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335B1 -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335B1
KR101654335B1 KR1020100082592A KR20100082592A KR101654335B1 KR 101654335 B1 KR101654335 B1 KR 101654335B1 KR 1020100082592 A KR1020100082592 A KR 1020100082592A KR 20100082592 A KR20100082592 A KR 20100082592A KR 101654335 B1 KR101654335 B1 KR 101654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input pattern
command
gestur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268A (ko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8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이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스처 입력으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접촉점을 하나의 입력패턴으로 감지하고, 상기 입력패턴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이로써, 터치스크린 가장자리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어 한정된 크기의 화면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베젤을 이용하기 때문에 명령간의 유사성이 없어 제스처 명령의 인식률이 높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GESTURE COMMAND METHOD AND TERMINAL USING BEZEL OF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접촉함으로써 기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 장치를 의미한다.
즉,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 모양의 터치 기구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직접 접촉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접촉이 발생한 부분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해당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도록 설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키입력부가 형성되는 공간을 별도로 요구하지 않아 소형 단말기에 적합하여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더욱 고 사양화 됨에 따라 보다 더 큰 화면 및 기존의 컴퓨터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게 될 전망이며, 실제로 현재 기존 컴퓨터에서 그 유용성이 증명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은 표시화면에 조작을 위한 메뉴가 추가되는 경우 메뉴가 화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보여줄 수 있는 정보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메뉴를 숨기기(Hide) 명령에 의해 비표시할 경우 보여줄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커질 수 있으나 메뉴가 사라짐으로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기존의 터치입력방식을 넘어 멀티터치 및 제스처(Gesture) 입력을 통해 그래픽 메뉴를 통하지 않고서도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멀티터치는 스크린상의 복수의 좌표를 동시에 접촉하여 특정한 명령을 실행하고, 제스처는 스크린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특정한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제스처 입력은 동그라미 또는 반원과 같은 간단한 도형이나 선을 그리는 형식에 국한되어 적용 가능한 명령이 매우 한정되고, 다양한 제스처 동작을 적용하여 명령이 많아지는 경우 인식률이 떨어져 오히려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를 명령에 적용하여 표시화면의 활용도와 인식률이 향상되는 터치스크린의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은,
a)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스처 입력으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접촉점을 하나의 입력패턴으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입력패턴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임을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면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대기상태의 기본 모드에서의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은, 상기 베젤을 포함하여 접촉점이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제스처 입력패턴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통해 안에서 밖으로(안 -> 밖), 밖에서 안으로(밖 -> 안), 밖에서 안으로 안에서 밖으로(밖 -> 안 -> 밖), 안에서 밖으로 밖에서 안으로(안 -> 밖 -> 안), 감지되는 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스처 입력으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접촉점을 하나의 입력패턴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베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입력패턴을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명령 설정부; 및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되는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터치스크린 가장자리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어 한정된 크기의 화면에서 메뉴화면을 숨기고 제스처 명령을 활용하여 주 화면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젤을 이용하기 때문에 명령간의 유사성이 없어 제스처 명령의 인식률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대기화면에서의 기본 제스처 명령뿐 아니라, 특정 어플리케이션별로도 각각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제스처 명령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지원하는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기본 제스처 명령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인터넷 브라우저 제스처 명령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지원하는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표시부(110), 터치스크린(120), 패턴 인식부(130), 명령 설정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100)은 휴대전화 기능을 갖는 피처폰(Featur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넷북(net book) 등의 터치스크린(120)이 적용된 모든 단말/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로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정보를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터치스크린(120)은 터치 패널이라고도 하며, 표시부(110)에 대응되는 영역(크기/위치)을 커버하는 접촉 센서(121)와 표시화면의 적어도 한 지점에 물리적 혹은 전기적 접촉되는 접촉점을 감지하는 감지부(122)를 포함하는 입력장치이다.
접촉 센서(121)는 터치스크린(120)의 종류에 따라 외부의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접촉을 감지하는 감압 방식의 센서이거나 사람의 손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이용하여 터치 지점의 전기적인 변화를 통해 감지하는 정전 방식 센서 중 어나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120)이 끝나는 가장자리(테두리)를 베젤이라고 한다.
감지부(122)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접촉점의 좌표 값을 감지하고 제어부(160)로 전달하여 미리 정의된 명령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터치스크린(120)의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감지부(122)는 제스처 입력으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접촉점을 하나의 입력패턴으로 감지한다.
패턴 인식부(130)는 감지부(122)에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접속점을 포함하는 제스처 입력패턴을 인식하며, 터치스크린(1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베젤의 위치정보(좌표)를 포함하는 제스처 입력패턴을 인식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패턴 인식부(130)는 상기 베젤의 위치, 접촉시점, 접촉 횟수, 진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20)의 패턴 인식부(130)는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있는 베젤(123)을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제스처의 입력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 인식부(130)는 터치스크린(120)이 끝나는 가장자리(테두리)를 베젤(123)로 인식하되, 사각의 테두리로 형성되는 베젤의 위치(좌표)에 따라 상측 베젤(123-1), 하측 베젤(123-2), 좌측 베젤(123-3) 및 우측 베젤(123-4)로 구별하여 인식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패턴 인식부(13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0)의 밖에서 안으로 제스처를 하면(밖 -> 안), 베젤(123)에서부터 시작하여 터치스크린(120)의 안쪽의 어느 접촉점까지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패턴을 인식한다.
또한, 패턴 인식부(13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0)의 안에서 밖으로 제스처를 하면(안 -> 밖), 터치스크린(120)의 안쪽 어느 접촉점에서 시작하여 베젤(123)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패턴을 인식한다.
이와 같이, 패턴 인식부(130)는 밖에서 안으로 혹은 안에서 밖으로 향하는 일방향의 제스처 입력패턴을 상측 베젤(123-1), 하측 베젤(123-2), 좌측 베젤(123-3) 및 우측 베젤(123-4)로 각각 구별하여 인식함으로 8개의 입력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패턴 인식부(13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0)의 밖에서 안으로 안에서 밖으로 연속적인 제스처를 하면(밖 -> 안 -> 밖), 베젤(123)에서부터 시작하여 터치스크린(120)의 내측면을 접촉하고 다시 베젤(123)에서 끝나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패턴을 인식한다.
또한, 패턴 인식부(13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0)의 안에서 밖으로 밖에서 안으로 연속적인 제스처를 하면(안 -> 밖 -> 안), 터치스크린(120)의 안쪽 어느 접촉점에서 시작하여 베젤(123)을 접촉하고, 미리 설정된 짧은 시간 내에 다시 베젤(123)에서 시작하여 터치스크린(120)의 안쪽 어느 접촉점에서 끝나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패턴을 인식한다. 이 때, 패턴 인식부(130)는 상기 짧은 시간 내에 베젤(123)로 나갔다가 다시 베젤(123)로 들어오는 것은 연속적인 동작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패턴 인식부(130)는 밖에서 안으로 안에서 밖으로 혹은 밖에서 안으로 안에서 밖으로 향하는 양방향의 제스처 입력패턴을 상측 베젤(123-1), 하측 베젤(123-2), 좌측 베젤(123-3) 및 우측 베젤(123-4)로 각각 구별하여 인식함으로 8개의 입력패턴을 더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인식부(130)는 베젤(123)을 이용하여 모두 16개의 입력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명령 설정부(140)는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과 그에 따른 명령을 매칭하여 저장한다. 명령 설정부(14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과 명령을 정의할 수 있도록 제스처 명령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때, 명령 설정부(140)는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제스처 입력패턴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출고시 디폴트로 적용된 제스처 입력패턴을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운영프로그램(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별로 각각 제스처 입력패턴과 그 명령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저장부(150)는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Read Only Memory, ROM)과 그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이동 단말(100)의 일반적 대기상태인 기본모드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설정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패턴 인식부(130)에서 인식되는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에 정의된 명령을 비교하고,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고려하여 상기 제스처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이 있는 경우 이를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도 이동 단말(100)은 그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통신수단, 위치측정수단, 별도의 조작수단, 스피커, 카메라 및 외부입력단자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일반적인 것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명령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스처 설정을 프로그램을 구동하면(S110), 일반 대기모드에서의 기설정된 기본 제스처 명령정보를 불러와서 도 5와 같이 화면에 표시한다(S120).
도 5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기본 제스처 명령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본 제스처 명령 설정화면(141)은 베젤을 이용한 16가지의 제스처 입력패턴과 그에 매칭되는 명령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스처 입력패턴은 기능 활성화된 입력패턴(1411), 비활성화 상태인 입력패턴(1413) 및 제스처 명령 정의중인 입력패턴(1412)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다음, 이동 단말(100)은 하나의 입력패턴을 선택하고(S130),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선택한다(S140).
예컨대, 이동 단말(100)은 도 5와 같이 설정하고자 하는 제6 입력패턴(1412)을 선택하고, 선택한 제6 입력패턴(1412)에 대응되는 제6 명령탭이 선택되면 기본모드에서 지원되는 명령목록(1414)을 보여준다. 그리고, 제6 입력패턴에 정의하고자 하는 명령목록(1414)에서 카메라 실행을 선택하여 기능 활성화를 체크한다(S150). 이 때, 명령목록(1414)는 제스처 명령을 설정하고자 하는 운영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목록을 보여준다.
이어서, 이동 단말(100)은 활성화된 입력패턴(1411)에 대응되는 명령을 변경하거나, 비활성화 상태의 입력패턴(1413)의 명령을 더 설정하고(S160, 예), 더 이상 설정 작업이 존재하지 않거나,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S160, 아니오), 상호 연관되게 설정된 입력패턴 및 명령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S170).
한편,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설정 방법은 도 4와 유사하며, 단지 S220 단계에서 기본 제스처 명령 설정 화면뿐 아니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별도로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설정할 수 있는 점이 다르다.
즉,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스처 설정을 프로그램을 구동하면(S210), 일반 대기모드에서의 기설정된 기본 제스처 명령정보를 불러와서 도 5와 같이 화면에 표시한다(S221). 이 때, 일반 대기모드에서의 기본 제스처 명령이 아닌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면(S222), 변경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기설정된 제스처 명령정보를 불러와서 예컨대, 도 7과 같이 화면에 표시한다(S223).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인터넷 브라우저 제스처 명령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브라우저 제스처 명령 설정화면(142)은 도 5의 기본 제스처 명령 설정화면(141)과 마찬가지로 베젤을 이용한 16가지 제스처 입력패턴과 그에 매칭되는 명령을 포함한다. 다만, 각 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은 인터넷 브라우저에 특화된 명령이 표시되도록 하고,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 다르다. 이 때, 정의되는 입력패턴의 명령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인터넷 브라우저가 활성화되었을 때만 한정적으로 적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별로도 각각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제스처 명령(약 16개)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 S230 단계 내지 S270 단계나 상기 S222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변경을 안했을 경우는 도 4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터치스크린(120)의 입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접촉점을 하나의 입력패턴으로 감지한다(S310, S320).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상기 입력패턴이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임을 인식하면(S330),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340).
이 때,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S340, 아니오), 일반적인 대기상태인 기본모드에 상기 제스처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350), 존재하는 경우 그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한다(S370).
또는, 상기 S340 단계의 판단결과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S340, 예),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상기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360), 존재하는 경우 그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한다(S370).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제스처 입력패턴을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명령에 적용할 수 있으며, 대기상태인 운영프로그램의 명령을 기본으로 하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이를 우선으로 명령에 적용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350 단계, S360 단계에서 상기 제스처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이 존재하는지 않으면 무시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명령임을 표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가장자리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어 한정된 크기의 화면에서 메뉴화면을 숨기고 제스처 명령을 활용하여 주 화면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젤을 이용하기 때문에 명령간의 유사성이 없어 제스처 명령의 인식률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대기화면에서의 기본 제스처 명령뿐 아니라, 특정 어플리케이션별로도 각각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제스처 명령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터치스크린(120)은 접촉 센서(121)와 별도로 터치스크린(120)이 끝나는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별도의 베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그래서, 베젤 부분의 접촉 인식률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패턴 인식부(13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0)의 밖에서 안으로 혹은 안에서 밖으로 제스처를 하면, 베젤(123)을 포함하여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패턴을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때의 입력패턴은 단순한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혹 오입력/오인식이 유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의 실시 예를 응용하여 베젤을 이용하여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패턴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방향으로 2회 반복하여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그래서, 컴퓨터 마우스에서의 더블클릭과 같은 입력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오입력/오인식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16가지의 베젤(123)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 패턴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젤(123)을 이용한 제스 입력 패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응용 제스처 입력패턴을 더 추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인식부(130)는 베젤(123)의 위치에 따라 상측 베젤(123-1), 하측 베젤(123-2), 좌측 베젤(123-3) 및 우측 베젤(123-4)로 구별하여 인식하므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의 베젤(123)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패턴 인식부(130)는 입력패턴(A)와 같이 상측 베젤(123-1)을 통해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고, 우측 베젤(123-4)를 통해 안에서 밖으로 나가는 동작이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16개의 베젤(123)을 이용한 제스처 입력패턴 이외에도 복수의 베젤(123)을 이용해서도 다양한 제스처 입력패턴을 더 인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다양한 명령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이동 단말이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상기 입력패턴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는 명령을 표시하여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제스처 입력으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접촉점을 하나의 입력패턴으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입력패턴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임을 인식하는 단계; 및
    d)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면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대기상태의 기본 모드에서의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은,
    상기 베젤을 포함하여 접촉점이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제스처 입력패턴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통해 안에서 밖으로(안 -> 밖), 밖에서 안으로(밖 -> 안), 밖에서 안으로 안에서 밖으로(밖 -> 안 -> 밖), 안에서 밖으로 밖에서 안으로(안 -> 밖 -> 안), 감지되는 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대응되는 명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설정하는 단계는,
    운영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별로 각각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6.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스처 입력으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접촉점을 하나의 입력패턴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베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입력패턴을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명령 설정부; 및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되는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 설정부는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상기 입력패턴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는 명령을 표시한 후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베젤을 상기 터치스크린의 사각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그 위치에 따라 상측 베젤, 하측 베젤, 좌측 베젤 및 우측 베젤로 구별하여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을 인식하는 이동 단말.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베젤의 위치, 접촉시점, 접촉 횟수, 진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설정부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명령을 정의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제스처 명령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설정부는,
    운영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별로 기설정된 명령정보를 불러드려 활성화된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과 대응되는 명령을 상기 제스처 명령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설정부는,
    하나의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을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명령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젤을 이용한 입력패턴을 활성화 상태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령에 우선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100082592A 2010-08-25 2010-08-25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KR101654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92A KR101654335B1 (ko) 2010-08-25 2010-08-25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92A KR101654335B1 (ko) 2010-08-25 2010-08-25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68A KR20120019268A (ko) 2012-03-06
KR101654335B1 true KR101654335B1 (ko) 2016-09-09

Family

ID=4612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592A KR101654335B1 (ko) 2010-08-25 2010-08-25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8490B1 (en) 2020-11-06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420B1 (ko) * 2011-10-05 2013-12-10 한국과학기술원 베젤 영역을 이용한 전자책 컨텐츠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08218B1 (ko) * 2012-02-16 2013-09-13 한국과학기술원 복수 베젤영역 조합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KR101392673B1 (ko) * 2012-03-09 2014-05-12 한국과학기술원 베젤 영역을 활용한 터치 제스처에 기초하여 원격기기를 원격제어 하기 위한 터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60631B1 (ko) * 2012-03-12 2014-02-11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제스처의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를 원격제어 하기 위한 터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70719B1 (ko) * 2012-04-17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장치 및 베젤 공간을 활용한 제스처를 통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1361418B1 (ko) * 2012-05-17 2014-02-12 한국과학기술원 드래깅 제스쳐를 이용한 전자책 컨텐츠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926070B1 (ko) 2012-06-15 2019-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63810B1 (ko) 2012-08-22 2019-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3964B1 (ko) * 2012-08-29 2014-09-2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KR101400575B1 (ko) * 2012-10-09 2014-05-3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울 반사 효과를 이용한 공간 베젤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장치
US9785291B2 (en) 2012-10-11 2017-10-10 Google Inc. Bezel sensitive touch screen system
KR101424742B1 (ko) * 2012-12-06 2014-08-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장치와 그 방법
KR102274439B1 (ko) * 2019-10-10 2021-07-07 주식회사 지니틱스 가상 베젤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3559A1 (en) * 2006-12-18 2008-06-19 Dietz Paul H Appliance Control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3559A1 (en) * 2006-12-18 2008-06-19 Dietz Paul H Appliance Control Pane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 Roth and T. Turner, "Bezel Swipe: Conflict-Free Scrolling and Multiple Selection on Mobile Touch Screen Devices," CHI 2009, April 4-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8490B1 (en) 2020-11-06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68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335B1 (ko)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CN106909305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TWI514229B (zh) 圖形編輯方法以及電子裝置
KR101704549B1 (ko)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82541B1 (ko) 에지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19816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236468A1 (en) Gesture based device activation
JP2014510337A (ja) 少なくとも2つ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含む情報表示装置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
US201400358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based on multi touch finger gesture
US1004872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KR20150014084A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디바이스 및 그의 오브젝트 제어 방법
US20130135226A1 (en) Unlocking metho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ouch-sensitive device
JP20150262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04220A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US8904313B2 (en) Gestural control for quantitative inputs
CN105579945A (zh) 数字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12650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JP6717141B2 (ja) 文書閲覧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74156B1 (ko)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US20150153925A1 (en) Method for operating gestures and method for calling cursor
US10521108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detecting touch,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ouch controller
KR101229629B1 (ko)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전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6003566B2 (ja) オブジェクト操作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
JP2009514119A (ja) ディスプレイ機能を有するボタンを具備した端末機及びこ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