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934A -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934A
KR20130141934A KR1020120065067A KR20120065067A KR20130141934A KR 20130141934 A KR20130141934 A KR 20130141934A KR 1020120065067 A KR1020120065067 A KR 1020120065067A KR 20120065067 A KR20120065067 A KR 20120065067A KR 20130141934 A KR20130141934 A KR 2013014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ser
information
user terminal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733B1 (ko
Inventor
강문순
박장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65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733B1/ko
Priority to US13/909,638 priority patent/US9342720B2/en
Publication of KR2013014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은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user defined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전자 태그 판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코드를 대체하여 전자태그를 상품, 물건, 시설물, 동식물, 제품, 재고자산 등의 개체에 부착하여 각종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활용을 위해 정부기관, 기업, 생산자, 유통 및 물류 업계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종래와 달리 최근에는 휴대용 장치에도 전자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고 있으며, 해당 휴대용 장치를 통해 다양한 개체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전자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서버에 저장된 일차원적 정보를 단순히 제공받는 형태로 제공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 태그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설정한 후,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기능 및 상세 설정을 일일이 설정할 필요 없이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손쉽게 자주 이용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리더기; 및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전자 태그를 판독하는 시점에 상기 센서를 통해 입력된 자세 정보가 기지정된 패턴에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잇다.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서 실행되는 특정 서비스, 상기 특정 서비스의 특정 정보 실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전자 태그에 지정된 용도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은 실행 기능과 실행된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서 동작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리스트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기능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과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등록받는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는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받되, 상기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은 실행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태그 정보의 수신시, 상기 센서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자세 정보에 따른 실행 순서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자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하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움직임 횟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리더기를 통해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 수신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상기 설정 정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와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상기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요청은 이용 가능한 단말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태그 정보 수신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단말 정보에 포함된 단말인 경우,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실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세 정보가 지정된 패턴에 일치하면, 상기 지정 설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상하좌우 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 움직임 횟수 또는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이다.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a)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 동작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리스트를 표출하는 단계; (b) 상기 기능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과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등록받는 단계는,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받되, 상기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은 각각 실행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정보가 재획득되면, 상기 실행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은 상기 전자 태그에 지정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실행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 특정 서비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태그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설정한 후,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기능 및 상세 설정을 일일이 설정할 필요 없이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손쉽게 자주 이용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에 대응하여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 판독에 따라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 태그(110)와 사용자 단말(120)이 포함된다.
각 전자 태그(110)는 각각의 사물(예를 들어, 모니터, 전화기, 액자, 책상 등)에 부착된다. 각 전자 태그(110)는 전자 태그를 공급한 공급자 또는 전자 태그를 사물에 부착한 제조사(또는 광고주)에 의해 지정된 태그 고유 정보 및 태그 용도 중 적어도 하나가 태그 정보로 저장된다. 여기서, 태그 고유 정보는 예를 들어, 태그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태그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예를 들어, 텍스트, 유알아이(URI), 전화번호, 태그별로 할당되는 일련번호 정보) 등과 같이, 태그를 공급한 공급자 또는 광고주에 의해 저장된 고유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태그 용도는 해당 전자 태그에 대한 서비스 구분을 위한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로, 이 또한 전자 태그를 공급한 공급자 또는 광고주에 의해 저장된 용도를 나타낸다. 물론, 태그 용도는 전자 태그에 태그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미포함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태그(110)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전자 태그가 RFID 태그, NFC 태그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외에도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N차원 코드의 형태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전자 태그(110)는 태그 정보가 기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 판독을 위한 리더기를 구비한 장치로, 전자 태그(110)를 읽어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20)은 근거리 통신 수단 또는 전자 태그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 장치인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사용자의 사무실을 가정하여 복수의 전자 태그(110)가 부착된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실내의 책상, 전화기, 모니터, 액자 등에 전자 태그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물론, 이때 각 사물에 부착된 전자 태그(110)는 공급자 또는 광고주에 의해 지정된 고유한 태그 고유 정보가 태그 정보로써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가 전자 태그(110)에 대응하여 출근 인증에 상응하는 사용자 지정 실행 기능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태그 정보에 상응하여 사용자 지정 실행 기능(즉, 출근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단말 정보와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당해 사용자 단말(120)내의 특정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태그(110)에 대응하여 특정 음악에 대한 오디오 재생을 사용자 지정 실행 기능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소지한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지정된 사용자 지정 실행 기능(즉, 특정 음악에 대한 오디오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전자 태그(110) 판독만을 통해 별도로 사용자 단말(120) 조작 없이 자신이 희망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 지정 기능은 단말상의 특정 기능, 특정 서비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지정 기능은 특정 콘텐츠 실행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별도로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는 시점의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따라 해당 사용자 지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부(210), 리더기(215), 입력부(220), 센서(223), 설정부(225),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35)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서비스 서버(미도시), 콘텐츠 서버(미도시)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리더기(215)는 전자 태그(110)를 읽어 태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리더기(215)는 전자 태그(110)를 읽어 태그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프로세서(240)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당해 사용자 단말(1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또는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터치패드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키버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설정부(225)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획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사용자 지정 기능은 특정 기능, 특정 서비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정 기능은 실행할 기능,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정 기능이 오디오 재생기라고 가정하자. 이때, 설정부(225)는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실행할 기능(즉, 오디오 재생기)과 설정 정보로, 해당 실행 기능에서 실행할 콘텐츠 정보(예를 들어, 특정 음악)와 콘텐츠에 대한 재생 설정(예를 들어, 반복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지정 기능이 오디오 재생기여서, 설정 정보로 콘텐츠 및 재생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설정 정보는 실행되는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부가적인 설정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설정부(225)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획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실행할 실행 기능(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와 설정 정보를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전자 태그(110)의 판독을 통해, 당해 전자 태그(110) 판독에 따른 지정된 정보 획득 또는 지정된 서비스 제공 이외에,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기능(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 관리 서버(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타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 단말, 태블릿 pc 등)를 통해 해당 설정 관리 서버에 접속시,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관리 또는 이용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설정부(225)는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이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이 등록되는 경우, 설정부(225)는 각 사용자 지정 기능에 대해 실행 순서를 별도로 더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설정부(225)는 사용자로부터 실행 순서를 별도로 설정받지 않고,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순서대로 사용자 지정 기능에 대한 순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센서(223)는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움직임 또는 자세를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센서(223)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자세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223)는 자이로스크로, 가속도 센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23)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당해 리더기(215)가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는 시점의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자세 또는 움직임에 대한 자세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40)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세 정보는 해당 리더기(215)가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는 시점의 해당 사용자 단말(120)의 상하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움직임 횟수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메모리(235)에 저장되거나 외부에서 획득된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화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입력부(220)와 디스플레이부(230)가 독립된 구성 요소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 방법에 따라 입력부(220)와 디스플레이부(230)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이, 하나의 통합된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235)는 사용자 단말(12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210), 리더기(215), 입력부(220), 설정부(225), 센서(223),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전자 태그(110) 판독에 따라 사용자 지정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는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는 시점의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자세 또는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 지정 기능의 실행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전자 태그(110)를 판독한 시점에 센서(223)를 통해 입력된 자세 정보가 지정된 패턴과 일치하면, 해당 전자 태그(110) 판독을 통해 획득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프로세서(240)는 전자 태그(110)를 판독한 시점에 센서(223)를 통해 입력된 자세 정보가 지정된 패턴과 불일치하면, 전자 태그(110)에 저장된 태그 정보에 따른 정보를 획득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패턴은 상하좌우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움직임 횟수,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각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이 설정된 경우, 태그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에 센서(223)를 통해 입력된 자세 정보에 따른 실행 순서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 지정 기능이 제1 실행 순서로 설정되고, 제2 사용자 지정 기능이 제2 실행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프로세서(240)는 태그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의 자세 정보가 1회의 움직임이면, 제1 실행 순서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태그 정보가 획득된 시점의 자세 정보가 2회 움직임이면, 제2 실행 순서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40)는 태그 정보가 획득된 시점의 자세 정보가 특정 방향으로의 N회의 움직임인 경우, 해당 자세 정보에 대해 전체 실행 순서로 나머지 연산을 수행하여 연산 결과에 따른 실행 순서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특정 사용자 지정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전자 태그가 재판독되면, 실행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우선,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20)에서 전자 태그에 상응하여 실행 기능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에 대응하여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에 전자 태그에 대응하여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2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한 후,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지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계 3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31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당해 사용자 단말(120)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리스트 또는 서비스 리스트(또는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출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실행 가능 기능 리스트로 또는 실행 기능으로 설명하나, 이는 서비스 리스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또는 실행 서비스 또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계 32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표출된 기능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실행 기능을 선택받는다.
단계 32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선택된 특정 기능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거나 선택받는다. 여기서, 설정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행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상세 설정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일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선택된 실행 기능, 해당 실행 기능에 상응하여 입력받은 설정 정보를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써 등록한다. 즉, 사용자 단말(120)은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동작 가능한 기능을 추출하고, 해당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 가능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등록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받을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전자 태그(110)의 판독에 상응하여 설정된 실행 기능의 실행을 위해,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자세 또는 움직임에 대한 패턴을 태그 정보와 함께 더 등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110)별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실행 기능을 설정하여, 전자 태그(110) 판독시, 해당 지정된 특정 실행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 판독에 따라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41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당해 전자 태그(110)를 판독한 시점의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자세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어, 단계 42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자세 정보가 미리 지정된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패턴은 상하좌우 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의 움직임 횟수, 상하좌우 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의 회전 각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만일 자세 정보가 지정된 패턴과 불일치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110)에 지정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자세 정보가 지정된 패턴과 일치하면, 단계 42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추출한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자세 정보에 상응하는 실행 순서에 따른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이 사용자 단말(120)에 사전 등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지정 기능 미지정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이어, 단계 43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지정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실행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실에 위치된 액자에 부착된 전자 태그에 대응하여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디오 재생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소지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액자에 부착된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즉, 오디오 재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의 자세 또는 움직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자세 또는 움직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시간내(30초 이내)에 3회 전자 태그 판독을 패턴으로 지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액자에 부착된 전자 태그(110)을 일정 시간 이내에 3회 판독한 경우, 판독 횟수와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 태그(610), 복수의 사용자 단말(620) 및 서비스 서버(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이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620)은 전자 태그 판독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서비스 서버(6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620)는 해당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에 대한 이용 가능한 단말 정보를 등록 요청에 더 포함하여 서비스 서버(6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630)는 사용자 단말(620)의 등록 요청에 따라 태그 정보와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대응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62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 수신시, 해당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62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사용자 단말(62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은 이용 가능한 단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630)은 등록 요청에 이용 가능한 단말 정보가 포함된 경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단말 정보를 더 등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태그에 상응하여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가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이후, 사용자 단말(62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630)는 해당 사용자 단말(62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가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이용 가능한 단말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전자 태그에 연관된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전자 태그에 대해 별도의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 단말 이외에, 다른 매체를 통해 전자 태그를 태깅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해당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전자 태그
120: 사용자 단말

Claims (21)

  1.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리더기; 및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전자 태그를 판독하는 시점에 상기 센서를 통해 입력된 자세 정보가 기지정된 패턴에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서 실행되는 특정 서비스, 상기 특정 서비스의 특정 정보 실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전자 태그에 지정된 용도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은 실행 기능과 실행된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서 동작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리스트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기능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과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등록받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을 등록받되,
    상기 복수의 사용자 지정 기능은 실행 순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태그 정보의 수신시, 상기 센서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자세 정보에 따른 실행 순서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하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움직임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리더기를 통해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실행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세 정보가 지정된 패턴에 일치하면, 상기 지정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하좌우 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 움직임 횟수 또는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a)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 동작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리스트를 표출하는 단계;
    (b) 상기 기능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과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 실행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a) 상기 사용자 단말상에 동작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리스트를 표출하는 단계;
    (b) 상기 기능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과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으로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 실행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시, 상기 센서를 통해 입력된 자세 정보에 따른 실행 순서에 대응하는 사용자 지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하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움직임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정보가 재획득되면, 상기 실행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 실행 방법.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은 상기 전자 태그에 지정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실행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 특정 서비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19.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 수신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상기 설정 정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와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상기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이용 가능한 단말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태그 정보 수신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단말 정보에 포함된 단말인 경우, 상기 사용자 지정 기능 또는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20065067A 2012-06-18 2012-06-18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KR10190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067A KR101909733B1 (ko) 2012-06-18 2012-06-18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US13/909,638 US9342720B2 (en) 2012-06-18 2013-06-04 Function execution based on ta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067A KR101909733B1 (ko) 2012-06-18 2012-06-18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934A true KR20130141934A (ko) 2013-12-27
KR101909733B1 KR101909733B1 (ko) 2018-10-18

Family

ID=4975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067A KR101909733B1 (ko) 2012-06-18 2012-06-18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42720B2 (ko)
KR (1) KR101909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779A (ko) * 2016-09-09 2018-03-19 김재민 휴대 전자기기에서의 통합 전자태그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3864B1 (en) * 2013-08-29 2018-04-03 Amazon Technologies, Inc. Steady content display
TWI509454B (zh) * 2014-02-17 2015-11-21 Noodoe Corp 基於動作偵測之作業啟始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TWI515608B (zh) * 2014-03-25 2016-01-0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之動作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US9654627B1 (en) * 2015-07-13 2017-05-16 West Corporation Electronic card delivery and communication channel integration
JP2017117077A (ja) * 2015-12-22 2017-06-29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方法、プログラム、情報取得システム、サーバ装置
WO2019232332A1 (en) * 2018-06-01 2019-12-05 Capital One Services, Llc Use of gesture-based nfc interaction to trigger device functionality
US20200027036A1 (en) * 2018-07-23 2020-01-2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anaging reserv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589A1 (ja) * 2004-10-19 2006-04-27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物体の姿勢または動作を秘密鍵として秘密情報を記憶する装置
US20070074024A1 (en) * 2005-07-22 2007-03-29 Colorzip Media, Inc. Multiple code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306A (ja) * 2003-05-29 2004-12-16 Hitachi Ltd 端末装置、サービス提供サーバ及びrfタグ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589A1 (ja) * 2004-10-19 2006-04-27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物体の姿勢または動作を秘密鍵として秘密情報を記憶する装置
US20070074024A1 (en) * 2005-07-22 2007-03-29 Colorzip Media, Inc. Multiple code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779A (ko) * 2016-09-09 2018-03-19 김재민 휴대 전자기기에서의 통합 전자태그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733B1 (ko) 2018-10-18
US9342720B2 (en) 2016-05-17
US20130335201A1 (en)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733B1 (ko)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JP5925915B2 (ja) 商品を追跡しかつ商品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US9699616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KR100906704B1 (ko) 패스워드 관리 장치, 패스워드 관리 방법, 패스워드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6718964B2 (ja) 医療機器情報提供システム、医療機器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38283B1 (ko) 양방향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00107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nother device
KR101514029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장치
JP6223735B2 (ja) 捜索制御装置、捜索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714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CA2875490A1 (en) In-library lending activation
US9135648B2 (en) Method, terminal,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EP2893500A2 (en) Management of digital receipts
KR20140105048A (ko) 전자 쿠폰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40212866A1 (en) Method of inducing learner to log into learning content-providing server
JP2021108221A (ja) 優待情報提供装置、優待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8213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プログラム
KR20130137489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2252453A (ja) 読書システム、端末装置、連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17691A (ko) 근거리 무선통신, NFC/RFID Tag 리더가 내장된 스토리텔링을 위한 어린이용 전자매트 및 그 동작방법
WO2018020608A1 (ja) 在庫管理システム、在庫管理方法、および在庫管理プログラム
Xiao et al.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rfid for designing augmented virtual reality experience
JP2021520020A (ja) 仮想アセットタグ付け及び拡張カメラ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602403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0866379B1 (ko)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