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321A -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321A
KR20180128321A KR1020170074699A KR20170074699A KR20180128321A KR 20180128321 A KR20180128321 A KR 20180128321A KR 1020170074699 A KR1020170074699 A KR 1020170074699A KR 20170074699 A KR20170074699 A KR 20170074699A KR 20180128321 A KR20180128321 A KR 20180128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sub
cosmetic
shape
open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971B1 (ko
Inventor
안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쁘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쁘아
Priority to CN201880001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475218B/zh
Priority to PCT/KR2018/005831 priority patent/WO2018217003A1/ko
Publication of KR2018012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 메이크업을 하기 위한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료를 도포 대상에 도포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팁 연결대 또는 핸들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일부 구간이 개방되어 개루프 형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TIP FOR MAKEUP AND COSMETIC APPLICA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은 기초 제품 사용 후 얼굴이나 손톱 등 신체에 도포하여 색채감을 부여함으로써 피부색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기초 제품으로 커버할 수 없는 피부 결점을 보이지 않게 가꾸는 제품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베이스 메이크업과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은 얼굴 전체의 피부색을 균일하게 정돈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 피부의 문제점을 커버하여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손질하기 위한 제품일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의 예로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이 있다.
포인트 메이크업은 입술, 눈, 볼이나 손톱 등에 국부적으로 색채를 강조하거나 음영을 주어 입체감을 연출하여 자기 주장을 자연스럽게 표출하는 제품일 수 있다. 예컨대,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이 있다.
특히, 포인트 메이크업 중 하나인 립 메이크업은 입술에 화장료를 도포하여 입술을 돋보이게 하는 메이크업으로서, 화장료의 색상뿐만 아니라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화장 도구에 따라 다양한 발림과 표현이 가능하다.
립 메이크업 화장 도구는 화장 용기로부터 화장료를 덜어내는 캡쳐 기능, 덜어낸 화장료를 입술에 고르게 도포하는 도포 기능이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립메이크업 용기의 어플리케이터는 캡쳐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별도의 틴팅(tinting)색소를 함유하기 위해서 어플리케이터의 도포부재의 내부에 색소수용공간을 마련하였으나, 도포부재의 형상 및 구조가 상대적으로 비대하여 립 메이크업 라인을 수정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포부재에 단순히 구멍이 형성된 다른 종래 화장 도구의 경우에도, 립의 입체적인 표면을 따라 넓게 화장료를 펴서 바를 때, 도포부재 자체가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로 인하여, 화장료의 양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화장 도구는 도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화장 도구의 강성을 크거나 작게 변경하였으나, 화장 도구가 강성이 클 경우에는 화장 도구의 움직임이 제한적이어서 도포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화장도구가 연질일 경우에는 화장 도구의 움직임이 너무 커서 조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화장 도구중 어플리케이터의 도포부재의 중앙에 단순히 구멍이 형성된 제품의 경우에는 구멍에 과도하게 화장료가 고여 있는 문제가 발생되고, 화장료의 도포 방향이 구멍 개방 방향으로 종속 또는 한정되기 때문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조작 또는 립 메이크업 라인 형성 및 수정이 매우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어플리케이터의 도포부재는 면봉 형태, 나뭇잎 형태, 붓 형태, 도넛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나, 그의 표면이 매우 미세하고 짧은 털(hair)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립스틱 위에 립글로스를 덧바르듯이 블렌딩한 후 세척하려 할 때, 털에 엉켜 있는 화장료를 완전히 제거하기 매우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4862호(2017.04.2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화장료에 대한 캡쳐 기능과, 덜어낸 화장료를 입술에 고르게 도포하는 도포 기능, 입술의 입체 형상에 대응하게 변형되어 밀착 상태로 이동하는 글라이딩 기능 및 정밀한 립 메이크업 라인을 수정하는 수정 기능을 대폭 향상시키고 조작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한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도포 대상에 도포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팁 연결대 또는 핸들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일부 구간이 개방되어 개루프 형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개루프 형상부에 공간상 연결되는 옆 트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옆 트임부의 수직 길이가 상기 개루프 형상부의 수직 길이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연결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옆 트임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의 제3 서브 바디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루프 형상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부 구간이 개방되고, 굴곡 변형 또는 비틀림 변형이 가능하도록, 서브 바디의 일부 구간이 개방된 영문 C자형, 삼각링형, 원형, 타원형 및 S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팁 연결대의 체결홀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은, 상기 넥의 상부에 비해 상기 넥의 하부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 상광하협 형상, 병목 형상, 원뿔 형상 및 깔때기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팁 연결대 대비 동종 재질, 이종 재질 및 복합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PSU(polyphenylsulfone), PC(polycarbonate), 불소 고무(fluoro elastomers), 실리콘, 에피크롤로하이드린 폴리머(epichlorohydrin polymer), EPM(ethylene propylene monom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HNBR(hydrogenated nitrile butadiene rubber) 중 하나의 재질 또는 상기 재질 중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재질로 성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옆 트임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1 서브 바디; 상기 제1 서브 바디의 하단에서 각도를 이루며 연결된 제2 서브 바디; 상기 제2 서브 바디의 상측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브 바디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평행을 이루는 제3 서브 바디; 상기 제3 서브 바디의 상측과 팁의 연결부의 넥의 사이에 연결된 제4 서브 바디; 및 상기 제4 서브 바디의 하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서브 바디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1 서브 바디에 대하여 상기 옆 트임부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제5 서브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바디는, 상기 서브 바디 각각의 코너에 제공되는 라운드형 챔퍼부에 의해서 라운드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옆 트임부는, 상기 개루프 형상부에 연결된 쪽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좁은 소출입구; 상기 개루프 형상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넓은 대출입구; 및 상기 소출입구와 상기 대출입구 사이에서 확장 개구 각도에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2 서브 바디와 상기 제1 서브 바디가 만나는 지점에 제공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첨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바디는, 경사형 블레이드 형상, 직선 형상, 부채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옆 트임부의 연장선 상에 상기 바디부의 폭 방향을 따라 개방형 홈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에 저장된 화장료를 입술에 도포하는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용 팁; 상기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를 보호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상기 화장용 팁을 연결하는 팁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용 팁은, 상기 화장료를 수용, 혹은 팁의 두께 방향 및 팁의 폭 방향으로 상기 화장료를 유동시키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고 마주보는 서브 바디에 의한 개루프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에 저장된 화장료를 입술에 도포하도록, 서로 이격되고 마주보는 서브 바디에 의한 1개 이상의 개루프 형상부와, 상기 개루프 형상부에 각각 공간상 연결된 옆 트임부를 갖는 화장용 팁; 상기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를 보호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상기 화장용 팁을 연결하는 팁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용 팁은, 상기 옆 트임부가 상기 화장용 팁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용 팁은, 상기 개루프 형상부가 상기 화장용 팁의 바디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에 의하면, 화장료가 과도하게 고여 있지 않고, 립의 입체 형상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화장료가 립에 도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성이 뛰어나고 섬세한 립 메이크업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용 팁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화장용 팁으로 입술의 굴곡진 부분을 따라서 밀착되게 화장료를 바를 수 있다.
또한, 안정된 조작감을 제공하면서 어플리케이터의 팁에 해당하는 바디부 전체의 텐션을 부드럽게 조정할 수 있고, 캡쳐 기능, 도포 기능, 립 메이크업 라인 수정 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옆 트임부를 통해 화장료의 배출이 용이하여 화장용 팁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와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 도구와 화장품 용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 도구로서 화장용 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팁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팁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팁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팁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팁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팁의 정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팁의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팁의 정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측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 또는 Z축의 상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 Z축의 하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은 구성요소들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예컨대, Z축 방향은 팁의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X축 방향은 팁의 폭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팁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와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 도구와 화장품 용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1)는 화장품 용기(10)와 별도로 제작되어서, 화장품 용기(10)에 나사 결합에 의해 합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터(40) 자체를 의미하거나, 어플리케이터(40) 및 화장품 용기(10)로서 세트화된 화장 용품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어플리케이터(40)는 화장용 팁(100), 핸들(20), 팁 연결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10)는 유체, 고점성액체, 반고체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의 화장료(C)를 저장하고 있다. 화장품 용기(10)는 그의 용기 입구(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핸들(20)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화장을 할 수 있는 파지부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품 용기(10)를 밀폐시키는 뚜껑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핸들(20)은 뚜껑과 별도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핸들(20)은 화장품 용기(10)의 용기 입구(11)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을 내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화장품 용기(10)에 결합 또는 합체될 수 있는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핸들(20)은 화장품 용기(10)에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인 화장료(C)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팁 연결대(30)는 핸들(20)과 팁(10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팁 연결대(30)는 핸들(20)의 내부에 결합되고, 핸들(20)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팁 체결구(31)는 팁 연결대(30)의 자유단의 끝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팁(100)은 화장료(C)를 화장료(C)를 수용하기 위해서, 서로 이격되고 마주보는 서브 바디(111, 115)에 의한 개루프(open loop) 형상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팁(100)은 팁 연결대(30)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120)와, 그 연결부(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개루프 형상부(101)에 대응하도록 팁(100)의 일부 구간이 개방된 바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팁(100)은 팁 연결대(3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 즉 팁 연결대(30) 대비 동종 재질 또는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팁 연결대(30)는 핸들(20)과의 구조적 결합력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 일종의 솔대 또는 팁지지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반면, 팁(100)은 인체에 직접 접촉하여 피부 트러블 또는 과도한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고, 탄성력 및 복원력을 더 발휘할 수 있도록, 팁 연결대(30)와 다른 재질로서 성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팁(100)은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인 환경호르몬 발생 물질 또는 가소제 등이 섞여 있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팁(100)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PSU(polyphenylsulfone),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사출성형 또는 열성형이 가능하고,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뛰어난 재질로 성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팁(100)은 불소 고무(fluoro elastomers), 실리콘, 에피크롤로하이드린 폴리머(epichlorohydrin polymer), EPM(ethylene propylene monom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HNBR(hydrogenated nitrile butadiene rubber)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적어도 팁(100)은 그의 재질적 특성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체로서, 입술의 굴곡진 부분까지 밀착해 바를 수 있다.
또한, 팁(100)의 중심 코어는 PE 등과 같은 기본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중심 코어를 감싸는 팁(100)의 외표면부는 PPSU 등과 같이 아기 피부에도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거나 스크레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서브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팁(100)의 중심 코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팁(100)의 외표면부는 불소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팁(100)은 복합 재질로서 이중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팁(100)은 억지 끼움, 접착, 열융착, 초음파융착, 이중사출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방식에 의해 팁 연결대(30)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팁(100)의 연결부(120)는, 팁 연결대(30)의 체결홀(31)에 끼워진 후 상기 연결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대(121)와, 지지대(121)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광하협 형상의 넥(12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21)의 상부 끝단은 반구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고, 팁(100)과 팁 연결대(30)간 삽입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120)는 바디부(110)와 팁 연결대(30)를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넥(122)과 지지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대(121)는 원형 단면 또는 각형 단면(미표기)의 봉 부재일 수 있다. 넥(122)은 지지대(121)의 단면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넥(122)은 그의 상부에 비해 넥(122)의 하부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넥(122)은 병목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원뿔 형상 또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넥(122)은 팁(100)이 지지대(121)를 통해 팁 연결대(30)에 연결될 때, 넥(122)의 위쪽의 넓은 부분은 팁(1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넥(122)의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부분은 팁(100) 전체의 텐션을 부드럽게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넥(122)은 바디부(110)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지지대(121)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디부(110)의 움직임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지 기능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넥(122) 및 팁(100)의 연결 부위는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크기를 갖는 영역이다. 따라서, 넥(122) 및 팁(100)의 연결 부위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팁(100)의 하측 끝단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터(40) 사용에 따라 사용자의 입술과 접촉하여 비교적 자유롭게 벤딩 변형(M)(도 5 참조) 및 비틀림 변형(N)(도 3 참조)될 수 있다. 이런 바디부(110)를 갖는 팁(100)에 의해서, 매우 정밀한 립 메이크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입술과의 경사 접촉에 의한 힘은 도 3의 팁(100)의 국부적인 위치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팁(100)의 바디부(110)의 제3 서브 바디(113)에서는 옆 트임부(102)로 인하여 탄성범위 내에서 트위스트 형태와 같은 비틀림 변형(N)이 생길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바디(111)는 제2 서브 바디(112)를 통해 제3 서브 바디(113)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서브 바디(111) 및 그의 상측 끝단은 팁(100)의 제3 서브 바디(113)의 변형 각도에 비해 다른 각도의 움직임 또는 자유도(R)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팁(100)의 바디부(110)는 사용자의 입술의 입체 형상에 대응하게 다양한 각도로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입술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화장료(C)를 도포할 수 있다.
팁(100)의 바디부(110)는 화장품 용기(10)의 용기 입구(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거나, 용기 입구(11)의 와이퍼(2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바디부(110)는 그의 하부가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고,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와이퍼(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런 팁(100)의 바디부(110)는 화장료(C)에 대한 캡쳐 기능, 도포 기능, 글라이딩 기능 및 수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캡쳐 기능은 화장품 용기(10)의 화장료(C)의 일부를 팁(100)의 개루프 형상부(101)에 임시 수용 또는 저장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화장료(C)는 점성 또는 표면장력을 통해 팁(100)의 표면 및 개루프 형상부(101)의 내측 표면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
또한, 도포 기능은 팁(100)의 개루프 형상부(101) 및 그 주변에 위치한 화장료(C)를 입술에 고르게 도포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도포 방향은 개루프 형상부(101)의 두께 방향(예: Y축 방향) 및 개루프 형상부(101)의 폭 방향(예: X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지칭하거나, 두께 방향 및 폭 방향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팁(100)은 바디부(110)의 형상 구성적 특징에 의해서 1개 이상의 방향을 기준으로, 화장료(C)가 팁(100)의 두께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유동되어서, 효율적으로 화장료(C)가 팁(100)으로부터 입술 쪽으로 옮겨 갈 수 있다. 이는 화장료(C)의 도포 기능 및 수정 기능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신속한 포인트 메이크업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 도구(1)로서 팁(100)은 팁 연결대(30)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장료(C)가 수용되어 있는 소정의 화장품 용기(10)에 담지되어 화장료(C)를 캡쳐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술 등 피부에 화장료(C)를 도포할 수 있다.
한편, 팁(100)의 개루프 형상부(101)는 바디부(110)의 일부 구간이 개방된 영문 C자형 구조물일 수 있다. 이때, 개루프 형상부(101)는 팁(100)의 바디부(110)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팁(100)은 입술과 접촉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의 힘을 받아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미 도시된 일반적인 영문 O자 형태 또는 도넛 형태의 제품에 비해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힘을 전달 받은 팁(100)은 그의 개루프 형상부(101)를 통해서 용이하게 굴곡 변형 또는 비틀림 변형을 일으키거나, 힘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도포 기능을 구현하는 도중에 팁(100)이 입술의 입체적 형상에 밀착되게 어서, 팁(100)에서 자연스럽게 비틀림 변형이 일어나고, 그 결과 팁(100)이 미끄러지듯이 자연스럽게 밀착 이동될 수 있는 글라이딩(gliding)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팁(100)의 수정 기능은 역시 팁(100)이 위에서 아래의 방향(예: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좁아지거나, 우측에서 좌측의 방향(예: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좁아지도록 되어있어서, 화장료(C)를 넓게 펴서 바르는 동작 도중에 사용자가 팁(100)의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입술의 국부적인 부분 혹은 좁은 영역에 대한 정밀 도포, 또는 기 도포된 부위를 다시 세밀하게 덧칠하거나, 혹은 정밀한 립 메이크업 라인을 수정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팁(100)은 도포 영역이나 라인을 수정하는 등 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화장 도구인 팁(1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 도구로서 화장용 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팁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팁의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팁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팁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팁의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화장 도구로서 어플리케이터의 팁(100)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바디부(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구간이 개방된 개루프 형상부(101)를 갖는다. 여기서, 개루프 형상부(101)는 옆 트임부(102)에 대하여 공간상 연결된다. 어플리케이터의 사용시, 화장료(C)는 개루프 형상부(101) 및 옆 트임부(102)의 공간에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팁(100)은 기본형으로서 각각 1개의 개루프 형상부(101) 및 옆 트임부(102)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팁의 정면도이다.
설계 변경을 통한 응용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팁(100)은 도 9와 같은 형상 및 기능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팁(100)은 바디부(110)의 일측의 개루프 형상부(101)의 아래의 이격 위치를 기준으로 바디부(110)의 타측에 제공되는 다른 개루프 형상부(10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옆 트임부(102a)는 다른 개루프 형상부(101a)에 대하여 공간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옆 트임부(102a)는 다른 개루프 형상부(101a)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기존의 옆 트임부(102)는 기존의 개루프 형상부(101a)의 우측에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팁(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바디부(110)는 경사면을 갖는 영문 S자 형상(미 도시)을 가질 수 있다. 즉, 응용예에 따른 바디부(110)의 영문 S자 형상에서의 경사면은 직선 형상이 경사져 있는 형태의 제2 서브 바디(112)의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개루프 형상부(101, 101a)을 분리시키도록 제1 서브 바디(111)과 제3 서브 바디(113)을 상호 연결하는 제6 서브 바디(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팁(100)은 양측 방향으로 각각의 개루프 형상부(101, 101a)의 화장료(C)를 해당 옆 트임부(102, 102a)를 통해 유동시킬 수 있는 기능적 특징을 갖게 되고, 그 결과 도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팁(100)의 제2 서브 바디(112)를 통해 립 메이크업시 라인 등을 그릴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옆 트임부(102)는 개루프 형상부(101)의 개방된 부분 또는 개루프 형상부(101)의 슬릿에 해당하는 부위를 지칭한다.
또한, 옆 트임부(102)는 도 4에 보이듯이 개루프 형상부(101)에 연결된 쪽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좁은 소출입구와, 개루프 형상부(101)의 반대쪽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넓은 대출입구와, 소출입구와 대출입구 사이에서 확장 개구 각도(P)에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화장료(C)가 옆 트임부(102)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개루프 형상부(101) 쪽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하여, 화장료(C)의 리필 성능을 극대화시킨다. 반대로, 개루프 형상부(101)에 캡쳐된 화장료(C)는 립 메이크업시 옆 트임부(102)의 형상적 특징에 대응한 속도를 가지고 개루프 형상부(101)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화장료(C)가 입술에 과도하게 도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팁(10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개루프 형상부(101)에 위치한 화장료(C)는 팁(100)의 두께 방향뿐만 아니라 팁(100)의 폭방향, 즉 옆 트임부(102)를 통해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팁(100)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옆 트임부(102)의 수직 길이(H2)는 개루프 형상부(101)의 수직 길이(H1)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장료(C)가 일단 개루프 형상부(101)에 유입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체적이 작은 옆 트임부(102)를 통해 과도하게 유출되지 않고, 옆 트임부(102)의 형상 및 화장료(C)의 점성에 대응한 속도로 지속적이고도 천천히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옆 트임부(102)는 제1 서브 바디(111)와 제5 서브 바디(115)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 미 도시 되었지만 제2 서브 바디(112) 또는 제3 서브 바디(113)에도 위치될 수 있도록 변형 설계될 수 있는 슬릿을 의미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적어도 4개의 서브 바디(111, 112, 113, 115)를 포함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서브 바디(112)와 상기 서브 바디(112)에 인접한 다른 서브 바디(113)는 서로 180도 미만의 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4개의 서브 바디(111, 112, 113, 115) 중 적어도 한 쌍의 서브 바디(111, 112)는 서로 예각(S1)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10)는 다섯 개의 서브 바디(111, 112, 113, 114, 115)가 연결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서브 바디(111)와 제5 서브 바디(115)는 옆 트임부(102)에 대응하는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바디부(110)의 중앙 홀인 개루프 형상부(101)는 제1 서브 바디(111)와 제5 서브 바디(115) 사이 공간인 옆 트임부(10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바디부(110)는 임의의 고리 형상 중 일부 영역에 슬릿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바디부(110)는 옆 트임부(102)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1 서브 바디(111)와, 제1 서브 바디(111)의 하단에서 각도(예: 각도 1도 이상 내지 180도 미만의 각도 또는 예각(S1))을 이루며 연결된 제2 서브 바디(112)를 포함한다.
제2 서브 바디(112)는 경사형 블레이드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서브 바디(112)는 화장료(C)를 얇고 세밀하게 펴서 입술에 용이하게 도포하거나, 입술의 립 메이크업 라인을 따라 다른 화장료를 선 형태로 용이하게 블렌딩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2 서브 바디(112)는 스크래퍼(scraper)로서 기존에 입술에 도포되고 아직 마르기 전 상태의 도포 화장료를 입술로부터 긁어내거나, 도포 화장료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만드는 작업을 섬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는 제2 서브 바디(112)와 상기 제1 서브 바디(111)가 만나는 지점에 제공되고, 연필심과 같이 상대적으로 뾰족한 형태, 혹은 뾰족한 형태이지만 끝단이 상대적으로 날카롭지 않게 무딘 형태의 첨점부(116)(sharp poi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첨점부(116)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 첨점부(116)는 끝이 매우 날카롭지 않기 때문에 입술을 보호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첨점부(116)는 라운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첨점부(116)는 입술에 점상의 립 메이크업을 연출하거나, 국부적인 블렌딩 작업을 위해서 화장품 용기(10)의 화장료(C) 또는 다른 종류의 화장료를 콕 찍어 바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컨대, 팁(100)의 바디부(110)의 첨점부(116)는 사용자의 아랫 입술과 윗 입술이 만나는 입꼬리 부분이나 또는 매우 협소한 소정의 입술 부위에 대하여, 점 접촉에 의해 매우 소량의 화장료(C)만을 공급할 수 있는 세밀한 터치식 립 메이크업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는 제2 서브 바디(112)의 상측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제1 서브 바디(111)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평행을 이루는 제3 서브 바디(113)를 포함한다.
또한, 바디부(110)는 제3 서브 바디(113)의 상측과 넥(122)의 사이에 연결된 제4 서브 바디(114)와, 제4 서브 바디(114)의 하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제3 서브 바디(113)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평행을 이루고, 제1 서브 바디(111)에 대하여 옆 트임부(102)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제5 서브 바디(115)를 포함한다.
한편, 바디부(110)는 스프레더 형상 또는 블레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바디부(110)는 수직 방향 경사각(S2)을 가진다. 여기서, 바디부(110)는 수직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상을 갖는다. 수직 방향 경사각(S2)은 수직 중심선(CL1)과 바디부(110)의 외측면 사이의 경사각을 의미한다. 즉, 바디부(110)는 바디부(110)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또는 바디부(110)의 하측에서 연결부(120)를 향할수록 전체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바디부(110)는 자유단측 단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을 기준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할수록 폭 및/또는 두께가 좁아지는 형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0)와 이어지는 제4 서브 바디(114)를 제외한 서브 바디(111, 112, 113, 115)는 연결부(120)와 가까워질수록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4 서브 바디(114)는 연결부(120)와의 연결을 위해서, 연결부(120)와 가까워질수록 다시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4 서브 바디(114)는 연결부(120)와 가까워질수록 소정 위치까지는 단면적이 넓어지다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40)를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로 사용자의 입술에 댄 후, 어플리케이터(40)를 수직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화장료(C)를 입술에 도포할 수 있다.
각 서브 바디(111, 112, 113, 115)는 도 2의 X-Y평면을 따라 절단되었을 때 형성 가능한 라운드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서브 바디(111, 112, 113, 115)의 각각의 코너에는 라운드형 챔퍼부(F)(chamfer portion)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런 라운드 사각형 단면은 곡면에 의해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결과적으로 개루프 형상부(101)의 내부 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화장료(C)의 캡쳐 용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서브 바디(111, 112, 113, 115)의 코너를 제외한 바디부(110)의 외표면은 평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화장료(C)는 바디부(110)의 외표면에 의해 입술의 표면을 따라 넓게 펼쳐질 수 있다.
바디부(110)의 외표면은 국부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그루브(groove) 형상, 그루브 형상의 반복 배열에 의한 웨이브 형상, 또는 요철 형상(예: 딤플(dimple) 또는 엠보싱(embossing)), 플로킹(flocking) 등과 같이 화장료(C)의 도포, 운반에 적합한 형태의 표면처리부(미표기)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10)의 외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플로킹 처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는 솔리드 타입 브러시일 수 있고, 그 결과 기존 립글로스 솔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바디부(110)의 형상이 최초 제품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내구성 높은 제품이 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는 옆 트임부(102)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그 반대 방향, 즉 막혀 있는 제3 서브 바디(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8을 기준으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 또는 수평 방향 경사각(S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10)는 수평 중심선(CL2)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 형상을 갖는다. 수평 방향 경사각(S3)은 수평 중심선(CL2)과 바디부(110)의 외측면 사이의 경사각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40)를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로 사용자의 입술에 댄 후, 어플리케이터(40)를 수평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화장료(C)를 입술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입술과 접촉이 빈번한 팁(100)의 하측 영역은 슬림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움직임 및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에 연결된 제3 서브 바디(113) 및 제5 서브 바디(115)의 상측부는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짐에 따라 하측 영역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110)의 넓은 부분(예: 팁(100)의 정면 또는 배면)은 화장료(C)를 넓게 펴바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좁은 부분(예: 팁(100)의 양측면 또는 제2 서브 바디의 외측 경사면)은 좁은 부분의 화장이나 라인을 수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1), 즉 어플리케이터(40)를 이용하여 립 메이크업을 하는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10)로부터 어플리케이터(40)를 꺼낸다. 이런 경우 화장료(C)는 팁(100)의 개루프 형상부(101) 및 옆 트임부(102)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화장료(C)는 개루프 형상부(101) 및 옆 트임부(102)를 제외한 팁(100)의 외표면에도 묻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종래의 폐쇄된 고리 형상의 화장 도구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바디부(110)는 일부가 오픈된 고리 형상을 가져서 화장료(C)가 접촉되는 바디부(110)의 면적이 종래의 것에 비해 비교적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담지된 화장료(C)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옆 트임부(102)를 통해 화장료(C)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양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옆 트임부(102)를 통해 화장료(C)가 배출될 수 있음에 따라 화장료(C)가 입술에 전달되는 능력도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점도가 높은 화장료(C)의 경우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 도구(1)의 바디부(110)는 도포 영역(하측)의 일부가 지지 영역(상측)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도포 영역의 자유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화장료 도포를 위한 조작 시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의 폭이 상이함에 따라 입술 전체, 입술 산 등 도포하고자 하는 부분의 면적에 따라 다양한 부분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팁(100)은 립글로스 어플리케이터 팁으로서 가운데 홀이 있고 한쪽 부분이 터진 형상, 즉 개루프 형상부(101) 및 옆 트임부(10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 입술의 굴곡진 부분을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고 밀착되게 화장료(C)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 및 넥(122)의 형상에 의해서, 팁(1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고, 팁 전체의 텐션이 부드럽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가 위에서 아래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좁아지도록 되어있어서 넓게 펴서 바르거나 반대로 좁은 부분이나 라인을 수정하는 등 용도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바디부(110)가 한쪽이 터진 형상으로 되어있어서 점도가 높은 경우에도 홀 내부에 머금고 있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팁의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응용예에 따른 팁(100)은 앞서 설명한 바디부(110) 및 연결부(120)를 갖는다.
이때, 다른 응용예에 따른 바디부(100)는 일체형으로서 구간별 서브 바디(111, 112a, 113, 114, 115)에 의해 구획되는 개루프 형상부(101)를 포함한다.
특히, 제3 서브 바디(113)과 제1 서브 바디(111)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2 서브 바디(112a)는 부채꼴 형상을 갖는다.
제2 서브 바디(112a)는 기존의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평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화장료(C)의 1회 캡쳐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바디(112a)에서 홈부(112b)의 일측 끝단은 제2 서브 바디(112a)의 테두리에 의해 폐쇄되고, 홈부(112b)의 타측 끝단은 개루프 형상부(101)에 공간상 연결된다.
이러한 홈부(112b)는 제2 서브 바디(112a)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른 응용예의 팁부(100)에서는 화장료(C)가 개루프 형상부(101)로부터 홈부(112b)를 경유하여 제2 서브 바디(112a)의 표면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바디(112a)는 부채꼴 형상의 표면적을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화장료(C)를 입술의 표면에 얇고 넓게 도포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팁의 정면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팁(100)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어플리케이터 연결용 지지대(121) 및 넥(122)을 갖는 연결부(120)와, 그 연결부(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바디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부(110)는 제7 서브 바디(118)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개루프 형상부(101) 및 옆 트임부(102)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변형예에 따른 바디부(110)의 제7 서브 바디(118)는 개루프 형상부(101)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어서,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이면서, 그의 일부 구간이 개방된 옆 트임부(102)를 갖는다.
이에 따라서, 팁(100)의 바디부(110)의 자유도는 바디부(110)의 전체 폭 또는 두께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옆 트임부(112)로 인하여 제7 서브 바디(118)의 두께에 영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팁(100)의 바디부(110)는 연결부(120)의 넥(122)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바디부(110)의 두께 방향 및 폭방향 혹은 바디부(110)의 수직 방향을 포함한 전방향을 따라서 벤딩 변형(M)(도 5 참조) 및 비틀림 변형(N)(도 3 참조)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즉, 팁(100)의 바디부(110)는 사용자의 입술의 입체적 형상에 대응하게 슬라이딩 또는 글라이딩, 즉 미끄러지는 듯한 자유로운 움직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변형예에 따른 팁(100)은 위의 변형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바디부(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바디부(110)의 제8 서브 바디(119)는 역시 개루프 형상부(101)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어서, 전체적으로 타원형 형상이면서, 그의 일부 구간이 개방된 옆 트임부(102)를 갖는다.
또한, 타원형 형상의 바디부(110)를 갖는 팁(100)은 원형 형상에 비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술 부위 중 상대적으로 협소한 영역에 대한 세밀한 도포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타원형 형상의 바디부(110)를 갖는 팁(100)은 역시 폐쇄 루프형 또는 도넛 형상의 제품에 비해 더욱 유연한 터치감을 제공하면서 정밀한 립 메이크업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놀라운 정도로 효율적이고 움직임이 자유로운 본 발명의 팁(100)을 통해서 매우 섬세하고 미묘한 차이의 립 메이크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팁(100)은 위의 변형예들과 유사 또는 동일한 구조이지만, 형태에 있어서 연결부(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삼각링형의 바디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즉, 도 13의 제8 서브 바디(119a)는 개루프 형상부(101) 및 옆 트임부(102)를 형성하면서 하향으로 뾰족한 삼각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점 찍기 등과 같은 세밀한 화장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역시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팁(100)은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매우 유사할 수 있다. 다만, 팁(100)은 개방형 홈부(11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팁(100)의 바디부(110)의 적어도 일면에는 옆 트임부(102)의 연장선 상에 바디부(110)의 폭 방향을 따라 개방형 홈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개방형 홈부(113a)는 바디부(110)의 제3 서브 바디(113)의 표면(예: 정면 및/또는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개방형 홈부(113a)의 일측부는 옆 트임부(102)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개방형 홈부(113a)의 타측부는 옆 트임부(102)의 반대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개루프 형상부(101)의 화장료는 옆 트임부(102) 및 홈부(113a)를 통해서 양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 결과, 더욱 효율적인 화장료 도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홈부(113a)는 바디부(110)의 폐쇄된 구간 중 옆 트임부(102)의 연장선 상에 바디부(11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개방형 홈부(113a) 및 옆 트임부(102)을 기준으로 바디부(110)의 하부가 양방향(예: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꺾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10) 하부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어 화장료의 도포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개방형 홈부(113a)는 바디부(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 팁 101, 101a : 개루프 형상부
102, 102a : 옆 트임부 110 : 바디부
116 : 첨점부 120 : 연결부
121 : 지지대 122 : 넥
111, 112, 112a, 113, 114, 115, 117, 118, 119 : 서브 바디

Claims (20)

  1. 화장료를 도포 대상에 도포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팁 연결대 또는 핸들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일부 구간이 개방되어 개루프 형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개루프 형상부에 공간상 연결되는 옆 트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옆 트임부의 수직 길이가 상기 개루프 형상부의 수직 길이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연결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옆 트임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의 제3 서브 바디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용 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루프 형상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부 구간이 개방되고, 굴곡 변형 또는 비틀림 변형이 가능하도록, 서브 바디의 일부 구간이 개방된 영문 C자형, 삼각링형, 원형, 타원형 및 S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팁 연결대의 체결홀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넥은,
    상기 넥의 상부에 비해 상기 넥의 하부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 상광하협 형상, 병목 형상, 원뿔 형상 및 깔때기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용 팁.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팁 연결대 대비 동종 재질, 이종 재질 및 복합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PSU(polyphenylsulfone), PC(polycarbonate), 불소 고무(fluoro elastomers), 실리콘, 에피크롤로하이드린 폴리머(epichlorohydrin polymer), EPM(ethylene propylene monom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HNBR(hydrogenated nitrile butadiene rubber) 중 하나의 재질 또는 상기 재질 중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재질로 성형되어 있는 화장용 팁.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옆 트임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1 서브 바디;
    상기 제1 서브 바디의 하단에서 각도를 이루며 연결된 제2 서브 바디;
    상기 제2 서브 바디의 상측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브 바디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평행을 이루는 제3 서브 바디;
    상기 제3 서브 바디의 상측과 팁의 연결부의 넥의 사이에 연결된 제4 서브 바디; 및
    상기 제4 서브 바디의 하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서브 바디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1 서브 바디에 대하여 상기 옆 트임부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제5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는,
    상기 서브 바디 각각의 코너에 제공되는 라운드형 챔퍼부에 의해서 라운드 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옆 트임부는,
    상기 개루프 형상부에 연결된 쪽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좁은 소출입구;
    상기 개루프 형상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넓은 대출입구; 및
    상기 소출입구와 상기 대출입구 사이에서 확장 개구 각도에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2 서브 바디와 상기 제1 서브 바디가 만나는 지점에 제공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첨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바디는,
    경사형 블레이드 형상, 직선 형상, 부채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옆 트임부의 연장선 상에 상기 바디부의 폭 방향을 따라 개방형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
  17. 화장품 용기에 저장된 화장료를 입술에 도포하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용 팁;
    상기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를 보호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상기 화장용 팁을 연결하는 팁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팁은,
    상기 화장료를 수용, 혹은 팁의 두께 방향 및 팁의 폭 방향으로 상기 화장료를 유동시키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고 마주보는 서브 바디에 의한 개루프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19. 화장품 용기에 저장된 화장료를 입술에 도포하도록, 서로 이격되고 마주보는 서브 바디에 의한 1개 이상의 개루프 형상부와, 상기 개루프 형상부에 각각 공간상 연결된 옆 트임부를 갖는 화장용 팁;
    상기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를 보호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상기 화장용 팁을 연결하는 팁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용 팁은,
    상기 옆 트임부가 상기 화장용 팁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팁은,
    상기 개루프 형상부가 상기 화장용 팁의 바디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KR1020170074699A 2017-05-23 2017-06-14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KR10229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01621.8A CN109475218B (zh) 2017-05-23 2018-05-23 化妆用刷头及具有该刷头的化妆工具
PCT/KR2018/005831 WO2018217003A1 (ko) 2017-05-23 2018-05-23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10 2017-05-23
KR20170063210 201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321A true KR20180128321A (ko) 2018-12-03
KR102298971B1 KR102298971B1 (ko) 2021-09-07

Family

ID=6474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699A KR102298971B1 (ko) 2017-05-23 2017-06-14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8971B1 (ko)
CN (1) CN10947521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243A (ko) * 2019-04-14 2020-10-23 톨리 매니지먼트 엘티디. 가요성 유체 유지부를 구비한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FR3109282A1 (fr) 2020-04-21 2021-10-22 L'oreal Embout d’applicateur à profil tronconiqu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1680A (zh) * 2020-12-15 2022-06-17 卓越解决方案公司 用于唇部化妆和唇部卸妆的便携式双功能唇部美容产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9918A1 (en) * 1997-05-02 1998-11-12 Bic Corporation Wiper insert
KR20050121164A (ko) * 2004-06-23 2005-12-26 임흥호 화장용 팁부재
KR20120011048A (ko) * 2009-05-18 2012-02-06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압축성 화장품 도포기
KR20170044862A (ko) 2015-10-16 2017-04-26 (주)아모레퍼시픽 색소수용공간이 형성된 도포부재를 갖는 립메이크업 용기
KR20200022530A (ko) * 2015-05-20 2020-03-03 로레알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6112B1 (fr) * 2005-05-24 2007-08-1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FR2886113B1 (fr) * 2005-05-24 2007-10-05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EP2486821B1 (en) * 2009-10-09 2017-12-13 Kao Corporation Lip cosmetic appl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9918A1 (en) * 1997-05-02 1998-11-12 Bic Corporation Wiper insert
KR20050121164A (ko) * 2004-06-23 2005-12-26 임흥호 화장용 팁부재
KR20120011048A (ko) * 2009-05-18 2012-02-06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압축성 화장품 도포기
KR20200022530A (ko) * 2015-05-20 2020-03-03 로레알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KR20170044862A (ko) 2015-10-16 2017-04-26 (주)아모레퍼시픽 색소수용공간이 형성된 도포부재를 갖는 립메이크업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243A (ko) * 2019-04-14 2020-10-23 톨리 매니지먼트 엘티디. 가요성 유체 유지부를 구비한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FR3109282A1 (fr) 2020-04-21 2021-10-22 L'oreal Embout d’applicateur à profil tronconique
WO2021213721A1 (en) 2020-04-21 2021-10-28 L'oreal Applicator end piece having a frustoconical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5218B (zh) 2021-09-21
KR102298971B1 (ko) 2021-09-07
CN109475218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621B1 (en) Cosmetic applicator
JP4286023B2 (ja) 物質を皮膚に塗布するよう構成されたアプリケータエレメントを有するアプリケータ
RU23274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аковки и аппликатора
KR102313932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CN108430258B (zh) 眼部化妆用涂敷具和眼部化妆用具
CN101784211B (zh) 一种包括擦拭器的化妆器具
US10292479B2 (en) Articulated applicator having a flexible stem
US11963603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flexible and rigid portions
BR102018013477A2 (pt) Ponta de aplicador de produto cosmético, e aplicador relacionado e montagem de aplicador
US11044981B2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to keratinous materials
US11185145B1 (en) Cosmetic applicator
JP2007021230A (ja) 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を含むパッケージ化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JP2019022666A (ja) 化粧品またはケア製品を包装および唇に塗布するデバイス
EP2879546A1 (en) Cosmetic product applicato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20080317542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composition to the skin or the lips
CN109475218B (zh) 化妆用刷头及具有该刷头的化妆工具
US20200367631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separately formed surfaces
KR20190023779A (ko)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WO2012117322A1 (en) A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TW201429425A (zh) 符合人體工學之化妝品塗抹器
US10492589B2 (en) Applicator having a stem with a three-dimensional profile
US11064786B2 (en)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medium
KR100583751B1 (ko) 힌지를 통해 핸들 부재에 연결된 스템을 포함하는 도포기, 상기 도포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포장 겸용 도포 용구, 및 상기 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
WO2018217003A1 (ko) 화장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US20220265028A1 (en) Cosmetic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