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423U -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423U
KR20140000423U KR2020120006031U KR20120006031U KR20140000423U KR 20140000423 U KR20140000423 U KR 20140000423U KR 2020120006031 U KR2020120006031 U KR 2020120006031U KR 20120006031 U KR20120006031 U KR 20120006031U KR 20140000423 U KR20140000423 U KR 201400004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pcb panel
vehicle
bus bar
ba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206Y1 (ko
Inventor
김병준
Original Assignee
영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화테크(주) filed Critical 영화테크(주)
Priority to KR2020120006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0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9Junction box with busbar for plug-socket type interconnection with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은 설치면적을 차지하여 정션박스의 소형화, 슬림화를 가능하게 하고, 조립성이 우수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PCB 패널에 설치된 각 단자에 배터리의 전류를 분배할 수 있도록, PCB 패널에 설치되는 복수의 버스바(Bus Bar)들을 구비하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버스바들은, PCB 패널에 설치되어 있되, PCB 패널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되게 배열된다. 그리고 복수의 버스바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며, 절연연결부재들은, 복수의 버스바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게 연결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BUS BAR DEVICE OF JUNCTION BOX FOR AUTOMOTIVE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설치면적을 차지하여 정션박스의 소형화, 슬림화를 가능하게 하고, 조립성이 우수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정션박스용 버스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정션박스(Junction Box)는, 퓨즈와 릴레이 및 각종 전기회로가 집약되게 설치되는 전기 제어 유닛으로서, 자동차에 설치되는 각 전기장치에 전기를 분배하고, 분배된 전기의 과전류를 방지한다.
이러한 차량용 정션박스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패널(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PCB 패널(1)에는 다수의 단자(3)들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단자(3)들에는, 전기, 전자 소자들, 예를 들어, 퓨즈(Fuse)(5)가 각각 설치된다. 퓨즈(5)들은, 해당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의 과전류를 차단한다. 이로써, 과전류로 인한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PCB 패널(1)에는, 각 단자(3)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버스바(Bus Bar)(7)를 구비한다.
버스바(7)들은, 자동차의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각 단자(3)에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각 단자(3)에 분배된 전기가 퓨즈(5)를 거친 후, 해당 전기장치(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버스바(7)들은, PCB 패널(1)의 일측부분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이렇게 구성된 차량용 정션박스는, 크기를 줄여서 소형화, 슬림화하고, 부품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제조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왜냐하면, 최근 들어 소형·저가형 차량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사이즈가 크고 제조효율이 낮은 종래의 차량용 정션박스로는 소형·저가형 차량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은 설치면적을 차지하고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은 설치면적을 차지하고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션박스의 소형화, 슬림화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공정만으로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는, PCB 패널에 설치된 각 단자에 배터리의 전류를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PCB 패널에 설치되는 복수의 버스바(Bus Bar)들을 구비하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은, 상기 PCB 패널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PCB 패널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절연연결부재들은,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은, 상기 PCB 패널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단 배열되어 있되, 동일한 수직축선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에 의하면, 버스바들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열하는 구조이므로, PCB 패널에 대한 버스바의 설치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CB 패널에 대한 버스바의 설치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확보에 매우 유리하며, 따라서, 정션박스의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버스바들을 하나의 몸체로 연결한 다음, 이를 PCB 패널에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쉽고 간단하다. 따라서,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버스바 장치가 PCB 패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버스바 장치가 PCB 패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차량용 정션박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정션박스는, PCB 패널(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PCB 패널(1)에는 다수의 단자(3)들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단자(3)들에는, 전기, 전자 소자들, 예를 들어, 퓨즈(5)가 각각 설치되며, 이 퓨즈(5)들은, 해당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의 과전류를 차단한다. 이로써, 과전류로 인한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PCB 패널(1)에는, 각 단자(3)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버스바(7)를 구비한다.
버스바(7)들은,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각 단자(3)에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각 단자(3)에 분배된 전기가 퓨즈(5)를 거친 후, 해당 전기장치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버스바 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버스바 장치는, 복수의 버스바(7)들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버스바(7)들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특히,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되게 배열되며, 이렇게 배열된 버스바(7)들은, 양단 각각이 PCB 패널(1)에 실장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된 버스바(7)들은, 동일한 수직축선상에 배열되는 것이 좋다. 이는, 버스바(7)들이 차지하는 폭방향 공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며, 이로써, PCB 패널(1)에서 버스바(7)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버스바 장치는, 복수의 버스바(7)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연결부재(10)를 구비한다.
절연연결부재(10)는, 절연재질이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PA(Polyamide)계 재질로 구성되며, 복수의 버스바(7)들을 간격을 두고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시킨다. 특히,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버스바(7)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게 하며, 이렇게 연결된 복수의 버스바(7)들은,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PCB 패널(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절연연결부재(10)가, 2개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2개의 절연연결부재(10)는, 버스바(7)들의 양쪽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물론, 버스바(7)들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그 갯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버스바(7)들을 상,하방향으로 배열하는 구조이므로, PCB 패널(1)에 대한 버스바(7)의 설치면적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PCB 패널(1)에 대한 버스바(7)의 설치면적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공간확보에 매우 유리하며, 따라서, 정션박스의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버스바(7)들을 하나의 몸체로 연결한 다음, 이를 PCB 패널(1)에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쉽고 간단하다. 따라서,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버스바(7)들이 2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PCB 패널(Panel) 3: 단자
5: 퓨즈(Fuse) 7: 버스바(Bus Bar)
10: 절연연결부재

Claims (3)

  1. PCB 패널(1)에 설치된 각 단자(3)에 배터리의 전류를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PCB 패널(1)에 설치되는 복수의 버스바(Bus Bar)(7)들을 구비하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7)들은, 상기 PCB 패널(1)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PCB 패널(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7)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연결부재(1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절연연결부재(10)들은, 상기 복수의 버스바(7)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7)들은,
    상기 PCB 패널(1)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단 배열되어 있되, 동일한 수직축선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KR2020120006031U 2012-07-10 2012-07-10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KR200471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31U KR200471206Y1 (ko) 2012-07-10 2012-07-10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31U KR200471206Y1 (ko) 2012-07-10 2012-07-10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23U true KR20140000423U (ko) 2014-01-21
KR200471206Y1 KR200471206Y1 (ko) 2014-02-12

Family

ID=5141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031U KR200471206Y1 (ko) 2012-07-10 2012-07-10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06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487A (ja) 1999-10-14 2001-04-2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0907540B1 (ko) 2007-12-11 2009-07-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06Y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8470A1 (en) Printed circuit board stack
JP584504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コネクタ
CN110622407B (zh) 半导体开关装置
JP6557634B2 (ja) 接続モジュール
JP6270618B2 (ja) 接続導体ユニット
CN102290292B (zh) 剩余电流保护断路器
CN102856138A (zh) 熔丝块以及具有该熔丝块的电接线箱
JP2014027797A (ja) 電気接続箱
KR101212056B1 (ko) 전원분배유니트
KR200471206Y1 (ko)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JP5514498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4544586B2 (ja) 分電盤の幹線バー接続構造
CN211238604U (zh) 接线座及接线装置
US9748671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KR102474810B1 (ko) 전원분배 제어기
KR101242042B1 (ko) 차량용 정션박스
JP2007048799A (ja) 配線金具、蓄電素子接続プレート、配線金具使用方法
JP6452402B2 (ja) 蓄電装置
JP6433336B2 (ja) 分電盤
CN215816457U (zh) 笼式分线连接器
CN203056384U (zh) 汽车仪表配电板
CN103457398A (zh) 低压大功率电机使用的接线板
JP7294386B2 (ja) バスバー位置決め構造及び電気機器
CN202111017U (zh) 剩余电流保护断路器
JP6646154B2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