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379B1 -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379B1
KR100866379B1 KR1020060083020A KR20060083020A KR100866379B1 KR 100866379 B1 KR100866379 B1 KR 100866379B1 KR 1020060083020 A KR1020060083020 A KR 1020060083020A KR 20060083020 A KR20060083020 A KR 20060083020A KR 100866379 B1 KR100866379 B1 KR 10086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emo
mobile device
post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099A (ko
Inventor
송준화
손용준
조희승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6008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3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포스트잇을 붙일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녹음기, GPS, RFID 리더기 등 다양한 인식 도구들과 포스트잇을 작성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도구들을 지닌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해당 서비스 사용자를 인증하는 일,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식 도구를 이용해 추출한 객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객체를 인식하는 일, 포스트잇을 보관 및 관리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는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객체로 사물, 사람, 소리, 위치 등 모바일 디바이스가 인식 가능하며 고유한 성질을 가진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는 것,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인식한 객체에 포스트잇을 가상적으로 부착케 함으로써 객체와 포스트잇 간의 가상적이면서도 직관적인 연결이 가능한 것, 그리고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의 서버를 통해 포스트잇이 저장 및 관리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선호에 맞춰 포스트잇을 서로 공유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새로운 지식 공간이 창출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포스트잇, 모바일 포스트잇, 모바일 디바이스, 객체, 객체 인식

Description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System and method for object-based online post-it service in mobile environmen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프로그램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포스트잇을 붙이고자 또는 붙여진 포스트잇을 읽고자 하는 객체
101: 모바일 디바이스
102/103/104/105: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카메라/녹음기/GPS/RFID 리더
300: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의 서버
본 발명은 이동 통신이 가능한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카메라, 녹음기, GPS, RFID 리더기 등 다양한 인식 도구를 지닌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임의의 객체를 인식한 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입력 도구를 통해 작성한 포스트잇을 그 객체와 연결시켜 온라인으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임의의 객체에 부착된 온라인 포스트잇은 적절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해당 객체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인식한 후 볼 수 있다. 온라인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객체로는 사물, 사람, 소리, 위치 등 모바일 디바이스가 인식 가능한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될 수 있다.
우리가 자주 쓰는 종이 포스트잇은 기억하고 싶은 것이 있을 때나 누군가에게 메모를 남길 때 유용하다. 우리는 그러한 포스트잇을 보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거나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남긴 메모를 알게 된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관련 포스트잇을 적었다는 것은 기억하지만, 그것이 어디 있는지는 기억하지 못할 때가 있다. 비록 그 포스트잇이 어디 있는지 기억할지라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거나 분실, 파손과 같은 물리적인 이유로 포스트잇이 그 위치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포스트잇 프로그램은 위와 같은 종이 포스트잇의 단점들은 가지고 있지 않다. 컴퓨터상에서는 찾고자 하는 포스트잇을 쉽게 그리고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컴퓨터가 고장 나지 않는 이상 분실 또는 파손의 위험도 없다. 그러나 이러한 포스트잇 프로그램은 종이 포스트잇과는 달리, 특정 객체에 붙여지지 않고 파일로 관리되기에 사용자가 해당 객체와 관련된 포스트잇이 있다는 것을 아예 모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에 붙여진 종이 포스트잇의 경우, 후에 책을 다시 보는 경우 붙여진 포스트잇을 쉽게 볼 수 있지만, 포스트잇이 컴퓨터의 파일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책을 읽는 동안 그러한 포스트잇이 있는지 전혀 모를 수 있다.
포스트잇에 있는 정보는 개인적인 것일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면 좋은 유용한 정보일 수 있다. 사람들이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자신의 지식이나 느낌을 적은 포스트잇을 공유하기 시작하면, 그러한 포스트잇들은 그 객체에 대한 새로운 지식공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교과서에 대해 여러 학생이 작성한 포스트잇들이 공유되면, 그러한 포스트잇은 그 교과서에 대한 참고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종이 포스트잇으로 그러한 정보 공유를 하기가 쉽지 않으며,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포스트잇 프로그램은 그 방법을 제공하지 않기에 새로운 지식 공간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들고 다닐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인식 도구를 통해 온라인 포 스트잇을 붙이고자 하는 객체를 인식한 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입력 도구를 통해 내용을 작성한 포스트잇을 인식한 객체와 연관시켜 개인적으로 보관하는 서비스, 특정 사람에게 남기는 서비스, 다른 일반 사람들과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새로운 지식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후부터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를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라 하겠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와 접속한 후, 특정 객체를 포착하고 이에 대한 객체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 객체 데이터를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여 주고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로부터 그 특정 객체에 대한 특정 포스트잇을 전송받아 출력하거나, 또는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후, 특정 객체를 포착하고 이에 대한 객체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 객체 데이터를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여 주고 그 특정 객체에 대한 포스트잇이 작성되면 그 작성된 포스트잇과 그에 대한 저장모드를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 저장시키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데이터로부터 특정 객체임을 인식하고 그 특정 객체에 대한 저장하고 있는 특정 포스트잇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주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데이터로부터 특정 객체임을 인식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전송한 포스트잇과 저장모드를 그 특정 객체에 부속시켜 등록 저장하는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를 연결하여 주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 시스템이 제시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모바일 포스트잇을 붙이고 싶거나 붙여진 포스트잇들을 읽고 싶은 객체(100)가 있으며, 그 객체를 포착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들(102,103,104,105)을 지닌 모바일 디바이스(101)가 있다. 그리고 포착된 객체가 어떠한 객체인지 인식하고 객체들에 붙여진 모바일 포스트잇들을 관리하는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가 있으며 이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1)와 통신망(106,107,108,109,110,111)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전 기기, 책과 같은 유형의 제품을 판매하는 사업자나 음악, 공연과 같은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113)가 있다. 이들은 자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광고하기 위해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에 등록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체들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객체(100)로는 사실상 그 제한이 없다. 가 전 기기, 책과 같은 유형의 제품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공연 등과 같은 무형의 서비스에도 붙일 수 있다. 위치 또는 사람 또한 하나의 객체로 볼 수 있으니, 고유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면 모두 모바일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객체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관심 있는 객체(100)에 대한 모바일 포스트잇을 쓰거나 보고 싶으면 사용자는 관심 있는 객체가 무엇인지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에게 알려줘야 한다. 객체의 이름이나 특징을 글로 서술함으로써 알려줄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객체의 이름을 모를 수도 있으며, 이름이나 특징을 서술하는 것으로는 객체가 무엇인지 정확히 판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특징을 일일이 서술하는 것은 너무나 귀찮은 일이다. 따라서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다른 직관적인 방법들이 제공된다면 훨씬 편리할 것이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1)는 그러한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사용자가 항상 들고 다닐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카메라(102), 녹음기(103), GPS(104) 등 다양한 도구들을 계속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RFID 리더(105)가 내장된 휴대폰도 선보였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욱 많은 도구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될 것이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더욱 많아질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닌 이런 다양한 도구들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객체(100)의 특징을 포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 형태를 가진 객체의 경우 카메라(102)로 얻은 객체의 이미지 데이터가 객체를 인식하는데 유용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평면 그림이나 바코드 등은 평면 이미지 데이터로, 입체 형태를 가진 객체의 경우 각 방향에서 얻은 입체 이미지 데이터로 인식이 가능할 것이다. 차세대 인식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는 RFID 태그가 부착된 사물이라면 RFID 리더(105)를 통해 사물의 고유 아이디를 얻을 수 있다. 외형이 없는 음악, 공연 등은 녹음기(103)를 통해 얻은 소리를 객체 인식에 사용할 수 있으며 위치는 GPS(104)를 통해 추적하거나 휴대폰 기지국(106)을 이용해 추적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위치 추적 기술을 사용하기에 문제가 있는 실내의 경우 무선 인터넷 AP(Access Point)(107)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외에도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되는 도구들이 많아질수록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객체의 특징을 포착하게 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1)는 포착한 객체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 망(107,109)과 휴대폰 무선 통신망(106,108,110)을 통해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에 전송한다. 무선 인터넷 AP(107)와 게이트웨이(109)는 실내외에서 인터넷(111)에 접속할 환경을 제공해 주는 기존의 801.11a,b,g와 같은 무선 인터넷 기술로서, 인터넷 연결을 가능케 해 주는 다른 무선 인터넷 기술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휴대폰 무선 통신망(106,108,110)은 기존의 CDMA망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환경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1)는 상기의 두 가지 인터넷 접속 기술(106,107,108,109,110)을 이용하여 인터넷(111)에 접속하여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에 존재하는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101)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포스트잇 프로그램의 개 략적인 블록도이다.
모바일 포스트잇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에 맞춰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의 전반적인 과정을 조율 및 관리하는 모바일 포스트잇 제어부(200), GPS(104) 위성, 기지국(106), 무선 인터넷 AP(107)와 송수신을 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203),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102)나 녹음기(103)를 통해 포착된 객체 데이터를 관리하는 영상/소리 입력 처리부(201), GPS(104) 신호, 기지국(106)으로부터의 신호, 무선 인터넷 AP(107)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해내기 위한 위치 정보 처리부(202), RFID 리더(105)를 통해 입력된 객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RFID 입력 처리부(205), 포스트잇 작성 등을 위한 텍스트 입력 처리부(204), 그리고 사용자에게 모바일 포스트잇이나 처리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출력단(206)으로 구성된다.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의 서버(300)는 도 3과 같이 크게 웹 서버(305), 인증 모듈(301), 객체 인식 모듈(302), 포스트잇 관리 모듈(303), DB 서버(304)로 이루어진다.
웹 서버(305)는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의 중추적인 파트로 모바일 디바이스(101)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1)의 모든 요청을 받아들이며, 요청을 처리하는 데 있어 필요에 따라 인증 모듈(301), 객체 인식 모듈(302), 포스트잇 관리 모듈(304)과 연동한다. 그리고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모바일 디바이스(101)로 전송한다.
객체 인식 모듈(302)은 사용자가 전송한 객체 데이터를 가지고 객체를 인식 한다. 객체를 인식하는 기술로는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인식의 경우, 2004년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에 개제된 "Distinctive Image Features from Scale-Invariant Keypoints"에서 설명되고 있는 SIFT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 (U.S. Patent 6,711,293) 을 사용하거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의 알려진 영상 처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소리 인식의 경우, 음악 콘텐츠의 식별방법 중 하나인 Acoustic Fingerprint를 이용하거나 그 외 여러 특허나 논문들을 통해 제안된 음성 처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리 인식 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59085호 (발명의 명칭: 오디오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검색 방법)에도 개시되어 있다. 이미지나 소리 인식에 있어서는 이후에 개발될 기술들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치나 RFID의 경우는 앞의 경우와는 달리 GPS(104)나 RFID 리더(105)를 통해 추출한 객체 정보가 그 객체의 고유 정보이므로, 객체 인식을 위한 추가적인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인증 모듈(301)은 모바일 포스트잇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검사를 담당한다. 그리고 포스트잇 관리 모듈(303)은 모바일 포스트잇을 저장 및 관리한다. 객체 인식 모듈(302), 인증 모듈(301), 포스트잇 관리 모듈(303) 모두 데이터 저장 및 검색을 위해 DB 서버(304)와 연동한다.
도 4는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1)를 이용해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에 접속하면 모바일 포스트잇 제어부(200)가 실행되면서 서비스가 시작된다(400). 모바일 포 스트잇 서비스 센터(112)에서 인증 모듈(301)을 통해 인증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1)를 이용해 관심 있는 객체(100)를 포착한다(404). 포착된 객체 데이터를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에 전송하면(405)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는 전송된 데이터를 가지고 객체 인식 모듈(302)을 통해 객체(100)를 인식한다(406). 객체(100)가 성공적으로 인식되면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1)에 그 객체에 대한 모바일 포스트잇 메뉴가 표시된다(408).
모바일 포스트잇 메뉴는 보통 '개인 모바일 포스트잇 읽기'(410), '공유 모바일 포스트잇 읽기'(411), '모바일 포스트잇 쓰기'(412)로 구성된다.
'개인 모바일 포스트잇 읽기'는 개인적인 포스트잇 (자신이 작성한 뒤 개인적으로 보관한 포스트잇, 남이 나에게 개인적으로 보낸 포스트잇)을 읽기 위한 메뉴이다. 그리고 '공유 모바일 포스트잇 읽기'는 공유된 포스트잇 (다른 사람과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포스트잇)을 읽기 위한 메뉴이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해당하는 포스트잇 리스트가 표시되고 그 리스트 중 특정 포스트잇을 선택하면 그 특정 포스트잇을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는 읽고 있는 포스트잇이 자신이 작성한 것일 경우 내용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저장 모드 (개인용/특정 사람에게만 보내는 쪽지용/공유용)도 변경할 수 있다(413~415).
'모바일 포스트잇 쓰기'는 사용자가 모바일 포스트잇을 작성하기 위해 선택하는 메뉴이다.
모바일 포스트잇에 쓰는 내용으로는 단순한 텍스트뿐만 아니라 사진, 소리,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도 포함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1)의 여러 입력 도구들을 통해 다양한 내용을 담은 모바일 포스트잇을 작성할 수 있다. 텍스트의 경우 키패드로 입력할 수도 있고 태블릿 펜으로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의 경우 이미 있는 파일을 첨부할 수도 있지만, 모바일 디바이스(101)를 이용하여 직접 촬영 및 녹음하여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첨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작성한 포스트잇을 사용자가 저장 모드를 지정하여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에 전송하면(416),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는 올바르게 저장한 후 저장 완료 응답을 전송한다(417~419). 모바일 포스트잇 메뉴는 이 외에도 객체의 종류에 따라 추가적인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를 구성하는 마지막 주체인 제품 판매 사업자 또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113)는 자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광고하는 포스트잇을 붙이기 위해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에 등록한다. 사업자들이 붙인 모바일 포스트잇은 여러 사람과 공유하기 위한 포스트잇으로 간주되는데, 다른 공유 포스트잇과는 구별이 되도록 별도의 항목으로 제공되거나 공유 포스트잇 리스트에서 상단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은 사업자(113)와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112) 간의 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포스트잇 사용자들은 자신이 보고 있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보기 위해서나 할인 쿠폰과 같은 추가적인 이벤트가 제공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에 접속하여 공유된 포스트잇을 확인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의 일 예시도로서, 사용자가 영화 선택을 위하여 정보를 얻고자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를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관심 있는 영화 포스트를 촬영하면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영화를 인식하여 해당 영화에 붙여진 모바일 포스트잇들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모바일 포스트잇에 있는 영화평이나 혹은 영화 사업자가 넣어 놓은 예고편을 보고 영화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에 의하면, 사용자는 항상 들고 다닐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원하면 언제든지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으며,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대상의 범위도 유형의 사물에서부터 소리와 같은 무형물 그리고 위치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어진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도구들은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데이터를 만드는 데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며 직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포스트잇에 텍스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도 포함시킬 수 있으며 작성한 모바일 포스트잇을 개인적으로 보관할 수도, 특정 사람에게 보낼 수도 혹은 모든 서비스 사용자와 공유할 수도 있다. 모바일 포스트잇은 사용자들 간의 공유를 지원하기에, 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쓴 모바일 포스트잇을 보고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유용한 공유 모바일 포스트잇이 쌓이기 시작하면, 그 집합은 새로운 지식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지식 공간은 사용자들에게도 유용하지만 모바일 포스트잇 서비스 센터에게도 큰 사업 재산이 된다. 모바 일 포스트잇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제품 판매 사업자 또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은 모바일 포스트잇을 이용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특징을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와 무선접속하기 위한 수단과,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객체 데이터로부터 객체 데이터가 나타내는 특정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과, 특정 객체에 대한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포착한 상기 객체특징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의 형태, 녹음장치에 의해 녹음된 소리, 위치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위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객체 특징에 대한 객체 데이터를 생성하여 객체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서 객체 데이터가 나타내는 특정 객체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특정 객체에 대하여 저장되어 있는 메모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송받은 메모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2.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특징을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와 무선접속하기 위한 수단과, 특정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객체 데이터로부터 객체 데이터가 나타내는 특정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과, 특정 객체에 대한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포착한 상기 객체특징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의 형태, 녹음장치에 의해 녹음된 소리, 위치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위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객체특징이 포착된 특정 객체에 대한 메모가 작성된 후 상기 객체특징에 대한 객체 데이터를 생성하여 객체 데이터와 작성된 메모를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서 객체 데이터가 나타내는 특정 객체를 인식하여 전송받은 메모를 인식된 상기 특정 객체에 부속시켜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메모의 저장모드를 지정하면,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서 그 지정된 저장모드용으로 상기 메모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생성한 객체 데이터는 객체 인식에 필요한 영상 정보, 음 정보,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작성된 메모에는 단순한 텍스트뿐만 아니라 사진, 소리, 동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양한 멀티미디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키패드 또는 태블릿 펜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파일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직접 만든 콘텐츠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한 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유선인터넷망을 통하여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업자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와 접속한 후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 메모 또는 자사의 이벤트 메모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메모가 사용자 자신이 작성한 것일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모의 내용을 수정하면,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서 그 수정된 내용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모에 대한 저장모드를 변경하면, 그 변경된 저장모드용으로 상기 메모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12. 청구항 2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모드에는 개인용, 특정인에게만 보내는 쪽지용, 공유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시스템.
  13. 모바일 디바이스,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 및 통신망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와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 간에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특징인 형태, 소리, 위치 중 어느 하나를 카메라, 녹음장치, 위치측정장치 중 어느 하나로 포착한 후 객체특징에 대한 객체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서 전송된 객체 데이터를 가지고 특정 객체임을 인식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모바일 메모 메뉴 표시창의 개인 모바일 메모 읽기, 공유 모바일 메모 읽기, 모바일 메모 쓰기 중 개인 모바일 메모 읽기 또는 공유 모바일 메모 읽기가 선택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시창의 해당 메모 리스트 중 특정 메모가 선택되면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로부터 그 선택된 특정 메모를 전송받아 특정 메모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특정 메모가 사용자 자신이 작성한 것을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모의 내용을 수정하면, 상기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서 그 수정된 내용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모에 대한 저장모드를 변경하면, 그 변경된 저장모드용으로 상기 메모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15. 모바일 디바이스,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 및 통신망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와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 간에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특징인 형태, 소리, 위치 중 어느 하나를 카메라, 녹음장치, 위치측정장치 중 어느 하나로 포착한 후 객체특징에 대한 객체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서 전송된 객체 데이터를 가지고 특정 객체임을 인식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모바일 메모 메뉴 표시창의 개인 모바일 메모 읽기, 공유 모바일 메모 읽기, 모바일 메모 쓰기 중 모바일 메모 쓰기가 선택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메모가 작성되고 그 작성된 메모에 대한 저장모드가 지정되는 단계와;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작성된 메모를 인식된 특정 객체에 부속시켜 저장하되, 지정된 저장모드용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모드에는 개인용, 특정인에게만 보내는 쪽지용, 공유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17.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생성한 객체 데이터는 객체 인식에 필요한 영상 정보, 음 정보,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작성된 메모에는 단순한 텍스트뿐만 아니라 사진, 소리, 동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양한 멀티미디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키패드 또는 태블릿 펜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파일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직접 만든 콘텐츠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21.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한 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유선인터넷망을 통하여 모바일 메모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메모 서비스 방법.
  22. 삭제
KR1020060083020A 2006-08-30 2006-08-30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86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020A KR100866379B1 (ko) 2006-08-30 2006-08-30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020A KR100866379B1 (ko) 2006-08-30 2006-08-30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099A KR20080020099A (ko) 2008-03-05
KR100866379B1 true KR100866379B1 (ko) 2008-11-03

Family

ID=3939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020A KR100866379B1 (ko) 2006-08-30 2006-08-30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58B1 (ko) 2008-10-30 2011-06-29 한국과학기술원 기계 가독형 지식 구조 기반 전자-메모 시스템 및 방법
KR101192721B1 (ko) * 2011-08-25 2012-10-18 주식회사 한서 태양광 가로등을 이용한 원격방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819B1 (ko) 2011-09-14 2018-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30262568A1 (en) * 2012-03-28 2013-10-03 Heavy Bits, Inc.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publishing guid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521A (ko) * 2002-05-14 2002-06-10 강석흔 물리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기호를 포함하는 물체의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3473A (ko) * 2004-05-29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무선 인터넷을 위한 메모기능 적용방법
KR20050121689A (ko) 2003-03-24 2005-12-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전화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관련 주석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521A (ko) * 2002-05-14 2002-06-10 강석흔 물리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기호를 포함하는 물체의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21689A (ko) 2003-03-24 2005-12-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전화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관련 주석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
KR20050113473A (ko) * 2004-05-29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무선 인터넷을 위한 메모기능 적용방법
KR100619861B1 (ko) * 2004-05-29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무선 인터넷을 위한 메모기능 적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58B1 (ko) 2008-10-30 2011-06-29 한국과학기술원 기계 가독형 지식 구조 기반 전자-메모 시스템 및 방법
KR101192721B1 (ko) * 2011-08-25 2012-10-18 주식회사 한서 태양광 가로등을 이용한 원격방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099A (ko)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42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d reproduc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mobile terminal
CN103369049B (zh) 移动终端和服务器交互方法及其系统
US94914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ing 3-dimensional image display
US20080182561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media contents to mobile terminal having two-dimensional code reader and method thereof
US1066670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394906B2 (en) Physical location history with digital member entries or location history entries
US20050193339A1 (en) Tangible icon representing network objects
JP465940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216512A1 (en) Method of accessing a work of art, a product, or other tangible or intangible objects without knowing the title or name thereof using fractional sampling of the work of art or object
US8866953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174227A (ja) 2次元バーコードシールを介した動画配信システム
KR100866379B1 (ko) 모바일 환경에서의 객체 기반 온라인 포스트잇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US20070182826A1 (en) Data access, resolution, and delivery method through the use of multi-bit digital icons
JP2006259893A (ja) 物体認識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KR2009000074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 녹음방식의 소리책 제작 시스템 및방법
US100699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5107978A (ja) 撮影機能付き情報端末による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方法
KR20130020419A (ko) 온라인 콘텐츠 종합 관리 시스템
JP5800261B1 (ja) 携帯情報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の動作方法
KR101325249B1 (ko) 디지털 콘텐츠 내의 부가 정보 삽입 및 검출을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TWI835574B (zh) 點讀系統及該點讀系統的操作方法
KR102428862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KR102105969B1 (ko)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US20240303938A1 (en) Augmented reality secondary content system and method
Henze et al. Services surround you: Physical-virtual linkage with contextual bookma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