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751B1 - 힌지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을 포함하는 도포기, 상기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및 상기 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힌지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을 포함하는 도포기, 상기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및 상기 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751B1
KR100583751B1 KR1020030036575A KR20030036575A KR100583751B1 KR 100583751 B1 KR100583751 B1 KR 100583751B1 KR 1020030036575 A KR1020030036575 A KR 1020030036575A KR 20030036575 A KR20030036575 A KR 20030036575A KR 100583751 B1 KR100583751 B1 KR 100583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stem
handle member
hinge
applicato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317A (ko
Inventor
게레장-루이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207060A external-priority patent/FR2840515B1/fr
Priority claimed from FR0207061A external-priority patent/FR2840516B1/fr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03009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Brush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핸들 부재(7);
- 힌지를 통해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6); 및
- 상기 스템의 제1 말단부에 위치하며 케라틴성 섬유 상에 메이컵을 도포하도록 고안된 도포 요소(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이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조종부(18)를 포함하고, 상기 조종부가 상기 스템의 제1 말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말단부와 상기 힌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어 있는 도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힌지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을 포함하는 도포기, 상기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및 상기 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An applicator including a stem connected to a handle member via a hinge, a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cosmetic comprising said applicator, and a method for applying a cosmetic using said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눈썹 또는 속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구에서 스템을 핸들 부재에 대하여 피봇시켜서 분리한 도포기를 나타낸다.
도 3은 스템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시킨 채 속눈썹을 메이컵하는데 사용되는 도 2의 도포기를 나타낸다.
도 4는 스템을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향시킨 채 속눈썹을 메이컵하는데 사용되는 도 2의 도포기를 나타낸다.
도 5 및 6은 도포 요소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것으로서 그의 코어가 구부러지기 전을 도시한 브러쉬의 두가지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포 요소가 세로 방향으로 직선형인 축을 갖는 브러쉬로 이루어진 용구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1은 다양한 다른 도포기의 여러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구부러진 스템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2a는 톱니 모양을 갖는 도포 요소의 횡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15는 힌지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나타내는 다양한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 구현예를 이루는 도포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화살표 XVII를 따라 보여지는 말단부이다.
도 18 및 19는 다양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 17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27은 도포기의 다른 예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XVIII 상의 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31은 힌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2는 톱니를 갖는 힌지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핸들 부재, 힌지를 통해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 및 상기 스템의 한쪽 말단에 배치된 도포 요소를 포함하는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도포하기에 적합한 그러한 도포기가 미국 특허 제6 026 823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도포기가 미국 특허 제5 328 282호, 미국 특허 제2 173 959호, 미국 특허 제4 396 029호, 미국 특허 제5 435 328호, 프랑스 특허 제2 701 196호, 미국 특허 제4 165 755호, 프랑스 특허 제1 395 217호, 미국 특허 제4 428 388호, 미국 특허 제3 185 291호 및 미국 특허 제4 370 989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 중에서, 프랑스 특허 제1 395 217호는 변형가능한 캡슐을 갖는 매니큐어(nail varnish)용 도포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캡슐은 유연한 부분과 단단한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중 단단한 부분은 플라스크의 경부 위에 나사로 조여질 수 있는 나사산(screw thread)을 포함한다. 형태상 원형이거나 벨로즈일 수 있는 유연한 부분은 브러쉬에 고정되어 있고, 브러쉬를 플라스크의 바닥에 닿도록 사용자가 유연한 부분 위로 밀어내릴 수 있으며 브러쉬에 부착되는 색소를 현탁액 속으로 되돌아가도록 상기 색소를 취하는데 효과적이 되도록 와이핑할 수 있다.
직선이 아닌 세로방향 축을 갖는 도포 요소를 포함하는 도포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속눈썹이나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가 알려져 있다. 도포 요소의 형태로 인해 도포 요소가 와이퍼를 통해 용기로 삽입되어짐에 따라 메이컵을 로딩할 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삽입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포 요소는 그를 지지하는 스템에 대하여 형성되는 각도가 너무 크지 않아야 한다. 불행하게도, 인체 공학적 측면에서 볼 때에는 도포 요소가 스템에 대하여 더욱 급격하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하거나, 예를 들면 가능한 보다 다양한 메이컵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보다 인체 공학적이고/이거나 새로운 메이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신규 도포기, 특히 입술, 눈꺼플, 눈썹, 속눈썹 또는 헤어용 도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의 태양중 하나로서, 본 발명은,
- 핸들 부재;
- 힌지를 통해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
- 상기 스템의 제1 말단에 위치하며 케라틴성 섬유, 예를 들면 속눈썹, 눈썹 또는 헤어 상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요소; 및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이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템의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말단과 상기 힌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어 있는 조종부를 포함하는 도포기를 제공한다.
그러한 도포기는 사용중에 핸들 부재에 대하여 도포 요소가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어서 도포 요소의 축과 스템의 축 사이에 비제로 각도를 가질 수 있지만, 그렇더라도 도포용 메이컵이 들어있고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내로 도포기를 도입하는데 어려움을 일으키지는 않는데, 이는, 예를 들면 스템이 실질적으로 핸들 부재의 축 상에 있는 동안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포 요소가 형태상 비직선 형태인 경우에 도포 요소가 용기로 삽입되는 것을 저해할 수 있는 기울기로 기울이지 않더라도 도포 요소와 핸들 부재 사이의 입사 각도는 사용시에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스템이 핸들 부재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면 속눈썹 또는 눈썹을 메이컵할 때 얼굴로부터 핸들 부재를 더 멀리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스템의 축을 이용해서 속눈썹 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가 더 용이해진다.
그의 태양중 다른 것으로서, 본 발명은,
- 핸들 부재;
- 힌지를 통해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의 힌지에서의 인식가능한 축 변위 및/또는 측면 변위를 방지하는 힌지를 통해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
- 상기 스템의 제1 말단에 배치된 임의의 도포 요소; 및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이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며 상기 스템의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말단과 상기 힌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어 있을 수 있는 조종부를 포함하는 도포기를 제공한다.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의 힌지에서의 인식가능한 임의의 축 변위 및/또는 측면 변위를 방지하지 않는다면 도포 요소를 메이컵이 도포될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그의 태양중 다른 것으로서, 본 발명은,
- 핸들 부재;
- 상기 핸들 부재 내에 위치한 힌지를 통해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
- 상기 스템의 제1 말단에 위치한 도포 요소; 및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이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며 상기 스템의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말단과 상기 힌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될 수 있는 조종부를 포함하는 도포기를 제공한다.
상기 핸들 부재 내부에 힌지가 위치하게 되면 도포기가 좀 더 소형화되어서손안에 넣기가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도포기의 예에서, 상기 핸들 부재는 내부 나사산(thread)이 구비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부재는 조종부가 그의 한쪽 말단을 통과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의 상기 말단은 조종부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말단 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말단 벽은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개구부는 조종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적절하게는 상기 핸들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예로서,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인 세로방향 축의 슬롯을 두개 이상 가질 수 있다. 슬롯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돌출부에 의해 조종부가 변위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하드 포인트를 한정하는 에지(edge)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하게는, 상기 하드 포인트는 조종부를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포기는, 예를 들면 그의 말단부 벽에, 사용자가 핸들 부재에 대하여 스템이 배향되는 방향을 좀더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식별 마크, 예를 들면 눈금(gradu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조종부는 핸들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고안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는 핸들 부재 쪽으로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조종부는 쉬쓰(sheath),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유연한 영역을 갖는 쉬쓰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혀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연한 부분은 벨로즈를 포함할 수 있다.
조종부는 쉬쓰로 완전히 덮혀 있을 수 있다.
쉬쓰는, 그 전체가 엘라스토머, 예를 들면 부틸 니트릴,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실리콘 또는 라텍스 (이들로서 한정되지는 않음)로 만들어져 유연할 수 있다.
쉬쓰는 상기 핸들 부재에 도포되거나, 변형예로서 몰딩, 예를 들면 핸들 부재 상부에 사출시켜서 상기 핸들 부재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쉬쓰는 축방향으로 대칭인 외형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원형의 횡단면을 나타낼 수 있다.
쉬쓰의 외형은 당연히 일 방향 이상에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쉬쓰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타원(또는 직사각)의 횡단면을 나타낼 수 있다.
쉬쓰는 그 두께가 좀 더 두껍거나 얇은 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쉬쓰는 그의 적어도 일부분이 핸들 부재의 벽 두께와 동일한 정도인 두께의 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쉬쓰는, 특히 세포상 물질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비교적 두꺼운 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쉬쓰는 리세스, 또는 적어도 스템의 제2 말단부가 체결되어 있는 슬롯이 구비된 발포체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발포체 블록을, 예를 들면 가열봉합이나 접착에 의해 핸들 부재 본체의 일 말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포기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 쉬쓰는 놓여져 있는 용기의 마개에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는 핸들 부재에 대한 스템의 움직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는 핸들 부재에 대한 스템의 위치와 무관하게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브레이크는 상기와는 달리 핸들 부재에 대한 스템의 적어도 일 소정 위치에서만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
힌지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힌지는 스템을 1축, 2축 또는 무한축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는 단단하거나 유연한 소켓을 가질 수 있는 구형의 볼-소켓 조인트(ball-and-socket j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단단한 소켓이라면, 예를 들어 스템의 실링 부재와 용기 사이의 보다 양호한 접촉으로 인해 용기 마개에 보다 우수한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힌지는 그 주변에서 스템이 피봇할 수 있는 핀, 예를 들면 금속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템은 피봇으로서 작동하는 실린더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힌지는 하나 이상의 유연한 벽, 예를 들면 스템이 관통하는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벽은 스템과 핸들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힌지는 스템이 관통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물질,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발포체 블록을 포함한다.
도포기는 사용자가 조종부를 놓은 후에도 스템이 사용자가 지정한 방향을 계속 유지하는 방식으로 고안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포기는 사용자가 스템을 놓았을 때, 예를 들면 스템의 축을 핸들 부재의 축과 함께 배열시키는 소정의 방향으로 스템이 향하도록 스템을 복원시키기에 적당한 탄성 복원 부재 (resilient return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원 부재는, 예를 들면 힌지를 구성하는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복원 부재는 전술한 쉬쓰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템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 도포기가 끼워져 있는 용기의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기밀한 방식을 가지도록 고안된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링 부재는 디스크 및/또는 선단부가 잘려나간 원추형(frustroconical)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 요소는 임의로는 수직인 세로방향 축을 나타낼 수 있다.
도포 요소는 스템의 축과 비제로 각도를 형성하는 세로방향 축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비제로 각도는 도포 요소에 인접한 스템의 말단부의 축과 스템에 인접한 도포 요소의 기저부의 축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비제로 각도는 도포 요소에 인접한 스템의 말단부의 축과 스템으로부터 이격된 도포 요소의 말단부의 축 사이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포 요소는 직선을 이루지 않거나, 스템과 도포 요소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수직한 축을 따라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그 예로서 스템의 도포 요소는 평면 상에 연장되며 스템은 상기 평면에서만 피봇될 수 있다. 도포 요소의 세로방향 축은 스템의 피봇 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포 요소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면 상기 도포 요소의 세로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브리슬 및/또는 티쓰(teeth)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 요소는 마스카라 브러쉬, 구체적으로는 두가닥의 메탈 와이어가 함께 꼬여 만들어진 코어와 상기 코어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브리슬을 갖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포 요소는 케라틴성 섬유, 예를 들면 속눈썹 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도록 고안된 빗(comb)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 요소는, 예를 들면 톱니들을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도포 요소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물질을 사출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변형된 구현예에 있어서, 도포 요소는 페인트브러쉬 타잎의 브러쉬, 예를 들면, 매니큐어 도포용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 요소는 입술 또는 눈꺼플에 메이컵을 도포하도록 고안된 발포체, 스폰지, 펠트 또는 플록킹된 엔드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 요소는 플록킹될 수 있다.
도포 요소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메이컵을 보유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을 포함하는 용기 및 전술한 바와 같은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도포기는 용기를 폐쇄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용기는 와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는 도포기를 용기상으로 복귀시킬 때 스템을 제로 경사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용기와 도포기는 도포기가 용기 위에 위치할 때 도포기가 용기에 대하여 피봇하지 않도록 고안될 수 있다.
용기의 실링 마개는 힌지의 축을 따라서, 힌지 위에서, 힌지 주변에 또는 힌지 아래에서 움직일 때 위치하는 실링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또는 얼굴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속눈썹 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하기의 단계,
- 축을 갖는 핸들 부재에 힌지된 방법으로 연결된 스템의 한쪽 말단에 존재하는 도포 요소에 메이컵을 로딩하는 단계; 및
- 도포 요소를 가지는 말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스템의 제2 말단부에 인접한 조종부 상에서 상기 핸들 부재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수동으로 힘을 가해서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이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포 요소가 케라틴성 섬유, 예를 들면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의 단계,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을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제1 기울기 (예를 들면, 0도 기울기의 경사)의 각도로 하여 케라틴성 섬유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단계; 및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제1 기울기와는 다른 제2 기울기의 각도로 하여 케라틴성 섬유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 구현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하는 도면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속눈썹 또는 눈썹에 메이컵(P), 예를 들면 마스카라를 도포하기 위한 용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용구는 도포기(2; 도 2 및 3에는 도포기만을 도시하고 있음)와 메이컵(P)이 들어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도포기(2)가 실질적으로 기밀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는 용기(3)를 포함한다.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용기(3)는 나사산을 갖춘 경부(4; 도 1 도시) 및 나사산을 갖춘 경부의 내부에 고정된 와이퍼(5)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져 있으며 가능하게는 통상 원뿔형인 유연한 립(lip)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도포기(2)는 X축으로 수직한 스템(6)을 가질 뿐 아니라 Y축으로는 상기 용기(3)의 마개용 캡으로의 역할도 하며, 이러한 마개용 캡으로의 용도를 위해 경부(4) 위에서 나사로 잠겨지도록 고안된 내부 나사산(8)을 가지고 있는 핸들 부재(7)를 포함한다.
스템(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기(2)가 용기(3)의 상부에 있을 때 상기 용기의 개구부와 공조하기 위한 실링 부재(9)를 가지고 있다. 예로서, 상기 실링 부재(9)는 와이퍼(5)의 상부 에지에 대항하여 견디도록 고안된 칼라(collar; 9b)가 그의 상말단부에 끼워져 있는, 말단부가 잘려진 원뿔 부분(9a)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는 와이핑용 오리피스(5a)를 용기 내부에 한정하며, 상기 오리피스는 와이핑하는 스템의 부분의 단면이 원형일 때에는 원형이며 그의 직경과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예에 있어서, 실링 부재는 말단부가 잘려나간 원뿔부 또는 디스크 이외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실링용 스커트(skirt)를 포 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크를 포함하는 경우 실링 부재는 엘라스토머 물질로 된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부재(7)는, 예를 들면 단단한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 Y축 주변이 원형으로 대칭인 외형을 갖는 통상의 튜브형 본체(14)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4)는 축 말단에서 용기의 경부(4) 상에 체결될 수 있는 개구부(15)를 한정하고 상기 핸들 부재(7)에 대하여 배향되는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스템(6)의 조종부(18)를 통과시키는 개구부(16)를 한정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스템(6)은, 도포기(2)의 사용 중에는 핸들 부재(7)의 스템의 축 X와 핸들 부재의 축 Y 사이에 형성된 각도(ii)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도록 힌지 방식으로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다.
도포기(2)는 스템 상에 형성된 전체적으로 구형의 볼(10)과 함께 상보적인 형태의 소켓(11)을 핸들 부재(7) 내부에 가지고 있는, 예를 들면 구형의 볼-소켓 조인트 형태의 힌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는 핸들 부재(7)에 대하여 스템(6)을 그 자체의 축 X 주변으로 임의로 회전시키는 반면, 힌지에서는 상기 핸들 부재(7)에 대한 스템(6)의 감지할만한 축 운동 및 측면 운동을 금지한다.
이러한 예에서, 소켓(11)은 상말단부에서 본체(14)의 안쪽으로 향한 림(13)에 연결된 핸들 부재의 벽(12)에 의해 한정된다.
조종부(18)의 반대편 말단부에서, 스템(6)은 도포기가 있을 때 용기의 바닥면과 임의로 접촉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마스카라 브러쉬와 같은 도포 요소(20)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의 방식에서, 브러쉬는 두가닥의 금속 와이어가 서로 꼬여 만들어진 코어와 상기 코어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브리슬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기가 용기 위에 놓여있을 때 핸들 부재에 대한 스템의 배향 방향은 용기로 삽입되는 스템의 부분을 건드리지 않고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더럽혀질 염려가 없다.
또한, 조종부(18) 상에서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메이컵을 도포하는 동안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도포 요소가 배향되는 방향으로 스템(6)의 조종부(18)가 변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템은 메이컵을 도포하는 동안 한손으로 조종될 수 있다.
브러쉬는 도 1 내지 3의 예의 경우에서처럼 수직하지 않은 코어 코어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도포 요소(20)와 스템(6) 모두가 같은 일직선으로 연장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과, 특히 도포 요소가 곡선형의 세로방향 축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3의 예에 있어서, 브러쉬 형태의 도포요소(20)는 구부러진 코어를 가지는데, 스템에 인접한 코어(21)의 기저부(21a)는 실질적으로 축 X를 따라서 연결되어 있고 코어(21)의 말단부(21b)는 축(X)과 각도(i)를 형성하는 방향(Z)쪽으로 향한다.
방향 Z와 핸들 부재(7)의 축 Y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각도 (i)과 각도 (ii)를 합한 값에 해당할 것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기의 스템이 위쪽으 로 향해 있는 동안에 속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쪽으로 향해있는 도포기의 스템을 이용해서 메이컵을 하는 동안에 스템과 핸들 부재 사이의 각도는 핸들 부재를 얼굴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매우 크기 때문에 메이컵을 도포하기가 용이해진다.
스템이 실질적으로 수평인 도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스템이 향하는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부재의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제로 각도일 수 있다.
일단 조종부(18)를 놓았을 때 배향하고 있는 방향을 유지하도록 도포기를 고안하면, 사용자가 조종부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스템이 핸들 부재의 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유지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종부(18)를 놓았을 때 핸들 부재의축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스템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도포기를 고안할 수 있다.
도포기가 용기 상에 있을 경우에, 스템과, 적절하게는 실링 부재(9)를 용기, 특히 와이퍼 부재(5)와 함께 작동시킨다면 조종부(18)가 프랑스 특허 제1 395 217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장치에 기재된 것과는 달리 핸들 부재에 대하여 눈에 띌 정도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스템(6)의 말단부에 있는 도포 요소(20)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중심에서 벗어난 코어 및/또는 구부러진 코어를 갖는 브러쉬로 이루어지며, 코어가 구부러지기 전에는 도 5 및 6의 예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나 타낸다.
이들 도면은 코어가 구부러지기 전, 그리고 코어(21)가 스템(6)에 이식되기 전의 두개의 브러쉬 블랭크를 나타낸다.
이들 두개의 예들 각각에 코어(21)는 스템에 이식되기 전에는 전체적으로 직선형인 것을 볼 수 있다.
점괘선은 구부러진 후의 코어 형태를 나타낸다.
도 5의 예에서, 블랭크는 그의 세로방향 축 둘레에 있는, 선단부가 잘린 두개의 원뿔 형태인 엔벨로프 표면을 나타낸다.
브리슬을 가지고 있는 브러쉬의 부분(20a)의 전체 길이는, 예를 들면 약 26mm이다. 블랭크의 가장 큰 직경은 7mm보다 약간 큰 반면, 그의 말단부 직경은 4mm에 가깝다. 예를 들면, 코어(21)의 총 길이는 35mm보다 약간 길다.
코어(21)는, 자유 부분 (free portion)에 예를 들면 60mm에 가까운 곡률 반경을 제공하도록 스템(6)에 이식된 부분을 직선형으로 유지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코어의 자유 말단부는 스템에 이식된 직선형 부분의 축으로부터 예를 들면 약 4.5mm인 간격(d)만큼 벌어져 있을 수 있다.
코어가 구부러지기 전에, 도 6의 블랭크의 통상적인 형태는 실질적으로는 선말단부가 잘려나간 원뿔 형태인 앞 부분(20b)과 원주상 대칭인 본체(20c)를 가지며, 세로방향 단면이 바깥쪽으로 볼록하면서 각각 약 52mm의 곡율 반경을 갖는 두개의 대향된 원주상 에지(20d 및 20e)에 의해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물고기 형태일 수 있다. 그의 후단면(rear end plane; 20f) 부근에서 브러쉬의 직경은 약 7.5mm일 수 있으며, 그의 전단면(front end plane; 20g) 부근에서 그의 직경은 약 5mm일 수 있다. 도 6의 블랭크는 브리슬을 가지고 있는 코어의 부분을 구부려서 마지막 브러쉬로 변형됨으로써 도시된 예에서처럼, 그리고 약 53mm로 일정한 곡율 반경을 가지게 된다.
스템에 이식된 부분에 인접해 있으며 브리슬을 가지고 있는 브러쉬 부분의 말단부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템(6)에 이식된 부분의 축에 대하여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코어의 자유 말단부가 벗어나 있는 거리(d)는 약 2.4mm일 수 있다.
눈꺼플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플록킹된 엔드 피스(30; 도 8 도시), 또는 입술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플록킹된 엔드 피스(40; 도 9 도시), 또는 손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하기 위한 페인트 브러쉬 타입 브러쉬(50; 도 10 도시)를 갖는 도포 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빗(6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빗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가 EP 1 169 941, EP 1 070 465, EP 1 070 468, EP 1 070 467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펠트 팁 또는 발포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도면에서, 스템(6)은 전체적으로 수직일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면 구부러진 부분(6a)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횡단면을 관찰했을 때, 도포기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물질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도포 요소들이 스템과 동일한 일직선상에서 임의대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예에 있어서, 스템(6)의 조종부(18)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물질을 성형하여 스템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조종부(18)가 스템(6)의 나머지 부분에 끼워진 별개의 피스로서 구성되는 것,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볼(10)의 하우징(61)에 그의 한쪽 말단부가 삽입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6)을 핸들 부재(7)에 연결하는 힌지는 핸들 부재(7)의 나머지 부분에 끼워진 피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소켓(11)은, 예를 들면 스냅 고정(snap-fastening)에 의해 핸들 부재의 나머지 부분(64)에 고정된 피스(63)에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에서, 조종부(18)을 통하여 돌출되는 핸들 부재(7)의 개구부는 바깥쪽으로 분기하는 에지(65)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볼-소켓 조인트의 소켓(11)을 한정하는 벽(12)은, 예를 들면 핸들 부재의 외부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조종부(18)는 소켓(11)의 벽(12)의 적어도 일부를 거의 또는 전혀 빈틈없이 덮는 역할을 하는 커버(66)를 구비할 수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 상기 커버(66)는 벽(12) 쪽으로 향하는 볼록한 면(67)을 임의로 나타낸다.
일축 말단에서, 핸들 부재(7)는 도 16에 도시된 대로, 조종부(18)가 관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롯을 갖는 말단부 벽(69)을 가질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 말단부 벽(69)은 두개의 슬롯(70 및 71)을 가지고 있는데, 그의 축은 각각 서로 수직하는 축 F1 및 F2이고, 그의 폭은 스템(6)이 핸들 부재(7)에 대하여 기울어질 때 상기 슬롯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조종부(18)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슬롯(70 및 71)이 존재하면, 스템(6)이 핸들 부재(7)에 대하여 축 F1 및 F2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말단부 벽(69)은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볼록하다. 전술한 슬롯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면 슬롯들(70 및 71) 모두는 조종부(18)가 통과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하드 포인트가 만들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돌출부(73), 예를 들면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돌출부(73)를 포함하고 있어서, 조종부(18)를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슬롯중 하나의 축 말단부에 대항하는 접촉부(abutment)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8의 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조종부(18)를 미리 결정된 5개의 위치중 하나의 위치, 즉 조종부(18)가 슬롯(70 및 71) 사이의 교차점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축 Y에 대한 스템(6)의 기울기는 실질적으로 0이고, 조종부(18)의 각 4개 말단부는 상응하는 슬롯의 축 말단부중 적어도 하나와 겹쳐진다. 돌출부(73)의 존재와 관련이 있는 하드 포인트를 통과함으로써 중심부와 말단부 사이에서 위치가 변한다.
예로서, 스템(6)이 단일축에 대해서만 피봇할 수 있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부재(7)는 하나의 슬롯(70)만을 가질 필요가 있다.
스템이 단일 평면에서만 피봇할 경우에 도포 요소는 상기 평면에 연장되는, 구부러진 세로방향 축을 나타낼 것이다.
핸들 부재는 사용자가 핸들 부재에 대한 조종부(18)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 마크(77)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부재는 복수개의 눈금을 가질 수 있다.
조종부(18)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진 쉬쓰로 덮혀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쉬쓰는 용기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0은 엘라스토머를 핸들부재(7) 본체의 부분(81)에 오버몰딩하여 만든 쉬쓰(80)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쉬쓰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드(folds; 82)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폴드(82)는 스템(6)을 조종할 수 있도록 쉬쓰를 모든 방향에서 유연하게 하는 벨로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 및 21의 예에 있어서, 쉬쓰의 외형은 핸들부재(7)의 축 Y에 대하여 통상 원주상으로 대칭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조종부를 움직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특정 방향으로 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쉬쓰가 원주상 대칭이 아닌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2는 핸들 부재(7)에 대한 스템(6)의 기울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가압하는 것에 대항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두개의 반대 표면(91)을 갖는 쉬쓰(90)를 도시한다.
이들 표면(91)중 하나는 사용자에게 가압하도록 촉구하는 메시지(92)를 임의 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2에 도시된 쉬쓰에 적용함에 있어서, 쉬쓰가 스템(6)의 각 변위를 단일 축 주위의 변위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22의 예에 있어서, 표면(91)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조종부(18)의 변위 방향(M)에서 쉬쓰(90)의 유연성으로 인해 스템은 표면(9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 (K)에 대해 피봇하도록 하는 반면, 축(K)의 방향에서 쉬쓰(90)의 경직성이 클수록 스템이 축(K)에 수직한 축에 대해서는 피봇하지 못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볼-소켓 조인트의 소켓은, 예를 들면 보다 큰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스템의 변위를 제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쉬쓰와 동일한 물질로 성형하여 일체로 만든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 23은 핸들 부재의 림(95) 상에 스냅 방식으로 조여진 바닥부(94)를 갖는 쉬쓰(100)의 예를 나타낸다. 바닥부(94)는 스템(6)의 구형의 볼(10)이 들어있는 소켓(11)을 한정한다.
조종부(18) 상에 체결된 쉬쓰는 임의로는 핸들 부재에 대하여 고정된 부분을 전혀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조종부(18)는, 스템의 기울어짐을 변경시키는 동안 조종부(18)를 쉬쓰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는 축에서 변위시킬 수 있도록 쉬쓰 내에서 유리될 수 있다.
또한, 조종부(18)는, 예를 들면 축 X가 실질적으로는 축 Y와 일치하는 나머지 위치로 스템을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왜곡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쉬쓰에 대하 여 유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적절하게는, 쉬쓰는 미사용시에는 스템을 제로 기울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쉬쓰는 핸들 부재의 본체에 고정된 세포상 물질의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서, 도 24는 가열봉합 또는 접착에 의해 일면(103)을 통해 핸들 부재의 말단부 벽(104)에 고정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발포체의 블록(102)으로 이루어진 쉬쓰를 나타낸다.
블록(102)은 면(103) 쪽으로 열려있으며 조종부(18)가 수납된 리세스(105)를 포함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리세스(105)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106), 예를 들면 두개의 슬롯으로 대체될 수 있다.
쉬쓰는 핸들 부재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힌지에 의해 핸들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도면은 몰딩에 의해 핸들 부재(7)와 일체화되고 필름 힌지(107)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쉬쓰(108)를 나타낸다.
필름 힌지(107)의 중심 영역은 조종부(18)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단락된다.
볼-소켓 조인트 이외의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스템과 핸들 부재 사이에 힌지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 및 28은, 상부에 스템(6)이 체결된 축 T를 갖는 핀(110), 예를 들면 금속 핀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상기 축 T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을 가지며 핀(110)을 통과시키는 개구부(112)에 의해 구멍이 뚫린 확대부(111)를 포함할 수 있는 힌지를 나타낸다. 핀은 핸들 부재와 직경 상으로 반대편에 있는 스터드(113)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 부재는, 외부 커버(114), 예를 들면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그의 본체(115)에 고정되며 핀(110)을 스터드(113)에 보유하는 역할을 하는 외부 커버를 포함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템이 그의 축 X에 대하여 수직하여 연장되어 있는, 상기 원통 부분의 축 W에 대해서만 피봇하도록 구형의 볼을 원통 부분(116)으로 대체시켜서 스템의 힌지를 만들 수도 있다. 조종부(18)가 핸들 부재의 상응하는 개구부에 삽입될 때 원통 부분(116)은 스냅 방식으로 하우징(117) 내에서 조여질 수 있도록 핸들 부재의 말단부(15) 쪽을 향해 개방된 하우징(117)의 축 말단부에 수납될 수 있다.
힌지는 변형가능한 물질로 만들어진 벽 또는 블록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은 가열봉합 또는 접착에 의해 핸들 부재의 내부에 고정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발포체와 같은 세포상 물질의 블록(120)을 포함하는 힌지를 나타낸다. 스템(6)은 블록(120) 내의 개구부, 예를 들면 슬롯을 통과하며, 블록(120)의 측면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릴리프 부분(123 및 124)을 가질 수 있는데, 이들 릴리프 부분은 스템(6)이 배향되는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사용자가 수동 조작하는 동안 그들 사이의 블록(12)을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단순한 디스 크(130)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디스크는 조종부(18)가 돌출하는 개구부를 둘러싼 핸들 부재의 림(131)에서 가열봉합될 수 있다.
소켓(11)에 체결된 스템의 구형의 볼(10)은 릴리프 부분(135), 예를 들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의 운동에 제동을 걸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소정의 각 위치에서 보다 쉽게 정지될 수 있도록 소켓의 벽(12)에 형성된 상보적인 릴리프 부분(136)과 함께 작동하는 톱니를 가질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릴리프 부분 (135 및 136)은 스템과 핸들 부재 사이에 추가적인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엘라스토머 물질로 된 하나 이상의 비드로 대체될 수 있다.
당연하게, 본 발명은 전술한 구현예로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여러 가지 구현예의 특징들을 서로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구현예를 구성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다른 언급이 없는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도포기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포기가 삽입되어질 용기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케이크 형태의 메이컵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도포기에 메이컵을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도포기는 인체 공학적이며 새로운 메이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1)

  1. - 핸들 부재(7);
    - 힌지를 통해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단일 스템(6); 및
    - 상기 스템의 제1 말단부에 위치하며 케라틴성 섬유 상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단일 도포 요소(20)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이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조종부(18)을 포함하고, 상기 조종부가 상기 스템의 제1 말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말단부와 상기 힌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어 있는 도포기.
  2. - 핸들 부재(7);
    - 상기 핸들 부재(7)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를 통해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단일 스템(6); 및
    - 상기 스템의 제1 말단부에 배치된 단일 도포 요소(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이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조종부(18)를 포함하고, 상기 조종부가 상기 스템의 제1 말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말단부와 상기 힌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어 있는 도포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스템의 힌지에서 인지가능한 축 변위 및/또는 측면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 - 핸들 부재(7);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스템의 힌지에서의 인지가능한 축 변위 및/또는 측면 변위를 방지하도록 고안된 힌지를 통해서 상기 핸들 부재에 연결된 단일 스템(6);
    - 상기 스템의 제1 말단부에 위치한 임의의 종류의 단일 도포 요소; 및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템의 제1 말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말단부와 상기 힌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어 있을 수 있는 조종부를 포함하는 도포기.
  5.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7)가 용기(3)를 폐쇄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가 내부 나사산이 구비된 스커트(ski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7.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7)에 대하여 상기 스템(6)이 배향되는 방향을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 마크(77), 구체적으로는 눈금(grandu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8.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가 상기 조종부(18)가 그 일 말단부를 관통하고 있는 본체(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단부에 말단부벽 (69)을 포함하며, 상기 일 말단부 벽은 조종부에 의해 관통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하나 이상의 슬롯(70, 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실질적으로 상호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세로방향 축(F1, F2)을 포함하는 두개 이상의 슬롯(70, 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2. 제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70, 71)이 상기 조종부(18)가 변위되는 동안 하드 포인트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에지(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벽(69)이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볼록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4.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가 상기 핸들 부재(7)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고안된 커버(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전체적으로 상기 핸들 부재의 본체쪽으로 볼록한 면(67)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6.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18)가 하나 이상의 유연한 영역을 포함하는 쉬쓰(80; 90; 100; 108)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의 유연한 영역이 벨로즈(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18) 전체가 쉬쓰로 덮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 전체가 유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가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100)가 상기 핸들 부재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80; 108)가 몰딩에 의해 상기 핸들 부재와 일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가 필름 힌지(107)에 의해 상기 핸들 부재(7)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80)가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원형인 횡단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90)가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가 발포체 블록(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7. 제16항에 있어서, 도포기 미사용시에 상기 쉬쓰가 그 상부에 도포기가 끼워지는 용기의 마개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8.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조종부를 놓은 후에도 상기 스템이 여전히 사용자가 지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9.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해 스템의 움직임에 제동을 걸기 위한 브레이크(135, 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스템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해 제동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135, 136)가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해 상기 스템의 적어도 일 소정 위치에서만 제동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2.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구형의 볼-소켓 조인트(10,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소켓(11)이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4.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핀(110)을 포함하며 상기 핀(110) 주위로 상기 스템(6)이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5.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상기 스템과 상기 핸들 부재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스템을 관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변형가능한 벽, 구체적으로는 디스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6.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상기 스템이 관통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물질로 된 하나 이상의 블록(120), 구체적으로 발포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7.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이 피봇으로서 작용하는 원통 부분(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8.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도포기 미사용 중에는 상기 스템이 도포기가 끼워지는 용기(3)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기밀 방식으로 상호 작동하도록 고안된 실링 부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9.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요소가 직선이 아닌 세로방향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0.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요소(20)가 상기 스템의 축(X)과 비제로 각도(i)를 형성하는 세로방향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1. 제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요소가 그의 세로방향 축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브리슬 또는 티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요소가 마스카라 브러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요소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도록 고안된 빗(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4. 제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요소가 페인트 브러쉬(50), 구체적으로 손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하기 위한 페인트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5. 제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요소가 플록킹된 엔드피스(30; 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6. 화장품이 들어있는 용기, 및 제1항, 2항 또는 4항에 따른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가 용기를 폐쇄하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와이퍼(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49. 제46항에 있어서, 도포기가 용기 위에 놓여있을 때 도포기의 스템이 용기에 대하여 피봇되지 않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50. - 축(Y)을 갖는 핸들 부재(7)에 힌지된 방식으로 연결된 단일 스템(6)의 한쪽 말단에 존재하는 단일 도포 요소(20)에 화장품을 로딩하는 단계; 및
    - 상기 도포 요소를 가지는 말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스템의 제2 말단부에 인접한 조종부(18) 상에서 상기 핸들 부재의 축(Y)에 대해 횡방향으로 수동으로 힘을 가해서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6)이 배향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 또는 안면의 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요소가 케라틴성 섬유 상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방법이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을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제1 기울기 (예를 들면, 0도 각도의 기울기)의 각도로 하여 케라틴성 섬유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단계; 및
    - 상기 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템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제1 기울기와는 다른 제2 기울기의 각도로 하여 케라틴성 섬유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36575A 2002-06-07 2003-06-07 힌지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을 포함하는 도포기, 상기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및 상기 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 KR100583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7061 2002-06-07
FR0207060A FR2840515B1 (fr) 2002-06-07 2002-06-07 Applicateur comportant une tige reliee par une articulation a un organe de prehension
FR0207060 2002-06-07
FR0207061A FR2840516B1 (fr) 2002-06-07 2002-06-07 Applicateur comportant une tige reliee par une articulation a un organe de prehen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317A KR20030095317A (ko) 2003-12-18
KR100583751B1 true KR100583751B1 (ko) 2006-05-26

Family

ID=2955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575A KR100583751B1 (ko) 2002-06-07 2003-06-07 힌지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을 포함하는 도포기, 상기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및 상기 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369055B1 (ko)
JP (1) JP3825422B2 (ko)
KR (1) KR100583751B1 (ko)
CN (1) CN1274260C (ko)
DE (1) DE60330623D1 (ko)
ES (1) ES233788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78B1 (ko) * 2006-08-30 2007-04-18 백운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6306B2 (en) * 2006-07-12 2012-01-17 Albea Services Molded plastic mascara brush
FR2939619B1 (fr) * 2008-12-15 2011-02-11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matieres keratiniques.
JP2012232162A (ja) * 2012-07-31 2012-11-29 Hiroaki Takashima マスカラ用具
US20140332027A1 (en) * 2013-05-09 2014-11-13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implement with polyhedral applicator
FR3034968B1 (fr) * 2015-04-15 2019-06-14 L'oreal Mecanisme d'articulation d'un dispositif d'application de produit cosmetique, dispositif, methode d'applic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s
US20170258203A1 (en) 2016-03-09 2017-09-14 L'oréal Systems for applying cosmetic compositions
JP6723653B2 (ja) * 2016-09-29 2020-07-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料容器
US11957231B2 (en) * 2017-11-08 2024-04-16 Ingenious Inventions, Inc. Cosmetic applic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JP7309278B2 (ja) * 2019-09-27 2023-07-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具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3959A (en) 1939-02-09 1939-09-26 Victor Metal Products Corp Applicating apparatus and method
FR1395217A (fr) 1964-04-24 1965-04-09 Applicateur de vernis à ongles à capsule déformable permettant la mise en suspension des colorants avant usage
US4165755A (en) 1977-09-26 1979-08-28 Cassai Gino H Adjustable mascara wand
US4396028A (en) 1982-10-22 1983-08-02 Waggoner Edward S Suntan lotion applicator device
US5328282A (en) 1993-01-21 1994-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bined mascara bottle and applicator
FR2701196B1 (fr) 1993-02-09 1995-04-21 Oreal Applicateur de maquillage ou de produit capillaire.
US5435328A (en) 1993-09-02 1995-07-25 Grohoske; Joan L. Toiletry article
FR2745271B1 (fr) * 1996-02-23 1998-04-30 Oreal Conditionnement permettant le stockage et l'application sur un support d'un produit liquide ou pateux, notamment pour le maquillage
FR2753056B1 (fr) * 1996-09-10 1998-10-16 Oreal Applicateur de maquillage ou de produit de soin
JP2004522651A (ja) * 2000-03-20 2004-07-29 エプリ、ズザンネ ブラシを備えるねじ込みふ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78B1 (ko) * 2006-08-30 2007-04-18 백운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30623D1 (de) 2010-02-04
CN1470204A (zh) 2004-01-28
EP1369055A2 (fr) 2003-12-10
ES2337889T3 (es) 2010-04-30
JP2004008801A (ja) 2004-01-15
KR20030095317A (ko) 2003-12-18
CN1274260C (zh) 2006-09-13
EP1369055B1 (fr) 2009-12-23
EP1369055A3 (fr) 2004-01-02
JP3825422B2 (ja)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784B2 (en) Applicator including a stem connected to a handle member via a hinge
US6026823A (en) Applicator for make-up or a care product
KR102557203B1 (ko) 속눈썹용 화장품 도포기
US7172357B2 (en) Applicator comprising a sloping applicator element and a stem connected via a hinge to a handle member
KR100854049B1 (ko) 화장품과 같은 조성물의 포장 및 도포 장치
JP4286023B2 (ja) 物質を皮膚に塗布するよう構成されたアプリケータエレメントを有するアプリケータ
JP4085069B2 (ja) 化粧品の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US20050008420A1 (en) Applicator, and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pplicator
KR102313932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JP3782979B2 (ja) 化粧品等のための包装および塗布装置
JP2004000587A (ja) 異なる種類の繊維のフロッキングで覆われた特に化粧品等の製品の塗布装置
US20200367631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separately formed surfaces
KR100583751B1 (ko) 힌지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을 포함하는 도포기, 상기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및 상기 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
US11425984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flexible and rigid portions
JP2020011099A (ja) 美容用またはケア用の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JPH0129563B2 (ko)
JP2020532374A (ja) バイオネットクロージャを備えたステムおよびそれを装備されているデバイス
US20150351514A1 (en)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US11064786B2 (en)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medium
KR20180128321A (ko)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KR20200053298A (ko) 화장료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US7566184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JP2017104310A (ja) 塗布具
US10178905B2 (en) Packaging and application device
US20210244158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rotatable application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