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500B1 -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500B1
KR102126500B1 KR1020130075691A KR20130075691A KR102126500B1 KR 102126500 B1 KR102126500 B1 KR 102126500B1 KR 1020130075691 A KR1020130075691 A KR 1020130075691A KR 20130075691 A KR20130075691 A KR 20130075691A KR 102126500 B1 KR102126500 B1 KR 10212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irmware
mode
inpu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178A (ko
Inventor
최현묵
최경오
한영란
김종훈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500B1/ko
Priority to US14/177,324 priority patent/US9547381B2/en
Priority to EP14156653.9A priority patent/EP2818988A3/en
Priority to CN201410283824.4A priority patent/CN104252263B/zh
Publication of KR2015000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부, 터치 감지부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입력 모드 중 선택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USING THE SMAE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외선 센서 방식으로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터치 조작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은 감압식, 정전식,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있다.
종래 적외선 방식을 적용한 전자 장치들의 경우,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반영하지 않았다. 즉, 사용자가 어떠한 이유로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지와 무관하게 일정한 기능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로스(loss)가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적외선 방식에 있어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반영하여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의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방식으로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부,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 중 선택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는, 그리기 모드 및 터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을 따라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전차 칠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펌웨어(firmware)를 이용하여 적외선 방식으로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의 터치 감지 방법은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의 입력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는, 그리기 모드 및 터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감지 방법은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을 따라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전차 칠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선택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 의도에 최적화된 성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터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적외선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 방식의 경우, 전자 장치(100)의 테두리 부분에 복수의 개의 IR 발광부(10-1, 10-2,..., 10-n)와 IR 센서부(20-1, 20-2,..., 20-m)를 배치하고, IR 발광부(10-1, 10-2,..., 10-n)에서 적외선(Infrared)을 발광하게 되면 IR 센서부(20-1, 20-2,..., 20-m)는 IR을 수광하여 전류(또는, 전압)을 발생하고, 그 변화를 인지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IR 발광부(10-1, 10-2,..., 10-n)는 IR LED 등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의 상부 및 좌측에 각각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IR 센서부(20-1, 20-2,..., 20-m)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 등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의 하부 및 우측에 각각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IR 발광부(10-1, 10-2,..., 10-n)와 IR 센서부(20-1, 20-2,..., 20-m)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면, 이들이 배치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스크린(30)의 일정한 지점이 터치되면, 해당 지점에 배치된 IR 발광부(10-a)에서 발광된 적외선은 IR 센서부(20-b)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외선 방식에서는 IR 발광부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IR 센서부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면 스크린이 터치된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센서의 위치를 토대로 스크린 상에 터치된 위치를 계산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감지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적외선 방식으로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적외선 방식의 구동 원리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한바 있다.
터치 감지부(110)는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110)는 적외선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 감지부(110)는 IR 발광부(도 1의 10-1, 10-2,..., 10-n) 및 IR 센서부(도 1의 20-1, 20-2,..., 20-m)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크린(도 1의 30)의 테두리 부분에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터치 감지부(110)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2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DDR(Double Data Rate)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입력 모드는 그리고 모드와 터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리기 모드는 터치 조작으로 스크린 상에 다양한 형상(가령, 문자, 숫자 등)을 그리기 위한 모드를 나타내며, 터치 모드는 터치 조작으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령, 메뉴 항목, 아이콘, 이미지 등)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나타낸다. 가령, 터치 모드에서는 터치 조작으로 오브젝트를 선택, 확대, 축소, 회전, 이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0)는 각 입력 모드별로 터치 감지부(110)를 구동하기 위한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20)는 각 입력 모드별로 서로 다른 타입의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20)는 그리기 모드가 입력 모드로 선택된 경우 실행되는 제1 타입의 펌웨어 및 터치 모드가 입력 모드로 선택된 경우 실행되는 제2 타입의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20)는 복수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각 메모리별로 서로 다른 타입의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는 제1 타입의 펌웨어가 저장된 제1 메모리 및 제2 타입의 펌웨어가 저장된 제2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20)는 하나의 메모리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타입의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는 타입의 펌웨어가 저장된 제1 메모리 영역 및 제2 타입의 펌웨어가 저장된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마이컴(또는, 마이컴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 모듈은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펌웨어를 실행하고, 실행된 펌웨어를 통해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 지점의 위치, 좌표, 개수, 허상(Ghost image) 유무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IR 발광부(10-1, 10-2,..., 10-n)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이 센싱되는 IR 센서부(20-1, 20-2,..., 20-m)의 위치, 감지되는 전류(또는, 전압)의 크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입력 모드 중 선택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로 선택되면, 복수의 펌웨어 중 제1 타입의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타입의 펌웨어는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펌웨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선택된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로 선택되면, 복수의 펌웨어 중 제2 타입의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타입의 펌웨어는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펌웨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각 타입의 펌웨어가 저장된 메모리 또는, 메모리 영역의 어드레스를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펌웨어가 저장된 메모리 또는 메모리 영역에 액세스하여 선택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펌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펌웨어가 저장된 메모를 선택하기 위한 I/O 포트 및 컨트롤 핀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입력 모드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입력 모드 선택을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하거나, 전자 장치(100)에 별도로 마련된 버튼을 통해 입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펌웨어를 실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펌웨어의 경우는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허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터치를 센싱하는 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펌웨어의 경우는 터치 인식 프로세스가 간단하여 속도 및 성능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으나,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최적화된 터치 감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각 입력 모드에서 최적화된 펌웨어를 실행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스크린 상에 형상을 그릴 때, 사용자는 손 또는 펜의 한 지점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멀티 터치의 인식이 크게 요구되지 않으며, 멀티 터치에 의해 야기되는 허상의 발생 가능성도 낮으므로 멀티 터치를 인식할 필요성이 낮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를 통해 스크린에 그린 형상이 바로 디스플레이되기를 원하므로 신속하게 터치를 감지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그리기 모드가 입력 모드로 선택되면, 터치 감지 속도에 보다 중점을 두어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조작을 통해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어하고자 한다. 특히, 스크린의 사이즈가 큰 경우, 사용자는 멀리 떨어진 오브젝트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두 손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터치 모드가 입력 모드로 선택되면, 멀티 터치 가능성에 보다 중점을 두어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을 따라 그리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그리기 모드가 입력 모드로 선택되면, 스크린에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된 지점을 따라 다양한 형태의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GUI는 선, 면 등이 될 수 있으며, 선, 면 등의 두께 및 색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선택된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브젝트는 터치 조작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를 탭하는 터치 조작의 경우,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메뉴 항목 또는 아이콘을 탭하는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서브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터치 조작의 경우, 해당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미지를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이미지를 드래그가 해제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오브젝트에 대해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하는 터치 조작의 경우, 해당 오브젝트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즉, 이미지를 터치하여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하는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터치 모드의 경우, 멀티 터치가 인식된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칠판(100)에 구비된 스크린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 밖에, OLED 타입이나, PDP 타입 및 기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칠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칠판은 교육현장 및 공공기관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이나 펜을 이용하여 터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판서나 마우스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 칠판은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좌표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스크린 상에 선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에 메뉴 도구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터치된 메뉴 도구 항목에 따라 오버레이된 선을 저장하거나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실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3은 전자 장치(100)가 그리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과 같이,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로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스크린에 입력된 터치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터치된 지점을 따라 특정 형태의 GUI 가령, 선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전자 장치(100)가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와 같이,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로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스크린에 입력된 터치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터치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타입, 입력된 터치 조작의 타입 등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b)와 같이, 사용자는 스크린의 양쪽 가장자리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410, 420)을 드래그 앤 드롭 조작에 의해 스크린의 중심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터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는 복수의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적외선 방식으로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의 입력 모드를 선택받는다(S5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입력 모드 선택을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하거나, 전자 장치에 별도로 마련된 버튼을 통해 입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입력 모드는 그리기 모드 및 터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하고, 선택된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을 따라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전차 칠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가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감지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터치 감지부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Claims (1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부;
    복수의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입력 모드 중 그리기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펌웨어 중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제1 펌웨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1 펌웨어를 통해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터치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펌웨어 중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제2 펌웨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2 펌웨어를 통해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펌웨어를 통해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속도는, 상기 제2 펌웨어를 통해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속도보다 빠른,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을 따라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차 칠판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의 입력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 중 그리기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복수의 펌웨어 중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제1 펌웨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1 펌웨어를 통해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터치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펌웨어 중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제2 펌웨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2 펌웨어를 통해 상기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 고,
    상기 제1 펌웨어를 통해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속도는, 상기 제2 펌웨어를 통해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속도보다 빠른, 터치 인식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그리기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을 따라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가 터치 모드인 경우 터치된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식 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차 칠판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식 방법.
KR1020130075691A 2013-06-28 2013-06-28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KR10212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691A KR102126500B1 (ko) 2013-06-28 2013-06-28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US14/177,324 US9547381B2 (en) 2013-06-28 2014-02-11 Electronic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thereof
EP14156653.9A EP2818988A3 (en) 2013-06-28 2014-02-25 Electronic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thereof
CN201410283824.4A CN104252263B (zh) 2013-06-28 2014-06-23 电子设备及其触摸感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691A KR102126500B1 (ko) 2013-06-28 2013-06-28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78A KR20150002178A (ko) 2015-01-07
KR102126500B1 true KR102126500B1 (ko) 2020-06-25

Family

ID=5023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691A KR102126500B1 (ko) 2013-06-28 2013-06-28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7381B2 (ko)
EP (1) EP2818988A3 (ko)
KR (1) KR102126500B1 (ko)
CN (1) CN1042522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5011B1 (en) * 2013-12-18 2016-11-15 Amazon Technologies, Inc. Device-stylus haptic communication system
WO2017022966A1 (en) * 2015-08-05 2017-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 white 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144309B (zh) * 2018-07-18 2020-11-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设备
CN109917973B (zh) * 2019-03-12 2021-08-27 广州朗国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电子白板设备的触控方法、系统及触摸设备
CN110442263A (zh) * 2019-07-23 2019-11-12 深圳市锐尔觅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显示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128A (ja) * 2007-03-22 2008-10-02 Toshiba Tec Corp 電子黒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9523B2 (en) 2004-08-06 2010-05-18 Touchtable, Inc. Bounding box gesture recognition on a touch detecting interactive display
TWI393090B (zh) * 2008-05-30 2013-04-11 Orise Technology Co Ltd 顯示驅動器之燒錄方法、使用其之顯示驅動器及顯示器
CN201247458Y (zh) * 2008-09-04 2009-05-27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双模式输入功能的显示装置
US8125347B2 (en) * 2009-04-09 2012-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entry system with depressable keyboard on a dynamic display
US9244533B2 (en) * 2009-12-17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mera navigation for presentations
KR101802759B1 (ko) * 2011-05-30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885132B1 (ko) * 2011-11-23 2018-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960305B1 (ko) * 2012-07-04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8390B1 (ko) * 2012-07-30 2020-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통한 기하학적 도형을 그리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128A (ja) * 2007-03-22 2008-10-02 Toshiba Tec Corp 電子黒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52263A (zh) 2014-12-31
EP2818988A2 (en) 2014-12-31
CN104252263B (zh) 2018-09-18
US9547381B2 (en) 2017-01-17
US20150002413A1 (en) 2015-01-01
KR20150002178A (ko) 2015-01-07
EP2818988A3 (en)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2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US10353570B1 (en) Thumb touch interface
US10275113B2 (en) 3D visualization
US9886108B2 (en) Multi-region touchpad
US20160004373A1 (en) Method for providing auxiliary information and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82541B1 (ko) 에지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40210797A1 (en) Dynamic stylus palette
US2012017632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multiple frames on a touch screen
KR101654335B1 (ko)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US20180052518A1 (en) Device manipulation using hover
TW201324318A (zh) 觸摸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12650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US91707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UI interacting according to recognized user approach
JP2016529640A (ja) マルチタッチ仮想マウス
US201300098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n touch screen
EP2634673A1 (en)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program
WO2016183912A1 (zh) 菜单布局方法及装置
US201502687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294201B1 (ko) 휴대형 장치 및 그 조작 방법
US10521108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detecting touch,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ouch controller
US10678336B2 (en) Orient a user interface to a side
US10809794B2 (en) 3D navigation mode
KR20140086805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60117000A1 (en) Touchscreen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102205235B1 (ko) 즐겨찾기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