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29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293A
KR20130141293A KR1020120064591A KR20120064591A KR20130141293A KR 20130141293 A KR20130141293 A KR 20130141293A KR 1020120064591 A KR1020120064591 A KR 1020120064591A KR 20120064591 A KR20120064591 A KR 20120064591A KR 20130141293 A KR20130141293 A KR 20130141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unit
bezel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070B1 (ko
Inventor
임상현
안성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070B1/ko
Priority to US13/665,867 priority patent/US9190029B2/en
Publication of KR2013014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 화상데이터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부와,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외부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에는 가변 베젤(Bezel)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스케일링(Scaling)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 배젤의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도 상기와 같은 기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얇으면서 넓은 화면을 지향하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되는 베젤(Bezel) 부분이 점점 작아지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베젤 부분이 작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파지 등으로 인하여 전자 기기가 오작동하거나 원하지 않는 작동이 수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변 베젤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화상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로 화상데이터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부와,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외부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에는 가변 베젤(Bezel)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스케일링(Scaling)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관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터치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터치센서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부를 사용자가 제 1 시간이상 파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파지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로 상기 가변 베젤을 표시하는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타이밍컨트롤러와, 외부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부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에서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근접센서, 열감지센서, IR 센서 및 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제 2 시간 이상 동안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계산하여 계산된 기울기가 최소인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사용자의 상기 모션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로 디스플레이부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변 베젤이 형성되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화상데이터를 스캐일링(Scaling)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파지하는 파지모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근하는 접근모션,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케이스의 적어도 2부분 이상을 접촉하는 접촉모션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쉐이크모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기 모션이 제거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모션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변 베젤을 형성한 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화상데이터를 전부 표시함으로써 화상데이터를 손실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에 화상데이터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0)는 LCD 패널, OLED 패널, PDP 패널 등과 같은 화상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 특히 베젤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물리적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를 형성하거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베젤부(150)는 일반적으로 잉크 또는 새시(Chassi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외관에 설치되는 케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6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60)는 합성수지 재질,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션감지센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설치되는 터치센서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부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부는 터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센서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상기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이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제어부(130)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제어부(130)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아이콘, 버튼 형태, 일정 크기의 화면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제어부(130)는 모션감지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외부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을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제어부(13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대응되도록 스케일링(Scaling)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제어부(130)는 모션감지센서부(12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로 가변 베젤(Bezel)을 표시하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결정하는 타이밍컨트롤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제공받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제어부(130)로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부(140)는 스케일러(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의 상기 터치센서들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작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는 화상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은 베젤부(150)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으며, 제조 시에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화상데이터가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러(13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러(132)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대응되는 화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일러(132)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크기를 계산한 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크기에 적합한 해상도, 화면의 크기 등을 확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케일러(132)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가장 최적화된 화상을 통하여 화상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1.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작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면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센서부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파지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센서부는 사용자의 모션 중 디스플레이부(110)를 파지하는 파지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2.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상기 터치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는 디스플레이제어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는 타이밍컨트롤러(131)로 전송되고, 타이밍컨트롤러(131)는 상기 터치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가변 베젤을 형성할 범위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 1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타이밍컨트롤러(131)는 사용자가 파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가변 베젤을 형성할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컨트롤러(131)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서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이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영역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으로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과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변 베젤을 형성할 수 있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이 확정되면, 타이밍컨트롤러(131)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타이밍컨트롤러(131)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이 활성화되었음을 프로세서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40)는 상기의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화상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상데이터는 스케일러(132)로 전송될 수 있다.
3.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프로세서부(140)에서 화상데이터가 전송되면, 스케일러(132)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대응되도록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일러(132)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의 크기에 따라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의 크기가 3인치인 경우 스케일러(132)는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하여 3인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적합한 화상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러(132)는 화상데이터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전부 표시되도록 스케일링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의 크기가 5인치인 경우 스케일러(132)는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하여 5인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적합한 화상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특히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므로 스케일러(132)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표시되는 화상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적합하도록 스케일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일러(132)는 프로세서부(140)에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를 5인치인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접합하도록 스케일링하거나 3인치인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접합하도록 스케일링할 수 있다.
따라서 스케일러(132)는 기존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표시되던 화상데이터의 손실없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화상데이터를 전부 표시할 수 있다.
4.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10)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파지하는 것을 중지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부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파지한 것을 제거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손가락 등 신체 일부를 이탈시키면 상기 터치센서부는 더 이상 신호를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타이밍컨트롤러(131)는 상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가변 베젤를 제거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부로부터 더 이상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3 시간 이상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밍컨트롤러(131)는 사용자의 파지모션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타이밍컨트롤러(131)는 사용자의 파지모션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제거하고,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밍컨트롤러(131)는 사용자의 파지모션이 제거되었다는 정보를 프로세서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부(140)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러(132)로 전송할 수 있다.
스케일러(132)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적합한 화상데이터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링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케일러(132)는 상기와 같이 스케일링된 화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화상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면을 파지하는 경우 파지하는 부분에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파지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변 베젤을 형성한 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화상데이터를 전부 표시함으로써 화상데이터를 손실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1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모션감지센서부(220), 디스플레이제어부(미도시), 프로세서부(미도시), 베젤부(250) 및 케이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10), 상기 프로세서부, 베젤부(250) 및 케이스(260)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타이밍컨트롤러(미도시) 및 스케일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 상기 타이밍컨트롤러, 상기 스케일러 및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션감지센서부(22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감지센서부(220)는 근접센서, 열감지센서, IR 센서 및 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션감지센서부(220)가 열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모션감지센서부(220)는 디스플레이부(2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감지센서부(220)는 케이스(26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모션감지센서부(220)는 케이스(26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1.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모션은 디스플레이부(210)에 접근하는 접근모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작동하는 경우, 모션감지센서부(220)는 상기 접근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파지하기 위하여 손 등과 같은 신체 일부를 접근시키면, 모션감지센서부(220)는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2.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모션감지센서부(220)는 센싱된 신호를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 1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파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가변 베젤을 형성할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 중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확정된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상기 프로세서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상데이터는 상기 스케일러로 전송될 수 있다.
3.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
한편, 상기 스케일러에 상기 화상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대응되도록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스케일링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0)에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접근모션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10)로부터 신체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 모션감지센서부(22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감지센서부(220)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경우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가변 베젤을 제거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모션감지센서부(220)에서 제 3 시간 이상 경과하도록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접근모션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10)에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이 사라지고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10)의 일면을 파지하는 경우 파지하는 부분에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파지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가변 베젤을 형성한 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화상데이터를 전부 표시함으로써 화상데이터를 손실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1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10), 모션감지센서부(미도시), 디스플레이제어부(미도시), 프로세서부(미도시), 베젤부(350) 및 케이스(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10), 상기 프로세서부, 베젤부(350) 및 케이스(360)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타이밍컨트롤러 및 상기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 상기 타이밍컨트롤러, 상기 스케일러 및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한편,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자이로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디스플레이부(31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질 때 발생하는 쉐이크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의 한 개 이상의 축으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디스플레이부(310)과 수직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므로 수직 성분의 흔들림만을 감지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한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가변 베젤을 형성하는 부분은 흔들림이 적은 부분을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파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흔들거나 기우는 경우 파지한 부분이 회전 중심축이 되므로 흔들림이 적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한 손이 아닌 양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축이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전체 축이 흔들리게 되므로 이때에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가 감지하여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2.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센싱된 신호를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 1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파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가변 베젤을 형성할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 중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확정된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상기 프로세서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상데이터는 상기 스케일러로 전송될 수 있다.
3.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
한편, 상기 스케일러에 상기 화상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대응되도록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스케일링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0)에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접근모션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10)로부터 신체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경우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의 축 들이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가변 베젤을 제거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제 3 시간 이상 경과하도록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접근모션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10)에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이 사라지고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10)의 일면을 파지하는 경우 파지하는 부분에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파지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가변 베젤을 형성한 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화상데이터를 전부 표시함으로써 화상데이터를 손실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1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부(410), 모션감지센서부(미도시), 디스플레이제어부(미도시), 프로세서부(미도시), 베젤부(450) 및 케이스(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10), 상기 프로세서부, 베젤부(450) 및 케이스(460)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타이밍컨트롤러 및 상기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 상기 타이밍컨트롤러, 상기 스케일러 및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센서부는 복수개의 터치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410)나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측면이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410)이나 케이스(46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1.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모션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2 부분 이상을 접촉하는 접촉모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작동하는 경우, 모션감지센서부(420)는 상기 접촉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파지하기 위하여 손 등과 같은 신체 일부가 2 부분 이상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2.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센싱된 신호를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2 부분 이상 부위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 일부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 1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파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가변 베젤을 형성할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 중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확정된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상기 프로세서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상데이터는 상기 스케일러로 전송될 수 있다.
3.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
한편, 상기 스케일러에 상기 화상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대응되도록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스케일링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입력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표시하는 경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에는 입력부(F)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에 입력부(F)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F)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F)는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 홈 버튼, 전원 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버튼이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F)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버튼이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5.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0)에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접근모션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10)로부터 신체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경우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가변 베젤을 제거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제 3 시간 이상 경과하도록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접근모션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410)에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이 사라지고 제 1 디스플레이 영역(D1)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10)의 일면을 파지하는 경우 파지하는 부분에 베젤디스플레이 영역(B)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파지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가변 베젤을 형성한 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화상데이터를 전부 표시함으로써 화상데이터를 손실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210, 310, 410 : 디스플레이부
150, 250, 350, 450 : 베젤부
160, 260, 360, 460 : 케이스
120, 220 : 모션감지센서부
130 : 디스플레이제어부
131 : 타이밍컨트롤러
132 : 스케일러
140 : 프로세서부

Claims (18)

  1. 외부로 화상데이터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부;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외부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에는 가변 베젤(Bezel)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스케일링(Scaling)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관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터치센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터치센서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부를 사용자가 제 1 시간이상 파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파지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로 상기 가변 베젤을 표시하는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타이밍컨트롤러; 및
    외부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부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에서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근접센서, 열감지센서, IR 센서 및 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부에서 제 2 시간 이상 동안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계산하여 계산된 기울기가 최소인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사용자의 상기 모션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제 1 단계;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근거로 디스플레이부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변 베젤이 형성되는 베젤디스플레이 영역과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화상데이터를 스캐일링(Scaling)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파지하는 파지모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근하는 접근모션,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케이스의 적어도 2부분 이상을 접촉하는 접촉모션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쉐이크모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모션이 제거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베젤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64591A 2012-06-15 2012-06-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26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591A KR101926070B1 (ko) 2012-06-15 2012-06-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665,867 US9190029B2 (en) 2012-06-15 2012-10-3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591A KR101926070B1 (ko) 2012-06-15 2012-06-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293A true KR20130141293A (ko) 2013-12-26
KR101926070B1 KR101926070B1 (ko) 2019-02-27

Family

ID=4975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591A KR101926070B1 (ko) 2012-06-15 2012-06-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90029B2 (ko)
KR (1) KR1019260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778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7164680A1 (ko) * 2016-03-24 201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장치
US10733931B2 (en) 2016-03-24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8440B2 (en)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9411504B2 (en)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9519356B2 (en)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965165B2 (en)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9454304B2 (en)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US9823890B1 (en) * 2013-03-14 2017-11-21 Amazon Technologies, Inc. Modifiable bezel for media device
KR20230026534A (ko) 2013-11-15 2023-02-2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데이터 처리 장치
US9477337B2 (en) *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US9377894B2 (en) * 2014-05-22 2016-06-28 Sony Corporation Selective turning off/dimming of touch screen display region
CN104217692A (zh) * 2014-08-29 2014-12-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6432409B2 (ja) * 2015-03-24 2018-12-05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制御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制御プログラム
KR20220045611A (ko) 2020-10-05 2022-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9237A1 (en) * 2006-11-16 2008-05-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KR20090079405A (ko) * 2008-01-17 2009-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US20090295753A1 (en) * 2005-03-04 2009-12-03 Nick King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KR20100030273A (ko) * 2008-09-10 2010-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표시방법
US20110316807A1 (en) * 2010-06-28 2011-12-29 Bradley Corrion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3914B2 (en) * 2008-08-04 2012-07-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web brows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8682606B2 (en) * 2008-10-07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Generating virtual buttons using motion sensors
KR101085474B1 (ko) 2010-04-02 2011-11-21 한국과학기술원 디스플레이 장치 베젤에서의 소형 디스플레이 모듈 및 터치 필름을 사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확장 시스템
KR101654335B1 (ko) 2010-08-25 2016-09-09 주식회사 케이티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US9159298B2 (en) * 2010-09-08 2015-10-1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ents sharing method for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5753A1 (en) * 2005-03-04 2009-12-03 Nick King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20080119237A1 (en) * 2006-11-16 2008-05-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KR20090079405A (ko) * 2008-01-17 2009-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KR20100030273A (ko) * 2008-09-10 2010-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표시방법
US20110316807A1 (en) * 2010-06-28 2011-12-29 Bradley Corrion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778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7164680A1 (ko) * 2016-03-24 201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장치
US10733931B2 (en) 2016-03-24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S11138927B2 (en) 2016-03-24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S11545085B2 (en) 2016-03-24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90029B2 (en) 2015-11-17
US20130335453A1 (en) 2013-12-19
KR101926070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0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08248B2 (ja)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347589B2 (ja) 操作装置
EP2219102B1 (en) Input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190146589A1 (en) Compensated Haptic Rendering for Flexible Electronic Devices
EP2902867B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window size thereof
US201101876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keyboard interactions from secondary surfaces
EP2431853A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80090635A (ko) 전자 장치 및 객체 표시 방법
EP2919481A1 (en)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TW201329835A (zh) 顯示控制裝置、顯示控制方法及電腦程式
US10514796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60259458A1 (en) Touch screen device
US9891729B2 (en) Oper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KR101275314B1 (ko) 리모트 컨트롤러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GB2482057A (en) A method of accepting operations on a touch control panel
KR1006867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JP5654932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表示装置による操作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202972A1 (en) Display apparatus
WO2014083929A1 (ja) タッチパネルにおける文書スクロール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136289A (ko)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6119291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14420B2 (ja)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JP2010205134A (ja) 情報表示装置
KR20080063537A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미디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