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345Y1 - 마스카라 브러쉬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345Y1
KR200421345Y1 KR2020060009542U KR20060009542U KR200421345Y1 KR 200421345 Y1 KR200421345 Y1 KR 200421345Y1 KR 2020060009542 U KR2020060009542 U KR 2020060009542U KR 20060009542 U KR20060009542 U KR 20060009542U KR 200421345 Y1 KR200421345 Y1 KR 200421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lid
ball
mascara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2020060009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46B2200/106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including comb like element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속눈썹 화장에 사용되어지는 마스카라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카라용기에 장착되는 뚜껑에 조립 설치되는 솔대에 형성된 볼 이 개구부 내주면에 형성된 볼집에 안착되어 장착 유지되도록 한 것으로써, 뚜껑을 마스카라용기에 간편하게 분리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속눈썹을 빗어 올려가면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된 마스카라 브러쉬 있어서,
뚜껑(30)에 조립 설치된 솔대(20)에 형성된 볼(22)이 용기몸체(10)의 개구부 (11)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집(14)에 안착되어 용기몸체(10)에 대하여 뚜껑(30)이 분리 장착되도록 한 마스카라 브러쉬에 의해 달성된다.
용기몸체, 마스카라 브러쉬, 솔대, 볼, 개구부, 볼집, 뚜껑

Description

마스카라 브러쉬{A mascara brush }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마스카라 브러쉬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마스카라 브러쉬의 분리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마스카라 브러쉬로써, 솔대의 볼에 의해 개구부가 벌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마스카라 브러쉬로써, 솔대의 볼이 개구부의 볼집에 안착되어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마스카라 브러쉬로써, 뚜껑을 분리할때 솔대의 활동봉의 상부로 뚜껑이 위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마스카라 브러쉬로써, 뚜껑을 분리할때 솔대의 볼이 개구부의 볼집으로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몸체 11 : 개구부
14 : 볼집 20 : 솔대
21 : 브러쉬 22 : 볼
30 : 뚜껑
본 고안은 속눈썹 화장에 사용되어지는 마스카라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카라용기에 장착되는 뚜껑에 조립 설치되는 솔대에 형성된 볼 이 개구부 내주면에 형성된 볼집에 안착되어 장착 유지되도록 한 것으로써, 뚜껑을 마스카라용기에 간편하게 분리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이 속눈썹 화장을 하는 이유는 눈을 아름답게 표현하여 자신의 인상착의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써, 속눈썹 화장을 할때에는 마스카라 브러쉬를 이용하여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속눈썹 화장을할 때 사용하는 마스카라 브러쉬는, 마스카라액이 수용되는 용기와 브러쉬가 장착된 솔대를 구비한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스카라 브러쉬는 용기에 뚜껑이 나사체결되는 구조이어서 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 장착할 때에는 뚜껑을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에 소량의 마스카라액이 남았을 경우, 용기 내저면(바닥)으로 위치 한 잔여 마스카라액을 사용할 수가 없었다.
그 이유는 브러쉬에 마스카라액을 묻힐 때에는 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해낸 상태에서 마스카라액을 브러쉬에 묻히기 때문으로써, 뚜껑을 용기에 나사체결하였을 때에는 솔대에 설치된 브러쉬가 용기의 저면에 이웃하는 반면, 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뚜껑을 용기의 상부에 근접시키더라도 나사산 높이 만큼 브러쉬가 용기의 내저면에 대하여 이격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뚜껑을 용기에 나사 장착하여 솔대에 설치된 브러쉬를 용기 내저면에 근접시켜 용기저면에 존재하는 마스카라액을 브러쉬에 취(取)하여 사용하면 상기의 문제점이 해소할 수 있다 판단할 수 있으나, 용기에 뚜껑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뚜껑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솔대를 휘져어 가면서 브러쉬에 마스카라액을 묻힐 수 없어 결과적으로는 용기 내저면에 남아 있는 소량의 마스카락액을 그냥 버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 나사 결합식 마스카라 브러쉬는, 뚜껑의 잠금 시점이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브러쉬에 마스카라액을 묻혀 속눈썹 화장을 하는 중에 마스카라액이 용기의 개구부 주변에 묻게 되고, 개구부 주변에 묻은 마스카라액은 용기에 뚜껑을 장착할 때 뚜껑이 뻑뻑하게 돌아 가도록 하는 악영향을 미처 주의하여 뚜껑을 잠그지 않을 경우, 뚜껑이 덜 잠긴 상태에서 마스카라 브러쉬를 보관하는 문제를 초래하여 마스카라액 일부가 딱딱하게 굳어 못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뚜껑에 조립 설치되는 솔대에 형성된 볼이 용기몸체의 개구부 내주면에 형성된 볼집에 안착되어져 뚜껑이 분리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몸체로부터 뚜껑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속눈썹 화장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을 마친 후에도 간편하게 뚜껑을 장착할 수 있으며, 뚜껑을 장착할 때 솔대의 볼이 개구부의 볼집에 안착되는 느낌이 손끝으로 명확하게 전달되어 종래와 같이 뚜껑을 덜 닫아 마스카라액이 굳어 못쓰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며, 뚜껑이 용기몸체의 장착 고정되어 지기 직전 까지도 움직임이 가능하여 용기몸체 내저면으로 존재하는 잔량의 마스카라액 까지도 전량 소비할 수 있는 마스카라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속눈썹을 빗어 올려가면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된 마스카라 브러쉬 있어서,
뚜껑(30)에 조립 설치된 솔대(20)에 형성된 볼(22)이 용기몸체(10)의 개구부 (11)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집(14)에 안착되어 용기몸체(10)에 대하여 뚜껑(30)이 분리 장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브러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마스카라 브러쉬는, 마스카라액이 수용되는 용기몸체(10)와, 부러쉬(21)를 갖는 솔대(20)와, 상기 솔대(20)가 조립되는 뚜껑(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몸체(10)는 사출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용기몸체(10)는 상부에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절개홈(11a)에 의해 절개 형성되어 있고, 솔대(20)에 형성된 볼(22)이 미끄럼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진 상연부를 가지고 있으며, 내주면에는 볼(22)이 안착되어지는 볼집(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1)의 하부에는 상기 개구부(11)에 대하여 나란하게 연장형성되어서 브러쉬(21)를 훑어 마스카라액이 적당하게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 드(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몸체(10)의 하부에 마스카라액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링(16)이 개재되어서 마개(15)가 장착되어 진다.
상기 솔대(20)는 하단에 브러쉬(21)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쪽에 용기몸체(10)의 개구부(11) 내주면으로 형성된 볼집(14)에 안착되어지는 볼(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22)의 상부쪽에는 뚜껑(30)을 형성하는 내캡(31)의 결합공(31a)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내캡(31)이 활동되어지는 활동봉(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솔대(20)가 조립되어지는 뚜껑(30)은 내캡(31)과 외캡(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캡(31)은 솔대(20)의 활동봉(23)이 체결되는 결합공(31a)이 형성되 있고, 내캡(31)의 외측에는 외캡(32)이 씌워져서 된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마스카라 브러쉬는, 용기몸체(10)의 하부에 밀폐링(16)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마개(15)를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마개(15)가 조립된 용기몸체(10)에 마스카라액을 충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스카라액이 충진되어진 용기몸체(10)의 개구부(11)에 솔대(20)가 설치되어진 뚜껑(30)을 장착하여 마스카라액을 보호함과 동시에 뚜껑(30)을 분리해 내어 솔대(20)에 설치된 브러쉬(21)로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발라 속눈썹 화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몸체(10)로부터 분리 장착되어지는 뚜껑(30)이 상기 용기몸 체(10)에 대하여 장착되는 과정을 도3과 도4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몸체(10)의 내부로 솔대(2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뚜껑(30)에 힘을 가하면 도3에서와 같이 솔대(20)에 형성된 볼(22)이 개구부(11)의 경사진 상연부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개구부(11)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되어 지는 뚜껑(30)은 내캡(31)이 솔대(2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활동봉(23)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솔대(20)의 볼(22)에 의해 가압되어지는 개구부(11)는 외측으로 벌어져 볼(22)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22)에 의해 벌어진 개구부(11)는 뚜껑(30)을 좀더 눌러서 상기 솔대(20)의 볼(22)이 개구부(11)의 볼집(14)에 위치하게 되면, 도4에서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볼(22)의 중심이 상기 개구부(11)의 볼집(14) 상부를 지나치면 상기 개구부(11)가 복원되어지는 힘에 의해 볼집(14)에 자동 안착되어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몸체(10)에 장착된 뚜껑(30)은 내캡(31)의 하단 내측이 용기몸체(10)의 어깨부분에 형성된 환테(13)에 끼워져 좌우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장착유지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몸체(10)에 장착된 뚜껑(30)을 용기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속눈썹 화장을 하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10)로부터 뚜껑(30)을 분리하기 위해 뚜껑(30)을 잡아당기면, 도5에서와 같이 내캡(31)이 솔대(20)의 활동봉(23)의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뚜껑(30)을 지속적으로 당겨주면 솔대(20)의 볼(22)이 개구부(11)의 볼집(14)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상기 볼집(14)으로부터 벗어나는 볼(22)에 의해 개구부(11)는 도6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볼(22)이 개구부(11)로부터 부드럽게 분리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솔대(20)의 볼(22)이 개구부(11)의 볼집(14)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용기몸체(10)로부터 솔대(20)를 완전하게 꺼집어 내게 된다.
상기 솔대(20)를 용기몸체(10)로부터 꺼집어 낼 때 상기 개구부(1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블레이드(12)에 의해 브러쉬(21)가 훑어지게 되고, 블레이드(12)에 의해 훑어진 브러쉬(21)에는 적당량의 마스카라액이 존재하게 되어 속눈썹에 마스카라액을 적당량 발라가면서 깨끗하고 가지런하면서 아름다운 속눈썹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고안의 마스카라 브러쉬는, 뚜껑(30)에 조립 설치되는 솔대(20)에 형성된 볼(22)이 용기몸체(10)의 개구부(11) 내주면에 형성된 볼집(14)에 안착되어져 뚜껑(30)이 분리 장착되도록 한 것으로써, 용기몸체(10)로부터 뚜껑(30)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속눈썹 화장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을 마친 후에도 간편하게 뚜껑(30)을 장착할 수 있으며, 뚜껑(30)을 장착할 때 솔대(20)의 볼(22)이 개구부(11)의 볼집(14)에 안착되는 느낌이 손끝으로 명확하게 전달되어 종래와 같이 뚜껑(30)을 덜 닫아 마스카라액이 굳어 못쓰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며, 뚜껑(30)이 용기몸체(10)의 장착 고정되어 지기 직전까지도 움직 임이 가능하여 용기몸체(10) 내저면으로 존재하는 잔량의 마스카라액 까지도 전량 소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절개됨과 동시에 내주면에 볼집(14)이 형성되어 있고, 블레이드(12)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1)를 가지는 용기몸체(10)와;
    상기 개구부(11)의 볼집(14)으로 안착되는 볼(22)을 가지고 있고, 하단에 브러쉬(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뚜껑(30)을 이루는 내캡(31)이 상하로 활동되어지는 활동봉(23)을 가지고 있는 솔대(20)와;
    상기 솔대(20)의 활동봉(23)이 끼워지는 결합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내캡(31)과, 상기 내캡(31)으로 씌워진 외캡(32)에 의해 이루어진 뚜껑(30)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브러쉬.
KR2020060009542U 2006-04-10 2006-04-10 마스카라 브러쉬 KR200421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42U KR200421345Y1 (ko) 2006-04-10 2006-04-10 마스카라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42U KR200421345Y1 (ko) 2006-04-10 2006-04-10 마스카라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345Y1 true KR200421345Y1 (ko) 2006-07-11

Family

ID=4177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42U KR200421345Y1 (ko) 2006-04-10 2006-04-10 마스카라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3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666B1 (ko) 화장품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0962046B1 (ko) 화장품 용기
KR101340364B1 (ko) 화장용기의 회전형 와이퍼
KR200443668Y1 (ko) 화장용브러쉬
CN206079484U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EP3210492B1 (en) Compact cosmetics container having opening/closing button formed in lid thereof
KR200448626Y1 (ko) 원터치 방식 화장품 용기
KR20170011603A (ko)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KR102014337B1 (ko) 스크류 형상의 솔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40006231U (ko) 내측 돌기가 형성된 와이퍼를 구비한 마스카라 용기
JP4679980B2 (ja) 塗布具
KR200421345Y1 (ko) 마스카라 브러쉬
KR101737460B1 (ko) 원 터치 오픈 마스카라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36166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39644Y1 (ko) 마스카라 용기
KR101547345B1 (ko) 매니큐어 용기
KR20150003074U (ko) 엣지부를 갖는 솔대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101230989B1 (ko) 화장품용기
KR200471477Y1 (ko) 메이크업 용기
JPS5939935Y2 (ja) 睫毛用化粧筆容器
KR101757363B1 (ko) 커버 일체형 자동인출 립스틱 용기
JPS6335705Y2 (ko)
KR101691704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3210Y1 (ko) 마스카라 용기의 스키니 브러시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