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030B1 -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030B1
KR102280030B1 KR1020190099260A KR20190099260A KR102280030B1 KR 102280030 B1 KR102280030 B1 KR 102280030B1 KR 1020190099260 A KR1020190099260 A KR 1020190099260A KR 20190099260 A KR20190099260 A KR 20190099260A KR 102280030 B1 KR102280030 B1 KR 10228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acking
coupled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256A (ko
Inventor
오경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엔피
Priority to KR102019009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0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2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e.g. win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 및 인출되는 도포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캡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도포부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를 1차 밀폐하는 제 1 패킹부; 및 상기 홀더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2차 밀폐하는 제 2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COSMETICS CONTAINER WITH DOUBLE SEA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체의 외부와 내측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패킹부를 통하여 본체를 이중으로 밀폐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조화장품이란 용모를 아름답게 변화시켜 피부를 아름답게 연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색조화장품은 크게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으로 구성된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과 립스틱, 립글로즈, 립틴트,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등으로 구성된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들은 화장품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보관되는 화장품 용기도 다양하게 구성된다. 특히, 이들 중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립글로즈, 립틴트, 컨실러 등과 같은 액상 또는 겔(gel) 타입의 화장품이 수납되는 종래의 용기는 일반적으로 화장료가 담긴 용기에 나사 결합되는 캡과 일단이 캡에 연결되고 타단에 도포팁이 구비된 솔대로 이루어진 도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도포팁 및 솔대에 내용물이 과다하게 묻어나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의 개구부에 와이퍼를 가지는 패킹부를 구비하여 내용물이 적당히 묻어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패킹부는 용기를 밀폐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데, 패킹부의 연성이 강한 경우에는 와이퍼의 기능은 수행할 수 있으나, 개구부에 강하게 체결되지 못하며, 패킹부의 연성이 강한 경우에는 개구부에 강하게 결합되어 밀폐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나, 와이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하나의 패킹부만으로는 밀폐 기능과 와이퍼의 기능을 수행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의 휘발성이 높은 경우에는 캡을 결합할 때, 패킹부와 캡 사이의 이격 공간이 없도록 강하게 결합하여야 내용물의 휘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패킹부만으로는 용기의 밀폐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용기의 보관 중에 내용물이 휘발되거나, 외부 공기와 접촉되면서 변질 또는 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의 외부와 내측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패킹부를 통하여 본체를 이중으로 밀폐하고, 각각의 패킹부가 와이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 및 인출되는 도포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캡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도포부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를 1차 밀폐하는 제 1 패킹부; 및 상기 홀더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2차 밀폐하는 제 2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패킹부 및 상기 제 2 패킹부에는 상기 도포부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의 삽입 및 인출 시에 상기 도포부의 일 영역이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면서 상기 도포부에 묻은 상기 내용물이 와이핑(wiping)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경이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 2 관통홀 및 상기 제 1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각각 상이한 양만큼 와이핑되면서 상기 내용물의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패킹부는, 상기 제 2 패킹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홀더부의 하부 외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와 상기 본체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패킹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관통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탄성홈이 원주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 2 관통홀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탄성홈에 의해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패킹부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 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에는 제 1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돌기가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패킹부가 상기 홀더부의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패킹부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 2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하부 외측면에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돌기가 상기 제 2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패킹부가 상기 홀더부의 하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패킹부 및 상기 제 2 패킹부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패킹부와 상기 제 2 패킹부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부는, 상기 캡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솔대; 및 상기 솔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도포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패킹부의 상부에는 상기 홀더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결합 시에, 상기 지지부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팁은, 연성 재질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표면을 둘러싸는 섬유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홀더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외측 및 내측에 제 1 패킹부 및 제 2 패킹부를 각각 구비하여 캡의 결합 시에, 본체 내부를 이중으로 밀폐함으로써, 강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패킹부 및 제 2 패킹부가 밀폐 기능과 함께 와이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도포부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패킹부 및 제 2 패킹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의 내경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도포부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도포부에 묻어 나오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패킹부 및 제 2 패킹부의 재질을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밀폐 기능과 와이퍼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포팁에 미세섬유로 구성된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도포팁에 도포되는 내용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도포팁이 피부에 접촉할 때,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본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홀더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1 패킹부 및 제 2 패킹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본체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홀더부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1 패킹부 및 제 2 패킹부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00)는, 본체(100), 캡부(200), 도포부(300), 홀더부(400), 제 1 패킹부(500) 및 제 2 패킹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0)는 상단이 개방 형성되어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300)가 본체(100) 내부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액상 또는 겔상의 세럼, 에센스, 크림 등의 화장료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액상 또는 겔상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 도포부(300)를 통해 피부에 도포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홀더부(400)가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홀더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10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체(100)와 홀더부(400)의 결합을 위해 본체(10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10) 및 고정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10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종류 및 잔량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캡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0)를 개방 및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홀더부(400)(특히, 결합부(4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본체(100)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부(200)의 내측면 및 결합부(410)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캡부(200)와 홀더부(400)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캡부(200)의 내측에는 도포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캡부(200)가 본체(100)와 결합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도포부(300)가 본체(100)에 삽입되거나 본체(100)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포부(300)는 본체(100) 내의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으며, 캡부(200)에 결합되어 본체(100)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포부(300)가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포부(300)를 본체(100)로부터 인출하고, 도포부(300)(특히, 도포팁(330))에 흡수 또는 도포된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포부(300)는 지지부(310), 솔대(320) 및 도포팁(3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캡부(20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도포부(300)를 캡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310)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끼움환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고, 캡부(200)의 내측면에는 끼움환홈(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끼움환돌기가 끼움환홈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310)가 캡부(20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솔대(320)는 지지부(310)의 하부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본체(100)의 저면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캡부(200)의 결합 여부에 따라 본체(100)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도포팁(330)은 솔대(3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솔대(320)와 함께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포팁(330)은 몸체부(332) 및 섬유층(33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32)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하단이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332)가 도포부위에 접촉하는 경우에 유연하게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도포하는 경우에 뾰족한 단부를 이용하여 보다 섬세하고 세밀한 도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332)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및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Monomer Rubber) 등의 고무 재질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ABS, HIPS 등의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섬유층(334)은 후로킹(flocking) 가공을 통해 미세섬유들이 몸체부(332)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팁(330)에 내용물이 도포되면, 섬유층(334)을 구성하는 미세 섬유들의 사이에 내용물이 저장되어, 도포팁(330)에 도포되는 내용물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섬유층(334)을 구성하는 미세 섬유들의 길이 또는 밀도에 따라 도포팁(330)에 도포되는 내용물의 양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층(334)은 나일론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레이온,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나 실크, 무명 등의 천연 섬유를 포함하여 다양한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포팁(330)의 재질 및 형상에 대한 상기 기재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브러쉬, 마스카라솔, 섬유봉 등 다양한 형태의 도포팁이 적용될 수 있다.
도포팁(330)은 적어도 일부가 솔대(3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홀(도면부호 미도시)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솔대(3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포팁(330)은 솔대(3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포팁(330)의 외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삽입홀의 내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도포팁(330)이 삽입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포팁(330)의 외측면 및 삽입홀의 내측면에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하는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서 도포팁(330)과 솔대(3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훼손되거나 오염된 도포팁(3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도포팁을 구비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도포팁을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홀더부(400)는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캡부(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내측으로 도포부(300)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400)의 상부에는 캡부(200)가 결합되는 결합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부(400)는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되, 결합부(410)는 본체(10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캡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410)의 외측면에는 캡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캡부(200)와 나사결합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부(200)가 결합부(410)에 결합 및 분리됨에 따라, 도포부(300)가 홀더부(400)를 관통하여 본체(100)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4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본체(100)를 밀폐하기 위한 제 1 패킹부(500) 및 제 2 패킹부(60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부(400)의 내측면에는 제 1 패킹부(50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홈(420)이 형성되고, 홀더부(400)의 외측면에는 제 2 패킹부(600)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홀더부(400)는 본체(100)에 고정 결합되어, 본체(100)에 대하여 상하 방향 이동 및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부(400)에는 걸림돌기(440) 및 고정돌기(45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부(400)의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걸림돌기(440)가 돌출 형성되고, 본체(100)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440)에 대응하는 걸림홈(11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부(400)가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걸림돌기(440)가 걸림홈(110)에 삽입됨으로써, 홀더부(400)가 본체(100)의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40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450)가 홀더부(4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본체(100)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450)에 대응하는 고정홈(120)이 내측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부(400)가 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에 고정돌기(450)가 고정홈(120)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00)에 대한 홀더부(4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패킹부(500)는 홀더부(400)의 내측에 삽입되되, 적어도 일부가 홀더부(40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캡부(200)의 결합 시에, 도포부(300)의 일측에 밀착되어 본체(100)를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제 1 패킹부(500)의 하부에는 도포부(3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관통홀(510)이 형성되어, 도포부(300)가 본체(100)에 삽입 및 인출되는 경우, 솔대(320) 및 도포팁(330)이 제 1 관통홀(510)을 통과함에 따라 솔대(320) 및 도포팁(330)에 묻은 내용물을 와이핑(wiping)하는 와이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패킹부(500)의 제 1 관통홀(510) 내측면에 내용물이 훑어진 경우, 내용물이 다시 본체(100)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홀더부(40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패킹부(500)는, 제 1 패킹부(500)의 외측면이 홀더부(40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결합되어, 제 1 패킹부(500)의 외측면과 홀더부(400)의 내측면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제 1 패킹부(500)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 1 결합돌기(520)가 돌출 형성되어, 제 1 결합돌기(520)가 홀더부(400)의 제 1 결합홈(420)에 결합됨으로써, 제 1 패킹부(500)가 홀더부(400)의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포부(300)가 인출되는 경우에 솔대(320)가 제 1 관통홀(51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인출되더라도 제 1 패킹부(500)가 홀더부(4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패킹부(500)의 상단에는 안착부(530)가 제 1 패킹부(5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530)는 제 1 패킹부(500)가 홀더부(40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경우, 홀더부(400)의 상단에 안착되어, 홀더부(40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부(200)가 결합되는 경우, 지지부(310)의 하면이 안착부(530)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본체(100)를 강하게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310) 또는 안착부(530)에는 보다 강한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한 밀폐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530)와 접촉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지지부(310)의 하면에는 연성 재질의 밀폐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본체(100)를 보다 강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지지부(310)의 하면 및 홀더부(400)의 상단에 접촉하는 안착부(53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밀폐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캡부(200)의 결합 시에, 밀폐돌기가 탄성 변형함에 따라 안착부(530)가 지지부(310) 및 홀더부(400)와 보다 밀접함으로써, 강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패킹부(600)는 홀더부(4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홀더부(40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에 밀착 배치되어 본체(100)를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패킹부(500) 및 제 2 패킹부(600)에 의해 본체(100)의 이중 밀폐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패킹부(500) 및 제 2 패킹부(600)가 홀더부(4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 1 패킹부(500)는 본체(100)의 외측에서 본체(100)를 1차 밀폐하고, 제 2 패킹부(600)는 본체(100)의 내측에서 본체를 2차 밀폐할 수 있다.
제 2 패킹부(600)는 제 1 패킹부(500)와 마찬가지로, 와이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패킹부(600)에는 제 2 관통홀(6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솔대(320) 및 도포팁(330)이 제 2 관통홀(610)을 통과하는 경우, 솔대(320) 및 도포팁(330)에 묻은 내용물을 와이핑할 수 있다.
제 2 패킹부(600)에는 테두리부(620)가 형성되어 홀더부(40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패킹부(600)의 상부면에는 테두리부(620)가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홀더부(400)의 하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620)의 내측으로 홀더부(400)의 하부가 삽입됨에 따라, 테두리부(620)가 홀더부(40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에 밀착하여 결합됨으로써, 홀더부(400)와 본체(100)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테두리부(620)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 2 결합돌기(630)가 돌출 형성되어, 제 2 결합돌기(630)가 홀더부(400)의 제 2 결합홈(430)에 결합됨으로써, 제 2 패킹부(600)가 홀더부(400)의 하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포부(300)가 삽입되는 경우에 솔대(320)가 제 2 관통홀(61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삽입되더라도, 제 2 패킹부(600)가 솔대(32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여 홀더부(4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패킹부(600)의 하부에는 제 2 관통홀(610)의 둘레를 따라 탄성홈(640)이 상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홈(640)에 의해 도포부(300)가 삽입 및 인출되는 과정에서 솔대(320)가 제 2 관통홀(610)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경우, 제 2 관통홀(610)의 내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솔대(320)가 보다 용이하게 제 2 관통홀(610)을 통과하여 본체(100)에 삽입 및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패킹부(500) 및 제 2 패킹부(600)를 통해서 본체(100)를 이중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도포부(300)를 이중으로 와이핑할 수 있다.
특히, 제 1 관통홀(510)과 제 2 관통홀(610)의 내경을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제 1 패킹부(500) 및 제 2 패킹부(600)에 의해 와이핑되는 내용물의 양을 각각 상이하게 하여, 도포부(300)에 묻어 나오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관통홀(610)의 내경은 제 1 관통홀(5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관통홀(510)의 내경은 솔대(32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관통홀(610)의 내경은 솔대(32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300)가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솔대(320)가 제 1 관통홀(510)의 내측면에는 밀착하고, 제 2 관통홀(610)의 내측면과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부(300)가 본체(100)로부터 인출되면, 솔대(320) 및 도포팁(330)이 제 2 관통홀(610) 및 제 1 관통홀(5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제 2 관통홀(610)에 의해 1차적으로 와이핑되고, 제 1 관통홀(510)에 의해 2차적으로 와이핑될 수 있다. 이때, 제 2 관통홀(610)은 솔대(320)와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핑을 수행하고, 제 1 관통홀(510)은 솔대(320)에 밀착하여 와이핑을 수행하기 때문에, 솔대(320) 및 도포팁(330)에 묻은 내용물은 각각 상이한 양만큼 와이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포팁(330)에 적정량의 내용물이 묻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솔대(320)가 제 2 관통홀(610)과 이격됨으로써, 도포부(300)가 인출될 때, 제 1 관통홀(510)에 의해 2차 와이핑되는 내용물이 제 1 패킹부(500)와 홀더부(400)의 사이에 정체되지 않고, 솔대(320)와 제 2 관통홀(6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본체(100) 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2 패킹부(600)를 통과한 솔대(320)에 묻어 있는 내용물은 제 1 패킹부(500)에 의해 2차 와이핑되어 솔대(32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일부는 도포팁(330)에 흡수되고, 일부는 본체(100)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제 1 패킹부(500) 및 제 2 패킹부(600)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및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패킹부(500)와 제 2 패킹부(600)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패킹부(500)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패킹부(600)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패킹부(500)는 홀더부(400)와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적정한 수준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패킹부(600)는 홀더부(400)와 본체(100)의 사이에 밀착하여 강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캡부(200)를 본체(100)와 분리하여 도포부(300)를 본체(100)로부터 인출시켜, 내용물(C)을 도포 부위에 도포할 수 있다.
먼저 도 7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캡부(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포부(300)가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C)이 솔대(320) 및 도포팁(330)에 묻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패킹부(500) 및 제 2 패킹부(600)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가 이중으로 밀폐됨으로써, 본체(100) 내의 내용물(C)이 외부 공기에 접촉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장품 용기(1000)의 보관 상태에서 내용물(C)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캡부(200)를 홀더부(400)로부터 분리하여, 도포부(300)가 본체(100) 내측에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캡부(2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부(400)와 결합을 해제하고, 캡부(2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도포부(300)가 캡부(200)와 함께 이동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포팁(330)을 도포 부위에 문질러서 도포팁(330)에 도포되어 있던 내용물(C)을 도포 부위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부(30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솔대(320) 및 도포팁(330)은 제 1 패킹부(500)와 밀착되고, 제 2 패킹부(600)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패킹부(600)에 의해 솔대(320)에 묻어 있는 내용물(C)이 1차 와이핑되고, 제 2 패킹부(600)를 통과한 솔대(320)에 묻어 있는 내용물(C)은 제 1 패킹부(500)에 의해 2차 와이핑되어 도포팁(330)에 묻어 나오는 내용물(C)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걸림홈
120: 고정홈 200: 캡부
300: 도포부 310: 지지부
320: 솔대 330: 도포팁
332: 몸체부 334: 섬유층
400: 홀더부 410: 결합부
420: 제 1 결합홈 430: 제 2 결합홈
440: 걸림돌기 450: 고정돌기
500: 제 1 패킹부 510: 제 1 관통홀
520: 제 1 결합돌기 530: 안착부
600: 제 2 패킹부 610: 제 2 관통홀
620: 테두리부 630: 제 2 결합돌기
640: 탄성홈 1000: 화장품 용기

Claims (14)

  1. 화장품 용기로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 및 인출되는 도포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캡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도포부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를 1차 밀폐하는 제 1 패킹부; 및
    상기 홀더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2차 밀폐하는 제 2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킹부 및 상기 제 2 패킹부에는 상기 도포부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의 인출 시에 상기 도포부의 일 영역이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면서 상기 도포부에 묻은 상기 내용물이 와이핑(wiping)되되,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경이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 2 관통홀 및 상기 제 1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각각 상이한 양만큼 와이핑되면서 상기 내용물의 배출량이 조절되며,
    상기 도포부는 하단에 내용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팁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팁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후로킹(flocking) 가공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표면을 둘러싸는 섬유층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킹부는, 상기 제 2 패킹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홀더부의 하부 외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와 상기 본체의 사이를 밀폐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킹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관통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탄성홈이 원주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 2 관통홀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탄성홈에 의해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킹부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 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에는 제 1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돌기가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패킹부가 상기 홀더부의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킹부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 2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하부 외측면에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돌기가 상기 제 2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패킹부가 상기 홀더부의 하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킹부 및 상기 제 2 패킹부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킹부와 상기 제 2 패킹부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캡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솔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킹부의 상부에는 상기 홀더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결합 시에, 상기 지지부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화장품 용기.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홀더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099260A 2019-08-14 2019-08-14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28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60A KR102280030B1 (ko) 2019-08-14 2019-08-14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60A KR102280030B1 (ko) 2019-08-14 2019-08-14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56A KR20210020256A (ko) 2021-02-24
KR102280030B1 true KR102280030B1 (ko) 2021-07-21

Family

ID=7468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60A KR102280030B1 (ko) 2019-08-14 2019-08-14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0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326A (ja) 2000-05-24 2001-11-27 Yoshino Kogyosho Co Ltd マスカラ容器
JP3410014B2 (ja) * 1998-03-02 2003-05-26 鈴野化成株式会社 液状化粧料容器
US20150374099A1 (en) 2014-06-30 2015-12-31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Flocked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337B1 (ko) * 2017-11-24 2019-08-26 (주)장업시스템 스크류 형상의 솔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0014B2 (ja) * 1998-03-02 2003-05-26 鈴野化成株式会社 液状化粧料容器
JP2001327326A (ja) 2000-05-24 2001-11-27 Yoshino Kogyosho Co Ltd マスカラ容器
US20150374099A1 (en) 2014-06-30 2015-12-31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Flocked appl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56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3027B2 (ja) 液体、特に化粧品組成物の塗布器アセンブリ
US7967519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substance, the device including a wiper member
US10413040B2 (en) Finger insertion mascara container comprising wiper having corrugated tube formed thereon
JP4542823B2 (ja) ワイパー部材を備えた、物質を包装し塗布する装置
CN106333471B (zh) 具有弹性狭缝部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KR20170011603A (ko)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KR102502981B1 (ko) 제품, 특히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CN210988722U (zh) 化妆品容器
KR102356182B1 (ko) 베이어닛 클로저를 갖는 스템 및 그것이 구비된 장치
JP2007000631A (ja) マスカラ容器とアプリケータとの組み立て部品及びこの化粧への適用方法
CN107411314B (zh) 化妆品瓶子及包含该瓶子和化妆品用涂抹器的涂抹器组件
KR101048412B1 (ko) 화장품 용기
EP3047753A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102280030B1 (ko)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177321B1 (ko) 화장품 용기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100583751B1 (ko) 힌지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을 포함하는 도포기, 상기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및 상기 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
KR20170125175A (ko) 사선 브러시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용기
KR102272642B1 (ko)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370137Y1 (ko) 액체 어플리케이터
US11937681B2 (en) Cosmetics container simultaneously preventing leftover cosmetics therein and having airtight function
KR102248578B1 (ko)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855921B1 (ko) 화장료의 농도 유지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JP2021106672A (ja) 塗布具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