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508B1 -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508B1
KR102024508B1 KR1020170184116A KR20170184116A KR102024508B1 KR 102024508 B1 KR102024508 B1 KR 102024508B1 KR 1020170184116 A KR1020170184116 A KR 1020170184116A KR 20170184116 A KR20170184116 A KR 20170184116A KR 102024508 B1 KR102024508 B1 KR 102024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getation
nutrient solution
pla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515A (ko
Inventor
김상옥
김병오
강구연
노승완
Original Assignee
(주)유양디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양디앤유 filed Critical (주)유양디앤유
Priority to KR102017018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5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관상용 식물, 채소 등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의 생장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 및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도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생장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식물이 식재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식생부로서, 제1수직높이를 가지는 제1식생부 및 제1수직높이보다 작은 제2수직높이를 가지는 제2식생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식생부; 생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식생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조명부; 및 한 쌍의 외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식생부에 식재된 식물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되, 제1식생부와 도어부 사이의 거리는 제2식생부와 도어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제1식생부 내에 수용된 양액 및 제2식생부 내에 수용된 양액은 서로 분리되어 섞이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식물재배장치 {Fa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관상용 식물, 채소 등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재배장치는, 가정 등 실내에서 설치하여 관상용 식물, 채소 등을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식물재배장치는, 웰빙 식단의 요구, 실내 환경의 다양화, 공기정화 등 다양한 목적에 부응하여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식물재배장치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식물의 생장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는바 다양한 제약요건으로 최적의 생장조건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2141호(2013.12.1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추세 및 문제점을 인식하여, 식생부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후방측으로 가면서 식물이 식재된 식물용기가 더 높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생장조건 및 관상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의 생장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 및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도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생장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식물이 식재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식생부로서, 제1수직높이를 가지는 제1식생부 및 제1수직높이보다 작은 제2수직높이를 가지는 제2식생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식생부; 생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식생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조명부; 및 한 쌍의 외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식생부에 식재된 식물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되, 제1식생부와 도어부 사이의 거리는 제2식생부와 도어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제1식생부 내에 수용된 양액 및 제2식생부 내에 수용된 양액은 서로 분리되어 섞이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식생부의 수직높이는, 하우징의 기저면으로부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의 영역, 즉, 식생부의 상부 영역까지의 높이를 지칭한다.
상측이 개구되며 식물생장을 위한 양액이 담기는 양액용기부(210)와, 양액용기부(210)의 상측을 복개하며 식물이 심겨진 식물용기(231)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221)가 형성된 복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액용기부(210)는, 상기 하우징(100)에 대하여 슬라이딩결합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53)을 따라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 측면에 가이드블록(21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153)을 따라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의 설치높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 상하로 다단으로 형성된 상기 다수의 결합홈(212)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의 설치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식생부(230)는, 가장 내측에 위치된 상기 복개부(220)의 상단이 가장 높게 설치되어 양액의 양에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양액용기부(210)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가면서 복수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기는,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분사부(400)에 의한 공기분사가 원활하도록 상기 생장공간(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유로(5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룸과 아울러 사용자가 들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300)는, 다수의 LED소자(310)들과; 상기 다수의 LED소자(310)들이 설치된 엘이디기판(320)과; 상기 엘이디기판(320)의 이면에 결합되어 상기 LED소자(310)들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3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재(330)는, 상기 공기배출유로(5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0)는,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의 외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유로(51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부(400)는,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형성된 공기유입구(4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410)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생장공간(S)으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형성부(420)와; 상기 공기유입구(410) 및 상기 공기유동형성부(420)를 거치는 공기분사유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과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동형성부(420)에 의하여 분사되는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분사구(151)가 형성된 한 쌍의 내부하우징(15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동형성부(420)는, 상기 외측벽(110) 및 내부하우징(1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구(151)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선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부(400)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450)와;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설치되며 상기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한 공기분사압이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식생부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후방측으로 가면서 식물이 식재된 식물용기가 더 높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생장조건 및 관상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내부에 식재된 식물에 공기를 적절히 분사함으로써 조명과 함께 최적의 식생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식생공간 내부로의 원활한 공기 유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유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장치를 들어 올리는 등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에 형성함으로써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유로 상에 조명의 방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조명을 구성하는 방열부재의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물재배장치의 식생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Ⅳ-Ⅳ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Ⅵ-Ⅵ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식물재배장치의 식생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식물재배장치의 식생부의 용기보조지지부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외부와 격리되며 식물의 생장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생장공간(S)의 하측에 설치되어 식물의 식재되는 식생부(200)와; 생장공간(S)의 상측에 설치되어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환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명을 수행하는 조명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외부와 격리되며 식물의 생장공간(S)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하우징(100)은, 후술하는 식생부(200)의 도입 및 배출을 위하여 전방에 도어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90)는, 식생부(200)의 도입 및 배출을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그 개폐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생장공간(S)에서의 식물을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도어부(190)의 구성 이외에 나머지 부분에서도 외부에서 식물의 관츨이 용이하도록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투명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후술하는 공기분사부(400)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벽(110)은, 후술하는 공기분사부(400)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과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내부하우징(1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150)은, 외측벽(110)과 이루는 공간에 후술하는 형성부(4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벽(11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내부하우징(150)은, 후술하는 공기유동형성부(420)에 의하여 분사되는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분사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부(200)는, 생장공간(S)의 하측에 설치되어 식물의 식재되는 구성으로서 식물의 식재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식생부(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되며 식물생장을 위한 양액이 담기는 양액용기부(210)와, 양액용기부(210)의 상측을 복개하며 식물이 심겨진 식물용기(231)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221)가 형성된 복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액용기부(210)는, 상측이 개구되며 양액이 담기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액용기부(210)는,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액용기부(210)는, 배양되는 식물의 생장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조성의 양액이 담길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액용기부(210)는, 하우징(100)에 대하여 슬라이딩결합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양액용기부(2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53)을 따라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 측면에 가이드블록(21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53)을 따라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가이드레일(153)는, 상하로 한 쌍으로 설치되고, 가이드블록(211)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153)들 사이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액용기부(210)은, 후술하는 복개부(220)와 함께 식물용기(231)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바 후술하는 조명부(300)와의 거리, 생장속도에 따라 식물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생장공간(S) 내에서의 설치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내 양액용기부(2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의 설치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을 따라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의 설치높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 상하로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212)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의 설치높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개부(220)는, 양액용기부(210)의 상측을 복개하며 식물이 심겨진 식물용기(231)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221)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식물용기(231)는, 식물이 생장될 수 있도록 배양토가 담기면서 양액용기부(210)에 담긴 양액이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식물용기(213)가 직접 설치되는 경우 배양토가 양액용기부(210)로 누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식물용기(213)는, 복개부(220)에 대한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용기보조지지부(2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보조지지부(230)는, 식물용기(213)의 형상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양액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상부링(231), 하부링(232) 및 상부링(231) 및 하부링(232)을 연결하는 복수의 프레임(2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보조지지부(230)는, 사용자가 복개부(220)에 대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23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개부(220)는, 양액용기부(210)의 상측을 복개하며 식물이 심겨진 식물용기(231)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221)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판상의 플레이트부재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221)는, 식물이 심겨진 식물용기(231)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복개부(220)에 형성되는 개구로서, 식물용기(231)의 수평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부(221)는, 복수의 식물들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n×m의 배열(n, 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개부(220)는, 양액용기부(210)에 담긴 양액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부표(250)가 삽입되는 부표관통공(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표(250)는, 양액용기부(210)에 담긴 양액의 양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양액의 부족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개부(220)는, 양액용기부(210) 내부에 양액이 부족할 때 보충할 수 있도록 양액을 주입하는 양액주입구(22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190)를 기준으로 생장공간(S) 내에 가장 내측에 위치된 식물은, 그 앞쪽에 위치된 식물에 가려져 외부에서의 관찰이 곤란하여 생장상태 등을 확인하는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식생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된 식물용기(231)가 가장 높고 전방측으로 가면서 더 낮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식생부(230)는, 하우징(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가면서 복개부(220)의 상단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생부(230)는, 가장 내측에 위치된 복개부(220)의 상단이 가장 높게 설치되어 양액의 양에 편차가 발생될 수 있는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양액용기부(210)는, 하우징(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가면서 복수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양액용기부(210)들의 상하높이는,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앵약의 양이 서로 일정하며, 플라스틱 사출에 형성됨을 고려하여 제조를 위하여 필요한 금형의 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할된 복수의 양액용기부(210)들의 상하높이가 일정함과 더불어 양액용기부(210)들의 상단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 앞서 설명한 가이드블록(211)의 설치위치가 문제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분할된 복수의 양액용기부(210)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211)이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내 양액용기부(2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의 설치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액용기부(210)들이 복수로 분할된 경우, 각 양액용기부(210)에는 대응되는 식물의 종류, 생장상태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성분의 양액들이 담길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생장상태가 다른 식물들에 대한 최적의 생장조건,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들에 최적화된 양액의 공급 등이 가능하여 보다 최적화된 생장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조명부(300)는, 생장공간(S)의 상측에 설치되어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환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명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조명부(300)는, 다수의 LED소자(310)들과; 다수의 LED소자(310)들이 설치된 엘이디기판(320)과; 엘이디기판(320)의 이면에 결합되어 LED소자(310)들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LED소자(310)들은,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광을 조사하는 소자로서, 식물의 종류, 생장조건 등에 따라서 다양한 LED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기판(320)은, 다수의 LED소자(310)들이 설치된 구성으로서 LED소자(310)의 배치 및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방열부재(330)는, 엘이디기판(320)의 이면에 결합되어 LED소자(310)들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구성으로서, 알루미늄 등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열부재(330)는, 후술하는 공기배출유로(510) 상에 일부가 설치됨으로써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엘이디기판(320)는, 앞서 설명한 내부하우징(150)의 천정부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소자(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엘이디기판(320)는, 각 열의 LED소자(310)들에 대응되어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식물의 생장촉진을 위하여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400)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에 형성되며 공기분사부(400)에 의한 공기분사가 원활하도록 생장공간(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유로(5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룸과 아울러 사용자가 들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배출유로(510)는, 공기분사부(400)로부터 생장공간(S)을 향해 분사된 공기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하우징(100)의 측벽 상에 형성된 유로를 지칭한다.
상기 공기분사부(400)는, 식물의 생장촉진을 위하여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분사부(400)는, 공기분사방식에 따라서 축류팬, 횡류팬, 공기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공기분사부(400)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형성된 공기유입구(410)의 내측에 설치되고 공기유입구(410)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생장공간(S)으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형성부(420)와; 공기유입구(410) 및 공기유동형성부(420)를 거치는 공기분사유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형성부(420)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형성된 공기유입구(410)의 내측에 설치되고 공기유입구(410)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생장공간(S)으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축류팬, 횡류팬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구(410)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형성되는 개구로서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미세공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410)는,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필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상기 하우징(100)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의 내측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공기유동형성부(420)에 의하여 분사되는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분사구(151)가 형성된 한 쌍의 내부하우징(150)을 추가로 포함하며, 공기유동형성부(420)는, 외측벽(110) 및 내부하우징(1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유로(430)는, 공기유입구(410) 및 공기유동형성부(420)를 거치는 구성으로서 공기유동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이루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구(151)는, 식물에 대하여 골고루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선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0)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에 형성되며 공기분사부(400)에 의한 공기분사가 원활하도록 생장공간(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유로(5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룸과 아울러 사용자가 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손잡이부(500)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의 외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기배출유로(51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0)는, 사용자가 손을 집어 넣어 장치를 들어 올리는 등 이동을 위하여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500)는, 공기분사부(400)에 의한 공기분사가 원활하도록 생장공간(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유로(5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500)는, 외측벽(110)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끝단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유로(510)를 통한 공기배출이 원할하도록 손잡이부(500)의 끝단부분에 팬과 같은 배출유동형성부(59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동형성부(590)는, 길게 형성된 손잡이부(500)의 개구에서의 공기흐름을 고려하여 횡류팬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유로(510)의 형성을 위하여, 앞서 설명한 내부하우징(150)는, 손잡이부(500)의 부근에서 배출개구(154)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개구(154)는, 앞서 설명한 공기유동형성부(420), 배출유동형성부(590) 등에 의한 공기배출이 원할하도록 손잡이부(500)에 대응되는 크기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개구(154)에서 공기역류의 가능성이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생장공간(S)으로부터의 공기배출이 가능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차단막(15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155)는, 생장공간(S)으로부터의 공기배출이 가능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도록 배출개구(154)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얇은 필름으로 내부하우징(150)의 외면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얇은 필름으로 구성된 차단막(155)의 구성에 의하여, 배출개구(154)를 통한 공기배출시 변형되어 배출개구(154)를 개방하여 생장공간(S)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압력변화에 의하여 생장공간(S) 외부의 공기가 생장공간(S)으로 유입되려고 할 때 배출개구(154)를 복개함으로써 배출개구(154)를 차단하여 생장공간(S) 내로의 공기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유로(510) 상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열부재(330)가 설치되어 방열부재(330)의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배출유로(510)에 의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방열부재(330) 부근의 공기로 외부로 배출되어 방열부재(330)의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공기분사부(400)의 공기분사할 때 식물에 스트레스를 부여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분사부(400)에 의한 공기분사시 분사압이 일정하게 하기보다는 변화를 주어 자연에서의 바람이 부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식물에 대한 공기분사 방법으로서, 상기 공기분사부(400)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미도시)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설치되며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펌프는, 분사노즐부를 통한 공기분사를 위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공기압축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부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설치되며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하우징(1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공기분사를 위한 다수의 공기분사공이 형성된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은, 앞서 설명한 공기펌프와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한 공기분사압이 증감됨으로써 공기분사시 분사압이 일정하게 하기보다는 변화를 주어 자연에서의 바람이 부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식생부
300 : 조명부 400 : 공기분사부

Claims (15)

  1. 내부에 식물의 생장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도어부(19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생장공간(S)의 하부에 배치되고 식물이 식재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식생부(200)로서, 제1수직높이를 가지는 제1식생부 및 상기 제1수직높이보다 작은 제2수직높이를 가지는 제2식생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식생부(200);
    상기 생장공간(S)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식생부(200)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조명부(300); 및
    상기 한 쌍의 외측벽(110)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공기분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식생부와 상기 도어부(19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식생부와 상기 도어부(190)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1식생부 내에 수용된 양액 및 상기 제2식생부 내에 수용된 양액은 서로 분리되어 섞이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측이 개구되며 식물생장을 위한 양액이 담기는 양액용기부(210)와, 양액용기부(210)의 상측을 복개하며 식물이 심겨진 식물용기(231)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221)가 형성된 복개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액용기부(210)는,
    상기 하우징(100)에 대하여 슬라이딩결합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53)을 따라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 측면에 가이드블록(21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153)을 따라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의 설치높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211)은,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 상하로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212)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양액용기부(210)의 양측면에서의 설치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분사부(400)에 의한 공기분사가 원활하도록 상기 생장공간(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유로(51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룸과 아울러 사용자가 들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300)는,
    다수의 LED소자(310)들과;
    상기 다수의 LED소자(310)들이 설치된 엘이디기판(320)과;
    상기 엘이디기판(320)의 이면에 결합되어 상기 LED소자(310)들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3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재(330)는, 상기 공기배출유로(510) 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500)는,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의 외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유로(51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400)는,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형성된 공기유입구(4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410)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생장공간(S)으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형성부(420)와;
    상기 공기유입구(410) 및 상기 공기유동형성부(420)를 거치는 공기분사유로(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과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동형성부(420)에 의하여 분사되는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분사구(151)가 형성된 한 쌍의 내부하우징(15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동형성부(420)는, 상기 외측벽(110) 및 내부하우징(150)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구(151)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선을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400)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450)와;
    상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외측벽(110)들에 설치되며 상기 식생부(200)에 식재된 식물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한 공기분사압이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KR1020170184116A 2017-12-29 2017-12-29 식물재배장치 KR102024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16A KR102024508B1 (ko) 2017-12-29 2017-12-29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16A KR102024508B1 (ko) 2017-12-29 2017-12-29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15A KR20190081515A (ko) 2019-07-09
KR102024508B1 true KR102024508B1 (ko) 2019-11-04

Family

ID=6726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16A KR102024508B1 (ko) 2017-12-29 2017-12-29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705A (ko) * 2019-10-22 2021-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장치
CN117837488B (zh) * 2024-03-07 2024-05-07 山东丰禾瑞农种业科技有限公司 一种小麦育种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141B1 (ko) * 2012-09-18 2013-12-13 주식회사 경우 가정용 채소재배를 위한 광원 분리식 엘이디 식물장고
JP2017108678A (ja) * 2015-12-16 2017-06-22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水耕栽培用プレートとそれを用いた水耕栽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767A (ko) * 2009-07-15 2011-01-21 (주)코지스테크 배양대
KR101101888B1 (ko) * 2009-11-04 2012-01-05 박성훈 생물 성장환경 조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141B1 (ko) * 2012-09-18 2013-12-13 주식회사 경우 가정용 채소재배를 위한 광원 분리식 엘이디 식물장고
JP2017108678A (ja) * 2015-12-16 2017-06-22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水耕栽培用プレートとそれを用いた水耕栽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15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7896C (zh) 育苗装置
JP4314316B1 (ja) 家庭用の植物栽培装置
KR101422636B1 (ko)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CN104053355A (zh) 植物培育装置
KR101845132B1 (ko) 식물 공중 재배장치
KR102024508B1 (ko) 식물재배장치
KR101873374B1 (ko) 수경 재배기
JP2013034402A (ja) 水耕栽培装置
CN104206213A (zh) 多层隔板式植物培育装置以及植物培育系统
US20200008366A1 (en) Hydroponic Tower Compatible Plant Plug Holder
CN209732216U (zh) 一种蝴蝶兰培育苗床
TW201424577A (zh) 植物工廠裝置及托盤移動控制方法
CN214546039U (zh) 一种林业绿化工程用恒温育苗箱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US20130340338A1 (en) Hydroponic Device for Liquid Supply
KR10206005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107635B1 (ko) 인삼재배용 스마트팜 시스템
US10542685B2 (en) Rotomolded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system
KR20110132697A (ko) 유닛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583456B1 (ko) 정밀 기류형 식물조직 배양대
JP2014230508A (ja) 植物栽培装置の送風装置
KR20110132698A (ko)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
CN209824511U (zh) 一种果蔬嫁接愈合床架
KR101708432B1 (ko) 버섯 재배기
RU1887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