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527A -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527A
KR20130143527A KR1020130071674A KR20130071674A KR20130143527A KR 20130143527 A KR20130143527 A KR 20130143527A KR 1020130071674 A KR1020130071674 A KR 1020130071674A KR 20130071674 A KR20130071674 A KR 20130071674A KR 20130143527 A KR20130143527 A KR 2013014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dicator
axis direction
shee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키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3014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62Touch switches with tactile or haptic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과제] 조작면이 입체적인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에, 센서의 좌표축 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복수의 전극이 교차해서 배치되는 센서와, 복수의 전극에 접속되고, 센서에 대한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를 소정의 좌표축상의 좌표값으로서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검출하는 조작검출회로와 센서에 대해서, 지시체의 지시조작을 받는 측에 배치되는 표면조작부를 구비한다. 표면조작부는 센서의 소정의 영역을 지시체의 검출영역으로 하도록 형성된 곡면을 가지는 제1 입력부와, 제1 입력부의 검출영역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좌표축의 방향에 대해서 특정의 방향의 직선적인 특정 영역을 지시체의 검출영역으로 하도록 형성되며, 직선적인 특정 영역에서의 면형상이 제1 입력부의 곡면과는 다른 면을 가지는 제2 입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INDICATOR OPERATION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손가락 등의 지시체의 조작을 검출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약칭함)의 표시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화면의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하는 조작지시를 행하기 위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로서는, 종래는 트랙볼(trackball)이 이용되고 있었다. 이 트랙볼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로터리 엔코더에서 볼(구체(球體))을 지지한 구조를 구비하고, 그 볼을 손가락·손바닥으로 굴리는 것에 대응하여, 2개의 로터리 엔코더에서 검출되는 회전량에 따른 이동량만큼, 표시화면상의 커서나 오브젝트를 표시화면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트랙볼은 볼의 회전에 따라 로터리 엔코더가 회전한 만큼만, 커서나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므로, 그 이동조작에 의해서 상대적 이동량을 지정할 수 있을 뿐으로, 커서나 오브젝트에 대한 정확한 좌표위치의 지시조작은 곤란하다.
한편, 최근, 위치검출용의 센서(이하, 간단히 '센서'라 함)를 이용한 터치패널이 지시입력장치로서 이용될 기회가 증가해 오고 있다. 특히,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는 반응속도가 빠르고, 내구성이 높으며, 손가락 등의 지시체의 복수 개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등,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센서보다 우수하므로, 휴대전화단말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에서 상용되어 있다.
이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는 서로 평행인 복수의 스트라이프 모양의 제1 전극과, 이들 복수의 제1 전극과 교차하는, 서로 평행인 복수의 스트라이프 모양의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모양 전극패턴을 구비한다. 이 센서에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예를 들면 유전체 기판에 의해 서로 이간되어 정전(靜電)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전극에 송신신호를 공급하고, 제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정전결합을 통하여 수신신호를 얻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이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는 매트릭스 모양 전극패턴에서 손가락 등의 지시체가 접촉한 부분에서는 송신신호의 일부가 인체를 통해서 흐르는 것으로, 제2 전극으로부터 얻어지는 수신신호 전류가 변화하므로, 그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손가락 등의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를 검출하도록 한다.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의 교점으로서 검출된다.
이 경우에, 통상은, 예를 들면, 제1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방향을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가로방향과 일치시켜, 이 가로방향을 센서에서 검출되는 지시체의 지시위치의 2차원 좌표의 X축방향으로 하고, 또, 제2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방향을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가로방향과 직교하는 세로방향과 일치시켜, 이 세로방향을 센서의 상기 2차원 좌표의 Y축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센서는 지시체의 지시위치를 2차원 좌표상의 X, Y좌표값으로서 검출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에서의 지시체의 지시위치의 2차원 좌표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은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표시화면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센서의 출력좌표인 2차원 좌표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규정되는 좌표공간은 표시화면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규정되는 좌표공간과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를 들면 2차원 좌표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규정되는, 센서의 출력좌표의 좌표공간을, 센서의 출력좌표공간으로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2003-91360호 공보)이나 특허문헌 2(일본국 특개2003-296014호 공보)에는, 상술과 같은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를 이용함과 아울러, 보다 직감적인 입력을 구하여, 지시체에 의해서 위치지시조작을 행하는 조작부의 형상을 입체적 형상으로 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는 센서의 매트릭스 모양 전극패턴의 전지시체 검출가능 검출영역 중 소정 영역이 돔형 형상으로 입체 성형되어 곡면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면을 구비한다.
조작면을 이와 같은 곡면 모양으로 하면, 조작자는, 이 조작면상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면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감각과 함께, 곡면의 경사방향이나 경사도에 근거하여 곡면 형상의 높이방향으로의 변위감각을 지각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곡면 모양의 조작면을 구비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의하면, 조작자는 손가락의 조작위치나 손가락의 이동방향, 이동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의 특허문헌 1, 2에 기재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의하면, 센서의 매트릭스 모양 전극패턴에 의해 손가락 등의 지시체의 접촉위치를 정전용량 방식으로 검출하기 때문에,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의 절대좌표를 검출할 수 있어, 트랙볼보다도 정확한 지시조작의 좌표출력을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913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3-296014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 2에 기재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서는, 조작자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입체적인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조작면에 접촉시키면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당해 조작면에서, 직선방향 지시조작, 회전(원호 모양) 지시조작 등의 여러 가지의 지시조작입력을 행할 수 있다.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는 그 조작면에서의 손가락 등의 지시체의 지시조작의 정보를,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의 2차원 좌표(경우에 따라서는, X축 및 Y축에 직교하는 Z축을 포함하는 3차원 좌표)상의 지시체의 위치정보로서의 X, Y좌표값(X, Y, Z좌표값)의 연속으로서 출력한다.
P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로부터 받은 지시조작의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나 오브젝트를, 그 지시조작에 따라 표시화면상에서 이동시키도록 표시제어처리한다.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 2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입체적인 곡면 형상의 조작면에서는, 직선방향 지시조작뿐만이 아니라, 그 곡면 형상을 이용한 회전(원호 모양) 지시조작 등의 여러 가지의 지시조작이 가능하다. 그 한쪽에서, 이와 같은 입체적인 곡면 형상의 조작면에서도 직선방향 지시조작, 특히, 센서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따른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그들 직선방향 지시조작이, 예를 들면 표시화면의 가로 스크롤 조작이나 세로 스크롤 조작에 대응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 센서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화면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직선방향 지시조작에 근거하여 표시 오브젝트의 직선이동은 표시화면상에서 정확한지 여부가 판별하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도, 당해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따른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특허문헌 1, 2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서는, 조작면이 곡면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꼿꼿하게 이동시키도록, 손가락 등의 지시체로 직선방향으로 지시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자칫하면, 곡면에 따른 곡선적인 이동지시가 되어 버리기 쉽게 된다.
상술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모양 전극패턴의 센서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지시체의 지시조작위치의 절대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서나 오브젝트는 조작면에서의 지시체에 의한 지시조작대로 표시화면상에서 이동하게 되어, 조작자가 직선적인 지시를 할 생각이라도, 커서나 오브젝트가 곡선적인 이동을 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돔형 형상 등의 입체적인 곡면 형상의 조작면의 경우에, 그 주위는 거의 원형이 되는 것과 함께, 어느 직선방향이 센서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인지, 또는, Y축방향인지를, 그 곡면 형상의 조작면에서의 촉감으로서 조작자는 인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주로 화면을 보고 조작을 하는 조작자는 입체적인 곡면 형상의 조작면과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케이스와의 형상 관계로부터, 센서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을 유추하여 조작입력을 하거나, 케이스에 인쇄 등에 의해 마련된 X축방향이나 Y축방향을 나타내는 표적에 의지하여, 조작입력을 하거나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 경우에서도, 조작자는, 곡면 형상의 조작면에서는 촉감상의 단서가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센서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이나 Y축방향 등의 특정 방향의 직선방향의 지시조작을 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특허문헌 1, 2와 같이,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조작면부가 지시체가 접촉하는 측으로 볼록한 곡면인 입체적 형상인 경우에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와 볼록한 모양의 조작면과의 접촉면적이 적게 되어, 센서가 정확하고 확실하게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조작면이 입체적인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고 확실하게 센서의 출력좌표공간의 좌표축 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교차하여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되는 센서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센서에 대한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를 소정의 좌표축상의 좌표값으로서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검출하는 조작검출회로와,
상기 센서에 대해서, 상기 지시체의 지시조작을 받는 측에 배치되는 표면조작부를 구비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작부는 제1 입력부와 제2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센서의 소정의 영역을 당해 제1 입력부에서의 상기 지시체의 검출영역으로 하도록 형성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부의 검출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의 상기 소정의 영역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상기 좌표축의 방향에 대해서 특정의 방향의 직선적인 특정 영역을, 당해 제2 입력부에서의 상기 지시체의 검출영역으로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직선적인 특정 영역에서의 면형상이 상기 제1 입력부의 곡면과는 다른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상술의 구성의 발명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서는, 제1 입력부는, 예를 들면 돔형 형상 등의 소정의 형상의 입체적인 곡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의하면, 이 입체적인 곡면을 가지는 제1 입력부에서는 그 지시체의 검출영역에서의 손가락의 조작위치나,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이동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입력부는 센서에 대한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를 규정하는 소정의 좌표축의 방향에 대해서 특정의 방향의 직선적인 특정 영역으로서, 그 면형상이 제1 입력부의 곡면과는 다른 형상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그 면형상의 차이로부터, 제1 입력부에 둘러싸이는 제2 입력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이 제2 입력부의 직선적인 특정 영역을 따라서 직선방향의 입력조작을 정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2 입력부의 직선적인 특정 영역은 센서에 대한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를 규정하는 소정의 좌표축의 방향에 대해서 특정의 방향, 예를 들면 상기 좌표축의 방향에 일치한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이 제2 입력부의 직선적인 특정 영역에 따른 직선방향의 지시조작을 함으로써, 상기 좌표축에 따른 직선방향의 조작입력을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면이 입체적인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에, 센서에 대한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를 규정하는 소정의 좌표축의 방향에 대해서 특정의 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센서 및 조작검출회로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지시체로서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몇 가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4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5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5 실시형태에서의 센서 및 조작검출회로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5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5 실시형태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다른 예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7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7 실시형태의 센서에서의 지시체의 검출처리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시체 조작검출장치(1)는 센서(10)와, 조작검출회로(20)로 이루어진다.
센서(10)는, 이 예에서는, 크로스-포인트(corss-point)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격자 모양으로 배열된 전극군(11)을 구비한다. 이 전극군(11)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전극(12)과, 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전극(13)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제1 전극(12)은 각각 제1 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소정 간격씩 떨어져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 복수 개의 제2 전극(13)은 각각 제2 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소정 간격씩 떨어져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센서(10)는, 예를 들면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서로 직교하는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이루어지는 2차원 좌표의 출력좌표공간의 좌표값으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12)이 형성되는 제1 방향은 센서(10)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또, 제2 전극(13)이 형성되는 제2 방향은 센서(10)의 출력좌표공간의 Y축방향으로 되어 있다.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는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3)과의 교점의 좌표값으로서 검출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이 배치되어 있는 센서(10)에 대해서, 신호처리 회로부로서의 조작검출회로(2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검출회로(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신호 발생회로(21), 송신전극 선택회로(22), 수신전극 선택회로(23), 수신신호 처리회로(24), 출력회로(25) 및 제어회로(26)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신호 발생회로(21) 및 송신전극 선택회로(22)는 송신신호 공급회로를 구성하고, 수신전극 선택회로(23) 및 수신신호 처리회로(24)는 신호수신회로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제1 전극(12)은 송신신호가 공급되는 송신전극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2 전극(13)은 제1 전극(12)과 정전결합하여, 송신신호에 따른 수신신호를 얻는 수신전극으로 되어 있다.
송신신호 발생회로(21)는 제어회로(26)의 제어에 따른 타이밍으로, 소정의 송신신호를 송신전극 선택회로(22)에 공급한다. 송신전극 선택회로(22)는 제어회로(26)의 선택제어에 따라서 소정의 제1 전극(12)을 선택한다. 송신전극 선택회로(22)에 의해서 선택된 제1 전극(12)에는 송신신호 발생회로(21)로부터 송신신호가 공급된다.
수신전극 선택회로(23)는 제어회로(26)의 제어에 따라서 차례차례 제2 전극(13)을 선택하고, 선택한 제2 전극(13)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신호 처리회로(24)에 공급한다.
수신신호 처리회로(24)는 제어회로(26)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수신신호를 처리하고, 손가락 등의 지시체가 센서(10)상에서 위치를 지시하는 것으로 발생하는 수신신호의 신호레벨의 변화를 제2 전극(13)마다 검출하여, 그 검출출력을 출력회로(25)에 공급한다.
출력회로(25)는 제어회로(26)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수신신호 처리회로(24)의 검출출력으로부터 상기 신호 변화가 생긴 제2 전극(13)을 검출한다. 그리고, 출력회로(25)는 그 검출한 제2 전극(13)과 그 때에 송신신호가 공급되어 있는 제1 전극(12)으로부터, 손가락 등의 지시체에 의해서 지시된 위치를 센서(10)의 출력좌표공간의 X, Y좌표값으로 하는 검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센서(10)의 구성예]
도 2 및 도 3에 센서(10)의 자세한 내용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센서(10)를 지시체에 의해서 조작하는 면 측에서 본 도면, 도 2의 (B)는 도 2의 (A)에서의 A-A단면도이다. 또, 도 2의 (C), (D)는 센서(10)의 조작면의 곡면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도 3의 (A)는 센서(10)의 분해 구성도, 도 3의 (B)는 센서(10)의 사시도이다.
센서(10)는 격자 모양으로 배열된 전극군(11)이, 도 2의 (B)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돔형 형상으로 입체 성형된 구성을 구비한다. 이 예의 센서(10)는, 도 2의 (B) 및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과, 보호시트(16)와, 불감대(不感帶) 형성용 시트(17)로 이루어지는 4층 구조를 가진다. 이들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과, 보호시트(16) 및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는 모두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이 센서(10)의 작성방법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과, 보호시트(16)는, 당초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트 형상의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는 평면시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돔형 형상부(18)에 대응하는 원형 영역이 관통구멍(17a)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시트 형상의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표면에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방향의 복수 개의 선상의 도체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제1 전극(12)이 형성된다.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전극(12)이 배치되는 직사각형 영역(14a)과, 이 직사각형 영역(14a)으로부터 복수 개의 제1 전극(12)의 형성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드선 영역(14b)을 구비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5), 또, 보호시트(16) 및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에는, 직사각형 영역(14a, 15a)과, 리드선 영역(14b, 15b)을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서 파선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리드선 영역(14b)에는 복수 개의 제1 전극(12)의 각각을 외부의 회로부와 접속하기 위한 리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선단부에 외부 접속부(1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접속부(14c)에서, 조작검출회로(20)의 송신전극 선택회로(22)와 복수 개의 제1 전극(12)이 접속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직사각형 영역(14a)은 정방형(正方形) 영역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평면시트 형상의 제2 시트 모양 기판(15)의 표면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Y축방향의 복수 개의 선상의 도체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제2 전극(13)이 형성된다. 제2 시트 모양 기판(15)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전극(13)이 배치되는 직사각형 영역(15a)과, 이 직사각형 영역(15a)으로부터 복수 개의 제2 전극(13)의 형성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드선 영역(15b)을 구비한다.
이 리드선 영역(15b)에는 복수 개의 제2 전극(13)의 각각을 외부의 회로부와 접속하기 위한 리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선단부에 외부 접속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접속부(15c)에서, 조작검출회로(20)의 수신전극 선택회로(23)와 복수 개의 제2 전극(13)이 접속된다. 또한, 직사각형 영역(15a)은 직사각형 영역(14a)과 동일한 크기의 정방형 영역으로 되어 있다.
보호시트(16)는, 이 예에서는, 직사각형 영역(14a 및 15a)과 동일한 크기의 정방형의 직사각형 영역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직사각형 영역이 인접하는 2변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리드선 영역(14b 및 15b)에 대응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제1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4, 15)이 검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며, 이 예에서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제1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4, 15)을 검출할 수 없도록 이격시키는 두께의 유전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이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는 보호시트(16)와 동일한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직사각형 영역의 중앙부에 후술하는 돔형 형상부가 배치되는 관통구멍(17a)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2 전극(13)을 형성한 제2 시트 모양 기판(15)의 표면 측에 제1 전극(12)을 형성한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을 겹쳐서 양자를 접착한다. 이 때,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은 서로의 직사각형 영역(14a, 15a)이 겹치도록 함과 아울러,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3)의 방향이 직교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도 2의 (A) 및 도 3의 (A) 참조). 이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제1 전극(12)과, 복수 개의 제2 전극(13)은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두께분만큼, 상하로 떨어져 배치되며, 서로 절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위에, 또한, 보호시트(16)를 겹쳐서 접착하도록 한다. 이 경우, 보호시트(16)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직사각형 영역(14a)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의 직사각형 영역(15a)을 덮음과 아울러, 외부 접속부(14c 및 15c)는 외부로 노출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호시트(16)와 동일한 외형 형상의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를, 보호시트(16)상에, 외형 형상을 맞추어 겹쳐서 접착한다.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에는 관통구멍(1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관통구멍(17a)에서는 보호시트(16)가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하여 접합한 4층의 시트 부재의 직사각형 영역(14a, 15a)에서,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의 관통구멍(17a)에 대응하는 원형 영역의 제1 시트 모양 기판(14), 제2 시트 모양 기판(15) 및 보호시트(16)의 3층 부분을, 도 2의 (B)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인 돔형 형상부(18)로 하도록 진공 성형한다. 이 예의 경우, 돔형 형상부(18)는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의 관통구멍(17a)으로부터 팽출(膨出)하는 상태가 된다.
이 센서(10)에서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의 지시조작시에는, 관통구멍(17a)으로부터 팽출하는 돔형 형상부(18)의 영역에서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와 전극군(11)과의 사이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시트(16)의 두께 d1만큼 떨어지는 상태가 되고, 보호시트(16)의 표면에 접촉하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확실하게 검지한다. 한편,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은 손가락 등의 지시체와 전극군(11)과의 사이에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시트(16)의 두께뿐만 아니라,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의 두께가 가해진 두께 d2만큼 떨어지는 상태가 되어,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검지할 수 없는 불감대 영역이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는 돔형 형상부(18)의 보호시트(16)의 표면을 손가락으로 지시조작함으로써, 조작지시입력을 할 수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센서(10) 자신이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돔형 형상부(18)가 형성되고, 이 돔형 형상부(18)의 부분이 표면조작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표면조작부는 센서(10)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도 2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돔형 형상부(18)로 이루어지는 표면조작부의 조작면은 한결같은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조작자가 촉감에 의해 구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1 입력부(18a)와 제2 입력부(18b)를 구비한다.
제1 입력부(18a)는, 이 예에서는, 돔형 형상에 따른 곡면을 구비하는 입력부이다. 한편, 제2 입력부(18b)는, 이 예에서는, 폭 W로 X축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X축방향 가이드부(18bX)와, 폭 W로 Y축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Y축방향 가이드부(18bY)로 이루어진다.
센서(10)의 돔형 형상부(18)에서의 지시체의 검출영역 가운데, X축방향 가이드부(18bX)와 Y축방향 가이드부(18bY)를 제외한 영역이 제1 입력부(18a)의 지시체의 검출영역이 된다. 또, 센서(10)의 X축방향 가이드부(18bX)와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 대응하는 각각 직선적인 영역이 제2 입력부(18b)의 지시체의 검출영역이 된다.
X축방향 가이드부(18bX)는 제1 입력부(18a)의 곡면과는 촉감에 의해 조작자가 구별 가능하게 되도록, 그 직선적인 띠 모양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W의 부분은 곡률 ρ가 제로(곡선은 아니고 직선)로 되어 있다(도 2의 (B) 및 (C) 참조). 마찬가지로, Y축방향 가이드부(18bY)는 그 직선적인 띠 모양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W의 부분은 곡률 ρ가 제로로 되어 있다(도 2의 (B) 및 (D) 참조). 따라서, X축방향 가이드부(18bX)와 Y축방향 가이드부(18bY)가 교차하는 돔형 형상부(18)의 등정부(登頂部)(18bT)는 한 변의 길이가 W의 정방형 평면이 된다(도 2의 (B), 도 3의 (B) 참조). 또한,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의 폭 W는 사람의 손가락 끝마디 볼록부(the ball of the human finger)가 접촉했을 때에, 그 접촉면적이 초과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1 입력부(18a)와 제2 입력부(18b)는 돔형 형상부(18)를 진공 성형할 때에 형성된다.
조작자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10)의 돔형 형상부(18)의 표면조작부에서 손가락으로 접촉 조작할 때에, 촉감에 의해, 제1 입력부(18a)의 곡면에 대해서, 제2 입력부(18b)의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를 각각 폭 W의 평면이 돔형 형상의 곡면을 따라서 높이가 변화하는 것으로서 감득(感得)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제1 입력부(18a)와 제2 입력부(18b)를 구별하면서, X축방향 가이드부(18bX)에 따른 조작을 함으로써, X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으며, 또,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 따른 조작을 함으로써,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는, 제1 입력부(18a)에서는,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도록 외주 곡면을 따르는 조작을 함으로써, 회전지시조작을 할 수 있다.
또, 제2 입력부(18b)의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이 아니고, 평면으로 감득되는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부분에서의 손가락의 접촉면적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센서(10)는 이 제2 입력부(18b)에서의 조작자의 조작을 감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이것을 도 5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센서(10EX)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또한, 도 5의 (A)는 센서(10EX)를 지시체에 의해서 조작하는 면 측에서 본 도면이며, 상술의 예의 센서(10)의 도 2의 (A)에 대응한다. 또, 도 5의 (B)는 도 5의 (A)에서의 B-B단면도이다.
이 비교예의 센서(10EX)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센서(10)의 돔형 형상부(18)에서의 제2 입력부(18b)의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 대신에,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의 가이드로서,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18pX)를 X축방향으로 일렬로 늘어놓아 마련함과 아울러, 복수의 돌기(18pY)를 Y축방향으로 일렬로 늘어놓아 마련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센서(10EX)에서는, X축방향의 복수의 돌기(18pX)의 배열과 Y축방향의 복수의 돌기(18pY)가 교차하는 돔형 형상부(18)의 등정부의 돌기(18pT)를 다른 돌기보다도 크게 하는 등 하여, 구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비교예의 센서(10EX)의 그 외의 구성은 센서(10)와 동일하다.
이 도 5의 비교예의 센서(10EX)에 의하면, 조작자는 복수의 돌기(18cX)를 따르도록 조작함으로써, X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고, 또, 복수의 돌기(18pY)를 따르도록 조작을 함으로써,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다. 또, 등정부의 돌기(18pT)는 다른 돌기(18pX 및 18pY)보다도 크게 되어 촉감에 의해 구별 가능한 것으로, X축방향과 Y축방향의 교차점도 용이하게 감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비교예의 센서(10EX)와 같이,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촉감으로 검지할 수 있는 돌기(18pX, 18pY, 18pT)를 마련하는 방법의 경우,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따라서 조작할 때에, 손가락이, 그들 돌기(18pX, 18pY, 18pT)에 올라앉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과 조작면의 접촉면적이 작아져, 손가락에 의한 지시조작의 검출출력이 중단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안정되어 손가락에 의한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검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센서(10)의 경우에는,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이 아니고, 평면으로 감득되는 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서는 손가락의 접촉면적이 많아져, 손가락에 의한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감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돔형 형상부(18)와 같은 입체적 형상의 표면조작부를 가지는 센서에서도,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또는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 따른 조작을 함으로써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지만, 표면조작부가 입체적이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손가락, 손바닥 등이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 이외의 부분에 접촉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돔형 형상부(18)의 경우에는, 손가락에 의한 조작입력 시에는, 손가락의 X-Y좌표 평면에서의 이동과, X-Y좌표 평면에 직교하는 높이방향(Z축방향)으로의 미묘한 이동도 수반하므로, 손이나 손가락을 센서(10)에 대해서 띄운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또는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 따른 지시조작을 정확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지시조작입력을 하는 손가락(일반적으로는 집게 손가락)에 대해서 미묘한 힘 가감을 조정하면서 지시조작을 하는 기준점으로서,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에 엄지나 중지나 약지 혹은 손바닥(예를 들면 무지구(thenar) 부분)을 두고 조작을 하도록 하는 것이 많다.
그와 같은 경우, 센서(10)의 제1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4, 15)은 직사각형 영역을 지시체의 검출영역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집게 손가락에 의한 지시조작의 기준으로 하는 것만으로, 본래는, 지시조작의 의지에 관계가 없는 엄지나 중지나 약지 혹은 손바닥도, 센서(10)는 지시체로서 검출해 버리게 된다.
그렇지만, 상술의 제1 실시형태의 센서(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돔형 형상부(18)로 형성되는 표면조작부의 주변 영역에서는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에 의해, 지시체를 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돔형 형상부(18)로 형성되는 표면조작부의 주변 영역에, 지시조작을 상정하지 않는 엄지나 약지를 두고 접촉시키면서, 집게 손가락으로 돔형 형상부(18)의 표면조작부를 조작했다고 해도, 집게 손가락에 의한 지시체 조작만이 검출대상이 되며, 당해 집게 손가락에 의한 돔형 형상부(18)의 표면조작부에서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지시조작을 정확하고, 또한, 양호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돔형 형상부(18)의 주위에 안심하고 엄지나 손바닥을 두고,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X축방향 가이드부(18bX), Y축방향 가이드부(18bY)를 따라서, 확실하고 또한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작검출회로(20)의 출력회로(25)는, 상술의 설명에서는, 지시체의 지시위치를, 센서(10)의 출력좌표공간의 X좌표값과 Y좌표값으로 이루어지는 2차원 좌표값으로서 출력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출력회로(25)에 돔형 형상부(18)의 영역의 X좌표값, Y좌표값의 조(組)에 대응하여, 돔형 형상부(18)의 입체 형상에 따라 가상적인 Z좌표값을 준비하여, 그 3차원 좌표값(X, Y, Z)을, 지시체의 검출 위치의 좌표값으로서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센서(10)에서의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을 지시체의 검출을 하지 않는 불감대로 하는 구성으로서는, 상술한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를 마련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센서(10)에서의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을 지시체의 검출을 하지 않는 불감대로 하는 구성의 다른 몇 가지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의 (A)의 예에서는,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는 이용하지 않고, 보호시트(16)의 두께를 돔형 형상부(18)의 부분에서는 두께 d1으로 함과 아울러,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 부분(16s)에서는 두께 d2(d2>d1)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표면과 보호시트(16)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두께 d2가 되어, 돔형 형상부(18)의 부분보다 두꺼워지며,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에서는 센서와 지시체와의 거리가 크게 되면 지시체의 검출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영역 부분(16s)은 센서(10)가 지시체를 검출하지 않는 불감대가 된다.
다음으로, 도 6의 (B)의 예에서는, 보호시트(16)는 돔형 형상부(18)의 부분과 주변 영역(16s)에서, 그 두께는 d1로 일정하게 되지만, 주변 영역(16s)에서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보호시트(16)와의 사이에 소정의 높이의 스페이서(31)를 개재시켜,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표면과 보호시트(16)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두께 d2가 되도록 한다. 이 예의 경우, 스페이서(31)를 개입시킴으로써,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보호시트(16)와의 사이에는, 두께(d2-d1)의 공기층이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표면과 보호시트(16)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두께 d2가 되고, 상기 영역 부분(16s)은 센서(10)가 지시체를 검출하지 않는 불감대가 된다.
또, 도 6의 (C)의 예에서는, 보호시트(16)는 돔형 형상부(18)의 부분과 주변 영역(16s)에서, 그 두께는 d1로 일정하게 되지만, 주변 영역(16s)에서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보호시트(16)와의 사이에 소정의 높이의 유전체층(32)을 끼워 삽입시켜,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표면과 보호시트(16)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두께 d2가 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표면과 보호시트(16)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두께 d2가 되고, 상기 영역 부분(16s)은 센서(10)가 지시체를 검출하지 않는 불감대가 된다.
또한, 도 6의 (D)의 예에서는, 보호시트(16)의,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16s)에서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보호시트(16)와의 사이에 금속층 등의 도전체층(33)을 끼워 삽입하여 마련한다. 단, 이 도전체층(33)과,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표면의 제1 전극(12)은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전체층(33)은, 도시와 같이,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16s)에서는, 접지된 도전체층(33)의 존재에 의해, 지시체는 검출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영역 부분(16s)은 센서(10)가 지시체를 검출하지 않는 불감대가 된다.
센서(10)에서의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을, 지시체의 검출을 하지 않는 불감대로 하는 다른 구성예는 이상 설명한 도 6의 (A) ~ (D)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센서(10)에서의 돔형 형상부(18)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좌표영역을 기억해 두고, 센서(10)가 지시체를 검출했을 때에, 그 검출한 좌표위치가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좌표영역 내이면, 그 지시체의 검출좌표를 무시하거나, 혹은 무효로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돔형 형상부(18)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조작부의 제2 입력부(18b)의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는 각각 폭 W의 부분에서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곡률 ρ가 제로로 되어, 손가락 등의 지시체와의 접촉면적이 커지는 띠 모양의 평면으로 되었다.
그러나, 제2 입력부(18b)의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서, 손가락 등의 지시체와의 접촉면적이 커지는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의 각각은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목면이 되는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오목면의 곡면 형상은 사람의 손가락의 끝마디 볼록부와의 접촉면적이 평면보다도 커지는 형상으로 된다.
이 도 7의 예의 경우에는,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는 오목면 형상이므로, 돔형 형상부(18)에서 당해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다. 즉, 상술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센서(10)에서는 돔형 형상부(18)의 제1 입력부(18a)와,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부(18b)는 지시체의 검출감도는 동일하게 했다.
이것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센서(10A)는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이 입력조작으로서 중요한 것을 고려하여, 지시체의 검출감도를 제1 입력부(18a)보다도 제2 입력부(18b)의 쪽이 크게 되도록 한다.
도 8에 이 제2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서의 센서(10A)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센서(10A)를 지시체에 의해서 조작하는 면 측에서 본 도면, 도 8의 (B)는 도 8의 (A)에서의 C-C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의 센서(10A)에서, 제1 실시형태의 센서(10)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제2 실시형태의 센서(10A)에서도 제1 실시형태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로 구성을 구비하고, 센서(10A)에 대해서 조작검출회로(20)가 센서(10)와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서의 센서(10A)의 돔형 형상부(18)에서는, 제1 입력부(18a)의 영역 부분에만 지시체에 대한 감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유전체 시트(19)를 피착 형성하도록 한다. 도 8의 (A)에서 사선을 부여하여 나타낸 부분이 유전체 시트(19)의 부분이다. 즉, 도 8의 (B)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돔형 형상부(18)에서, 제2 입력부(18b)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유전체 시트(19)는 피착되지 않고, 제2 입력부(18b)에서는 보호시트(16)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돔형 형상부(18)에서는 제1 입력부(18a)상에 유전체 시트(19)가 피착되므로, 제1 입력부(18a)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가 제2 입력부(18b)를 구성하는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보다도 낮게 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가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를 따르는 것에 의한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센서(10A)는 정확하고 확실하게 검출한다.
이 경우에, 유전체 시트(19)를 구성하는 유전체 재료는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에 대해서, 어느 정도 저하시키는가 하는 목적에 따른 유전율의 재료가 선정되어서 이용된다.
이 센서(10A)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다음과 같이 하여 성형되어 작성된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시트(16)를 제2 시트 모양 기판(15)의 위에 접착할 때까지의 공정은 제2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보호시트(16)상에 당해 보호시트(16)상의 돔형 형상부(18)가 형성되는 원형 영역에 대응하는 원형 형상 시트로서, 제2 입력부(18b)를 구성하는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 대응하는 영역 부분이 잘라내진 유전체 시트(19)를 피착해 둔다.
그리고, 그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돔형 형상부(18)가 형성되는 원형 영역이 관통구멍(17a)으로 이루어진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를 상기 관통구멍(17a) 내에 유전체 시트(19)를 포함하는 원형 영역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보호시트(16)상에 피착 형성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하여 접합한 5층의 시트 부재의 직사각형 영역(14a, 15a)에서,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의 관통구멍(17a)에 대응하는 원형 영역의 제1 시트 모양 기판(14), 제2 시트 모양 기판(15), 보호시트(16) 및 유전체 시트(19)의 4층 부분을, 상술한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적인 돔형 형상부(18)로 하도록 진공 성형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센서(10A)의 제1 입력부(18a)의 지시체의 검출감도가 제2 입력부(18b)의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보다도 낮기 때문에, 조작자가 X축방향 가이드부(18bX) 및 Y축방향 가이드부(18bY)에서의 조작을 거칠게 행해도, 센서(10A)는 거의 정확하고 확실하게 조작자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시트(19)의 형성방법은 상술의 설명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유전체 재료를 내뿜거나 도포하거나 하여, 유전체 시트(19)의 구성 부분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상술의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는 표면조작부와 센서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였다. 또, 표면조작부의 곡면 형상은 돔형으로 볼록한 형상이었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3 실시형태는 표면조작부와 센서가 다른 부품임과 아울러, 표면조작부의 곡면 형상이 오목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도 9에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일례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이 제3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센서(10B)를 지시체에 의해서 조작하는 면 측에서 본 도면, 도 9의 (B)는 도 9의 (A)에서의 D-D단면도이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3 실시형태의 센서(10B)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센서(10)의 제1 시트 모양 기판(14)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과, 불감대 형성용 시트(17)가, 상술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의 관통구멍(17a)이 제1 시트 모양 기판(14)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5)의 직사각형 영역(14a 및 15a)의 중심 위치가 되도록 하여 겹쳐져서 접합되어 있다. 단, 이 도 9의 예의 센서(10B)는 보호시트(16)는 불필요하게 되어,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 제3 실시형태에서도 보호시트(16)를 제1 시트 모양 기판(14)의 위에 접착해 마련하도록 해도 물론 된다.
이 제3 실시형태의 센서(10B)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는 달리, 입체 성형은 행해지지 않으며,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인 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제3 실시형태의 센서(10B)에서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5)의 직사각형 영역(14a 및 15a)상의 불감대 형성용 시트(17)의 관통구멍(17a)에 합치(合致)하는 원형 영역 위에, 도 9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면(40a)을 가지는 얇고 얕은 접시 모양의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표면조작부재(40)가, 예를 들면 접착재에 의해 접합되어서 마련된다. 이 경우, 표면조작부재(40)는 오목면(40a)과는 반대 측의 면의 저부가 제1 시트 모양 기판(14)상에 접착재에 의해 접착되어 접합된다. 즉,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조작부재(40)는 표면조작부를 구성함으로써, 센서(10B)와는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는 제1 실시형태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로 구성을 구비하고, 센서(10B)에 대해서 조작검출회로(20)가 센서(10)와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조작부재(40)의 오목면(40a)에는 폭 W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X축방향 가이드부(41X)가 X축방향을 따라서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폭 W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Y축방향 가이드부(41Y)가 Y축방향을 따라서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면(40a)에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입력부(44)의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의 오목부의 곡면 형상은, 상술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손가락이 당해 부분에 접촉했을 때에, 그 접촉면적이 오목면(40a)의 다른 영역을 따랐을 때보다도 커지는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X축방향 가이드부(41X)와, Y축방향 가이드부(41Y)는 표면조작부재(40)에서의 제2 입력부(44)를 형성한다. 그리고, 표면조작부재(40)의 오목면(40a) 가운데, 상술한 +표시 형상의 오목부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제1 입력부(43)가 된다.
따라서, 센서(10B)에서는, 오목면(40a)에 대응하는 원형 영역 가운데, 상술한 +표시 형상의 오목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의 지시체에 의한 지시조작을 제1 입력부(43)에서의 지시조작으로서 검출한다. 이 제1 입력부(43)의 오목면(40a)을 원호 모양에 따르는 지시조작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지시 등으로 하여 검출된다.
또, 센서(10B)에서는, 오목면(40a)에 대응하는 원형 영역 가운데, 상술한 +표시 형상의 오목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지시체에 의한 지시조작을 제2 입력부(44)에서의 지시조작으로서 검출한다. 이 제2 입력부(44)에서의 지시조작이 직선방향 지시조작인 것은 상술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는 표면조작부재(40)의 오목면(40a)에 접촉해 따르는 것에 의해,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로 구성되는 제2 입력부(44)를 감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는 손가락과의 접촉면적이 오목면(40a)의 제1 입력부(43)를 따랐을 때보다도 커지는 곡면의 오목부로 되어 있으므로, 센서(10B)는 감도 좋게 확실히,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검출한다.
또, 이 제3 실시형태의 경우,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는 오목면(40a)에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져 있고, 오목면(40a)의 제1 입력부(43)의 조작면보다도, 보다 센서(10B)의 제1 시트 모양 기판(14)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5)과의 거리가 짧아진다. 이 때문에, 센서(10B)는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에 의해 구성되는 제2 입력부(44)로의 지시체 조작을 오목면(40a)의 제1 입력부(43)에서의 지시체 조작보다도 높은 검출감도로 검출한다. 따라서, 조작자가 제2 입력부(44)로서의 X축방향 가이드부(41X) 또는 Y축방향 가이드부(41Y)에 따른 거친 지시조작을 하여도, 센서(10B)는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확실하게 검출하게 된다.
또,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면조작부재(40)의 주위에는 불감대 형성용 시트(17)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조작자가 X축방향 가이드부(41X) 또는 Y축방향 가이드부(41Y)에 따른 조작을 할 때에, 표면조작부재(40)의 주위에 접촉해 버려도, 그것이 지시체로서 검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표면조작부재(40)의 주위에 안심하고 엄지나 손바닥을 두고, 표면조작부재(40) 내에서 지시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직선방향 지시조작 등의 지시조작을 확실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센서(10B)에서, 원형의 표면조작부재(40) 이외의 부분을 불감대로 하기 위해서, 관통구멍(17a)을 구비하는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를 제1 시트 모양 기판(14)상에 접합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 제3 실시형태의 센서(10B)가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조작부재(40)의 원형의 가장자리와 동일한 높이 혹은 그 이상이 되도록 케이스의 일부인 판부(45)에 의해 표면조작부재(40)가 둘러싸이는 상태로 이루어져 케이스 내에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이 케이스의 일부인 판부(45)의 존재에 의해, 표면조작부재(40)의 외측의 케이스에 조작자가 접촉해도 센서(10B)가 그 조작을 검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불감대 형성 시트(17)는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 상술의 제2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볼록형의 돔형 형상부(18)의 제2 입력부(18b)를 제외한 제1 입력부(18a)의 부분을 유전체 시트로 덮도록 했지만, 이 제3 실시형태에서도 오목면(40a)의 제1 입력부(43)의 영역 부분만을 다시 유전체 시트로 덮도록 형성하여, 제2 입력부(44)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보다도 제1 입력부(43)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를 저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 제4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제3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4 실시형태는 오목면(40a)에 형성된 제2 입력부(44)의 X축방향 가이드부(41X) 또는 Y축방향 가이드부(41Y)를, 화면을 보면서 이른바 블라인드·터치에 의한 지시조작을 하는 경우에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예이다.
도 10에 이 제4 실시형태의 센서부(10B')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즉,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X축방향 가이드부(41X) 내에는 X축방향을 따라서 직선 모양의 가는 돌조(突條)(42X1 및 42X2)가 형성됨과 아울러,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Y축방향 가이드부(41Y) 내에는 Y축방향을 따라서 직선 모양의 가는 돌조(42Y1 및 42Y2)가 형성된다. 이들 돌조(42X1, 42X2, 42Y1 및 42Y2)의 높이는, 이 예에서는, 도 10의 (A)에서의 E-E단면도인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면(40a)의 다른 부분보다는 높게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들 돌조(42X1, 42X2, 42Y1 및 42Y2)는 오목면(40a)의 다른 부분보다도 약간 높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돌조(42X1, 42X2)를 구비하는 X축방향 가이드부(41X)와, 돌조(42Y1, 42Y2)를 구비하는 Y축방향 가이드부(41Y)는 표면조작부재(40)에서의 제2 입력부(44)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는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에 형성되어 있는 돌조(42X1, 42X2) 및 돌조(42Y1, 42Y2)를 단서로 하여 각각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는 이 돌조(42X1, 42X2) 또는 돌조(42Y1, 42Y2)를 따르도록 조작함으로써,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돌조(42X1, 42X2) 및 돌조(42Y1, 42Y2)는 오목면(40a)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의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록한 모양의 돔형 형상부(18)의 외표면의 경우와 달리, 손가락으로 조작했을 때에, 돌조(42X1, 42X2) 및 돌조(42Y1, 42Y2)의 주위의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 모두 손가락이 용이하게 접촉하게 되어, 손가락의 접촉면적은 커진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비교예의 센서(10EX)의 경우와 같이, 볼록한 모양의 면의 돔형 형상부(18)의 외표면에 돌기부를 형성했을 경우와 같이, 검출출력이 중단되거나 하는 것이 경감된다.
또한, 상술의 제4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2 입력부(44)의 폭 W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에 X축방향에 따른 돌기부 및 Y축방향에 따른 돌기부(42X1, 42X2 및 42Y1, 42Y2)를 마련하도록 했지만,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를 마련하지 않고, X축방향에 따른 돌조(42X1, 42X2) 및 Y축방향에 따른 돌조(42Y1, 42Y2)만을, 오목면(40a)에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용 가이드로서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상술한 제1 ~ 제4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로 이용한 센서(10, 10A 및 10B, 10B')에서는, 그 출력좌표공간의 서로 직교하는 X축방향 및 Y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12) 및 복수의 제2 전극(13)을 형성함과 아울러, 리드선 영역(14b) 및 리드선 영역(15b)을 복수의 제1 전극(12) 및 복수의 제2 전극(13)의 연장방향인 서로 직교하는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형성하도록 했다.
이 때문에, 도 2,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전체의 형상으로서는 돔형 형상부(18)나 오목면(40a)을 가지는 표면조작부재(40)로 이루어지는 입체 형상의 표면조작부의 X축방향의 한쪽 측과, Y축방향의 한쪽 측에 리드선 영역(14b) 및 리드선 영역(15b)을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이것에 의해, 센서(10, 10A, 10B, 10B')는 리드선 영역(14b)이 X축방향의 일측에 편재(偏在)하고, 또, 리드선 영역(15b)이 Y축방향의 일측에 편재하는 형상으로 되어, X축방향 및 Y축방향을 각각 대칭축으로 했을 경우에, 양쪽 모두에 비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버린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케이스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입체적인 형상인 표면조작부의 좌우 영역 또는 상하의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동일한 크기인 것이 디자인을 고려했을 경우에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 제4 실시형태의 센서(10, 10A, 10B, 10B')의 경우,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양방향 모두에 비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양방향 모두, 대칭적인 디자인 형상으로 했을 경우, 적어도, 리드선 영역(14b) 및 리드선 영역(15b)의 분만큼, 위 또는 아래 및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쓸데없는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도 가능한 한 쓸데없는 스페이스를 삭감하여,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다.
제5 실시형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대칭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소형화를 실현한다.
도 11은 제5 실시형태에 의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표면조작부를 일체로 형성한 센서(10C)의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1은 이 제5 실시형태를 제1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적용한 것에 대응한다. 즉,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센서(10C)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표면조작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표면조작부를 돔형 형상부에 성형하는 것이다.
도 11의 (A)는 이 제5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센서(10C)를 지시체에 의해서 조작하는 면 측에서 본 도면,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서의 F-F단면도이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예의 센서(10C)는, 제1 실시형태의 센서(10)와 마찬가지로,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시트 모양 기판(14C)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C)과, 보호시트(16C)와, 불감대 형성용 시트(17C)로 이루어지는 4층 구조를 가진다. 이들 제1 시트 모양 기판(14C)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C)과, 보호시트(16C) 및 불감대 형성용 시트(17C)는 모두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제1 시트 모양 기판(14C)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5C)은, 제1 실시형태의 제1 시트 모양 기판(14)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5)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영역(14Ca 및 15Ca)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시트 모양 기판(14C)의 직사각형 영역(14Ca)에는 제1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 전극(12C)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 제2 시트 모양 기판(15C)의 직사각형 영역(15Ca)에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2 전극(13C)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직사각형 영역(14Ca)과 직사각형 영역(15Ca)이 서로 겹치도록 제1 시트 모양 기판(14C)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C)이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직사각형 영역(14Ca)과 직사각형 영역(15Ca)이 서로 겹치는 직사각형 영역에는 전극군(11C)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5 실시형태의 센서(10C)에서도 제1 전극(12C)이 형성되는 제1 방향은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또, 제2 전극(13C)이 형성되는 방향은 Y축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단, 이 제5 실시형태의 센서(10C)는 그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이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은 45도 기울도록 배치된다. 즉, 센서(10C)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C)의 직사각형 영역(14Ca)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C)의 직사각형 영역(15Ca)이 겹쳐서 이루어지는 정방형의 직사각형 영역은,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정방형이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어진 마름모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 제5 실시형태의 센서(10C)에서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C)의 리드선 영역(14Cb)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C)의 리드선 영역(15Cb)은 직사각형 영역(14Ca, 15Ca)로부터, 모두,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의 한쪽, 도 11의 예에서는, 세로방향의 동일한 측으로 도출된다. 즉, 리드선 영역(14Cb)과, 리드선 영역(15Cb)은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이 겹쳐서 이루어지는 정방형의 직사각형 영역이 인접하는 2변으로부터, 당해 2변의 각각에 대해서 45도 기운 상태로 세로방향의 동일한 측으로 도출된 다리부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리드선 영역(14Cb) 및 리드선 영역(15Cb)에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제1 전극(12C) 및 복수 개의 제2 전극(13C)의 각각을 외부의 회로부와 접속하기 위한 리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선단부에 외부 접속부(14Cc 및 15Cc)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시트(16C)의 형상도,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시트 모양 기판(14C) 및 제2 시트 모양 기판(15C)과 마찬가지로, 마름모형 형상의 직사각형 영역으로부터 2개의 다리부를 도출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불감대 형성용 시트(17)는 동일한 형상으로서, 후술하는 돔형 형상부(18C)를 형성하는 원형 영역에 대응하는 관통구멍(17Ca)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제1 시트 모양 기판(14C), 제2 시트 모양 기판(15C), 보호시트(16C) 및 불감대 형성용 시트(17C)는, 상술한 도 3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하여, 서로의 형상이 겹치도록 하여 접합된다. 단, 리드선 영역(14Cb)의 선단부의 외부 접속부(14Cc) 및 리드선 영역(15Cb)의 선단부의 외부 접속부(15Cc)에서는 도체 패턴이 접속을 위해서 노출하도록 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불감대 형성용 시트(17C)의 관통구멍(17Ca)에 대응하는 원형 영역을, 돔형 형상부(18C)를 형성하도록 진공 성형한다.
이 경우에, 이 진공 성형에 의해, 동시에, 돔형 형상부(18C)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표면조작부가 형성된다. 즉, 돔형 형상에 따른 곡면을 구비하는 제1 입력부(18Ca)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2 입력부(18Cb)가 형성된다. 단,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제2 입력부(18Cb)는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와,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로 이루어진다.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는 폭 W로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운,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에 직선적으로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는 폭 W로 Y축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운 조작자의 조작의 세로방향에 직선적으로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는 제1 입력부(18Ca)의 곡면과는 촉감에 의해 조작자가 구별 가능하게 되도록, 그 직선적인 띠 모양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W의 부분은 곡률 ρ가 제로(곡선은 아니고 직선)로 되어 있다(도 11의 (B) 참조). 마찬가지로,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는 그 직선적인 띠 모양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W의 부분은 곡률 ρ가 제로로 되어 있다(도 11의 (B) 참조). 따라서,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와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가 교차하는 돔형 형상부(18C)의 등정부(18CbT)는 한 변의 길이가 W의 정방형 평면으로 되어 있다(도 11의 (B) 참조).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즉,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 및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의 직선방향은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어져 있다. 그래서, 이 예에서는, 센서(10C)가 접속되는 조작검출회로(20C)에서, 센서(10C)의 전극군(11)에서 검출한 지시체의 위치의 X, Y좌표를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좌표축으로 하는 좌표공간의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도 12는 이 제5 실시형태에서의 조작검출회로(20C)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 도 12에서, 도 1에 나타낸 조작검출회로(20)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5 실시형태에서의 조작검출회로(20C)는 수신신호 처리회로(24)와 출력회로(25)와의 사이에 좌표변환회로(27)를 구비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조작검출회로(20)와 동일하다.
좌표변환회로(27)는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위치좌표를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 및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의 직선방향인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이 좌표변환회로(27)는, 예를 들면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위치좌표와,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고 있는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좌표공간의 위치좌표와의 대응 테이블(좌표변환 테이블)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좌표변환 테이블은, 예를 들면 ROM 등의 메모리에 기억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좌표변환회로(27)는 수신신호 처리회로(24)로부터의 지시체의 지시조작위치의 X, Y위치좌표를 참조 정보로서 좌표변환 테이블에서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좌표공간의 위치좌표를 읽어내어 출력한다. 출력회로(25)는 이 좌표변환회로(27)로부터의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좌표공간에서의 좌표출력을 외부 회로로 출력한다.
또한, 좌표변환회로(27)는 상술과 같은 좌표변환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신호 처리회로(24)로부터의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 Y좌표값으로부터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고 있는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좌표공간의 좌표값을 함수 연산하여 구하는 회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좌표변환회로(27)는 좌표변환 테이블에 돔형 형상부(18C)의 영역의 X좌표값, Y좌표값의 조에 대응하여, 돔형 형상부(18C)의 입체 형상에 따라 가상적인 높이방향의 좌표축의 좌표값을 준비하여, 그 좌표값(가로방향 좌표값, 세로방향 좌표값, 높이방향 좌표값)을 지시체의 검출 위치좌표로서 조작검출회로(20C)로부터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는 당해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주변기기로서 사용하는 상대 장치에서, 출력회로(25)의 출력을 받아, 당해 상대 장치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른바 드라이버로 불리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이용되지만, 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좌표변환회로(27)의 기능을 조립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센서(10C)에 대한 조작검출회로를, 도 12의 예와 같은 조작검출회로(20C)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나타낸 조작검출회로(20)인 채로 할 수 있다.
반대로, 좌표변환회로(27)를 구비하는 조작검출회로(20C)를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탑재하도록 하면, 상대 장치에 조립하는 드라이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통상의,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X축방향 및 Y축방향과 일치시킨 출력좌표공간의 출력좌표값을 취급하는 범용인 것으로 해도 된다.
상술의 제5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이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고 있는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5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의하면, 조작자는 제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제1 입력부(18Ca)와 제2 입력부(18Cb)를 구별하면서,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에 따른 조작을 함으로써, 표시화면의 수평방향에 대응하는 가로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으며, 또,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에 따른 조작을 함으로써, 표시화면의 수직방향에 대응하는 세로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조작을 할 수 있다. 또, 조작자는, 제1 입력부(18Ca)에서는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도록 따르는 조작을 함으로써 회전지시조작을 할 수 있다.
그 위에,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을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이는 것으로, 센서(10C)의 리드선 영역(14Cb 및 15 Cb)을, 이 예에서는 조작의 세로방향의 동일한 측에 형성할 수 있도록 했다.
즉, 리드선 영역(14Cb)과 리드선 영역(15Cb)은, 도 11의 (A)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져 있는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의 조작의 가로방향에 인접하는 2변으로부터 당해 2변에 대해서 45도 기운 상태에서 세로방향의 동일한 측에 다리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당해 리드선 영역(14Cb)과 리드선 영역(15Cb)의 존재 위치는 서로 겹쳐져 있는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의, 조작의 가로방향의 대각선의 길이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센서(10C)의,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의 크기는 서로 겹쳐져 있는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의, 상기 가로방향의 대각선의 길이분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센서(10C)의 적어도 상기 가로방향의 크기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센서(10C)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져 있는 마름모형의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의 상기 가로방향에 인접하는 2변으로부터 도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리드선 영역(14Cb 및 15 Cb)을 포함하여, 상기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의, 조작의 세로방향의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의 센서(10C)의 소형이고, 또한, 선대칭(좌우 대칭)의 형상인 특징을 살려, 이 센서(10C)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형상도 소형이고, 또한, 선대칭의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소형이고, 디자인성이 뛰어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제5 실시형태에서의, 센서(10C)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을,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이는 것으로 얻어지는 효과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같은 표면조작부를 가지지 않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서도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소형이고, 또한, 선대칭의 형상이라는 제5 실시형태의 센서(10C)의 특징을 살려, 예를 들면 타블렛 장치나 PC용의 독립의 주변장치로서 구성한 경우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도 13은 표면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된 도 11에 나타낸 센서(10C)를 프린트 기판(50)상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센서(10C)를 탑재한 프린트 기판을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한 제5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의 (A)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를 프린트 기판(50)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14의 (B)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의 저면도, 도 14의 (C)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의 상면도, 도 14의 (D)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의 우측면도이다. 좌우 대칭이므로, 좌측면도는 도 14의 (D)의 우측면도와 대칭으로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50)은 센서(10C)의 마름모형의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을, 그 내측의 영역에 넣는 것이 가능한 크기의 원형 영역(50a)과, 센서(10C)의 리드선 영역(14Cb 및 15 Cb)을 재치(載置)함과 아울러, 필요한 회로 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직사각형 영역(50b)으로 이루어진다.
프린트 기판(50)의 원형 영역(50a)에는 센서(10C)의 마름모형의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이 재치됨과 아울러, 이 마름모형의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의 주위에, 지시체에 의한 지시조작에 부수(附隨)하는 여러 가지의 설정 기능을 할당하여 가능한 복수 개의 누름버튼 스위치(54a ~ 54h)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50)의 직사각형 영역(50b)에서, 센서(10C)의 리드선 영역(14Cb)의 선단의 외부 접속부(14Cc)가 회로 부품(51)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부(52)에 접속됨과 아울러, 센서(10C)의 리드선 영역(15Cb)의 선단의 외부 접속부(15Cc)가 회로 부품(55)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부(5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프린트 기판(50)의 직사각형 영역(50b)에는 그 외의 회로 부품이 마련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프린트 기판(50)의 이면 측에도 회로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센서(10C), 그 외가 탑재된 프린트 기판(50)은, 도 14에 나타내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의 케이스(61) 내에 수납된다. 케이스(61)는, 도 14의 (B), (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하프(61a)와 하부 하프(61b)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하프(61a) 및 하부 하프(61b)는 그 내부에 프린트 기판(50)이 수납되도록, 프린트 기판(50)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또한, 프린트 기판(50)보다도 큰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50)은 하부 하프(61b) 내에 수납되고, 그리고, 상부 하프(61a)가 하부 하프(61b)에 맞물림 됨으로써, 케이스(61) 내에 프린트 기판(50)이 수납된다.
상부 하프(61a)는 센서(10C)의 돔형 형상부(18C)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관통구멍(61c)을 구비한다. 상부 하프(61a)를 하부 하프(61b)에 맞물림 했을 때에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 및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부(18Cb)의 전체가 외부로 노출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돔형 형상부(18C)가 관통구멍(61c)으로부터 노출 및 돌출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부 하프(61a)의 관통구멍(61c)의 주위는 링 모양 경사부(63)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부 하프(61a)의 링 모양 경사부(63)에는 프린트 기판(50)의 원형 영역(50a)에서 센서(10C)의 직사각형 영역(14Ca, 15Ca)의 주위에 배치된 누름버튼 스위치(54a ~ 54h)를 눌러내림 조작하기 위한 복수 개의 조작자(64a ~ 64h)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 개의 조작자(64a ~ 64h)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54a ~ 54h)의 눌러내림 조작에 대해서는, 지시체에 의한 지시조작에 부수 또는 관련하는 여러 가지의 설정 기능이 이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가 접속되는 타블렛 장치나 PC에서 할당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는 케이블(65)에 의해, 타블렛 장치나 PC와 접속된다. 또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와 타블렛 장치나 PC를 무선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5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에서는, 조작자는 케이스(61)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돔형 형상부(18C)를 손가락으로 조작함으로써, 센서(10C)에서의 지시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 및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를 가이드로서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직선방향 지시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을 대칭축으로 한 선대칭의 형상이 되고, 소형으로 됨과 아울러, 디자인적으로도 뛰어난 것이 된다. 그리고, 제5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는 센서(10C)를 마름모형 형상으로 배치한 것에 의해, 소형에도 상관없이,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의 돔형 형상부(18C)의 주위에 센서(10C)에서의 지시조작에 관련하는 복수 개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도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5 실시형태에서는 세로방향을 대칭축으로 하도록 센서(10C) 및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가로방향을 대칭축으로 하도록 센서(10C) 및 지시체 조작검출장치(6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술의 센서(10C)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했지만, 제2 실시형태를 적용하여, 제1 입력부(18Ca)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를 제2 입력부(18Cb)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보다도 낮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2 입력부(18Cb)를 구성하는 가로방향 가이드부(18CbH) 및 세로방향 가이드부(18CbV)의, 각각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면형상을 평면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목면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센서(10C)에는 돔형 형상부(18C)의 주위의 영역을, 지시체를 검출하지 않는 불감대로 하기 위해서, 불감대 형성용 시트(17C)를 피착하도록 했지만, 케이스(61)의 경사부(63)에 의해, 센서(10C)의 돔형 형상부(18C)의 주위의 영역이 덮이므로, 불감대 형성용 시트(17C)는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술의 제5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시트 모양 기판(14C)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5C)은 직사각형 영역으로부터 세로방향의 동일한 방향의 2개의 다리부가 연장되는 형상으로 했지만, 제1 시트 모양 기판(14C)은 리드선 영역(14Cb)이 형성되는 1개의 다리부, 또, 제2 시트 모양 기판(15C)은 리드선 영역(15Cb)이 형성되는 1개의 다리부를 각각 구비하는 형상이라도 된다.
[제6 실시형태]
제6 실시형태도,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소형화를 기도한 실시형태이다. 그리고, 이 제6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센서와 표면조작부를 별체로 구성했을 경우의 예이다.
도 15 및 도 16은 이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는 이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프린트 기판(70)을 그 기판면 측에서 본 도면, 도 15의 (B)는 프린트 기판(70)을 그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 도 16은 이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의 외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의 (A)는 그 케이스(81) 내에 수용된 프린트 기판(70)의 기판면 측에서 본 정면도, 도 16의 (B)는 그 저면도, 도 16의 (C)는 그 측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70)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 프린트 기판(70)에는 센서(10D), 표면조작부재(40D), 누름버튼 스위치(71a ~ 71d), 발광소자 예를 들면 LED(72a ~ 72d), 누름버튼 스위치(73a ~ 73f)가 마련됨과 아울러, 도시는 생략한 그 외의 회로 부품이, 예를 들면 표면 및 이면에 마련된다.
센서(10D)는, 상술한 제4 실시형태의 센서(10B')에서, 변형예로서 설명한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이다. 즉, 이 예의 센서(10D)는 오목면(40Da)을 가지는 얇고 얕은 접시 모양의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표면조작부재(40D)를 구비함과 아울러, 오목면(40Da)에는 X축방향 가이드부(41X) 및 Y축방향 가이드부(41Y)를 마련하지 않고, 조작의 가로방향에 따른 돌조(42DH1, 42DH2) 및 조작의 세로방향에 따른 돌조(42DV1, 42DV2)만을, 오목면(40Da)에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직선방향 지시용 가이드로서 마련하도록 했을 경우에 상당한다.
센서(10D)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12D)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13D)이 격자 모양으로 배열된 전극군(11D)을 구비하고, 이 예에서는, 프린트 기판(70)에 전극(12D 및 13D)이 직접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6 실시형태에서는, 센서(10D)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이,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자의 조작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프린트 기판(7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대응)에 대해서, 45도 기운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 15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제1 전극(12D)과 제2 전극(13D)은 모두 프린트 기판(70)의 표면에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상은, 제1 전극(12D)과 제2 전극(13D)의 한쪽은 프린트 기판(70)의 표면에, 다른 쪽은 프린트 기판(70)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전극(12D)과 제2 전극(13D)이 다른 기판에 형성되어, 그들의 기판이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물론 된다.
이 경우에, 센서(10D)는 제1 전극(12D) 및 제2 전극(13D)이 프린트 기판(7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운 상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2D)에 접속되는 리드선의 영역 및 제2 전극(13D)에 접속되는 리드선의 영역은 프린트 기판(70)의 가로방향에서 전극군(11D)이 형성되는 직사각형 영역의 대각선분의 폭 내에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센서(10D)의 전극군(11D)이 형성되는 직사각형 영역은,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70)의 가로방향의 중앙부에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는, 센서(10D)의 직사각형 영역은 프린트 기판(70)의 세로방향에서도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센서(10D)에 접속되는 조작검출회로는, 도 12에 나타낸 좌표변환회로(27)를 구비하는 조작검출회로(20C)와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조작검출회로는, 예를 들면, 그 일부 또는 전부가 IC화된 회로 부품으로서 프린트 기판(70)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제6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10D)의 직사각형 영역의 위에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오목면(40Da)을 구비하는 원형의 얕은 접시 모양 형상의 표면조작부재(40D)가 배치된다. 이 표면조작부재(40D)의 오목면(40Da)에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42DH1, 42DH2)로 이루어지는 가로방향 가이드부(41DH)가, 프린트 기판(70)의 가로방향, 즉, 센서(10D)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돌조(42DV1, 42DV2)로 이루어지는 세로방향 가이드부(41DV)가, 프린트 기판(70)의 세로방향, 즉, 센서(10D)의 출력좌표공간의 Y축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표면조작부재(40D)의 오목면(40Da) 가운데, 가로방향 가이드부(41DH)와 세로방향 가이드부(41DV)에 의해, 제2 입력부가 형성되어 오목면(40Da)의 그 외의 부분에 의해, 제1 입력부가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센서(10D)의 직사각형 영역 가운데, 원형의 표면조작부재(40D)의 주위의 영역에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불감대 형성용 시트가 피착 형성되어, 그 영역에서는 지시체를 검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6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70)의 센서(10D)의 직사각형 영역의 주위의 왼쪽 기울기 위쪽, 오른쪽 기울기 위쪽, 왼쪽 기울기 아래쪽, 오른쪽 기울기 아래쪽의 4개소에는 누름버튼 스위치(71a, 71b, 71c, 71d)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각의 누름버튼 스위치(71a, 71b, 71c, 71d)에 인접하여, 그들이 온으로 되었을 때에 발광하도록 구성된 LED(72a, 72b, 72c, 72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70)의 세로방향의 센서(10D)의 위쪽에는 3개의 누름버튼 스위치(73a, 73b, 73c)가 배치되며, 센서(10D)의 아래쪽에는 3개의 누름버튼 스위치(73d, 73e, 73f)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센서(10D), 표면조작부재(40D) 및 누름버튼 스위치(71a ~ 71d, 73a ~ 73f), LED(72a ~ 72d), 그 외가 탑재된 프린트 기판(70)은, 도 16에 나타내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의 케이스(81) 내에 수납된다. 케이스(81)는, 도 16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하프(81a)와 하부 하프(81b)로 이루어진다. 상부 하프(81a) 및 하부 하프(81b)는 그 내부에 프린트 기판(70)이 수납되도록, 프린트 기판(70)과 같은 가늘고 긴 형상이며, 또한, 프린트 기판(70)보다도 큰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70)은 하부 하프(81b) 내에 수납되고, 그리고, 상부 하프(81a)가 하부 하프(81b)에 맞물림 됨으로써, 케이스(81) 내에 프린트 기판(70)이 수납된다.
상부 하프(81a)는 센서(10D)의 위에 배치되는 표면조작부재(40D)의 오목면(40Da)의 전체 또는 대부분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관통구멍(81c)을 구비한다. 상부 하프(81a)를 하부 하프(81b)에 맞물림 했을 때에는, 도 16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조작부재(40D)의 오목면(40Da)의 둘레부의 가장 높이가 높은 부분과, 케이스(81)의 상면(80a)(상부 하프(81a)의 표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하프(81a)의 관통구멍(81c)의 주위에는, 링 모양으로, 4개의 조작자(82a, 82b, 82c, 82d)가 마련된다. 이들의 조작자(82a, 82b, 82c, 82d)는 각각 45도의 각 간격분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되며, 각각, 누름버튼 스위치(71a, 71b, 71c, 71d)를 온·오프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자(82a, 82b, 82c, 82d)의 외측에는 LED(72a, 72b, 72c, 72d)의 발광광을 상면(80a)에서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감득할 수 있도록 하는 투광부(83a, 83b, 83c, 8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하프(81a)의 길이방향의 관통구멍(81c)의 위쪽에는 누름버튼 스위치(73a, 73b, 73c)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84a, 84b, 84c)가 마련됨과 아울러, 관통구멍(81c)의 아래쪽에는 누름버튼 스위치(73d, 73e, 73f)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84d, 84e, 84f)가 마련된다.
이 복수 개의 조작자(82a ~ 82d, 84a ~ 84f)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71a ~ 71d, 73a ~ 73f)의 눌러내림 조작에 대해서는, 지시체에 의한 지시조작에 부수 또는 관련하는 여러 가지의 설정 기능이 이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가 접속되는 타블렛 장치나 PC에 할당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는 타블렛 장치나 PC와는 무선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한 무선송신회로가 프린트 기판(70)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는 타블렛 장치나 PC와 케이블(65)에 의해 접속되도록 해도 물론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에서는, 조작자는 손가락으로 오목면(40Da)을 조작함으로써, 센서(10D)에서의 위치지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돌조(42DH1, 42DH2)를 가이드로서 가로방향의 직선방향 지시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돌조(42DV1, 42DV2)를 가이드로서 세로방향의 직선방향 지시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는,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방향을 대칭축으로 한 선대칭의 형상이 되며, 소형으로 됨과 아울러, 디자인적으로도 뛰어난 것이 된다. 그리고,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는 센서(10D)를 마름모형 형상으로 프린트 기판(70)에 형성한 것에 의해, 프린트 기판(70)상에서, 표면조작부재(40D)의 주위에 있어서 센서(10D)의 영역 외에, 지시조작에 관련하는 복수 개의 누름버튼 스위치나 LED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의 케이스의 가로 폭은 그들 복수 개의 누름버튼 스위치나 LED를 배치했다고 해도, 센서(10D)를 마름모형으로 배치했을 때의 당해 센서(10D)의 대각선의 길이분보다도 약간 크게 하는 것만으로 되고, 케이스(81)의 소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6 실시형태에서는 세로방향을 대칭축으로 하도록 센서(10D) 및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가로방향을 대칭축으로 하도록 센서(10D) 및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센서(10D) 위에는 표면조작부재(40D)의 주위의 영역을, 지시체를 검출하지 않는 불감대로 하기 위해서, 불감대 형성용 시트를 피착하도록 설명했지만, 케이스(81) 상부 하프(81a)에 의해, 표면조작부재(40D)의 주위의 영역이 덮이므로, 불감대 형성용 시트는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는 타블렛 장치나 PC와는 별체의 장치의 구성으로 했지만, 타블렛 장치나 PC에 조립하도록 해도 된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를 타블렛 장치에 조립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예의 타블렛 장치(90)는 전자유도 방식 혹은 정전용량 방식의 위치검출장치에 의해 지시체에 의한 지시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입력영역(91)을 구비함과 아울러, 도 17의 예는 이 조작입력영역(91)의 좌측에, 상술한 제6 실시형태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80)와 동등의 구성을 구비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부(92)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7 실시형태]
도 17의 예에서는, 타블렛 장치(90)의 조작입력영역(91)의 센서와,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부(92)의 센서는 각각 다른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지시체 조작검출장치를 조립한 타블렛 장치의 경우에는, 하나의 센서의 검출영역을 타블렛용의 조작입력영역용 영역(이하, '타블렛 입력영역'이라 함)과,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의 표면조작부용의 영역(이하, '표면조작부 영역'이라 함)으로 나누는 것으로, 단일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는 그 경우의 예이다.
도 18은 이 제7 실시형태에서의 타블렛 장치의 센서(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8의 (A)는 그 센서(100)를 표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8의 (B)는 도 18의 (A)에서의 G-G단면도이다.
이 예의 센서(100)도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이다. 그리고, 이 제7 실시형태의 센서(100)는,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시트 모양 기판(101)과, 제2 시트 모양 기판(102)과, 보호시트(103)와, 불감대 형성용 시트(104)가 적층된 4층 구조를 구비한다.
도 18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2번째의 층인 제1 시트 모양 기판(101)상에는 제1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 전극(1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최하층인 제2 시트 모양 기판(102)상에는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2 전극(1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의 예에서는, 제1 전극(11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방향은 센서(100)의 출력좌표공간의 X축방향이 되고, 제2 전극(113)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방향은 X축방향에 직교하는 Y축방향이 되며, 제1 전극(112)과 제2 전극(113)에 의해 격자 모양의 전극군(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시트 모양 기판(101)상에는 보호시트(103)가 피착되어 있다. 또한, 보호시트(103)의 위에는 불감대 형성용 시트(104)가 피착 형성되어 있다. 불감대 형성용 시트(104)는 타블렛 입력영역(121), 표면조작부 영역(122),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을 제외한 영역을 불감대로 하도록, 타블렛 입력영역(121), 표면조작부 영역(122),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 부분에서는 관통구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센서(100)의 표면조작부 영역(122)은 원형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진공 성형에 의해, 돔형 형상부(18E)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돔형 형상부(18E)에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제1 입력부(18Ea) 및 제2 입력부(18E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입력부(18Eb)는 X축방향 가이드부(18EbX)와, Y축방향 가이드부(18EbY)로 이루어진다.
스위치 입력영역(123a ~ 123d)의 각각은, 이 예에서는, 누름버튼 스위치를 각각의 영역에 배치했을 때와 같은 작용을 실현하기 위한 영역이며, 각각의 영역을 1회 탭하는 조작을 할 때마다, 스위치를 온·오프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112)은 제1 시트 모양 기판(101)의 리드선 영역(101b)을 통해서 외부 접속부(101c)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전극(113)은 제2 시트 모양 기판(102)의 리드선 영역(102b)을 통해서 외부 접속부(102c)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센서(100)가 케이스(도시는 생략) 내에 수납되어, 타블렛 장치가 형성되지만, 그 경우에, 케이스의 상부 하프의 상면에는 타블렛 입력영역(121), 표면조작부 영역(122)의 돔형 형상부(18E),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이 각각 노출되어, 조작자가 손가락 등으로 접촉시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제7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일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타블렛 입력영역과 함께, 입체적인 곡면 형상의 표면조작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조작부에서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직선방향 지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예의 센서(100)에 대한 조작검출회로는, 도 1에 나타낸 조작검출회로(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출력회로(25)에서는 검출한 지시체의 지시위치가 타블렛 입력영역(121), 표면조작부 영역(122),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의 어느 하나에 따른 출력을 한다. 이 경우에, 출력회로(25)는 소프트웨어 처리로서, 타블렛 입력영역(121), 표면조작부 영역(122),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의 어느 하나에 따른 출력을 한다. 그러나, 이 예의 타블렛 장치를 PC의 주변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PC에 인스톨되는, 당해 타블렛 장치용의 드라이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그 일부로서 출력회로(25)와 동일한 소프트웨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제7 실시형태에서는, 출력회로(25)는 센서(100)에서의 모든 X, Y좌표값 가운데, 어느 좌표값이 타블렛 입력영역(121), 표면조작부 영역(122),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의 좌표값인지, 또, 불감대 영역의 좌표값인지의 대응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대응 테이블에는 표면조작부 영역(122)의 X, Y좌표값에 대해서는, 돔형 형상부(18E)의 형상에 따른 가상적 곡면의 Z방향의 좌표값도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도 19는 제7 실시형태에서의 조작검출회로의 출력회로(25)에서의 소프트웨어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즉, 먼저, 출력회로(25)는 수신신호 처리회로(24)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센서(100)에서 지시체에 의해 지시조작이 있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101). 다음으로, 출력회로(25)는 지시체에 의해 지시된 위치의 X, Y좌표를 검출한다(스텝 S102). 그리고, 출력회로(25)는 상술한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스텝 S102에서 검출한 X, Y좌표값이 불감대 영역의 것인지 아닌지 판별하여(스텝 S103), 불감대 영역의 좌표값이면, 그 X, Y좌표값은 출력하지 않는다(스텝 S104).
또, 스텝 S103에서, 스텝 S102에서 검출한 X, Y좌표값이 불감대 영역의 것은 아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출력회로(25)는 스텝 S102에서 검출한 X, Y좌표값이 표면조작부 영역(122)의 좌표값인지 아닌지 판별한다(스텝 S105). 그리고, 출력회로(25)는 스텝 S105에서 표면조작부 영역(122)의 좌표값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대응 테이블에서 X, Y좌표값에 할당된 가상적 곡면의 Z방향의 좌표값을 읽어내고(스텝 S106), 스텝 S102에서 검출된 X, Y좌표값과 함께 출력한다(스텝 S107). 그리고, 출력회로(25)는,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려, 이 스텝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스텝 S105에서, 스텝 S102에서 검출한 X, Y좌표값이 표면조작부 영역(122)의 좌표값은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출력회로(25)는, 스텝 S102에서 검출한 X, Y좌표값은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의 어느 하나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08).
그리고, 이 스텝 S108에서,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의 어느 하나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출력회로(25)는 판별한 스위치 입력영역에 대해서, 버퍼에 기억되어 있기 직전 상태를 참조하고, 그 직전 상태가 온이면 오프, 그 직전 상태가 오프이면 온을 나타내는 스위치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스텝 S109). 그리고, 스텝 S101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 스텝 S108에서, 스텝 S102에서 검출한 X, Y좌표값이 스위치 입력영역(123a, 123b, 123c, 123d)의 어느 하나도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출력회로(25)는, 지시체에 의해 지시된 위치는 타블렛 입력영역(121)이라고 판단하고, 그 X, Y좌표값을 그대로 출력한다(스텝 S110). 그리고, 스텝 S101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상술의 제7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조작부 영역(122)에는 돔형 형상부(18E)를 센서(100)에 일체로 형성하도록 했지만, 제3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나 제6 실시형태와 같이, 센서(100)와는 별체의 오목면을 가지는 표면조작부재를 표면조작부 영역(122)에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또는 변형예]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돔형 형상부(18)나 오목면을 구비하는 표면조작부재(40) 등의 입체 형상의 표면조작부의 주위는 불감대 영역으로서 센서가 지시체를 검출하지 않는 지시체 검출금지영역으로 했다. 그러나, 이들 입체 형상의 표면조작부의 주위는 지시체 검출금지영역으로 할 필요는 없고, 요점은 X축방향 가이드부나 Y축방향 가이드부에서의 직선방향의 지시조작을 센서가 감도 좋게 검출하고, 가능한 한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당해 입체 형상의 표면조작부의 주위는 입체 형상의 표면조작부에서의 지시체의 검출감도보다도 낮은 저감도 검출영역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입력부에는 센서의 X, Y좌표공간의 X좌표축 및 Y축 좌표축과 일치하는 직선방향의 X축방향 가이드부와 Y축방향 가이드부를 형성하도록 했다. 그러나, 제2 입력부에 마련하는 직선방향 가이드부는, 반드시, 센서의 X, Y좌표공간의 X좌표축 및 Y축 좌표축과 일치시킬 필요가 없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0, 10A, 10B, 10B', 10C, 10D, 100 … 센서,
11 … 전극군, 12 … 제1 전극,
13 … 제2 전극, 14 … 제1 시트 모양 기판,
15 … 제2 시트 모양 기판, 16 … 보호시트,
17, 17C … 불감대 형성용 시트,
18, 18A, 18B, 18C, 18D, 18E … 돔형 형상부(표면조작부),
20, 20C … 조작검출회로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교차하여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되는 센서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센서에 대한 지시체에 의한 지시위치를 소정의 좌표축상의 좌표값으로 하여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검출하는 조작검출회로와,
    상기 센서에 대해서, 상기 지시체의 지시조작을 받는 측에 배치되는 표면조작부를 구비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작부는 제1 입력부와 제2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곡면을 가지며, 상기 센서의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을 검출영역으로 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센서의 상기 제1 입력부에 대응한 상기 소정의 영역으로 둘러싸여 상기 좌표축의 방향에 대해서 특정의 방향의 직선적인 특정 영역을 검출영역으로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면형상이 상기 제1 입력부의 곡면과는 다른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의 상기 곡면은 상기 지시체가 접촉하는 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상기 직선적인 특정 영역의 상기 면형상은 상기 제1 입력부의 곡면보다도 상기 지시체와의 접촉면적이 커지는 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의 상기 곡면은 상기 지시체가 접촉하는 측에서 보아 오목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상기 직선적인 특정 영역의 상기 면형상은 상기 특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곡률이 제로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상기 직선적인 특정 영역의 상기 면형상은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에는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의 직선적인 특정 영역이 상기 직선적인 특정 영역의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상기 좌표축 방향의 한쪽 및 다른 쪽에 대해서 특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표면조작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표면조작부는 상기 센서와는 별체로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2 입력부에서의 상기 센서의 지시체 검출감도보다도 낮은 검출감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에는 상기 낮은 검출감도가 되도록 하기 위한 제1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상기 소정의 영역의 외측의 영역은 상기 지시체의 검출을 하지 않는 불감대(不感帶)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상기 소정의 영역의 외측의 영역에 상기 지시체의 지시조작의 검출을 방해하는 제2 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불감대 영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센서와 상기 표면조작부와의 사이에 마련된 유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센서와 상기 표면조작부와의 사이에 마련된 도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상기 소정의 영역의 외측의 영역에서의 상기 표면조작부의 두께를 상기 소정의 영역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불감대 영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상기 직선적인 특정 영역은 상기 제1 전극이 배치되는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배치되는 제2 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상기 좌표축의 방향의 한쪽 및 다른 쪽에 대해서, 상기 제1 전극이 배치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2 전극이 배치되는 제2 방향은 45도 기울어짐과 아울러, 상기 제2 입력부의 상기 직선적인 특정 영역은 상기 좌표축의 방향의 한쪽 또는 다른 쪽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작검출회로는 상기 센서의 상기 제1 전극에 송신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정전결합하고 있는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상기 송신신호에 대응하는 수신신호를 도출하는 것이며,
    상기 센서의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 리드부와,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 리드부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작검출회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운 방향을 상기 센서의 좌표축의 방향으로서, 상기 지시체의 지시위치에 따른 좌표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KR1020130071674A 2012-06-21 2013-06-21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KR20130143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9669 2012-06-21
JP2012139669A JP6004427B2 (ja) 2012-06-21 2012-06-21 指示体操作検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527A true KR20130143527A (ko) 2013-12-31

Family

ID=4867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674A KR20130143527A (ko) 2012-06-21 2013-06-21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1415B2 (ko)
EP (1) EP2677407A3 (ko)
JP (1) JP6004427B2 (ko)
KR (1) KR20130143527A (ko)
CN (2) CN103513786B (ko)
TW (1) TWI5576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4427B2 (ja) * 2012-06-21 2016-10-05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操作検出装置
JP6464460B2 (ja) * 2014-01-28 2019-02-06 積水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センサシート含有外装品およびセンサシートユニット並びにセンサシート含有外装品の製造方法
JP6270044B2 (ja) * 2014-08-05 2018-01-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US9696860B2 (en) * 2014-09-08 2017-07-04 Blackberry Limited Capacitive touch sensor
US10324552B2 (en) 2014-11-10 2019-06-18 Wonder Future Corporation Touch panel having a curved surface input region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med of ductile wire materials
JP2018169756A (ja) * 2017-03-29 2018-11-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式操作システム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JP2018169755A (ja) * 2017-03-29 2018-11-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式操作装置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DE102017113661B4 (de) * 2017-06-21 2021-03-04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Kraftfahrzeugbedienvorrichtung
CN110945462B (zh) * 2017-07-21 2023-06-09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输入装置、输入装置控制方法以及控制程序
CN107515698B (zh) * 2017-09-11 2020-04-07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触控面板
IT201800006311A1 (it) * 2018-06-14 2019-12-14 Radiocomando a disposizione variabile
US10946612B2 (en) 2018-08-27 2021-03-16 Tactotek Oy Integrated multilayer structure for use in sensing applicat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9326221B (zh) * 2018-09-25 2021-09-2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触觉反馈显示方法
CN111951659B (zh) * 2020-08-20 2022-07-26 同炎数智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利用负压吸附模型的建筑模型展示台
JP2022072287A (ja) * 2020-10-29 2022-05-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検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9036A (en) * 1994-04-28 1996-11-26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Touch screen device and shielding bracket therefor
DE19708450A1 (de) * 1997-03-03 1998-09-17 Ericsson Telefon Ab L M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Positionsanzeigers auf einer Sichtanzeige
US6388655B1 (en) * 1999-11-08 2002-05-14 Wing-Keung Leung Method of touch control of an input device and such a device
JP3971907B2 (ja) * 2001-09-17 2007-09-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4128385B2 (ja) 2002-04-01 2008-07-30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4376198B2 (ja) * 2005-03-25 2009-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ーソル移動装置
US20090085892A1 (en) * 2006-03-01 2009-04-02 Kenichiro Ishikura Input device using touch panel
US8395590B2 (en) * 2008-12-17 2013-03-12 Apple Inc.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US9317140B2 (en) * 2009-03-30 2016-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king a multi-touch input device for detecting touch on a curved surface
US20110067933A1 (en) * 2009-09-18 2011-03-24 Delta Electronics, Inc. Touch-control apparatus
JP5429814B2 (ja) * 2010-03-29 2014-02-26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検出装置および検出センサ
KR101167411B1 (ko) * 2010-09-08 2012-07-19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KR101809191B1 (ko) * 2010-10-11 2018-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2479011B (zh) * 2010-11-29 2015-07-22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电容式触摸屏
TWI457803B (zh) * 2011-12-05 2014-10-21 Htc Corp 觸控面板
JP6004427B2 (ja) * 2012-06-21 2016-10-05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操作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11424A (zh) 2014-03-16
JP2014006565A (ja) 2014-01-16
CN103513786B (zh) 2018-12-04
CN203311402U (zh) 2013-11-27
US20130342331A1 (en) 2013-12-26
US9081415B2 (en) 2015-07-14
EP2677407A2 (en) 2013-12-25
JP6004427B2 (ja) 2016-10-05
EP2677407A3 (en) 2017-08-02
CN103513786A (zh) 2014-01-15
TWI557602B (zh)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3527A (ko) 지시체 조작검출장치
US1100999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1106807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7492169B2 (en) Electrostatic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ordinate detection program
US10824262B2 (en) Touch control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ouch control device
JP5667002B2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US20070126711A1 (en) Input device
JPH05233141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GB2247938A (en) Capacitative puck
JP2014006565A5 (ko)
SK5946Y1 (sk) Pencil input computer peripheral controller
JP2009258946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
JP4933263B2 (ja) 自己検索コンピュータ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モジュール式アセンブリ
CN115129222A (zh) 多个独立表面上的连续触摸输入
CN111381735A (zh) 按钮状薄片和触摸面板
WO2009139297A1 (ja) 静電容量式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23152297A (ja) 操作位置検出装置
SK500102009U1 (en) Pen-type input peripheral driver for computer
JPH08234903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H04319722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