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081A -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081A
KR20150130081A KR1020140057181A KR20140057181A KR20150130081A KR 20150130081 A KR20150130081 A KR 20150130081A KR 1020140057181 A KR1020140057181 A KR 1020140057181A KR 20140057181 A KR20140057181 A KR 20140057181A KR 20150130081 A KR20150130081 A KR 2015013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gulating
regulating member
hole
bott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범
Original Assignee
남윤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범 filed Critical 남윤범
Priority to KR102014005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081A/ko
Publication of KR2015013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화장액을 수용하며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병을 포함하며, 압력조절부재는 적어도 결합부의 안쪽에 체결되는 내부압력조절부재와, 내부압력조절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은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제1와이퍼면을 형성하고, 제1와이퍼면의 중앙부에는 병의 직경보다 작은 제1홀이 형성되며, 외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은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제2와이퍼면을 형성하고, 제2와이퍼면의 중앙부에는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제2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화장액의 분출로 인한 외부 누설 및 용기캡의 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Cosmetics Vessel Having Pressure Regulating Member}
본 개시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화장액의 조절과 회수 기능이 있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립글로스(lip-gloss), 매니큐어, 마스카라와 같은 액체상 내용물, 즉 화장액을 보관하는 용기는 많이 알려져 있다.
액체상 내용물인 립글로스, 매니큐어, 마스카라용의 용기는 공통된 배경 기술을 이루므로, 이하 립글로스를 주로 설명한다. 또, 립글로스는 뚜껑을 개방하고 노출되는 고형상 화장품을 입술에 바르는 립스틱도 포함하나, 본 개시는 액상 내용물을 대상으로 한다.
립글로스 용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에 나사부를 형성한 병목을 가지며 내부에 글로스액이 저장되는 병(1)과, 병목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하부 끝단에 도포팁 또는 브러시(4)가 결합된 지지봉(3)이 중심에 일체로 구비되는 마개 겸 손잡이의 뚜껑(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병(1)과 뚜껑(2)이 밀봉되도록 빈틈없이 체결되므로, 뚜껑을 돌려 닫을 때 병(1)의 내압이 상승하여 내용물인 글로스액이 넘쳐 흐르는(overflow)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또, 캡핑시 발생하는 강한 내압으로 인하여 뚜껑(2)이 빠지는 현상도 발생한다.
이는 특히 화장액을 가득 충전시키고, 뚜껑을 폐쇄하여 완성하는 화장품 용기의 대량 제작 공정에서 수율을 낮추고 생산성을 저해하는 큰 이유가 되고 있다.
또, 사용자는 글로스액에 함침되는 도포팁(4)을 통하여 글로스액을 묻혀 입술에 대고 칠하여 손질 및 치장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의 립글로스 용기에 있어서는, 특히 글로스액이 병(1)에 가득 충전한 상태에서 뚜껑(2)을 열면, 밀폐 용기안에 있던 액이 압력이 저감된 대기를 향하여 병(1)의 입구를 통과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사용자가 화장을 끝내고 뚜껑으로 병을 밀폐하면 앞서와 같은 오버플로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액의 사용과 용기 밀봉마다 수반되는 오버플로우 현상은 내용물의 낭비이며, 주위를 칠하는 원인이 되어 소비자가 느끼는 불편함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또, 립글로스를 이용하여 손질하고자 하는 눈썹에 글로스액을 칠할 때, 도포팁(4)에 액을 자주 혼입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 도포팁(4)을 용기(1)에 인입 및 인출하는 동작을 자주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는 습관적으로 글로스액을 도포팁(4)에 많이 함유시켜서 인출하곤 하는데, 적절한 양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병(1)상부의 내벽 또는 입구 부근에서 도포팁(4)을 병에 바르면서 액의 일부를 쓸어 내려 제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병에 묻은 글로스액이 회귀하는 양은 많지 않으며, 또 글로스액이 흘러 내리는 모양 때문에 외관상 화장품이 가져야 하는 심미감과 투명성을 해치는 이유가 되고 있다.
화장액을 보관하는 종래기술로 가령, 한국특허공개공보 2008-0101624는 용기 안에 별도로 설치한 고무튜브를 손으로 가압하여 에나멜 액을 인출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반복 인출 자체를 용이하게 위한 것이다. 선행기술의 어느 것도 액체상 내용물인 화장액의 넘침을 방지하고, 그 사용량을 조절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화장액의 오버플로우와 그에 따른 캡의 이탈 문제를 해소하고, 화장액의 조절과 회수 기능을 구비하며 미관이 우수한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개념들 중 선택된 것들을 단순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개요는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의 핵심적인 특징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다.
본 개시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병을 포함하며, 압력조절부재는 적어도 결합부의 안쪽에 체결되는 내부압력조절부재와, 내부압력조절부재와 결합하여 압력조절부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하고,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은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제1와이퍼면을 형성하고, 제1와이퍼면의 중앙부에는 병의 직경보다 작은 제1홀이 형성되며, 외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은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제2와이퍼면을 형성하고, 제2와이퍼면의 중앙부에는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제2홀이 형성된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제2홀의 직경은 제1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좋다.
또, 본 개시는 내부압력조절부재는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위로 연장된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상부면 외주 둘레에는 얇은 폭의 플랜지가 형성된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이에 대응하여, 외부압력조절부재는 외주를 둘러 짧은 높이의 측벽이 형성된 외부테두리부와 외부테두리부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며, 그 안쪽에서 외부테두리부와 같은 높이로 기립한 내부테두리부를 포함하며, 테두리부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고, 내부압력조절부재의 플랜지가 갭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외부 및 내부압력조절부재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개시는 화장품 용기는 립글로스 또는 매니큐어 용기인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는 앞서의 개시를 전제로, 화장액이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제1홀을 통과하면서 분산하여 압력이 감소하고, 더욱 외부압력조절부재의 제2홀을 통과하면서 분산하여 압력이 추가로 감소하도록 한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모든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화장품 용기의 내압이 상승하여도 화장액이 누설되지 않고 캡이나 솔대가 밀리거나 빠지지 않으므로 제작성과 수율이 우수하며, 사용에 편리하다.
또, 사용자가 화장액의 양을 용기 외관에 신경 쓰지 않고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의도가 우수하다.
또, 화장액이 병의 입구에 묻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립글로스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의 압력조절부재중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의 압력조절부재중 외부압력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화장액의 흐름과 압력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유사한 기호는, 문맥 상 다른 의미를 갖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는 제한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 제시된 대상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변경들이 가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반적으로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개시의 양상들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구성에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으며, 이 모두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고려되었음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압력조절부재(2)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1)의 일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3a는 압력조절부재(2)중 내부압력조절부재(3)의 사시도, 도 3b는 압력조절부재(2)중 외부압력조절부재(4)의 사시도이다.
본 개시는 액체상 화장품에 두루 적용할 수 있으나, 내용물이 립글로스인 경우를 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코너가 둥근 사각형 또는 원형상의 병(10)을 포함한다. 병 안에는 액체상 화장품인 내용물로 글로스액이 충전되어 있다. 병(10)은 사각형 또는 원형 컬럼을 이루어 길게 연장된 본체(101)와, 본체(10)와 일체로 그 보다 직경이 축소되어 연장되며 외주에 나사산(103)이 형성된 결합부(102)를 포함한다.
솔대(300)가 그 단부에 형성된 도포팁이 충분히 액에 잠기도록 용기 안에 수용되어 있다.
평면상에서 보아 병(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캡(200)이 솔대(300)의 외면과 접하고 있다. 캡(200)의 하부(202)에는 나사산(203)이 형성되어 있다. 캡(200)을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산(203)이 병(10)의 나사산과 치합하여 밀봉되는 견고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기술한 병(10), 솔대(300) 및 갭(200)은 일례를 든 것이며, 그 크기, 모양 및 형상은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2)는 내부압력조절부재(3)와 외부압력조절부재(4)를 포함한다. 내부압력조절부재(3)는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긴 원통형의 하우징(33)과, 하우징(33)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밑면을 덮는 저면(31)을 포함한다. 하우징(33)의 상부면 외주 둘레에는 얇은 폭의 플랜지(3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3)과 저면(31)을 포함한, 즉 내부압력조절부재(3)의 전체 높이는 상기 병(10)의 결합부(102)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31)은 도 2에도 도시한 것과 같이, 측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점차 경사진 형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하향 연장되며, 그 하향면 단부를 둘러 원형의 개구인 제1홀(30)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보아 밑둥이 절단되어 평면인 원추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저면(31)이 중앙을 향해 경사지므로, 사용자가 솔대(300)를 위로 움직이며 저면(31)에 솔대(300)를 문지르면 글로스액이 저면(31)에 점점 축적되고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홀(30)을 통해 낙하하여 병(10)안으로 수집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종래와 같이 병의 안쪽에 글로스액을 묻히거나 닦을 필요 없이 저면(31)을 이용하여 과분의 글로스액을 제거하고 필요한 글로스액으로 조절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솔대(300)를 꺼낼 때 글로스액이 병의 입구부에 닿아 도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미관 면에서도 우월하다.
이러한 점에서, 일 실시예의 저면(31)은 제1와이퍼면(32)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압력조절부재(4)는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주를 둘러 짧은 높이의 측벽이 형성된 외부테두리부(43)와 외부테두리부(43)의 상면(430)과 일체로 연결되며, 그 안쪽에서 외부테두리부(43)와 같은 높이로 기립한 내부테두리부(42)를 포함한다. 외부압력조절부재(4)의 높이는 내부압력조절부재(3)의 높이보다 짧으며, 가령 약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테두리부(42,43)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갭이 형성되며, 내부압력조절부재(3)의 플랜지(34)가 갭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외부 및 내부압력조절부재(3,4)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에 더하여, 솔대(300)가 상면(430)에 안착되고 캡(200)과 병(10)이 다시 나사 결합하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글로스액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 튼튼한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 내부압력조절부재(4)는 측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점차 경사진 형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하향 연장되며, 그 하향면 단부를 둘러 원형의 개구인 제2홀(40)을 형성한 제2와이퍼면(41)을 저면으로 포함하고 있다.
제2와이퍼면(41)은 상기 제1와이퍼면(3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솔대(300)를 위로 움직이며 제2와이퍼면(41)에 솔대를 문지르면 글로스액이 축적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2홀(30)을 통해 낙하하여 병(10)안으로 수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것과 같이 사용이 편리하고, 미관 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제2홀(40)의 형상과 크기는 제1홀(30)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제작한 실례에 의하면, 두 조절부재가 결합한 전체 높이는 약 10mm ~ 15mm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2mm이다. 또, 제1홀(30)과 제2홀(40)의 직경은 3mm ~ 7mm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5mm이다. 또, 외부압력조절부재(4)의 전체 직경은 약 13mm~17mm 범위, 바람직하게는 15mm이다. 또, 와이퍼면(32,41)의 경사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20~40도, 바람직하게는 약 30도이다.
압력조절부재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견고한 병(10)과 같은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압력조절부재(3)와 외부압력조절부재(4)를 이루는 각 구성의 크기와 형상은 본 개시에 따른 기능을 달성하는 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 4를 참조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캡(200)과 솔대(300)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내부압력조절부재(3)와 외부압력조절부재(4)가 결합하여 형성한 압력조절부재(2)의 내부공간(S)은 아래로는 제1홀(30)을 통하여 병(10)과 연통하고, 위로는 제2홀(40)을 통하여, 개방 시에는 대기와, 폐쇄 시에는 솔대(300)와 캡(200)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한다.
제1홀(30)은 병(10)의 공간보다 직경이 작고, 제2홀(40)은 압력조절부재(2)의 내부공간(S)보다 직경이 작다. 일반적으로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하면 유체의 높이가 변동 없을 때, 직경이 좁은 곳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글로스액이 제1홀(30)을 통과하여 들어오는 순간 압력이 감소하면서(P1 -> P0), 다시 확장된 압력조절부재(2)의 내부공간(S)과 만나므로, 마치 노즐을 통한 분사 유체와 같이 내부공간 내에서 분산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더욱, 제2홀(40)은 제1홀(30)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글로스액이 제2홀(40)에 도달하기 어려우며, 설령 일부가 도달한다 하여도, 제2홀(30)을 통과하여 나가는 순간 그 압력이 더 감소하면서(P0 -> P2) 확장된 외부공간과 만나므로 이 외부공간에서 다시 분산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중의 압력 제어, 즉 다단 압력 감소로 인하여 글로스액은 자체 분출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의 제작시 병의 내압이 증가하여도 글로스액이 넘쳐 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캡(200)과 솔더(300)가 병의 내압으로 밀리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 실시예의 압력조절부재(2)는 압력완충지대를 형성하는 부재라고 할 수 있다.
또, 내부압력조절부재(3)와 외부압력조절부재(4)는 별도의 부품이 아닌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다음에, 제1홀(30)과 제2홀(40)을 통과한 글로스 액은 점차 침적되며, 경사진 와이퍼면(32,41)을 타고 흘러 모여 병 안으로 회귀한다. 설령 글로스 액의 일부가 잔류하여도, 종전처럼 글로스액이 병의 입구부에 칠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2)는, 압력완충효과와 글로스액 회수 및 미관의 우수함이라는 효과를 동시에 상승적으로 발휘한다.
당업자는 여기서 개시된 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장치와 부재의 형상, 크기, 배열 등도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는 립글로스는 물론 매니큐어나 마스카라액과 같은 액상의 화장액을 수용하는 다른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병 20: 압력조절부재 30: 내부압력조절부재 40:외부압력조절부재

Claims (7)

  1.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병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적어도 상기 결합부의 안쪽에 체결되는 내부압력조절부재와, 상기 내부압력조절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은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제1와이퍼면을 형성하고, 제1와이퍼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병의 직경보다 작은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은 상기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제2와이퍼면을 형성하고, 제2와이퍼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제2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의 직경은 상기 제1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위로 연장된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외주 둘레에는 얇은 폭의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압력조절부재는 외주를 둘러 짧은 높이의 측벽이 형성된 외부테두리부와 외부테두리부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며, 그 안쪽에서 외부테두리부와 같은 높이로 기립한 내부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압력조절부재의 플랜지가 상기 갭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외부 및 내부압력조절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전체 높이는 약 10mm ~ 15mm 범위, 상기 제1홀과 제2홀의 직경은 3mm ~ 7mm 범위, 상기 외부압력조절부재의 전체 직경은 약 13mm~17mm 범위, 상기 제 1및 제 2와이퍼면의 경사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20~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립글로스 또는 매니큐어 또는 마스카라용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7.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로서, 상기 용기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병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적어도 상기 결합부의 안쪽에 체결되는 내부압력조절부재와, 상기 내부압력조절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압력조절부재에는 상기 병의 직경보다 작은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압력조절부재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제2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화장액은 상기 내부압력조절부재의 상기 제1홀을 통과하면서 분산하여압력이 감소하고, 더욱 상기 외부압력조절부재의 상기 제2홀을 통과하면서 분산하여 압력이 추가로 감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0140057181A 2014-05-13 2014-05-13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50130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181A KR20150130081A (ko) 2014-05-13 2014-05-13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181A KR20150130081A (ko) 2014-05-13 2014-05-13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081A true KR20150130081A (ko) 2015-11-23

Family

ID=5484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181A KR20150130081A (ko) 2014-05-13 2014-05-13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537A1 (ko) * 2017-09-15 2019-03-21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마스카라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537A1 (ko) * 2017-09-15 2019-03-21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마스카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0249B2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US7278798B1 (en) Wiper for cosmetics bottle
US10743634B2 (en) Enhanced application of oil-based products from fluid containers
KR200335614Y1 (ko) 솔대 인출구조를 갖는 마스카라 용기
KR101703699B1 (ko) 주름관이 형성된 와이퍼를 구비한 손가락 삽입 마스카라 용기
US10010152B2 (en) Built-in scraping device for cosmetic container
KR102313212B1 (ko) 화장품 용기
US20140147189A1 (en) Applicator
JP2017510388A (ja) 二重ブラシスティックタイプマスカラ化粧容器
US20180168319A1 (en) Finger insertion mascara container provided with elastic slit part
WO2019223369A1 (zh) 旋转式液体化妆笔
US20150359312A1 (en) Cosmetic container
CN204617383U (zh) 气密性化妆品容器
US20200085169A1 (en) Magnetic cosmetic applicator
US10244847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aligning cap
KR20150130081A (ko)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78340Y1 (ko) 엣지부를 갖는 솔대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101590402B1 (ko) 회전개폐형 화장품 용기
JP5590554B2 (ja) 塗布容器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US7337929B2 (en) Device with dual dispensing system
KR200430545Y1 (ko) 매니큐어 케이스
KR20180116572A (ko) 드롭퍼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6173890B2 (ja) 塗布具付容器
KR101230989B1 (ko)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1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13

Effective date: 2018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