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93U - 페달식 보트 - Google Patents

페달식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93U
KR20140000693U KR2020120006544U KR20120006544U KR20140000693U KR 20140000693 U KR20140000693 U KR 20140000693U KR 2020120006544 U KR2020120006544 U KR 2020120006544U KR 20120006544 U KR20120006544 U KR 20120006544U KR 20140000693 U KR20140000693 U KR 201400006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hull
lever
boa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593Y1 (ko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박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식 filed Critical 박흥식
Priority to KR2020120006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59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5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0Steering gear with mechanical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추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향 환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페달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페달식 보트는 부력을 받는 선체; 상기 선체에 구비되는 탑승석; 상기 탑승석에 설치되어 선체를 추진시키는 회전판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동력전달부; 상기 선체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방향키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석은 2열 이상으로 형성된 페달식 보트를 제공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페달과, 이 페달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은 탑승석에 고정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향키는 레버와, 이 레버의 작동으로 직선 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힌지 회전하여 선체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키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탑승석에서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키판의 방향이 변환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페달식 보트{PEDAL BOAT}
본 고안은 페달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향전환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페달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등에서는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물놀이 시설 및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물놀이 시설 및 기구들 중에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무동력 보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무동력 보트는 수상 레저시설이 설치된 곳은 물론 주변의 수변공간에서도 많이 운행되고 있다.
무동력 보트 중에서 크랭크핸들 구동방식의 보트와, 페달 구동방식의 보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에서 페달을 이용하여 회전판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하는 페달식 보트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페달식 보트의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공개 제20-1987-0013443호, 등록실용신안 20-0400112호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페달식 보트는 선체 내부에 승선자가 앉을 수 있는 탑승석이 마련되고, 탑승석에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페달과 함께 선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키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페달식 보트는 승선자가 페달을 밟으면 선체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얻어 보트가 진행하게 되며, 이때 조타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키를 조절하여 선체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탑승석이 하나 또는 2개로 이루어져 하나의 보트에 1명 또는 2명만 승선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하여 보트의 추진력을 크게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승선자 중에서 어느 한사람이 페달을 밟지 않으면 보트의 추진력이 약하여 보트의 진행이 매우 느려 승선자 모두는 계속 페달을 밟아야만 보트를 안정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또 선행기술은 방향키의 레버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여 보트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보트의 방향전환을 승선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조절할 수 없다. 그러한 이유로 다른 보트와 충돌하여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페달식 보트는 탑승석에 물이 고이면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물을 외부로 퍼내야 하고, 페달이 고정된 동력전달축의 단부는 선체에 끼워져 지지된 구조이므로 페달을 밟을 때 마찰저항을 그만큼 많이 받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탑승석을 2열 이상으로 형성하여 선체의 추진력을 크게 얻을 수 있고, 방향키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선체의 방향 전환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페달식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페달식 보트는 부력을 받는 선체; 상기 선체에 구비되는 탑승석; 상기 탑승석에 설치되어 선체를 추진시키는 회전판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동력전달부; 상기 선체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방향키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석은 2열 이상으로 형성된 페달식 보트를 제공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페달과, 이 페달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은 탑승석에 고정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승석 바닥면에는 탑승석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상기 방향키는 레버와, 이 레버의 작동으로 직선 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힌지 회전하여 선체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키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탑승석에서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키판의 방향이 변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와 링크부 사이에는 레버의 좌우방향 구동력을 전달받아 링크부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판이 연결된다.
본 고안에 의한 페달식 보트는 탑승석을 2열 이상으로 형성하여 4인 이상이 보트에 승선할 수 있으므로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탑승자들이 교대로 페달을 밟아 보트를 추진할 수 있어 탑승자 모두가 적은 힘으로도 장시간 보트를 운행할 수 있다.
또한 방향키의 레버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보트의 방향도 이와 동일하게 좌우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어 방향전환을 정확하고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페달과 연결된 동력전달축이 선체에 고정된 베어링에 조립되므로 폐달을 밟을 때 마찰저항이 최소화되어 페달을 밟기가 그만큼 수월해지고 힘이 적게 든다.
그리고 탑승석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장마철 등에 탑승석에 빗물이 고여도 배수구를 통하여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에 제공된 동력전달부의 고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의 탑승석에 동력전달부가 설치된 상태 및 배수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에 제공된 방향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에 제공된 동력전달부의 고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페달식 보트 탑승석에 설치된 동력전달부와 배수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에 제공된 방향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페달식 보트는 부력을 받는 선체(2)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탑승석(4)과, 상기 탑승석(4)에 설치되어 선체(2)를 추진시키는 회전판(6)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동력전달부(8)와, 상기 선체(2)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방향키(10)를 포함한다.
상기 선체(2)는 예를 들어 충분한 강도를 갖는 FRP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체(2)는 오리, 돌고래와 같이 친숙한 이미지를 주는 동물 형상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선체(2)의 상부에는 탑승자들이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지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선체(2)에는 탑승석(4)이 형성되는데, 본 고안의 페달식 보트에 제공된 탑승석(4)은 적어도 2열 이상 마련된다.
각 열의 탑승석(4)에는 2명 또는 그 이상이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보트에는 적어도 4명이 탑승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보트에 4명이 탑승할 수 있으면, 종래에 비하여 보다 많은 인원이 함께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동력전달부(8)를 통하여 큰 동력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6)이 보다 큰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어 선체(2)를 빠른 속도로 추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선자들이 번갈아 가면서 동력전달부(8)를 구동시켜도 선체(2)는 일정속도로 추진할 수 있으므로 승선자들은 적은 힘으로도 여유롭게 보트를 탈 수 있다. 즉, 각 열의 탑승자들이 번갈아 가면서 동력전달부(8)를 구동하거나, 또는 각열의 어느 한사람 번갈아 가면서 동력전달부(8)를 구동시키면 되는데, 이때 나머지 탑승자들은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트의 추진력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보다 오랜 시간동안 힘을 덜 들이면서 보트를 추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8)는 탑승석(4)의 각 열마다 설치되어 하나의 선체에는 2개가 설치되며, 이들 각각의 동력전달부(8)에는 각각의 회전판(6)이 고정 설치되어 각 열에 1개씩 모두 2개의 회전판(6)이 장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8)는 페달(12)과, 이 페달(12)이 힌지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동력전달축(14)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동력전달축(14)에는 회전판(6)이 고정되어 페달(12)을 밟으면 동력전달축(14)이 회전하면서 여기에 고정된 회전판(6)을 회전시켜 선체(2)가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축(14)은 각 열마다 설치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소정의 형태로 절곡되어 탑승석(4)을 횡단하는 상태로 선체(2)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각 탑승석(4)에는 각각의 페달(12)이 동력전달축(14)에 설치되어 탑승자 들이 페달(12)을 밟아 동력전달축(14)을 회전시켜 구동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축(14)은 탑승석(4)에 고정된 베어링(1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에 따라 폐달(12)을 밟을 때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석(4)의 바닥면에는 배수구(18)가 형성되는데, 이 배수구(18)는 평상시에는 도시되지 않은 마개로 막은 상태로 보트를 이용하고, 장마철 등에 많은 비가 내려 탑승석(4) 내부에 물이 고일 경우 마개를 열면 배수구(18)를 통하여 자연낙하 방식으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보트는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키(10)는 레버(20)와, 이 레버(20)의 작동으로 직선 운동하는 링크부(22)와, 상기 링크부(22)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힌지 회전하여 선체(2)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키판(24)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20)와 키판(24)은 선체(2)에 고정되는 고정판(26a)(26b)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링크부(22) 양단이 각각 힌지부(28a)(28b)로 연결된 구조로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레버(20)는 고정판(26a)의 상부로 돌출된 연장부(30)에 힌지고정부(32)로 고정되며, 이렇게 설치된 레버(20)는 그 하단부가 고정판(26a) 하부 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로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6a)에는 레버(20)가 힌지고정부(32)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롯(34)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판(26a)의 하부 쪽으로는 이 고정판(26a)과 힌지축(36)으로 연결되는 작동판(38)이 설치되는데, 이 작동판(38)은 레버(2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힌지축(36)을 중심축으로 작동판(38)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판(38)의 회전에 의하여 링크부(22)는 후방 또는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힌지부(28b)로 연결된 회전축(40)을 회전시켜 키판(24)을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레버(2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작동판(38)이 힌지축(36)을 중심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부(22)를 후방 쪽으로 후퇴시키고, 이러한 작용으로 키판(24)이 고정된 회전축(40)을 후방으로 밀어 회전축(40)과 함께 키판(24)은 고정판(26b)에 지지된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선체(2)는 좌측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또 도 6b에서와 같이 레버(2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작동판(38)이 힌지축(36)을 중심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부(22)를 전방 쪽으로 전진시키고, 이러한 작용으로 키판(24)이 고정된 회전축(40)을 전방으로 밀어 회전축(40)과 함께 키판(24)은 고정판(26b)에 지지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선체(2)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페달식 보트는 레버(2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선체(2)가 좌측 방향으로 선회하고, 레버(2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선체(2)가 우측 방향으로 선회하여 보트를 처음 승선한 이용자라도 방향전환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인에 따른 페달식 보트는 탑승석(4)이 2열 이상이로 형성되어 4명 또는 그 이상의 이용자가 하나의 보트에 탑승할 수 있다.
각각의 탑승석(4)에 탑승한 탑승자는 모두 함께 페달(12)을 밟거나 또는 어느 한열 씩 번갈아 가면서 페달(12)을 밟거나 또는 각 열의 어느 한사람씩 번갈아 가면서 페달(12)을 밟으면 동력전달축(14)이 회전하면서 회전판(6)을 회전시켜 추력을 얻어 선체()2는 전방으로 추진된다.
이때 동력전달축(14)은 탑승석(4)에 고정된 베어링(16)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어 페달(12)을 쉽게 밟을 수 있다.
이렇게 보트를 이용하면서 레버(20)를 중립에 위치시키면 선체(2)는 직진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선체(2)의 진행방향을 좌측으로 변경하려면, 레버(2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작동판(38)이 힌지축(36)을 중심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부(22)를 후방 쪽으로 후퇴시키고, 이러한 작용으로 회전축(40)과 함께 키판(24)은 고정판(26b)에 지지된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선체(2)를 좌측으로 선회시킨다.
그리고 이용자 원하는 방향으로 선체(2)의 선회가 완료되면 상기 레버(20)를 초기 위치인 중립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모든 부재들이 작동하면서 키판(24)은 고정판(26b)에 지지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선체(2)는 직직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선체(2)의 진행방향을 우측으로 변경하려면, 레버(2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작동판(38)이 힌지축(36)을 중심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부(22)를 전방 쪽으로 전진시키고, 이러한 작용으로 회전축(40)과 함께 키판(24)은 고정판(26b)에 지지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선체(2)를 우측으로 선회시킨다.
이용자 원하는 방향으로 선체(2)의 선회가 완료되면 레버(20)를 중립으로 회전시키면, 키판(24)은 원위치 되면서 선체(2)는 직직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선체 4: 탑승석
6: 회전판 8: 동력전달부
10: 방향키 12: 페달
14: 동력전달축 16: 베어링
18: 배수구 20: 레버
22: 링크부 24: 키판
26a, 26b: 고정판 28a, 28b: 힌지부
30: 연장부 32: 힌지고정부
34: 슬롯 36: 힌지축
38: 작동판 40: 회전축

Claims (5)

  1. 부력을 받는 선체;
    상기 선체에 구비되는 탑승석;
    상기 탑승석에 설치되어 선체를 추진시키는 회전판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동력전달부;
    상기 선체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방향키;
    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석은 2열 이상으로 형성된 페달식 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페달과, 이 페달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은 탑승석에 고정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식 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석 바닥면에는 탑승석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식 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는 레버와, 이 레버의 작동으로 직선 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힌지 회전하여 선체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키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탑승석에서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키판의 방향이 변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식 보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링크부 사이에는 레버의 좌우방향 구동력을 전달받아 링크부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식 보트.
KR2020120006544U 2012-07-23 2012-07-23 페달식 보트 KR200473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544U KR200473593Y1 (ko) 2012-07-23 2012-07-23 페달식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544U KR200473593Y1 (ko) 2012-07-23 2012-07-23 페달식 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93U true KR20140000693U (ko) 2014-02-04
KR200473593Y1 KR200473593Y1 (ko) 2014-07-10

Family

ID=5199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544U KR200473593Y1 (ko) 2012-07-23 2012-07-23 페달식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440B1 (ko) * 2016-01-18 2016-10-12 김근재 레저용 조립식 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752A (ko) 2020-12-21 2022-06-2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저용 전동 오리보트
KR102471769B1 (ko) 2021-06-24 2022-11-28 심상롱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070A (ja) * 1997-07-14 1999-03-23 Daido Eng Kk 土運船
KR200224340Y1 (ko) * 2000-11-20 2001-05-15 김외윤 물놀이 보우트
KR20070038291A (ko) * 2005-10-05 2007-04-10 김용원 수상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440B1 (ko) * 2016-01-18 2016-10-12 김근재 레저용 조립식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593Y1 (ko)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20295B (zh) 用于运输和锻炼的水上工具
US9403585B2 (en) Elliptical human-powered watercraft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KR200473593Y1 (ko) 페달식 보트
JP2013533152A (ja) 水上オートバイ
CN105857559B (zh) 一种脚踏式划水蹼休闲船
KR20160075030A (ko) 방향성 추진키를 갖는 개인용 수상레저 기구
KR200427841Y1 (ko) 수상용 스텝머신
KR101616192B1 (ko) 수상 자전거
US5921824A (en) Water workout apparatus
KR200458592Y1 (ko) 보트
KR20160146340A (ko) 수상 자전거
US7604521B2 (en) Aquatic exercise rowing machine
CN208906775U (zh) 半潜式水上自行车
KR101327532B1 (ko) 추진 핀의 좌우 추진식 수상 자전거
CN201086819Y (zh) 新型水上闲乐小船艇的划水机构
CN101830274B (zh) 水上滑板
US20100210158A1 (en) Watercraft which can be propelled by human power
KR200343402Y1 (ko) 페달식 물놀이기구의 구동장치
TWI710500B (zh) 水面及水中仿生推進裝置
KR200273215Y1 (ko) 수상이동구조물
KR200456101Y1 (ko) 다목적 물놀이 기구
KR100720938B1 (ko) 수동 추진구조를 갖는 무동력 보트
JP2021147023A (ja) 足蹴り推進水面走り人力艇
KR200209194Y1 (ko) 수상용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