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706A - 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706A
KR20210047706A KR1020190131610A KR20190131610A KR20210047706A KR 20210047706 A KR20210047706 A KR 20210047706A KR 1020190131610 A KR1020190131610 A KR 1020190131610A KR 20190131610 A KR20190131610 A KR 20190131610A KR 20210047706 A KR20210047706 A KR 20210047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machine room
room
air
plant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영
이태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706A/ko
Priority to PCT/KR2020/011119 priority patent/WO2021080146A1/en
Publication of KR2021004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기계실과 재배실이 서로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기계실을 통과하는 공기가 연통통로를 통해 재배실로 일부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상기 재배실 내부에 대한 환기 운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식물의 광합성에 소모되는 이산화탄소가 재배실 내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재배장치{plants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공기 순환과 빛의 공급 및 급수를 수행하면서 식물이 재배될 수 있도록 한 식물 재배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재배장치는 씨앗 상태의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실내에서 간편히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재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는 수경식 재배장치와 토양식 재배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경식 재배장치는 식물의 뿌리를 배양액이 공급된 물에 담근 상태로 재배하는 방식의 장치로써, 공개특허 제10-2012-0007420호(선행기술 1), 공개특허 제10-2012-0028040호(선행기술 2), 등록특허 제10-1240375호(선행기술 3), 등록특허 제10-1422636호(선행기술 4)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토양식 재배장치는 화분에 담긴 토양에 식물(혹은, 씨앗)을 심고, 이 화분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방식의 장치로써, 등록특허 제10-1400375호(선행기술 5)과,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46호(선행기술 6)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465385호(선행기술 7)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한편, 전술된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공간이 실내로 개방된 개방식 재배장치와, 상기 재배공간이 실내로부터 폐쇄된 밀폐식의 재배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선행기술 2의 경우 개방식 재배장치가 될 수 있고, 여타의 선행기술(선행기술 1, 선행기술 3 내지 선행기술 7)은 도어를 갖는 밀폐식 재배장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개방식 재배장치의 경우 실내로 개방되기 때문에 실내와 동일한 온도 조건으로 식물을 재배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식 재배장치는 실내로부터 폐쇄된 재배공간을 재배하면서 상기 실내와는 다른 온도 조건을 가지면서 식물을 재배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개방식 재배장치는 식물이 실내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내 환경을 식물 재배에 적합하게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식물 재배시 공급수의 오염으로 인한 악취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식물 재배장치는 밀폐식의 재배장치로 제공되면서 온도와 습도 및 광원 역시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식 기기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통상의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함과 더불어 산소를 방출하고, 호흡을 통해 산소를 흡수함과 더불어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특히,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낮에는 광합성으로 소모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호흡으로 방출되는 산소의 양보다 많아서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가 모두 광합성에 이용되고, 광합성을 하지 않는 밤에는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호흡만 하게된다.
이를 고려할 때 밀폐식 재배장치와 같이 공기가 재배실 내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의 경우 조명이 비치는 동안에는 광합성에 의해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필요로하지만, 식물이 광합성으로 방출하는 산소만이 계속해서 재배실 내에 순환되기 때문에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극히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밀폐식의 재배장치의 경우 낮시간 혹은, 조명을 비추는 시간 동안에는 이산화탄소의 부족 현상으로 인해 식물의 생장이 불량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식의 재배장치(선행기술 1, 선행기술 3 내지 선행기술 7)는 단순히 온도 조절이나 공기의 순환 및 광원의 제공을 위한 기능에만 주안점이 있을 뿐 해당 재배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로써 종래 일반적인 밀폐식 재배장치는 협소 공간(예컨대, 싱크대나 벽장 등)에 빌트인식으로의 설치가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식의 재배장치는 재배실 내부의 환기가 사실상 이루어지지 못하고 높은 습도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실내와 고내의 온도 차이 및 고내의 높은 습도로 인해 도어에 결로가 발생되어 내부 관측이 용이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2-0007420호 공개특허 제10-2012-0028040호 등록특허 제10-1240375호 등록특허 제10-1422636호 등록특허 제10-140037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4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5385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이 광합성으로 소모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내의 과도한 습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생육 불안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도어에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빌트인 방식과 같이 특정한 공간 내에 설치하더라도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 내부 공간과 기계실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재배실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기계실용 프레임에 의해 제공되는 기계실이 캐비넷에 제공되는 재배실의 저부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기계실 내의 공기 배출이 실내의 바닥을 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기계실용 프레임이 전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전방으로의 공기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재배실로부터 기계실에까지 연통되도록 연결된 관체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기계실 내의 공기가 재배실 내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에 환기팬이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공기의 강제 환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 내에 환기팬이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환기팬에 의한 공기 유동의 방해가 야기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환기팬이 기계실 내의 공기를 재배실 내로 송풍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기계실 내의 공기가 재배실 내에 필요시마다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와 재배실 내의 바닥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게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재배실 내의 바닥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베드와의 사이를 통해 재배실 내의 후방측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와 재배실 내의 바닥 사이로 연통통로가 연통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베드와 재배실 내의 바닥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캐비넷 내에 순환팬 어셈블리가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재배실 내의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조명모듈에 의해 상측 재배실과 하측 재배실이 구분 제공되고, 순환팬 어셈블리는 각 재배실의 후방측 부위에 각각 제공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각 재배실 별로 공기 순환을 달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베드 전면과 도어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도어에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캐비넷의 아웃케이스 저부에 기계실용 프레임이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기계실용 프레임이 제공하는 기계실 내의 공기 배출이 실내의 바닥을 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이너케이스의 저면과 기계실용 프레임의 상면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이너케이스의 저면과 기계실용 프레임의 상면 사이의 이격 부위에 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이너케이스의 저면과 기계실용 프레임의 상면 간의 대향면을 서로 연통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기계실 내의 공기가 재배실 내로 곧장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관체로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기계실 내의 공기가 재배실로 공급되는 도중 주변으로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환기팬이 동작되면서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재배실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식물의 광합성 및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조명모듈이 재배실 내로 조명을 공급할 때 환기팬이 동작되면서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재배실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식물의 광합성 및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기계실용 프레임 내의 기계실이 분리격벽이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기계실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 및 상기 기계실 내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로 구분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에는 재배실 내의 온도 제어를 위한 응축기가 위치됨과 더불어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에는 재배실 내의 온도 제어를 위한 압축기가 위치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응축기의 열교환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기계실의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와 연통되게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재배실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기계실 내의 각 부위 중 응축기의 공기 유출측과 압축기의 공기 유입측 사이의 부위에 연통되게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응축기로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재배실로도 충분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 중 재배실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부위는 상기 재배실 내의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에 더욱 인접되도록 위치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재배실 내로 유입된 기계실 내의 공기가 재배실 내의 후방측 공간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 내의 공기 순환을 위한 순환팬 어셈블리와, 기계실 내의 공기 유동을 위한 방열팬 및 재배실 내의 환기를 위한 환기팬이 동시에 제공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재배실 내의 환기 운전과 순환 운전을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아래의 각종 효과를 가지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물 재배장치는 기계실과 재배실이 서로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지면서도 연통통로를 통해 상기 기계실의 공기가 재배실로 일부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재배실 내부에 대한 환기 운전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 내로 실내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재배실 내에 재배되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이 광합성으로 소모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 내를 순환하는 공기가 도어의 표면을 거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투시창 표면에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 내부의 환기 운전으로 재배실 내의 과도한 습도를 줄일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식물의 생육 불안정을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밀폐형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기계실 전면으로의 공기가 흡입됨과 더불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빌트인 방식과 같이 특정한 협소 공간 내에 설치하더라도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관체로 형성됨에 따라 재배실과 기계실에 연통되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에 환기팬이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강제 송풍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환기팬이 기계실 내부 공간의 공기를 재배실 내부 공간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배실 내의 원활한 환기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는 재배실 내의 바닥(이너케이스의 바닥)과 베드 사이의 부위에 연통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재배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재배실 내의 바닥과 베드 사이의 부위를 따라 순환팬 어셈블리가 구비된 캐비넷 내의 후방측 공간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식물이 광합성할 때 환기팬이 동작되면서 재배실 내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식물이 원활히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기계실 내의 각 부위 중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에 연통되게 구성됨으로써 재배실 내로의 공기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기계실 중 응축기의 공기 유출측과 압축기의 공기 유입측 사이의 부위에 연통되게 구성됨으로써 열교환 성능이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환기량이 부족한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재배실 내의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에 더욱 인접되는 위치에 연통됨으로써 재배실 내로 유입된 기계실 내의 공기 온도로 인한 상기 재배실 내의 온도 변화가 최소화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한 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연통통로를 이너케이스와 상면플레이트에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환기팬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 내의 공기 순환을 위한 순환팬 어셈블리와, 기계실 내의 공기 유동을 위한 방열팬 및 재배실 내의 환기를 위한 환기팬이 동시에 제공됨으로써 재배실 내의 환기 운전과 순환 운전을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파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파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6과는 다른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기계실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기계실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를 설명하기 위해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와 베드커버 및 파드 간의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8은 도 8의 “A”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조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상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조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조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하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조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순환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8의 “B”부 확대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급수모듈의 개폐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급수모듈의 워터탱크가 설치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급수모듈의 워터탱크가 설치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급수모듈의 설치프레임 에 워터펌프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연통통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6의 “C”부 확대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연통통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7의 “D”부 확대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기계실 내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베드 내로의 공급수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 중 기계실로부터 재배실 내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는 크게 제1재배실(121)을 제공하는 캐비넷(100)과, 기계실(201)을 제공하는 기계실용 프레임(200)과, 파드(10)가 얹히는 제1베드(300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기계실(201)과 상기 제1재배실(121)은 연통통로(900)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식물의 광합성에 소모되는 이산화탄소가 제1재배실(121) 내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식물 재배장치의 각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파드(10)에 대하여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파드(10)는 상부로 개방된 용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드(10) 내에는 양액물질(도시는 생략됨)이 포함된 상토(11)가 충전된다.
상기 양액물질은 식물이 더욱 잘 자랄 수 있도록 공급하는 영양소가 포함된 물질이다. 이러한 양액물질은 물에 점진적으로 녹는 수용성의 캡슐형으로 제공하여 공급수의 공급시마다 조금씩 녹으면서 공급수에 함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상토(11)의 상면에는 시드페이퍼(12)가 제공된다. 상기 시드페이퍼(12)는 씨앗들이 일정 배열을 갖도록 심겨진 부위이며, 이를 상기 상토(11)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공급수가 공급되면 상기 시드페이퍼(12)는 녹아서 없어지고 씨앗은 상기 상토(11)에 남게된다.
또한, 상기 시드페이퍼(12)의 상면에는 브릭(13)이 제공된다.
이러한 브릭(13)은 토양의 수분 및 습도 조절과 곰팡이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질석 또는,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와 같은 무기물 광석이 분말상태로 가공된 후 압착되어 만들어진다.
그리고, 파드(10)의 상면은 보호지(15)로 덮혀 그 내부가 보호된다.
특히, 상기 브릭(13)의 상면과 보호지(15) 사이에는 패킹부재(14)가 더 구비되면서 상기 브릭(1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보호지(15)의 표면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가 프린팅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드(1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6)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6)는 저면에 통수공(16a)이 형성된 통체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상기 돌출부(16)는 상하로 개방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6) 내에는 베드(300a,300b)로 급수된 공급수를 흡수하는 제1흡수부재(17)가 구비되고, 상기 제1흡수부재(17)와 상토 사이에는 평판 형상의 제2흡수부재(18)가 구비된다. 상기 제2흡수부재(18)는 상기 제1흡수부재(17)가 흡수한 공급수를 상토(11)의 전 부위로 고르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은, 상기 캐비넷(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식물 재배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캐비넷(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케이스(110)와 내측 벽면을 이루는 이너케이스(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아웃케이스(110)는 상면은 폐쇄되고 저면 및 전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아웃케이스(110)와는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아웃케이스(110) 사이에는 발포 단열재(도시는 생략됨)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120) 내부는 제1재배실(121)이 마련된다. 상기 제1재배실(121)은 식물의 재배를 위해 제공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재배실(121,122)은 하측의 제1재배실(121)과 상측의 제2재배실(12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두 재배실(121,122)은 각각의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너케이스(120)는 바닥(123)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바닥(123)은 캐비넷(100) 내의 재배실(121,122)의 바닥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도어(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재배실(121,122)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한 도어(130)의 제공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는 밀폐형의 재배장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밀폐형의 재배장치로써 후술될 조명모듈(401,402)과 순환팬 어셈블리(500) 및 공조모듈(600)에 의한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면서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30)는 회전식 개폐 구조 혹은, 슬라이딩 방식의 개폐 구조 중 어느 한 구조의 개폐 구조로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을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도어(130)가 회전식 개폐 구조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도어(130)는 내측이 개방된 사각틀 구조의 도어프레임(131) 및 상기 도어프레임(131)의 개방된 내측을 가로막는 투시창(132)으로 구성됨을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투시창(132)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32)을 유리로 형성할 경우 상기 유리에는 보호필름(도시는 생략됨)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필름은 재배실 내의 빛이 실내로 투과되어 비침을 최소화하는 빛 차단(일부 차단)용 필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호필름 대신 상기 투시창(132) 자체가 어두운 색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빛의 실내 투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30)는 도어프레임(131)없이 투시창(132)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기계실용 프레임(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바닥 부위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저부에 연장 설치되며,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211)와, 양측 벽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212)와,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플레이트(213)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개방된 저면이 얹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와 이너케이스(12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측면플레이트(212) 및 배면플레이트(213)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양측면과 배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은 기계실(201)로 제공된다.
즉, 상기 기계실(201)과 재배실(121,122)은 이너케이스(120) 내부와 기계실용 프레임(200) 내부에 각각 형성되면서 서로 독립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계실(201) 내부에는 후술될 공조모듈(600)의 일부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은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재배실(121,122)과 기계실(201)의 사이에는 두 공간을 구획하는 별도의 구획용 벽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재배실(121,122)과 기계실(201)이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계실(201)의 전방인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개방된 전면에는 흡토출그릴(22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흡토출그릴(220)은 실내로부터 기계실(201) 내로 흡입되는 공기 혹은, 기계실(201) 내로부터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면서 기계실(201)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흡토출그릴(220)에는 흡입구(221) 및 토출구(2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21)와 토출구(222)는 후술될 분리격벽(230)에 의해 서로 구분된 위치에 분리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에서 볼 때 좌측의 흡입구(221)와 우측의 토출구(222)로 구분되도록 이루어짐을 그 예로 제시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 내에는 기계실(201) 내의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는 분리격벽(23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분리격벽(230)에 의해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 및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가 구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는 상기 흡토출그릴(220)의 흡입구(221)가 위치되고, 상기 기계실(201) 내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는 상기 흡토출그릴(220)의 토출구(222)가 위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분리격벽(230)에 의해 분리된 기계실(201) 내의 양측은 후방측 부위에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 부위가 기계실(201) 내의 후방측 벽면에까지는 닿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나뉘어진 양측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 부위에 개구공(도시는 생략됨)을 형성함으로써 기계실(201) 내의 양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리격벽(230)은 일자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사 또는, 절곡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격벽(230)이 절곡 구조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분리격벽(230)의 일부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후술될 응축기(620)를 최대한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기계실(201) 내에는 응축수받이(2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응축수받이(240)는 기계실(201) 중 흡입구(22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바닥에 위치되면서 후술될 응축기(620)로부터 흘러내린 응축수를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응축수(620)를 기계실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배면플레이트(213)에는 방열공(20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방열공(202)은 후술될 압축기(610)를 방열한 공기의 배출(혹은,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구멍이다. 즉, 상기 방열공(202)의 추가 형성을 통해 공기의 배출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바닥플레이트(211)에도 압축기(610)를 방열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203)(첨부된 도 1 참조)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214)의 후방측 부위는 여타 부위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기계실(201) 내부의 후방측 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기계실(201)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610)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후방측 부위를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플레이트(214)의 상면과 이에 대향되는 이너케이스(120)의 저면 사이의 전방측에는 식물 재배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20)(첨부된 도 6 참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부(20)는 각종 제어회로를 가지는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베드(300a,300b)에 대하여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드(300a,300b)는 파드(10)가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베드(300a,300b)는 평판 혹은, 둘레벽을 갖는 트레이 구조로 형성되면서 그의 상면으로 공급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재배실(121,122) 내의 양측 벽면(이너케이스 내의 양측 벽면)에는 제1가이드레일(101)이 구비되고, 상기 베드(300a,300b)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01)의 안내를 받아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재배실(121,122)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드(300a,300b)의 양측 벽면에는 가이드단(301)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단(301)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101)의 지지를 받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드(300a,300b)를 상기 재배실(121,122)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여타의 다양한 구조로 상기 베드(300a,300b)의 서랍식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드(300a,300b)의 후면에는 물받이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물받이부(310)는 베드(300a,300b) 외부로부터 공급수를 공급받아 상기 베드(300a,300b) 내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부위이다.
이러한 물받이부(310)는 베드(300a,300b)의 후면 중 어느 한 측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바닥면은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후술될 급수유로(330)와의 연통 부위로 공급수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베드(300a,300b) 내의 중앙측 부위에는 베드(300a,300b)의 내측 바닥으로부터 더욱 함몰된 급수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부(310)로 공급된 공급수는 급수유로(330)의 안내를 받아 상기 급수홈(32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유로(330)는 상기 물받이부(310)로부터 상기 급수홈(320)에 이르는 홈으로 형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급수유로(330)는 베드(300a,300b)와는 별개의 파이프나 호스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급수유로(330)는 상기 물받이부(310)로부터 상기 급수홈(320)에 이르기까지 점차(혹은,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경사 혹은, 라운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경사나 라운드 구조에 의해 공급수의 빠른 급수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급수홈(320)으로 급수된 공급수가 물받이부(310)로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급수유로(330)의 양측으로는 공급수의 정확한 안내를 위한 제방부(bank part)(331)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급수유로(330)를 따라 공급되는 공급수는 상기 제방부(331)에 의해 급수유로(330)를 벗어나지 않고 급수홈(320)에 이르기까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급수홈(320) 내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급수홈(320)의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댐부(3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댐부(340)는 베드(300a,300b)의 좌우 방향으로 긴 장형의 돌출 부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댐부(340)를 기준으로 상기 급수홈(320)은 전방측 급수홈(321) 및 후방측 급수홈(322)으로 구분된다.
즉, 복수의 파드(10)가 베드(300a,300b)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의 열을 이루면서 안착될 때 전방측 열의 파드(10)들은 후방측에 돌출부(16)가 위치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전방측 급수홈(321)에 닿도록 하고, 후방측 열의 파드(10)들은 전방측에 돌출부(16)가 위치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후방측 급수홈(322)에 닿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댐부(340)는 상기 급수홈(320)의 바닥에 비해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급수가 잔존하지 않으며, 각 파드(10)의 돌출부(16)가 위치되는 부위로만 공급수를 정확히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홈(320) 내의 바닥면 중 상기 급수유로(330)와 연통되는 부위에는 유동안내홈(30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급수유로(33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급수는 급수홈(320) 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안내홈(302)의 안내를 받아 상기 급수홈(320)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다른 한 측을 향해 흐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급수홈(320) 내의 바닥면에는 센싱용돌부(32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센싱용돌부(323)의 상면은 급수홈(320)의 바닥면에 비해서는 높게 위치됨과 동시에 베드(300a,300b)의 바닥면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베드(300a,300b)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각 베드(300a,300b)는 재배실(121,122) 내에 상하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각 베드(300a,300b) 간의 상하 이격 거리는 재배실(121,122) 내의 크기나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재배실(121,122) 내의 양측 벽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레일(101)을 높낮이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각 베드(300a,300b) 간의 상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드(300a,300b)에는 베드커버(3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베드커버(350)는 각 파드(10)가 정위치에 놓이도록 안착되는 부위로써, 상면에는 각 파드(10)의 안착을 위한 복수의 안착홈(351,35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51,352)은 상기 파드(10)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도 상기 파드(10)가 일부 요입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베드커버(3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베드커버(350)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어 부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베드(300a,300b)의 경우 ABS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안착홈(351,352)에는 상기 파드(10)의 돌출부(16)가 관통되도록 관통공(351a,352a)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관통공(351a,352a)의 위치 및 돌출부(16)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파드(10)를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안착홈(351,352)은 전방측 열의 파드(10)들이 안착되는 전열측 안착홈(351) 및 후방측 열의 파드(10)들이 안착되는 후열측 안착홈(352)으로 구분되며, 이때 상기 전열측 안착홈(351)의 관통공(351a) 및 후열측 안착홈(352)의 관통공(352a)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즉, 베드(300a,300b)에 베드커버(350)가 얹힐 경우 각 관통공(351a,352a)은 베드(300a,300b)의 전방측 급수홈(321) 및 후방측 급수홈(322)에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드(300a,300b)의 전면에는 손잡이(361)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61)를 이용하여 상기 베드(300a,300b)를 서랍식으로 취출하거나 혹은, 인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361)의 전면은 도어(130)의 내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손잡이(361)의 전면과 상기 도어(130)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도록 한다. 즉, 상기 틈새를 통해 공기가 상측의 재배실(121)과 하측의 재배실(122)을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하측의 재배실(122)을 유동한 공기는 상기 틈새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도어(130)의 표면에는 습기가 발생됨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은, 조명모듈(401,402)에 대하여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명모듈(401,402)은 재배실(121,122) 내의 베드(300a,300b)에 얹힌 각 파드(10)로 광원을 조사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조명모듈(401,402)의 제공에 의해 밀폐형의 재배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식물에 지속적인 광원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조명모듈(401,402)은 LED(421)로써 광원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모듈(401,402)은 외관을 형성하는 조명케이스(410)와, LED(421)가 실장되는 회로기판(420) 및 조명케이스(410)를 덮는 조명커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케이스(410)는 회로기판(420)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와 함께, 상기 조명케이스(410)에는 복수의 조사공(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420)은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420)에 실장된 각 LED(421)는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각 조사공(411)을 통해 광원을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430)는 조명케이스(410)의 저면을 가로막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조명커버(430)는 각 회로기판(420)을 재배실(121,122) 내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상기 조명커버(430)의 표면은 빛의 확산을 위한 코팅이나 표면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각 LED(421)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이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재배실(121,122) 내의 전 부위로 고르게 분산되어 제공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상면에는 상면커버(46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캐비넷(100) 내의 재배실(121,122)은 하측의 제1재배실(121)과 상측의 제2재배실(122)로 구분될 수 있다.
이의 경우 베드(300a,300b)는 상기 제1재배실(121)에 제공되는 제1베드(300a)와, 상기 제2재배실(122)에 제공되는 제2베드(30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조명모듈(401,402)은 상기 제1재배실(121)에 제공되는 제1조명모듈(401)과, 상기 제2재배실(122)에 제공되는 제2조명모듈(4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베드(300a)는 캐비넷(100) 내의 바닥에 위치되고, 상기 제1조명모듈(401)은 상기 제1베드(300a)의 상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제1베드(300a)는 상기 제1재배실(121) 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베드(300a)와 제1재배실(121)의 바닥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후술될 급수모듈(700)의 워터탱크(7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베드(300b)는 상기 제1조명모듈(401)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조명모듈(402)은 상기 제2베드(300b)의 상측인 캐비넷(100) 내의 천장에 위치된다.
이렇듯, 상기 제1조명모듈(401)은 두 재배실(121,122)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획 벽이 제공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각 재배실(121,122)의 크기가 최대한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조명모듈(401)은 후술될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슈라우드(520)에 후단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조명모듈(401)의 상면에는 제2잔수 감지센서(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잔수 감지센서(440)는 제2베드(300b)의 급수홈(320)에 잔존하는 잔존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2잔수 감지센서(440)는 제2베드(300b)의 저부 중 센싱용돌부(323)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센싱용돌부(323)의 상면에 잔존수가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급수홈(320) 내의 잔수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잔수 감지센서(440)는 정전용량식의 센서로 구성하여 상기 급수홈(320) 내의 잔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2잔수 감지센서(440)는 도시되지 않은 여타의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로팅 방식과 같은 기구식 센서 혹은, 두 전극을 이용하는 전자식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조명모듈(401)의 상면에는 온도센서(4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450)는 재배실(121,122)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공조모듈(600)에 의한 공기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은, 순환팬 어셈블리(5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과 도 6 내지 도 8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재배실(121,12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이너케이스(120)를 이루는 후방측 벽면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동작에 의한 재배실(121,122) 내의 공기 순환으로 인해 상기 재배실(121,122) 내부는 음압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로써 재배실(121,122)과 기계실(201)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통로(900)를 통해 상기 기계실(201)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재배실(121,122) 내의 공간으로 유동되어 해당 재배실(121,122) 내를 순환하는 공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각 재배실(121,122)마다 하나씩 제공될 수도 있고, 하나의 순환팬 어셈블리(500)로써 모든 재배실(121,122)에 대한 공기 순환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가 상기 각 재배실(121,122)마다 하나씩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 즉, 각 순환팬 어셈블리(500)에 의해 각각의 재배실(121,122)에 대한 공기 순환이 동일 혹은, 달리 이루어지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재배실(121,122)별로 공기 순환이 달리 이루어지게 제어된다면 각 재배실(121,122)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재배 환경을 요구하는 식물도 동시에 재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순환팬(510)과, 슈라우드(520) 및 구획격벽(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팬(510)은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동되는 팬이다. 상기 순환팬(5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방사 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슈라우드(520)는 상기 순환팬(510)이 설치되면서 순환팬(51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슈라우드(520)에는 순환팬(510)이 설치되는 설치공(5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슈라우드(520)의 전면에는 상기 순환팬(510)을 통해 캐비넷(100) 내의 후방측(슈라우드와 이너케이스의 후방측 벽면 사이)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재배실(121,122) 내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5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522)는 상기 순환팬(510)의 방사 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해당 재배실(121,122) 내의 상측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획격벽(530)은 상기 슈라우드(520)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재배실(121,122)로부터 상기 슈라우드(520)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부위이다.
즉, 상기 구획격벽(530)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로부터 순환팬(5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구획격벽(530)의 하단측 부위는 재배실(121,122) 내부에 대하여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로써 상기 재배실(121,122) 내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개방된 구획격벽(530) 하단측 부위를 통해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벽면이 위치된 측으로 유동된 후 증발기(630)와 열교환되며, 계속해서 상기 순환팬(510)의 송풍력 및 슈라우드(522)의 유동 안내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구획격벽(530)의 양측면은 이너케이스(120) 내의 양측 벽면 혹은, 배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슈라우드(520)는 상기 구획격벽(530)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은, 공조모듈(6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을 설명한다.
상기 공조모듈(600)은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재배실(121,122)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조절를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공조모듈(600)은 압축기(610)와 응축기(620)와 증발기(630)를 포함하는 공조장치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한 공조장치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610)와 응축기(620)는 기계실용 프레임(200) 내의 기계실(201)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620)는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 내의 분리격벽(230)에 의해 분할된 양측 중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응축기(620)를 통과한 공기가 경유하는 부위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압축기(610)는 공기가 유출되는 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기계실(201) 내로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620)를 우선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압축기(610)는 다량의 열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공기가 압축기(610)를 지난 후 응축기(620)와 열교환되도록 구성될 경우 그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압축기(610)보다 응축기(620)를 먼저 지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응축기(620)는 상기 기계실(201) 내의 전방측(개방된 전면에 인접한 측)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기계실(201) 내의 후방측(배면플레이트에 인접한 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압축기(610)와 응축기(620)의 위치를 최대한 구획됨과 더불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610)의 고온 열기가 응축기(620)에 영향을 미침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압축기(610)의 공기 유입측에는 방열팬(611)이 구비되면서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610)를 방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열팬(611)은 응축기(620)가 위치된 공기 유입측으로부터 압축기(610)가 위치된 부위를 사실상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압축기(610)의 고온 열기가 응축기(62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증발기(630)는 이너케이스(120) 내의 각 부위 중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후방측 공간에 배치된다. 즉, 재배실(121,122) 내를 순환하면서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구획격벽(530) 저부를 통해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벽면이 위치된 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증발기(6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다음 각 순환팬 어셈블리(500)를 통해 각 재배실(121,122) 내로 다시 송풍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증발기(630)는 판형 증발기로 구성됨으로써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공간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좁은 공간에서의 열교환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조모듈(600)에는 전기히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통상의 실내 환경보다 더욱 고온의 환경에서 서식하는 식물을 재배 할 경우 상기 전기히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급수모듈(7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급수모듈(700)은 베드(300a,300b)로 공급수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급수모듈(700)이 공급수를 미리 저장한 상태에서 급수가 필요시 그 필요한 양만 상기 베드(300a,300b)로 펌핑하여 급수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즉, 종래에는 공급수를 필요한 양만큼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물저장부에 공급수를 충분히 저장한 상태에서 이 저장된 공급수를 흡수부재로 토양에 공급하는 방식이며, 이때 상기 공급수에는 양액이 혼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공급수의 오염에 따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드(10)의 상토(11)에 양액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공급수는 필요한 양만큼만 공급되면서 워터탱크(710) 이외의 부위에는 잔수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급수의 오염으로 인한 냄새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급수모듈(700)은 워터탱크(710)와, 워터펌프(720) 및 급수호스(731,7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워터탱크(710)는 공급수가 저장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워터탱크(710)는 상부로 개방된 사각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120) 내의 바닥(123)과 제1베드(300a)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120) 내의 바닥(123)과 제1베드(300a) 사이에는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상면플레이트(214) 중 일부가 기계실(201) 내의 압축기(610)의 높이로 인해 상향 돌출되는 틈새가 형성됨을 고려할 때, 이러한 틈새에 상기 워터탱크(710)를 위치시킴으로써 재배실(121,122)이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워터탱크(710)는 상기 캐비넷(100) 내의 전방측에 위치되면서 캐비넷(100)의 전방으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기계실(201)의 경우 압축기(610)의 높이로 인해 후방측이 높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기계실(201)의 상향 돌출 부위로 인해 마련되는 이너케이스(120) 내의 저부측 공간 중 전방측 공간에 워터탱크(710)를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 내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워터탱크(7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102)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워터탱크(710)는 도어(130)의 개방에 의해 실내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130)가 재배실(121,122)뿐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710)까지도 가로막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도어(130)의 개방시 상기 워터탱크(710)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워터탱크(710)를 취출하여 공급수를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워터탱크(710)의 전면에는 손잡이(711)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711)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710)를 서랍식으로 취출하거나 혹은, 인입하면 된다.
특히, 상기 워터탱크(710)의 손잡이(711) 역시 베드(300a,300b)의 손잡이(361)와 같이 도어(130)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손잡이(711)의 전면과 상기 도어(130)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워터펌프(720)는 상기 워터탱크(710) 내의 공급수를 펌핑하는 펌프이다.
이러한 워터펌프(720)는 상기 워터탱크(710)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탱크(710)와 상기 워터펌프(720) 사이에는 설치프레임(740)이 구비되며, 상기 워터펌프(720)는 상기 설치플레임(74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설치프레임(740)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710)의 취출시 상기 워터펌프(720)가 외부로 노출됨이 방지되며, 상기 워터펌프(720)가 항상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740)의 전면에는 상기 워터탱크(710)의 취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74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741)는 근접센서로 구성되면서 상기 워터탱크(710)가 인접될 경우 해당 워터탱크(710)가 장착되었음으로 판단한다. 물론, 상기 감지부(741)는 접촉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감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프레임(740)의 상면에는 그 상측에 위치되는 제1베드(300a)의 급수홈(320)에 잔존하는 잔수를 감지하는 제1잔수 감지센서(742)가 설치된다.
특히, 제1잔수 감지센서(742)는 제1베드(300a)의 저부 중 센싱용돌부(323)가 형성된 부위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센싱용돌부(323)의 상면에 잔존수가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급수홈(320) 내의 잔수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잔수 감지센서(742)는 정전용량식의 센서로 구성하여 상기 급수홈(320) 내의 잔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1잔수 감지센서(742)는 도시되지 않은 여타의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로팅 방식과 같은 기구식 센서 혹은, 두 전극을 이용하는 전자식 센서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프레임(740)의 전면에도 제3잔수 감지센서(74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프레임(74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3잔수 감지센서(743)는 상기 워터탱크(710) 내의 공급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급수호스(731,732)는 상기 워터펌프(720)에 의해 펌핑된 공급수를 각 베드(300a,300b)로 공급하는 호스이다.
이러한 급수호스(731,732)는 일단이 상기 워터펌프(720)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각 베드(300a,300b)의 물받이부(310)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급수호스(731,732)는 제1베드(300a)의 물받이부(310)에 공급수를 급수하는 제1급수호스(731)와, 제2베드(300b)의 물받이부(310)에 공급수를 급수하는 제2급수호스(732)가 포함된다.
상기 급수호스(731,732)는 재배실(121,122) 내를 따라 설치될 수도 있고, 아웃케이스(110)와 이너케이스(120) 사이를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급수모듈(700)을 이루는 워터탱크(710)의 개방된 상면은 개폐덮개(750)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개폐덮개(750)에는 상기 워터탱크(710) 내에 저장된 공급수를 워터펌프(720)로 전달하도록 워터펌프(720)에 연결되는 급수연결관(76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워터펌프(720)가 상기 워터탱크(710)에 직접 결합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급수연결관(7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워터탱크(710)만 캐비넷(100)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연결관(760)은 상기 개폐덮개(750)의 후방측 저면으로부터 상기 워터탱크(710) 내로 돌출된 급수관(761)과, 상기 급수관(761)의 상단 후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워터펌프(720)에 연결되는 연결관(7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워터탱크(710)의 수납시에는 상기 연결관(762)이 상기 워터펌프(720)에 연결되면서 상기 워터펌프(72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710) 내부의 공급수가 급수호스(731,732)로 펌핑될 수 있고, 상기 워터탱크(710)의 취출시에는 상기 연결관(762)이 상기 워터펌프(7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급수관(761)은 상기 워터탱크(710) 내의 바닥에 이르기까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워터탱크(710) 내의 공급수 보충 주기를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워터펌프(720)와 두 급수호스(731,732)는 유로밸브(770)로 연결된다. 즉, 상기 유로밸브(77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상기 워터펌프(720)가 펌핑한 공급수를 적어도 어느 한 급수호스(731,732)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745는 워터탱크(710) 내의 공급수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이다.
다음은, 연통통로(9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도 6, 도 7,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통통로(900)는 캐비넷(100)의 제1재배실(121)과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기계실(201)을 서로 연통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즉,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상기 연통통로(900)를 통해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재배실(121,122)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광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연통통로(900)는 일단이 상기 재배실(121,122)과 연통되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기계실(121,122)과 연통되도록 연결된 관체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통통로(900)의 일단은 재배실(121,122)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12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재배실(121,122)과 연통되고, 상기 연통통로(900)의 타단은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200)의 상면플레이트(214)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기계실(201)과 연통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연통통로(900)의 타단은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분리격벽(230)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된 두 유로(공기가 흡입되는 유로 및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 중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연통통로(900)가 기계실(201)의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에 연통되게 구성함으로써 공기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연통통로(900)는 기계실(201) 내의 각 부위 중 응축기(620)의 공기 유출측과 압축기(610)의 공기 유입측 사이의 부위에 연통되게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통통로(900)가 응축기(620)의 공기 유입측에 연통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응축기(6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는 공기의 양이 부족하여 열교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고, 상기 연통통로(900)가 압축기(610)의 공기 유출측에 연통되도록 구성될 경우 해당 압축기(610)를 방열하는 방열팬(611)의 공기 송풍력에 의해 상기 연통통로(900) 내로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지 못하고 기계실(201)의 토출측 유로를 통해 실내로 곧장 배출됨에 따라 환기량이 부족한 우려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통통로(900)는 응축기(620)의 공기 유출측과 압축기(610)의 공기 유입측 사이의 부위에 연통되게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연통통로(900)는 제1재배실(121) 내의 중앙을 기준으로 볼 때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에 연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재배실(121) 내로 유입된 기계실(201) 내의 공기 온도로 인한 상기 제1재배실(121) 내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기계실(201)로부터 제1재배실(121)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재배실(121,122)의 후방측 공간인 증발기(630)가 위치된 공간으로 빠르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배실(121,122) 내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연통통로(900)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한 관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해당 연통통로(900)를 이너케이스(120)와 상면플레이트(214)에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후술될 환기팬(910)의 안정적이면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통통로(900)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경사 혹은, 절곡 구조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연통통로(900)에는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환기팬(910)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환기팬(910)은 기계실(201)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1재배실(121) 내부 공간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환기팬(910)은 제1재배실(121) 내의 공기를 기계실(201)로 내보내는 환기의 역할만 수행하도록 구성될 경우 제1재배실(121) 내의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필요로 하는 이산화탄소의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없으나, 기계실(201) 내의 공기를 제1재배실(121)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경우 제1재배실(121) 내의 공기는 기계실(201)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로 환기됨과 더불어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공급으로 인해 이산화탄소의 부족 현상 역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환기팬(910)은 연통통로(900) 내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환기팬(910)을 연통통로(900) 외부의 공기 유입측이나 공기 유출측에 설치할 경우 해당 환기팬(910)에 의해 기계실(201)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해가 이루어질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해당 환기팬(910)에 의해 제1재배실(121)과 제1베드(300a)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해가 이루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로써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환기팬(910)을 상기 연통통로(900) 내에 설치하여 상기 환기팬(910)에 의한 공기 유동의 방해가 야기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에는 디스플레이모듈(8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해당 식물 재배장치의 각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을 통해 표시되는 각 상태는 재배실(121,122) 내의 온도, 재배 시간, 동작 여부 표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디스플레이모듈(800)은 터치식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버튼식이나 스위치식으로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캐비넷(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어(1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이 도어(130)에 구비된다면 각종 신호선이나 전원선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캐비넷(100)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도어(130)의 내측 부위를 이루는 투시창(132)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유리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각 조명모듈(401,402) 중에서도 제1조명모듈(401)의 전방에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작용을 각 과정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파드(10)의 제공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새로운 파드(10)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어(130)를 열어 이너케이스(120) 내의 재배실(121,122)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 재배실(121,122)에 위치된 베드(300a,300b)를 취출한다.
이때, 상기 베드(300a,300b)는 제1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120) 내의 재배실(121,122)로부터 취출된다. 물론, 상기 베드(300a,300b)는 완전히 취출하지 않고 파드(10)의 안착 작업이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만 취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의 상태에서 준비된 파드(10)의 보호필름(15)을 제거한 후 해당 파드(10)를 베드커버(350)의 각 안착홈(351,352)에 얹는다.
이때, 상기 파드(10)는 그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16)가 상기 안착홈(351,352)에 형성된 관통공(351a,352a)과 일치되도록 설치하며, 이로써 상기 파드(10)는 상기 안착홈(351,352) 내에 일부가 수납된 상태로 안착된다.
만일, 상기 베드커버(350)의 안착홈(351,352)에 식물 재배가 완료된 파드(10)가 존재한다면 해당 파드(10)를 베드커버(350)로부터 취출한 후 해당 안착홈(351,352)에 새로운 파드(1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파드(10)의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베드(300a,300b)를 밀어 재배실(121,122) 내로 수납한다.
상기한 작업은 제1재배실(121)의 제1베드(300a) 및 제2재배실(122)의 제2베드(300b) 중 어느 한 곳 혹은, 두 곳 모두 순차적 혹은,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다음은, 재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된 설명에서와 같이 재배실(121,122) 내의 각 베드(300a,300b)에 파드(10)가 제공된 상태에서는 해당 파드(10)에 심겨진 씨앗의 발아 혹은, 발아된 씨앗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의 유지와 광량 제공 및 공급수 급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20)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수가 있고, 사용자가 일일이 지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가 기본적으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프로그램은 각 식물의 종류나 재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는 디스플레이모듈(800)의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즉, 재배실(121,122) 내에 파드(10)가 설치된 베드(300a,300b)가 제공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모듈(800)을 조작하여 재배 운전을 수행하게 되면 제어부(20)는 공조모듈(600)과 순환팬 어셈블리(500)와, 조명모듈(401,402) 및 급수모듈(700)을 제어하면서 해당 식물을 자동으로 재배한다.
여기서, 공조모듈(600)의 동작이 제어되면 압축기(610)와 응축기(620)와 증발기(630)를 포함하는 공조장치가 동작되면서 공조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공조 운전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방열팬(611)이 동작되면서 강제적인 공기 송풍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기계실(201)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된 흡토출그릴(220)의 흡입구(221)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기계실(201) 내로 흡입된 후 상기 흡토출그릴(220)의 토출구(22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21)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응축기(620)를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620)와 열교환되고, 계속해서 압축기(610)를 방열한 후 토출구(22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공조 운전시에는 순환팬 어셈블리(500)를 이루는 순환팬(510)이 동작된다.
이에 따라,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에 존재하는 공기는 순환팬(510)을 통과하여 재배실(121,122) 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해당 재배실(121,122) 내를 유동한 후 구획격벽(530)의 하단측 개방 부위를 통해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벽면으로 유동되며, 계속해서 증발기(630)와 열교환된 다음 상기 순환팬(510)의 송풍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면서 상기 재배실(121,122) 내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전술된 재배실(121,122) 내로 공기가 순환될 때 제2재배실(122)을 순환하는 공기 중 일부는 제2베드(300b)의 전면과 도어(13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제1재배실(121)로 유동되고, 제1재배실(121)을 순환하는 공기 중 일부는 제1베드(300a)의 전면과 도어(13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각 틈새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도어(130)의 표면에는 습기가 발생됨이 방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순환팬(510)의 동작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의 공기 순환이 반복되는 도중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공간은 실내(식물 재배기의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압의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한 압력 차이로 인해 기계실(201) 내를 경유하던 실내 공기 중 일부는 연통통로(900)를 통해 이너케이스(120) 내의 저부로 유입되며, 계속해서 이너케이스(120)의 바닥(123)과 제1베드(300a) 사이의 이격 부위를 따라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으로 유입동 후 각 순환팬 어셈블리(500)를 통해 각 재배실(121,122) 내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재배실(121,122) 내부는 실내의 공기 중 일부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환기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환기로 인해 식물은 원활히 호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재배 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급수모듈(700)의 동작 제어도 주기적(혹은, 필요시)으로 이루어진다.
즉, 재배 식물이 결정되어 급수 주기가 결정되면 해당 급수 주기마다 워터펌프(72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워터펌프(720)의 동작 제어시 감지부(741)의 감지에 의해 워터탱크(710)가 존재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워터펌프(720)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반면, 감지부(741)가 워터탱크(710)의 존재를 확인한다면 상기 워터펌프(720)가 동작되면서 워터탱크(710) 내에 저장된 공급수를 각 베드(300a,300b)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수는 급수연결관(760)을 통해 워터펌프(720)로 펌핑되며, 급수호스(731,732)를 통해 각 베드(300a,300b)의 물받이부(31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310)로 공급된 공급수는 상기 물받이부(310)에 연결된 급수유로(330)의 안내를 받아 베드(300a,300b) 내의 급수홈(320)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급수유로(330)의 양측에는 제방부(3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급수는 상기 급수유로(330)를 따라 급수홈(320) 내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급수유로(330)와 급수홈(320) 간의 연통 부위에는 유동 안내홈(3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홈(320)은 트랙형 구조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급수유로(330)에 안내되어 상기 급수홈(320)의 어느 한 부위로 유동된 공급수는 상기 유동 안내홈(302)의 안내를 받아 상기 급수홈(320)의 어느 한 부위로부터 타측 부위를 향해 유동되면서 전방측 급수홈(321) 및 후방측 급수홈(322)을 순차적으로 채우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이렇게 급수홈(320)에 채워지는 공급수는 상기 급수홈(320) 내의 공급수에 닿도록 설치된 각 파드(10)의 돌출부(16)를 통해 해당 파드(10)의 상토(11)로 흡수되어 식물로 공급된다.
한편, 전술된 급수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잔수감지센서(440,742)에 의해 급수홈(320) 내의 공급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즉, 잔수감지센서(440,742)가 급수홈(320)의 센싱용돌부(323) 표면에 공급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되고, 만일 공급수가 존재함으로 확인된다면 워터펌프(720)의 동작을 정지하여 더 이상 공급수가 급수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잔수감지센서(440,742)를 이용한 급수 방식은 베드(300a,300b)에 잔수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필요로 하는 양만큼 급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급수로 인한 잔수 발생 및 이렇게 발생된 잔수의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식물이 자랄 수록 점차 많은 공급수가 필요함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식은 해당 식물에 의한 수분의 흡수가 많이 될 수록 더욱 많은 양이 급수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이 자라는 과정에서는 필요로 하는 수분양이 달라지더라도 항상 적절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 재배 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조명모듈(401,402)의 동작도 제어된다.
이러한 조명모듈(401,402)의 동작 제어에 의해 LED(421)는 주기적으로 점등(혹은, 지속적으로 점등)되면서 재배실(121,122) 내의 식물로 광원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상기 조명모듈(401,402)의 제어에 의한 LED(421)의 발광이 이루어지더라도 도어(130)를 이루는 투시창(132)의 보호필름(혹은, 어두운 색상의 투시창)(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재배실(121,122) 내의 빛이 실내로 투과되어 비침을 최소화하여 실내 사용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재배실(121,122) 내의 식물로 광원이 제공되면 상기 식물은 광합성을 한다. 상기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에는 이산화탄소가 광합성에 소모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부족 현상이 발생된다.
물론, 재배운전에 의한 환기팬 어셈블리(500)의 동작이 수행될 때에는 재배실(121,122) 내부가 기계실(201)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압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연통통로(900)를 통해 기계실(201)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재배실(121,122) 내부로 공급되어 환기된다 하더라도 상기 이산화탄소가 여전히 부족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한 조명모듈(401,402)의 LED(421)가 발광되어 식물로 광원이 제공될 때에는 환기팬(910)이 동작되도록 제어된다.
즉, 재배실(121,122) 내부와 기계실(201) 내부의 압력 차이뿐 아니라 상기한 환기팬(910)의 동작에 따른 공기 송풍력에 의해 기계실(201) 내의 공기 중 일부가 재배실(121,122) 내에 추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재배실(121,122) 내부는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환기팬(910)은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동작과 연동하면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기계실(201) 내의 방열팬(611)의 동작과 연동하면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기계실(201)과 재배실(121,122)이 서로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지면서도 연통통로(900)를 통해 상기 기계실(201)의 공기가 재배실(121,122)로 일부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재배실(121,122) 내부에 대한 환기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121,122) 내로 실내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재배실(121,122) 내에 재배되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이 광합성으로 소모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121,122) 내를 순환하는 공기가 도어(130)의 표면을 거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도어(130)의 투시창(132) 표면에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121,122) 내부의 환기 운전으로 재배실(121,122) 내의 과도한 습도를 줄일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식물의 생육 불안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밀폐형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기계실(201) 전면으로의 공기가 흡입됨과 더불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빌트인 방식과 같이 특정한 협소 공간 내에 설치하더라도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900)가 관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1재배실(121)과 기계실(201)에 연통되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900)에 환기팬(910)이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강제 송풍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환기팬(910)이 기계실(201) 내부 공간의 공기를 재배실(121,122) 내부 공간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배실(121,122) 내의 원활한 환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900)는 재배실(121,122) 내의 바닥(이너케이스(120)의 바닥)과 제1베드(300a) 사이의 부위에 연통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재배실(121) 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1재배실(121) 내의 바닥과 제1베드(300a) 사이의 부위를 따라 순환팬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이너케이스(120) 내의 후방측 공간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식물이 광합성할 때 환기팬(910)이 동작되면서 재배실(121,122) 내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식물이 원활히 광합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900)는 기계실(201) 내의 각 부위 중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에 연통되게 구성됨으로써 재배실(121,122) 내로의 공기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900)가 기계실(201) 중 응축기(620)의 공기 유출측과 압축기(610)의 공기 유입측 사이의 부위에 연통되게 구성됨으로써 열교환 성능이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환기량이 부족한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연통통로(900)가 재배실(121,122)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볼 때 후방측에 연통됨으로써 재배실(121,122) 내로 유입된 기계실(201) 내의 공기 온도로 인한 상기 재배실(121,122) 내의 온도 변화가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상기한 연통통로(900)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한 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연통통로(900)를 이너케이스(120)와 상면플레이트(214)에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환기팬(910)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재배실(121,122) 내의 공기 순환을 위한 순환팬 어셈블리(500)와, 기계실(210) 내의 공기 유동을 위한 방열팬(611) 및 재배실(121,122) 내의 환기를 위한 환기팬(910)이 동시에 제공됨으로써 재배실(121,122) 내의 환기 운전과 순환 운전을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10. 파드 11. 상토
12. 시드페이퍼 13. 브릭
14. 패킹부재 15. 보호지
16. 돌출부 17. 제1흡수부재
18. 제2흡수부재 100. 캐비넷
101,102. 가이드레일 110. 아웃케이스
120. 이너케이스 121,122. 재배실
130. 도어 131. 도어프레임
132. 투시창 200. 기계실용 프레임
201. 기계실 202. 방열공
211. 바닥플레이트 212. 측면플레이트
213. 배면플레이트 214. 상면플레이트
220. 흡토출그릴 221. 흡입구
222. 토출구 230. 분리격벽
240. 응축수받이 300. 베드
301. 가이드단 302. 유동안내홈
310. 물받이부 320. 급수홈
321. 전방측 급수홈 322 .후방측 급수홈
323 .센싱용돌부 330. 급수유로
331. 제방부 340. 댐부
350. 베드커버 351. 전열측 안착홈
352. 후열측 안착홈 351a,352a. 관통공
361. 손잡이 401,402. 조명모듈
410. 조명케이스 411. 조사공
420. 회로기판 421. LED
430. 조명커버 440,742. 잔수 감지센서
450. 온도센서 500. 순환팬 어셈블리
510. 순환팬 520. 슈라우드
521. 설치공 522. 에어가이드
530. 구획격벽 600. 공조모듈
610. 압축기 611. 방열팬
620. 응축기 630. 증발기
700. 급수모듈 710. 워터탱크
711. 손잡이 720. 워터펌프
731. 급수호스 740. 설치프레임
741. 감지부 745. 수위 감지센서
750. 개폐덮개 760. 급수연결관
761. 급수관 762. 연결관
800. 디스플레이모듈 900. 연통통로
910. 환기팬

Claims (21)

  1. 재배실과 이 재배실의 개폐를 위한 도어를 가지는 캐비넷;
    캐비넷 내의 바닥에 위치되고, 공급수가 저장되는 워터탱크와, 상기 워터탱크의 후방에 위치되어 워터탱크 내의 공급수를 펌핑하는 워터펌프와, 워터펌프에 의해 펌핑된 공급수를 안내하는 급수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급수모듈;
    상기 급수모듈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급수모듈로부터 공급수를 공급받는 베드;
    상기 베드의 상면에 안착되며, 양액물질이 포함된 상토를 가지는 파드;
    상기 캐비넷 내의 베드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식물 재배를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
    상기 캐비넷의 하측에 설치되며, 기계실을 제공하는 기계실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넷의 재배실과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의 기계실은 연통통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면서 기계실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재배실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은 전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통로는
    일단이 상기 재배실과 연통되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기계실과 연통되도록 연결된 관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통로에는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환기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내에는 재배실 내로의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조명모듈에 의한 재배실 내로의 조명 제공시 동작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기계실 내의 공기를 상기 재배실 내로 송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는 상기 캐비넷 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통통로는 캐비넷 내의 바닥과 베드 사이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통로에는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환기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기계실 내의 공기를 상기 재배실 내로 송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내에는 상기 재배실 내로 공기를 순환하는 순환팬 어셈블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재배실 내의 베드 전면은 상기 도어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재배실 내로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베드의 전면과 도어의 내벽면 간 이격 부위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외측 벽면을 이루면서 저면 및 전방이 개방된 아웃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내측 벽면을 이루면서 전방이 개방된 재배실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은 상기 아웃케이스의 저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을 이루는 이너케이스의 저면과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의 상면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통로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저면과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의 상면 간의 대향면을 서로 연통하는 관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 내의 기계실은 분리격벽에 의해 기계실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 및 기계실 내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가 구분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에는 재배실 내의 온도 제어를 위한 응축기가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에는 재배실 내의 온도 제어를 위한 압축기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통로는 상기 기계실의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와 연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통로는 상기 기계실 내의 각 부위 중 응축기의 공기 유출측과 압축기의 공기 유입측 사이의 부위에 연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통로 중 재배실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부위는 상기 재배실 내의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에 더욱 인접되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식물 재배장치.
  20.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실을 제공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 내에 구비되며, 상기 재배실 내의 공기를 순환하는 순환팬 어셈블리;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며, 기계실을 제공하는 기계실용 프레임;
    상기 기계실 내에 구비되면서 실내 공기가 상기 기계실 내를 통과하도록 동작되는 방열팬;
    상기 캐비넷의 재배실과 상기 기계실용 프레임의 기계실을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되면서 실내 공기를 재배실 내로 공급하는 연통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2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통로 내에는 환기팬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KR1020190131610A 2019-10-22 2019-10-22 식물 재배장치 KR20210047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10A KR20210047706A (ko) 2019-10-22 2019-10-22 식물 재배장치
PCT/KR2020/011119 WO2021080146A1 (en) 2019-10-22 2020-08-20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10A KR20210047706A (ko) 2019-10-22 2019-10-22 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06A true KR20210047706A (ko) 2021-04-30

Family

ID=7561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610A KR20210047706A (ko) 2019-10-22 2019-10-22 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47706A (ko)
WO (1) WO202108014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420A (ko) 2010-07-14 2012-01-20 조태인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KR20120028040A (ko) 2010-09-14 2012-03-22 황영모 고효율 식물 재배 장치
KR200465385Y1 (ko) 2011-06-14 2013-02-15 이현주 식물 재배 장치
KR101240375B1 (ko) 2012-10-26 2013-03-07 (주)우성하이텍 식물재배장치
KR200467246Y1 (ko) 2010-07-16 2013-06-04 대한민국 가정용 식물 공장
KR101400375B1 (ko) 2013-10-18 2014-06-03 윤병섭 식물재배장치
KR101422636B1 (ko) 2013-03-21 2014-07-24 김동열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778A1 (ja) * 2008-03-26 2009-10-01 Uchiyama Hisakazu 栽培装置
KR101451343B1 (ko) * 2013-01-29 2014-10-16 조수희 버섯 및 새싹 재배를 위한 장치
US20170094920A1 (en) * 2015-10-02 2017-04-06 Craig Ellins Integrated incubation, cultivation and curing system and controls for optimizing and enhancing plant growth,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plant-based medical therapies
ITUB20159154A1 (it) * 2015-12-18 2017-06-18 Daniele Rossi Apparecchiatura per la coltivazione di verdure, ortaggi, funghi, piante ornamentali e simili.
US11083143B2 (en) * 2017-12-20 2021-08-10 Treant Protector Vietnam Compan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ing plant-growing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420A (ko) 2010-07-14 2012-01-20 조태인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KR200467246Y1 (ko) 2010-07-16 2013-06-04 대한민국 가정용 식물 공장
KR20120028040A (ko) 2010-09-14 2012-03-22 황영모 고효율 식물 재배 장치
KR200465385Y1 (ko) 2011-06-14 2013-02-15 이현주 식물 재배 장치
KR101240375B1 (ko) 2012-10-26 2013-03-07 (주)우성하이텍 식물재배장치
KR101422636B1 (ko) 2013-03-21 2014-07-24 김동열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KR101400375B1 (ko) 2013-10-18 2014-06-03 윤병섭 식물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146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7702A (ko) 식물 재배장치
TWI629932B (zh) 植物育成裝置
KR101034513B1 (ko) 수경재배장치
WO2015001763A1 (ja) 植物育成装置、ボックス、端部ユニット
KR20210059523A (ko) 파드 및 파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장치
US20220400626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47568A (ko) 식물 재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2039493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water supply method therefor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47567A (ko) 식물 재배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 방법
KR20190089481A (ko) 가정용 식물재배를 위한 스마트 식물재배장치
US20220361420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265888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650746B1 (ko) 식물 재배 장치
JP6063667B2 (ja) 水耕栽培装置
KR20210088335A (ko) 식물 재배 장치
EP4129049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JP2005295955A (ja) 植物育成装置
KR20210047706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047703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057625A (ko) 식물 재배장치 및 그의 에러 발생 검출 방법
JP2016163596A (ja) 水耕栽培装置
CN209931151U (zh) 气雾栽培装置
KR20210047704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10053032A (ko) 식물 재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