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22Y1 - 화장료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화장료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22Y1
KR200491622Y1 KR2020180001714U KR20180001714U KR200491622Y1 KR 200491622 Y1 KR200491622 Y1 KR 200491622Y1 KR 2020180001714 U KR2020180001714 U KR 2020180001714U KR 20180001714 U KR20180001714 U KR 20180001714U KR 200491622 Y1 KR200491622 Y1 KR 200491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smetic
wip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681U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2020180001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2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05Bristle carriers and bristles moulded as a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상기 화장료가 저장될 수 있는 용기; 상기 화장료를 머금을 수 있는 화장솜 및 상기 화장솜을 결속할 수 있도록 일단에 솔대홀이 형성된 솔대를 가지는 도포부; 상기 솔대의 타단과 연결되어 일측에 상기 용기의 일측을 감싸도록 덮개홈이 형성된 뚜껑;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화장솜 및 상기 솔대에 묻은 화장료를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홀이 형성되는 와이퍼 및 상기 뚜껑 및 상기 용기의 체결시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료 도포장치{COSMETIC MATERIAL APPLICATION DEVICE}
본 고안은 화장료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크게 얼굴 전체의 피부를 커버하여 피부의 전체적인 색을 다르게 바꾸거나 얼굴의 잡티, 주근깨, 기미 등 피부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볼이나, 손발톱 등 국부에 색채를 입히거나 입체감을 주는 포인트 메이크업이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파운데이션과 파우더가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립글로스, 마스카라 등이 있다.
상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의 예시로 든 립글로스나 립스틱 등 입술에 바르는 화장품들은 일반적으로 화장료를 보관하는 용기와 그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 그리고 화장료를 원하는 부분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도포부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용기에 담긴 화장료를 도포부에 묻힌 뒤 원하는 부위에 찍어 바르는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도포부에는 주로 화장료를 원하는 양만큼을 흡수하기 위한 스펀지나 화장솜이 부착되어 있다.
허나 이 과정에서 화장료의 일부가 원하는 부분이 아닌 도포부의 다른 부분에 묻어 나오거나, 원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을 화장솜 또는 스펀지가 머금어 과량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등 몇 가지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의 입구 부분에 형성되어, 다른 위치에 묻은 화장료를 닦아내거나 화장솜이 머금은 화장료를 압박하여 덜어내는 역할을 하는 와이퍼가 사용되곤 하였다.
하지만 종래 와이퍼를 적용한 화장료 도포장치는 도포부를 용기 내부에 넣었다 꺼내는 인출 과정에서 와이퍼에 닦인 화장료가 용기 입구에 모이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와 뚜껑 사이의 밀봉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화장료가 용기 밖으로 새나갈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이중 밀폐를 통해서 화장료의 휘발이나 유출, 변질 및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 주기를 기존보다 더 늘릴 수 있는 화장료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화장료가 저장될 수 있는 용기; 상기 화장료를 머금을 수 있는 화장솜 및 상기 화장솜을 결속할 수 있도록 일단에 솔대홀이 형성된 솔대를 가지는 도포부; 상기 솔대의 타단과 연결되어 일측에 상기 용기의 일측을 감싸도록 덮개홈이 형성된 뚜껑;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화장솜 및 상기 솔대에 묻은 화장료를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홀이 형성되는 와이퍼 및 상기 뚜껑 및 상기 용기의 체결시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용기의 외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마찰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의 상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막힌 형태로 형성된 뚜껑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마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핑홀의 단면적은 상기 솔대의 횡단면적과 대응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솜은, 상기 솔대홀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솔대의 방향으로 돌출된 화장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 대응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상기 솔대가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는 돌출부재를 통하여 용기와 뚜껑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화장료의 휘발이나 유출, 변질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주기를 기존보다 더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는 화장솜을 교환할 수 있어 사용 주기를 기존보다 더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도포부 및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도포부와 용기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에서 볼 때 용기에서 뚜껑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고, 뚜껑에서 용기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료 도포장치(1)는 용기(10), 도포부(70), 뚜껑(30), 와이퍼(50) 및 돌출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돌출부재(90)를 통하여 용기(10)와 뚜껑(30)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화장료의 휘발이나 유출, 변질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주기를 기존보다 더 늘릴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대표적으로 립글로스 등 입술에 바르는 화장료를 도포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컨실러나 파운데이션, 립 오일 등등 신체 어느 부위, 어느 화장료라도 피부에 도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방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기(10)의 중공부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2)가 일정량 저장될 수 있다. 용기(10) 개방된 상방부인 용기 입구(10a)를 통해 도포부(70) 및 화장료가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의 상부 외측면에는 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2)는 용기(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뚜껑(30)의 결합홈(31)과 맞물려 뚜껑(30) 및 용기(10)를 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용기(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용기(10)의 외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마찰턱(15)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턱(15)의 단면적은 후술할 뚜껑(30) 및 뚜껑 외피(33)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2를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30)은 'П' 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용기(10)의 개방된 상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미사용시 뚜껑(30)과 용기(10)를 결속함으로써 화장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시 뚜껑(30)과 용기(10)를 분리하여 후술할 도포부(70)가 머금은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30)의 하부면에는 용기(10)의 상방을 감싸도록 형성된 덮개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홈(32)의 하측 내부면에는 용기(10)의 상부와 접촉하는 면인 접촉면(32a)이 형성되어 뚜껑(30)과 용기(10)를 체결할 시 용기 입구(10a)를 밀봉하여 화장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도포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홈(32)의 양측면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용기(10)의 결합돌기(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31)은 결합돌기(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2)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홈(31) 및 결합돌기(12)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은 덮개홈(32)의 양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12)는 용기(10)의 외부 양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지만, 용기(10)와 뚜껑(30)이 결합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뚜껑(30)의 상부에는 뚜껑(30)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뚜껑 외피(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외피(33)는 내부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방 면이 막힌 형태로 형성되어, 뚜껑(30)을 상부에서 덮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뚜껑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뚜껑(30)은 뚜껑(30)의 상방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가압부재(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압부재(30a)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압부재(30a)는 폭 방향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뚜껑 외피(33)는 뚜껑 외피(33)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가압부재(3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압부재(33a)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압부재(33a)는 제1 가압부재(30a)와 대응되는 형태인 사각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가압부재(30a)의 사이에 제2 가압부재(33a)가 끼워져 끼움 결합하는 한편, 제1 가압부재(30a)는 뚜껑 외피(33)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제2 가압부재(33a)는 뚜껑(30)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뚜껑(30)과 뚜껑 외피(33)를 결속할 수 있다.
이때, 뚜껑(30) 및 뚜껑 외피(33) 사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장치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30)의 하방 외측면에는 제1 결합턱(30b)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 외피(33)의 하방 내측면에는 제2 결합턱(33b)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30)은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마찰돌기(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찰돌기(35)는 복수개가 덮개홈(32)의 원주방향을 따라 뚜껑(30)의 하부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마찰돌기(35)는 하방을 향한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10)에 뚜껑(30)을 체결하는 경우, 뚜껑(30)의 마찰돌기(35)는 용기(10)의 측면에 형성된 마찰턱(15)과 접하게 된다. 이때, 마찰돌기(35)의 뾰족한 부분이 마찰턱(15)의 상방 면과 직접 만나게 되는데, 마찰돌기(35)의 뾰족한 부분으로 인해 마찰턱(15)의 상방 면에 가하는 압력이 강해져 마찰턱(15)과 마찰돌기(35)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용기(10)와 뚜껑(30)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화장료의 휘발이나 유출, 변질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주기를 기존보다 더 늘릴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부(70)는 솔대(71) 및 화장솜(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솔대(71)는 상단부에 뚜껑(30)이 결합될 수 있고, 하단부에 화장솜(73)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솔대(71)는 원기둥 형상으로 뚜껑(30)의 덮개홈(32)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솔대(71)와 뚜껑(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솔대(71)는 하측 단부에 형성된 솔대홈(71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솔대홈(71a)은 후술할 화장솜 돌기(73a)를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솔대(71)에 화장솜(73)을 결속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솜(73)은 화장료를 빨아들여 머금은 상태로 그대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화장솜(73)을 구성하는 소재는 합성 수지나 섬유 또는 스폰지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동시에 화장료를 일정량 빨아들여 흡수할 수 있다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솜(73)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화장솜(73)의 상단부로는 넓은 부분에 도포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하단부로는 좁은 면적에 세밀하게 도포할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솜(73)과 결속되어 내부에서 화장솜(73)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혹은 금과 같은 금속 또는 실리콘 등 온도 변화나 외력에 크게 변하지 않으며, 화장료를 흡수하거나 화장료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솜(73)은 솔대(7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화장솜 돌기(7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장솜 돌기(73a)는 솔대홈(71a)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솜 돌기(73a)는 솔대홈(71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화장솜 돌기(73a)를 솔대홈(71a)에 끼움 결합하면 솔대홈(71a)은 화장솜 돌기(73a)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화장솜(73)을 솔대에 결합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장솜(73)은 소모품으로써,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피부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점점 닳아 화장료를 머금는 양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화장솜 돌기(73a)를 솔대홈(71a)에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화장솜(73)을 솔대(71)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화장솜 돌기(73a)를 솔대홈(71a)에 끼우는 방식으로 새 화장솜(73)을 솔대(71)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 장치는 화장솜을 교환할 수 있어 사용 주기를 기존보다 더 늘릴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의 도포부와 용기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와이퍼(50)는 원형 단면으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50)는 용기(10)의 상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퍼(5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성 재질일 수 있고 중심부에 와이핑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핑홀(51)은 솔대(71)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핑홀(51)은 용기(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뚜껑(30)이 용기(10)에 체결되는 경우, 솔대(71) 및 와이퍼(50)는 상호간 밀착하게 되어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용기(10)와 뚜껑(30)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화장료의 휘발이나 유출, 변질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주기를 기존보다 더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솜(73)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화장솜(73)의 상단부로는 넓은 부분에 도포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하단부로는 좁은 면적에 세밀하게 도포할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화장료를 흡수한 화장솜(73)이 와이퍼(50)를 통과할 때 접촉면적이 넓은 부분은 화장료가 많이 제거되고, 접촉면적이 적은 부분은 화장료가 적게 제거됨으로써, 화장료의 도포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90)는 뚜껑(30)의 접촉면(32a)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심에 솔대(71)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90)는 용기(10)의 용기 입구(10a)에 대응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뚜껑(30) 및 용기(10)를 체결할 때, 뚜껑(30)의 돌출부재(90)의 외측면이 용기(10) 및 와이퍼(50)의 상방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와이퍼(5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돌출부재(90)가 용기(10)의 내측면을 가압할 때 돌출부재(90) 또는 용기(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도포장치(1)는 돌출부재(90)를 통하여 용기(10)와 뚜껑(30)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화장료의 휘발이나 유출, 변질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주기를 기존보다 더 늘릴 수 있다.
1: 화장료 도포장치 2: 화장료
10: 용기 10a: 용기 입구
12: 결합돌기 13: 고정홈
15: 마찰턱
30: 뚜껑 30a: 제1 가압부재
30b: 제1 결합턱 31: 결합홈
32: 덮개홈 32a: 접촉면
33: 뚜껑 외피 33a: 제2 가압부재
33b: 제2 결합턱 35: 마찰돌기
50: 와이퍼 51: 와이핑홀
52: 와이퍼몸체 53: 안착부재
54: 와이퍼부재 55: 돌기부재
56: 고정부재
70: 도포부 71: 솔대
71a: 솔대홈 73: 화장솜
73a: 화장솜 돌기 90: 돌출부재

Claims (7)

  1. 내부에 화장료가 저장될 수 있는 용기;
    상기 화장료를 머금을 수 있는 화장솜 및 상기 화장솜을 결속할 수 있도록 일단에 솔대홀이 형성된 솔대를 가지는 도포부;
    상기 솔대의 타단과 연결되어 일측에 상기 용기의 일측을 감싸도록 덮개홈이 형성되고, 덮개홈의 내부면에는 상기 용기의 일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된 뚜껑;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화장솜 및 상기 솔대에 묻은 화장료를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홀이 형성되는 와이퍼 및
    상기 접촉면에서 상기 와이퍼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뚜껑 및 상기 용기의 체결시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돌출부재 및
    상기 뚜껑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뚜껑의 상부면과 이격되어 중공부가 형성된 뚜껑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입구의 내측면에 상기 와이퍼가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며, 폭 방향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턱 형상인 제1 가압부재 및
    하단 외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턱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외피는,
    상기 뚜껑 외피의 내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압부재와 대응되는 사각턱 형상인 제2 가압부재 및
    하단 내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턱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가압부재 사이에 상기 제2 가압부재가 끼워져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뚜껑 외피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뚜껑의 외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제1 결합턱 및 상기 제2 결합턱이 걸림고정되어 상기 뚜껑 및 상기 뚜껑 외피가 결속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용기의 입구 내측에 삽입되어, 내부에 상기 와이핑홀이 형성되는 와이퍼몸체;
    상기 와이퍼몸체의 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솔대를 가압하도록 상기 솔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와이퍼부재;
    상기 돌출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와이퍼부재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재;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와이퍼몸체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2. 제 1항에 대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용기의 외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마찰턱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3. 제 1항에 대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의 상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막힌 형태로 형성된 뚜껑 외피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4. 제 3항에 대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5. 제 1항에 대해서,
    상기 와이핑홀의 단면적은 상기 솔대의 횡단면적과 대응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는 화장료 도포장치.
  6. 제 1항에 대해서,
    상기 화장솜은,
    상기 솔대홀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솔대의 방향으로 돌출된 화장솜 돌기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7. 제 1항에 대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 대응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상기 솔대가 위치할 수 있는 화장료 도포장치.
KR2020180001714U 2018-04-18 2018-04-18 화장료 도포장치 KR200491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14U KR200491622Y1 (ko) 2018-04-18 2018-04-18 화장료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14U KR200491622Y1 (ko) 2018-04-18 2018-04-18 화장료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81U KR20190002681U (ko) 2019-10-28
KR200491622Y1 true KR200491622Y1 (ko) 2020-05-11

Family

ID=6838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714U KR200491622Y1 (ko) 2018-04-18 2018-04-18 화장료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2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749Y1 (ko) * 2004-05-21 2004-08-11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899B1 (ko) * 2011-10-28 2013-08-29 황재광 립글로스의 와이핑 장치
KR101804506B1 (ko) * 2015-01-06 2017-12-0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749Y1 (ko) * 2004-05-21 2004-08-11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81U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8362B2 (ja) 2つの製品のための収容取出デバイス
US7810510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assembly for mascara and its use in applying mascara
JP4542823B2 (ja) ワイパー部材を備えた、物質を包装し塗布する装置
KR101922892B1 (ko) 어플리케이터 부착 캡 및 이를 구비한 패키징
US20040258453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substance, the device including a wiper member
CN111246771B (zh) 化妆品容器
JP2000342328A (ja) 物質、特に化粧品の収納および塗布用器具
JPH11504555A (ja) 収納塗布装置および該装置用替え容器
TWI609651B (zh) 具有彈性狹縫構件的手指插入式睫毛膏容器
KR102502981B1 (ko) 제품, 특히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JP2007136200A (ja) ブラシ式塗布具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KR20180101096A (ko) 화장료 뭉침을 방지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3977336B2 (ja) 改良型塗布物パッケージ及び製造方法
KR20200000645U (ko) 화장품 용기
KR200491622Y1 (ko) 화장료 도포장치
KR20170125175A (ko) 사선 브러시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용기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KR200370137Y1 (ko) 액체 어플리케이터
KR20160136077A (ko) 원 터치 오픈 마스카라
JP7155428B2 (ja) 残量防止と同時にエアタイト機能を有する化粧品容器
JP2018191888A (ja) しごき部材及び該しごき部材を利用した塗布体付き容器
KR102280030B1 (ko)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56507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1477Y1 (ko) 메이크업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