2 (tr) 2017-12-12 2019-06-21 Arcelik As Bi̇r bi̇tki̇ yeti̇şti̇rme kabi̇ni̇
US10709076B2 (en) * 2017-12-20 2020-07-14 Treant Protector Pte. Ltd. Smart cabinet for home gardening
KR102024508B1 (ko) * 2017-12-29 2019-11-04 (주)유양디앤유 식물재배장치
CN107950253A (zh) * 2018-01-22 2018-04-24 温州大学新材料与产业技术研究院 一种带有激光植物灯的可移动鲜花培养柜
DE102018101698B3 (de) * 2018-01-25 2019-04-25 Agrilution Gmbh Vorrichtung zur Aufzucht von Pflanzen und Klimatisierungseinrichtung der Vorrichtung zur Aufzucht von Pflanzen
CN109362558A (zh) * 2018-12-17 2019-02-22 河南赛诺优农科技有限公司 无土栽培柜和无土栽培系统
KR102021578B1 (ko) * 2019-04-12 2019-09-16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러스 모판 단위로 식물 채취가 가능하며 배양액의 누수가 방지되는 IoT 기반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US10806100B1 (en) * 2019-10-18 2020-10-20 Mendel Systems, Inc. Grow cabinet and system for growing plan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420A (ko) 2010-07-14 2012-01-20 조태인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KR200467246Y1 (ko) 2010-07-16 2013-06-04 대한민국 가정용 식물 공장
KR20120028040A (ko) 2010-09-14 2012-03-22 황영모 고효율 식물 재배 장치
KR200465385Y1 (ko) 2011-06-14 2013-02-15 이현주 식물 재배 장치
KR101240375B1 (ko) 2012-10-26 2013-03-07 (주)우성하이텍 식물재배장치
KR101422636B1 (ko) 2013-03-21 2014-07-24 김동열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KR101400375B1 (ko) 2013-10-18 2014-06-03 윤병섭 식물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8060A4 (en) 2023-11-22
WO2021080144A1 (en) 2021-04-29
US20220361420A1 (en) 2022-11-17
EP4048060A1 (en)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9932B (zh) 植物育成裝置
KR10258964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47705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047702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059523A (ko) 파드 및 파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장치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EP4088564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20394936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47567A (ko) 식물 재배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 방법
JP6063667B2 (ja) 水耕栽培装置
US20230292677A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EP4129049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US2022039493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water supply method therefor
KR20210121743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53033A (ko) 식물 재배장치
KR20170088122A (ko) 자동 물 공급 장치를 갖는 새싹 재배기
KR20210047704A (ko) 식물 재배장치
JP2016163596A (ja) 水耕栽培装置
KR20210088358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47703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047706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121744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53032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121742A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602737B1 (ko) 캐비닛형 작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