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561U - 메이크업 용기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561U
KR20140000561U KR2020120006264U KR20120006264U KR20140000561U KR 20140000561 U KR20140000561 U KR 20140000561U KR 2020120006264 U KR2020120006264 U KR 2020120006264U KR 20120006264 U KR20120006264 U KR 20120006264U KR 20140000561 U KR20140000561 U KR 20140000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scraper
insertion hole
brush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477Y1 (ko
Inventor
양흥석
Original Assignee
(주)장업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업시스템 filed Critical (주)장업시스템
Priority to KR2020120006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7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화장액이 저장되며 상단이 개구되고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산(11)이 형성된 용기몸체(10); 이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몸체(10)의 상측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삽입공(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크레이퍼(20); 및 외주면에 상기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32)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됨에 따라 용기몸체(1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판(31)과, 이 덮개판(31)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스크레이퍼(20)의 삽입공(21)을 관통하며 하단에 브러쉬모(34)가 구비된 브러쉬바(33)와, 상기 덮개판(31)의 상면에 구비된 손잡이(35)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브러쉬모(34)가 스크레이퍼(20)의 삽입공(21)을 관통하면서 상승될 때 브러쉬모(34)에 과도하게 묻은 화장액 중 일부가 상기 삽입공(21)의 내벽에 긁혀져서 용기몸체(10)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메이크업 용기{Make-up vessel}
본 고안은 메이크업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화장품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이 깨끗함을 유지하며 어플리케이터가 원활하게 열리고 닫혀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화장품의 변질우려가 없는 메이크업 용기에 관한 것이다.
흔히,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 립글로즈 등의 액상 화장품은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메이크업 용기에 저장되어 제공된다. 도 1은 이러한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 메이크업 용기는 상하로 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화장액이 저장되는 용기몸체(1)와, 이 용기몸체(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캡(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캡(6)에는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브러쉬바(7)와, 이 브러쉬바(7)의 하단에 구비된 브러쉬모(8)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다. 한편, 용기몸체(1)의 상단에는 직경이 축소된 병목부(2)가 형성되고, 이 병목부(2)의 외주면에는 캡(6)이 나사결합되는 나사산(5)이 형성된다. 또한, 병목부(2)의 내측에는 브러쉬바(7)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대략 브러쉬바(7)보다 약간 직경이 큰 가이드통로(4)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통로(4)는 어플리케이터를 인출하는 인출공(3)과 연통된다. 미설명 부호 9는 캡(6)에 형성되어 병목부(2)의 나사산(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캡(6)을 용기몸체(1)로부터 분리시킬 때, 브러쉬모(8)가 상승하면서 가이드통로(4)를 통과하여 인출공(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브러쉬모(8)에 묻은 액상 화장품이 가이드통로(4)의 내벽과 인출공(3)의 둘레에 묻게 된다.
그런데, 브러쉬모(8)에 묻은 액상 화장품이 소진되면 다시 브러쉬모(8)를 인출공(3)을 통해 용기몸체(1) 내부로 넣어 액상 화장품을 묻혀 인출하게 되는데, 액상의 화장품은 점도가 비교적 높아서 가이드통로(4)의 내벽에 묻어있기 때문에, 브러쉬모(8)가 인출되면서 가이드통로(4)상에 묻은 액상 화장품을 인출공(3)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액상 화장품이 인출공(3)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와 병목부(2)의 나사산(5)쪽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병목부(2)의 나사산(5)의 윤곽이 변형되어 캡(6)이 제대로 체결되지 못하여 액상의 화장품이 완전히 밀봉되지 못하므로 변질될 우려가 있으며 외부로 새어나가서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675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상의 화장품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이 더럽혀지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나사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가 원활하게 열리고 닫혀서 밀봉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화장품의 변질우려가 없고 낭비되지 않는 메이크업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화장액이 저장되며 상단이 개구되고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산(11)이 형성된 용기몸체(10); 이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몸체(10)의 상측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삽입공(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크레이퍼(20); 및 외주면에 상기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32)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됨에 따라 용기몸체(1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판(31)과, 이 덮개판(31)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스크레이퍼(20)의 삽입공(21)을 관통하며 하단에 브러쉬모(34)가 구비된 브러쉬바(33)와, 상기 덮개판(31)의 상면에 구비된 손잡이(35)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브러쉬모(34)가 스크레이퍼(20)의 삽입공(21)을 관통하면서 상승될 때 브러쉬모(34)에 과도하게 묻은 화장액 중 일부가 상기 삽입공(21)의 내벽에 긁혀져서 용기몸체(10)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의 하측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1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2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테두리부에 수평연장된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22)가 상기 걸림턱(12)과 암나사산(11)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브러쉬바(33)에는 용기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스크레이퍼(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용기몸체(10)를 밀봉시키는 밀봉링(3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용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몸체(10)의 상단으로 병목부가 돌출 형성되지 않고 어플리케이터(30)의 덮개판(31)이 용기몸체(10)의 상단에 끼워짐으로써, 외관이 깔끔하면서도 화장액 인출시 초과분이 병목부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넘칠 염려가 없어서 용기몸체(10)가 더럽혀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몸체(10)의 내주면에 중앙에 삽입공(21)이 상하로 관통된 스크레이퍼(20)가 구비되어, 어플리케이터(30)의 화장액이 묻은 브러쉬모(34)가 스크레이퍼(20)의 삽입공(21)의 내벽을 통과하면서 초과분의 화장액이 긁혀져서 용기몸체(10)의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외부로 인출된 브러쉬모(34)에 화장액이 과도하게 묻어있지 않아서 용기몸체(10)에 화장액이 흘러넘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의 효과가 더욱 증대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레이퍼(20)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테두리부에 수평 연장된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의 하측에 걸림턱(1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플랜지(22)가 암나사산(11)과 걸림턱(12) 사이에 끼워짐에 따라 스크레이퍼(20)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삽입공(21)이 암나사산(11)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브러쉬모(34)가 삽입공(21)을 관통하면서 화장액이 미세하게 비산되더라도 암나사산(11)까지 튀지 않게 되어 깨끗하며 어플리케이터(30)의 용기몸체(10)에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브러쉬바(33)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하측으로 오목한 스크레이퍼(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봉링(36)이 구비되어, 용기몸체(10)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시켜 화장액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장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메이크업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이크업 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용기는 내부에 화장액이 저장되는 용기몸체(10)와, 이 용기몸체(10)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스크레이퍼(20)와, 이 스크레이퍼(20)을 관통하여 용기몸체(10)에 저장된 화장액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몸체(1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단이 개구되며 상하로 길이가 긴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화장액이 저장된다. 용기몸체(10)의 상단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암나사산(11)이 상하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용기몸체(1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1)이 끝나는 하측에 걸림턱(12) 또는 걸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스크레이퍼(20)는 테두리부가 용기몸체(10)의 걸림턱(12)에 걸려지거나 걸림홈에 끼워져서 용기몸체(10)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어플리케이터(30)를 끼우기 위한 삽입공(21)이 형성된다. 이때, 스크레이퍼(20)의 테두리부는 걸림턱(12)과 암나사산(11) 사이에 끼워져서 위치 고정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걸림턱(12)이나 걸림홈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크레이퍼(2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30)를 구성하는 후술할 브러쉬바(33)와 브러쉬모(34)를 상기 삽입공(21)에 용이하게 삽탈시키면서도 바러쉬바(33)와 브러쉬모(34)에 묻은 화장액을 적절히 닦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크레이퍼(20)가 용기몸체(10)의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하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삽입공(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스크레이퍼(20)의 테두리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연장된 플랜지부(22)를 형성하여 용기몸체(10)의 걸림턱(12)과 암나사산(11)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어플리케이터(30)는 용기몸체(10)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판(31)과, 이 덮개판(31)의 하면에 구비된 브러쉬바(33)와, 상기 덮개판(31)의 상면에 구비된 손잡이(35)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판(31)은 원판 형상이며 측면에는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32)이 형성되어, 용기몸체(10)의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용기몸체(10)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브러쉬바(33)는 덮개판(31)의 하면 중앙에서 하향 연장되며 하단에 브러쉬모(3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어플리케이터(30)의 브러쉬바(33)가 스크레이퍼(20)의 상측에서 삽입공(21)을 관통하면 브러쉬바(33) 및 브러쉬모(34)에 화장액이 묻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30)를 인출하게 되면, 브러쉬바(33)와 브러쉬모(34)에 묻은 화장액은 스크레이퍼(20)의 삽입공(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삽입공(21)의 내벽에 의해 일부 닦여지므로 브러쉬바(33)나 브러쉬모(34)에 화장액이 과도하게 묻어서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삽입공(21)의 직경에 따라 브러쉬모(34)에 묻은 화장액의 양이 조절되므로, 삽입공(21)의 사이즈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플리케이터(30)를 용기몸체(10)에 내장시킬 때 브러쉬모(34)를 삽입공(21)에 끼우기 위한 용이성도 함께 고려하여 삽입공(21)의 사이즈가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20)가 연질의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성형되면 브러쉬모(34)를 삽입공(21)에 끼우거나 뺄 때 삽입공(21)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므로 브러쉬바(33) 및 브러쉬모(34)의 삽탈이 용이하면서도 브러쉬바(33) 및 브러쉬모(34)에 묻은 화장액이 적절히 닦여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브러쉬바(33)에 외주면이 상기 스크레이퍼(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무재 밀봉링(36)이 구비되어, 용기몸체(10)에 저장된 화장액이 상기 삽입공(2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몸체(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화장액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화장액이 저장되며 상단이 개구되고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산(11)이 형성된 용기몸체(10); 이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몸체(10)의 상측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삽입공(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크레이퍼(20); 및 외주면에 상기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32)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됨에 따라 용기몸체(1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판(31)과, 이 덮개판(31)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스크레이퍼(20)의 삽입공(21)을 관통하며 하단에 브러쉬모(34)가 구비된 브러쉬바(33)와, 상기 덮개판(31)의 상면에 구비된 손잡이(35)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브러쉬모(34)가 스크레이퍼(20)의 삽입공(21)을 관통하면서 상승될 때 브러쉬모(34)에 과도하게 묻은 화장액 중 일부가 상기 삽입공(21)의 내벽에 긁혀져서 용기몸체(10)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암나사산(11)의 하측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1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2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테두리부에 수평연장된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22)가 상기 걸림턱(12)과 암나사산(11)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30)의 브러쉬바(33)에는 용기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스크레이퍼(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용기몸체(10)를 밀봉시키는 밀봉링(3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용기.
KR2020120006264U 2012-07-16 2012-07-16 메이크업 용기 KR200471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264U KR200471477Y1 (ko) 2012-07-16 2012-07-16 메이크업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264U KR200471477Y1 (ko) 2012-07-16 2012-07-16 메이크업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61U true KR20140000561U (ko) 2014-01-27
KR200471477Y1 KR200471477Y1 (ko) 2014-02-28

Family

ID=5148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264U KR200471477Y1 (ko) 2012-07-16 2012-07-16 메이크업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530B1 (ko) * 2017-06-28 2019-06-24 박윤규 유동성 패킹을 이용한 기밀 구조를 갖는 기밀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840A (ja) * 1996-10-23 1998-05-12 Suzuno Kasei Kk 液状化粧料容器
FR2793663B1 (fr) * 1999-05-19 2001-08-03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notamment pour le maquillage des levres
KR200358749Y1 (ko) * 2004-05-21 2004-08-11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용기
KR200362338Y1 (ko) 2004-06-17 2004-09-16 강성일 마스카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477Y1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6225B2 (ja) 塗布具付容器
KR101775100B1 (ko)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KR101703699B1 (ko) 주름관이 형성된 와이퍼를 구비한 손가락 삽입 마스카라 용기
KR20150004424U (ko) 립스틱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US10010152B2 (en) Built-in scraping device for cosmetic container
ES2321022T3 (es)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y aplicacion de un producto cosmetico.
KR20160084718A (ko) 화장품 용기
KR102502981B1 (ko) 제품, 특히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JP2017510388A (ja) 二重ブラシスティックタイプマスカラ化粧容器
WO2018098951A1 (zh) 用于涂抹化妆品的装置
KR20180101096A (ko) 화장료 뭉침을 방지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71477Y1 (ko) 메이크업 용기
KR200478340Y1 (ko) 엣지부를 갖는 솔대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101590402B1 (ko) 회전개폐형 화장품 용기
KR20160136077A (ko) 원 터치 오픈 마스카라
KR101775113B1 (ko) 내용물 감량방지를 위한 3중 마스카라 용기
US11937681B2 (en) Cosmetics container simultaneously preventing leftover cosmetics therein and having airtight function
KR101318673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메이크업 용기
KR200494007Y1 (ko) 밀폐 용기
KR101726618B1 (ko) 다각형 펜슬 타입 화장용품 공기 차단용 캡 구조
KR200491622Y1 (ko) 화장료 도포장치
KR20200000024U (ko) 크린 홀더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927048B1 (ko) 탄력절개선이 형성된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757388B1 (ko) 내용물 잔량 사용이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KR20150130081A (ko)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