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340A - 수상 자전거 - Google Patents

수상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340A
KR20160146340A KR1020150083466A KR20150083466A KR20160146340A KR 20160146340 A KR20160146340 A KR 20160146340A KR 1020150083466 A KR1020150083466 A KR 1020150083466A KR 20150083466 A KR20150083466 A KR 20150083466A KR 20160146340 A KR20160146340 A KR 2016014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ering
driving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680B1 (ko
Inventor
이문구
Original Assignee
이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구 filed Critical 이문구
Priority to KR102015008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6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8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 B63B35/613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with tubular shaped flotation members
    • B63B35/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04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propuls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a single propulsion power unit
    • B63B2741/00
    • B63B2745/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 B63H2016/205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making use of standard bicycles
    • B63H2016/207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making use of standard bicycles withou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023/0208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023/0283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4Handle-bars; Posts for supporting handle-bars, e.g. adjustable po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부를 통해 수상에 부유되는 수상 자전거의 추진부를 좌우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좌우 추진부의 추진력을 변경하여 회전하는 수상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수상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며, 복수로 구성되어 프레임을 통해 복수열의 병렬로 결합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부력부를 고정시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측 상측에 결합되어 방향을 전환하며, 하단에 조타부가 형성되는 조향부; 상기 프레임의 중앙 상측에 형성되어 앉을 수 있는 안장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가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의 후측 상측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통해 물을 밀어 부력부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추진체로 이루어지는 추진부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통해 추진부가 역회전 및 정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켜 수상에서 전진 및 후진이 되며, 추진부의 좌우 회전력을 변경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 자전거{Water bicycle}
본 발명은 수상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부를 통해 수상에 부유되는 수상 자전거의 추진부를 좌우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좌우 추진부의 추진력을 변경하여 회전하는 수상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놀이용 자전거는 페달을 돌리면 그 동력원으로 스크루가 회전되어 추진력을 얻는 구성이다.
상기 물놀이용 자전거는 스크루를 통해 추진력을 얻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추진력에 한계가 있으며, 회전시 추진력과 조향타의 방향 회전만으로 회전을 하기 때문에 회전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으며, 회전시 속도가 느리므로 물의 흐름이 있을 경우에는 회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평지에서 타는 자전거의 앞뒤 바퀴 측면에 임의로 펼칠 수 있는 부력체를 설치하여 수상에 띄우고 뒷바퀴에 수차를 설치하여 추진력을 얻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는 일반 자전거를 사용하는 구성이므로 자전거 기어 내부의 클러치로 인하여 후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391526호(2014년04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좌우로 각각 형성되는 추진부를 통해 각각 다른 추진력으로 좌우 회전을 하며, 일체화되는 추진부를 통해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한 수상 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는, 수상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며, 복수로 구성되어 프레임을 통해 복수열의 병렬로 결합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부력부를 고정시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측 상측에 결합되어 방향을 전환하며, 하단에 조타부가 형성되는 조향부; 상기 프레임의 중앙 상측에 형성되어 앉을 수 있는 안장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가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의 후측 상측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통해 물을 밀어 부력부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추진체로 이루어지는 추진부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통해 추진부가 역회전 및 정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켜 수상에서 전진 및 후진이 되며, 추진부의 좌우 회전력을 변경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부는, 상기 조향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조향부를 지지하며, 조타부가 형성되는 조향부력체;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을 지지하도록 병렬로 복수 형성되는 중심 부력체 및 상기 조향부와 프레임의 중심 간에 설치되어 구동부와 조향부를 지지하는 보조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향부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프레임 전측에 형성되는 회동부를 통해 결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상측에 형성되는 조향용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추진부의 좌우 추진체의 회전력을 변경시키는 조절부; 상기 연결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조향 부력체 및 상기 조향 부력체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진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동부의 구동체와 연결되며, 횡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축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고, 다단의 기어로 이루어져 변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회전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기어부의 좌우 양측에 동일한 수가 대칭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의 좌우 양측에 복수로 이루어지는 추진체 간에는 변속부가 형성되어 회전속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부는 유성기어 변속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력부를 통해 수상에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고, 좌우 각각 구동되는 추진체를 통해 기어비를 달리하여 좌우 회전을 쉽게 하며, 회전축과 기어부 및 추진체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므로 수상 자전거가 전진 및 후진이 되므로 수상에서 임의대로 움직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상 자전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는 수상 자전거의 좌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3b는 수상 자전거의 추진부 좌측이 제거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의 추진부에 형성된 변속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의 방향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는 조향부의 방향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추진부의 방향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상 자전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복수로 구성되어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10); 부력부(10) 상측에 결합되어 부력부(10)를 고정시키는 프레임(50); 프레임(50) 전측에 형성되어 방향을 전환시키는 조향부(20); 프레임(50) 중앙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후단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 및 구동부(30)의 구동력을 통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부력부(10)는 조향부(20)에 형성되는 조향 부력체(12), 프레임(50)의 하측에 병렬로 복수 결합되는 중심 부력체(11) 및 조향부(20)와 프레임(50) 중심 간에 형성되는 보조 부력체(13)로 구성된다.
상기 조향 부력체(12)는 조향부(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조향부(20)를 지지하며, 조향부(20)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조타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 부력체(11)는 프레임(50)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복수 배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보조 부력체(13)는 조향부(20)와 프레임(50)의 중앙 간에 결합되어 조향부(20)와 프레임(50)의 중앙 간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한다.
상기 부력부(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밀폐되도록 형성되며, 부식 및 파손에 강한 스테인리스(SUS) 재질로 형성되며, 파손에 강한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의 정면도이다.
상기 조향부(20)는 프레임(50)의 전측에 형성되는 회동부(51)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대(21), 연결대(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연결대(21)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향용 손잡이(22) 및 연결대(21)의 하단에 결합되는 조향 부력체(12)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대(21)의 회전에 따라 방향이 전환되어 부력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조타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대(21)의 중단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변경부(7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손잡이(2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21)가 결합되는 프레임(50)의 회동부(51)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손잡이(22)와 안장(33)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2)는 연결대(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연결대(21)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추진부(40)의 좌우 회전력을 변경하는 조절부(60)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연결대(21)의 하단에는 부력부(10)의 조향 부력부(10)가 병렬로 복수 결합되며, 조향 부력부(10)의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조타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조타부(23)는 손잡이(22)의 회전을 통해 부력부(10) 전체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수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는 수상 자전거의 좌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수상 자전거의 추진부 좌측이 제거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 구동부(30)는 프레임(50)의 중앙에 형성되며, 프레임(50)의 중앙에 고정되는 지지대(31), 지지대(31)의 상단에 결합되는 안장(33) 및 지지대(31)의 중단 양측 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추진부(40)로 전달체(34)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32) 및 지지대(31)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안장(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1)는 안장(3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측에 높낮이 변경부(70)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체(32)는 사용자가 안장(33)에 앉은 상태로 구르는 회전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자전거 페달 또는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밟는 힘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풋 페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체(32)가 풋 페달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전진 및 후진을 선택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환체가 조향부(20)의 손잡이(22) 또는 구동체(3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체(32)에는 전달체(34)가 결합되어 구동체(32)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추진부(40)로 전달한다.
상기 전달체(34)는 체인 또는 기어봉으로 이루어지며, 구동체(32)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구동부(3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추진부(40)는 구동력을 통해 추진력을 발생시켜 부력부(10)가 전진 또는 후진이 되도록 한다.
상기 추진부(40)는 구동체(32)와 연결되며, 프레임(50)의 횡방향으로 고정되고, 프레임(50)의 중심에서 이격되어 양측으로 나뉘어 형성되는 회전축(41)과, 회전축(41)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동체(32)와 전달체(34)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다단의 기어부(42), 회전축(41) 상에 복수로 결합되며 좌우 양측에 동일한 수로 결합되는 추진체(43)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부(42)는 프레임(50)의 후측 중심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41)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전달체(34)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기어부(42)에서 전달받아 회전축(4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축(41)이 회전되면 회전축(41) 상에 결합된 추진체(43)는 회전축(41)의 회전을 통해 회전되며, 수상에서 물을 밀어 추진력을 얻도록 하기 위하여 수차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41) 상에 결합되는 기어부(42)와 추진체(43)는 회전축(41)에 고정되어 정회전 역회전이 모두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정방향으로 바퀴를 돌릴 때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축에 결합되는 허브의 홈에 고정축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가 걸리어 돌아가고 역방향으로 돌릴 때 허브의 홈에 고정축의 돌기가 걸리지 않게 되어 허브가 겉돌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허브 없이 회전축(41)에 직접 고정된 고정기어 형태의 기어부(42)를 사용하므로, 구동부(30)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구동력을 기어부(42)로 전달하면 기어부(42)가 회전되고, 이로 인해 회전축(41)이 기어부(42)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추진체(4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본 발명인 수상 자전거가 전진 또는 후진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부(42)에는 조향부(20)의 손잡이(22)에 결합된 조절부(60)가 연결되어 조절부(60)로 기어부(42)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좌측과 우측의 추진체(43) 회전력을 변경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의 추진부에 형성된 변속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좌우 회전축(41)에 결합되는 복수의 추진체(43) 간에는 변속부가 형성되어 내측의 추진체(43)와 외측의 추진체(43) 회전 속도를 변경하게 된다.
상기 변속부로 인해 수상 자전거의 회전시 내측 추진체와 외측 추진체의 회전비가 다르게 되어 수상 자전거의 회전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변속부(44)는 선기어(44a), 유성기어 캐리어(44b), 유성기어(44c) 및 링기어(44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속부(44)는 회전축에 결합되는 선기어(44a)의 회전으로 유성기어(44c)가 회전되고, 회전되는 유성기어(44c)를 통해 링기어(44d)가 회전되어 외측의 회전축(41)이 회전되어 추진체(43)가 회전되는 일반적인 다단 기어 구성의 유성기어 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회전축(41)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기어부(42)와 결합되는 내측 회전축(41a)과 변속부(44)를 통해 연결되는 외측 회전축(41b)으로 구성되면, 내측 회전축(41a)이 기어부를 통해 회전될 때 내측 회전축(41a)에 결합된 선기어(44a)가 회전되어 유성기어(44c)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유성기어에 결합되는 유성기어 캐리어(44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성기어 캐리어(44b)에 결합되는 외측 회전축(41b)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유성기어(44c)의 외측에 결합되는 링기어(44d)는 조향부에 설치되는 링기어고정부와 연결되어 링기어고정부의 당김을 통해 링기어(44d) 외측에 형성된 고정체가 링기어(44d)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이 고정된다.
이로 인해 내측 회전축(41a)과 외측 회전축(41b)의 회전비가 변경되어 수상 자전거가 회전할 때 내측 회전축(41a)과 외측 회전축(41b)의 회전비 차이로 인해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회전축(41a)과 외측 회전축(41b)의 회전비는 유성기어와 선기어의 기어비 조절을 통해 조절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 변속기의 링기어(44d)를 고정시키지 않으면 내측 회전축(41a)과 외측 회전축(41b)의 회전비가 동일하게 되므로 수상 자전거의 전진 또는 후진 시에 사용하게 되고, 링기어고정부를 통해 링기어(44d)를 고정시키면 내측 회전축(41a)과 외측 회전축(41b)의 회전비가 달라지므로 수상 자전거의 회전시에 사용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44c)와 선기어(44a)의 기어비를 조절할 때 유성기어(44c)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고, 선기어(44a)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면, 선기어(44a)의 회전수가 높아질수록 유성기어(44c)의 회전수도 높아져 유성기어 캐리어44b)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며, 반대로 유성기어(44c)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선기어(44a)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면, 선기어(44a)의 회전수가 빨라져도 유성기어(44c)의 회전수는 적기 때문에 유성기어 캐리어(44b)의 회전수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유성기어(44c)와 선기어(44a)의 기어비를 이용해 내측의 추진체(43)와 외측의 추진체(43)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변속부(44)를 유성기어 변속기로 사용하는 이유는 회전축(41)의 구동력을 일직선으로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변속부(44)는 유성기어 변속기 외에도 체인기어 변속기 또는 기어봉 변속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체인기어 변속기 또는 기어봉 변속기는 체인 또는 기어봉을 이동시켜 외측 회전축과 내측 회전축에 형성되는 기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기어비를 변경한다. 상기 체인기어 변속기 또는 기어봉 변속기는 일반적인 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부력부(10)가 하측에 결합되고, 전측에는 회동부(51)가 형성되어 조향부(20)의 연결대(21)가 결합되고, 중앙 상측에 구동부(30)가 결합되며, 후측 상측에는 추진부(40)의 회전축(41)이 결합된다.
상기 회동부(51)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조향부(20)의 연결대(21)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50)의 중앙은 구동부(30)의 지지대(31)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구동체(32)가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도록 횡 방향으로 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50)의 후측은 횡 방향으로 회전축(41)이 결합되도록 다수의 지주체가 상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50)의 중앙에는 구동부(30)의 안장(33) 뒤쪽에 햇빛을 가리는 차양막이 결합되는 차양홈이 형성되어 차양막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구동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자전거의 방향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는 조향부의 방향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추진부의 방향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조향부(20)의 손잡이(22)에 결합된 조절부(60)를 통해 추진부(40)의 기어부(42) 기어비를 좌우측 동일하게 변경한뒤 구동부(30)의 구동체(32)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추진부(40)의 기어부(42)를 통해 회전축(41)이 회전되어 추진체(43)를 회전시킨다.
상기 추진체(43)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추진력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상 자전거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상기 수상 자전거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손잡이(22)의 조절부(60)를 조절하여 회전 방향에 따라 추진부(40)의 좌우측 기어부(42)의 기어비를 변경하여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의 추진체(43) 회전속도를 저하시키고 반대쪽 추진체(43)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조향부(20)의 방향 또한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틀어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수상 자전거를 좌측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손잡이(22)의 양측 조절부(60) 중 좌측의 조절부(60)를 고단으로 높여 좌측 기어부(42)가 고단으로 설정되도록 하고, 우측의 조절부(60)를 저단을 낮춰 우측 기어부(42)가 저단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좌측의 추진체(43) 회전력을 감소시키고, 우측의 추진체(43) 회전력을 증가시켜 쉽게 회전시키도록 한다.
우측으로 수상 자전거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반대로 과정을 진행하여 회전한다.
상기 수상 자전거가 회전할 때 회전 방향의 추진체(43) 간에 형성된 변속부(44)는 외측의 추진체(43) 회전속도를 더 감소시켜 회전이 쉽도록 한다.
상기 수상 자전거는 회전축(41)과 기어부(42) 및 추진체(43)가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므로 사용자의 임의대로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발을 구르지 않아 페달을 밟지 않을 때에는 수상이므로 물의 저항력이 추친체에 작용하지만 큰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아 부유한 상태로 일정 시간 진행하던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때, 관성으로 인해 진행하던 수상 자전거의 추진체(43)가 물의 저항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회전되어지는데 이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레버가 손잡이(22)의 오른쪽 또는 왼쪽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되어 연결되는 좌,우측의 추진체(43)를 동시에 정지시켜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부력부를 통해 수상에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고, 좌우 각각 구동되는 추진체를 통해 기어비를 달리하여 좌우 회전을 쉽게 하며, 회전축과 기어부 및 추진체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므로 수상 자전거가 전진 및 후진이 되므로 수상에서 임의대로 움직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수상 자전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부력부 11 : 중심 부력체
12 : 조향 부력체 13 : 보조 부력체
20 : 조향부 21 : 연결대
22 : 손잡이 23 : 조타부
30 : 구동부 31 : 지지대
32 : 구동체 33 : 안장
34 : 전달체
40 : 추진부 41 : 회전축
41a : 내측 회전축 41b : 외측 회전축
42 : 기어부 43 : 추진체
44 : 변속부 44a : 선기어
44b : 유성기어 캐리어 44c : 유성기어
44d : 링기어
50 : 프레임 51 : 회동부
60 : 조절부 70 : 높낮이 변경부

Claims (6)

  1. 수상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며, 복수로 구성되어 프레임을 통해 복수열의 병렬로 결합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부력부를 고정시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측 상측에 결합되어 방향을 전환하며, 하단에 조타부가 형성되는 조향부;
    상기 프레임의 중앙 상측에 형성되어 앉을 수 있는 안장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가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의 후측 상측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통해 물을 밀어 부력부를 추진시키는 복수의 추진체로 이루어지는 추진부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통해 추진부가 역회전 및 정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켜 수상에서 전진 및 후진이 되며, 추진부의 좌우 회전력을 변경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조향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조향부를 지지하며, 조타부가 형성되는 조향부력체;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을 지지하도록 병렬로 복수 형성되는 중심 부력체 및
    상기 조향부와 프레임의 중심 간에 설치되어 구동부와 조향부를 지지하는 보조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프레임 전측에 형성되는 회동부를 통해 결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상측에 형성되는 조향용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추진부의 좌우 추진체의 회전력을 변경시키는 조절부;
    상기 연결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조향 부력체 및
    상기 조향 부력체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자전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동부의 구동체와 연결되며, 횡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축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고, 다단의 기어로 이루어져 변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회전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기어부의 좌우 양측에 동일한 수가 대칭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자전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좌우 양측에 복수로 이루어지는 추진체 간에는 변속부가 형성되어 회전속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자전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는 유성기어 변속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자전거.
KR1020150083466A 2015-06-12 2015-06-12 수상 자전거 KR10172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466A KR101727680B1 (ko) 2015-06-12 2015-06-12 수상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466A KR101727680B1 (ko) 2015-06-12 2015-06-12 수상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340A true KR20160146340A (ko) 2016-12-21
KR101727680B1 KR101727680B1 (ko) 2017-04-17

Family

ID=5773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466A KR101727680B1 (ko) 2015-06-12 2015-06-12 수상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212B1 (ko) * 2017-06-20 2018-03-22 조선기 아쿠아 바이크
KR20230059330A (ko) 2021-10-26 2023-05-03 강민균 Vr을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안경 주문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58B1 (ko) 2020-08-26 2020-10-13 안중식 수상 자전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26B1 (ko) 2012-07-11 2014-05-07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물놀이용 자전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26B1 (ko) 2012-07-11 2014-05-07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물놀이용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212B1 (ko) * 2017-06-20 2018-03-22 조선기 아쿠아 바이크
KR20230059330A (ko) 2021-10-26 2023-05-03 강민균 Vr을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안경 주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680B1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5677A (en) Human powered machine and conveyance with reciprocating pedals
KR101727680B1 (ko) 수상 자전거
US5178088A (en) Amphibious vehicle
JPH0794235B2 (ja) 舟艇とその駆動機構
CN107249979A (zh) 水上自行车
GB2481230A (en) Arm powered cycle
US6146218A (en) Universal platform for human powered floatation devices
KR200400112Y1 (ko) 페달구동식 수상보트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US9908602B1 (en) Water bike
US4936801A (en) Bicycle watercraft assembly
KR200473593Y1 (ko) 페달식 보트
KR101616192B1 (ko) 수상 자전거
JP4625493B2 (ja) 水上自転車
US621465A (en) Bicycle-boat
JPWO2013073003A1 (ja) 三輪型車椅子
EP1500587A1 (en) Muscle propelled boat-like construction
CN102442404B (zh) 一种水中行进器
US246031A (en) Velocipede
US20220380010A1 (en) Steerable and retractable paddle-wheel mechanism for propelling a boat
CN102241271A (zh) 水上自行车
KR101327532B1 (ko) 추진 핀의 좌우 추진식 수상 자전거
US858093A (en) Nautical velocipede.
KR101705295B1 (ko) 2인승 자전거
WO2008130356A1 (en) Aquatic exercise ro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