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983A -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 Google Patents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983A
KR20130138983A KR1020120062582A KR20120062582A KR20130138983A KR 20130138983 A KR20130138983 A KR 20130138983A KR 1020120062582 A KR1020120062582 A KR 1020120062582A KR 20120062582 A KR20120062582 A KR 20120062582A KR 20130138983 A KR20130138983 A KR 2013013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aper
wall portion
hip belt
diap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899B1 (ko
Inventor
유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메카
Priority to KR102012006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8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6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인체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배설물 수집 기저귀;와,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 내부의 배설물을 흡인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리 유닛;과,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와 처리 유닛을 접속하는 처리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한 기저귀 컵;과, 상기 기저귀 컵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와, 상기 기저귀 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받침 매트;와, 상기 기저귀 컵과 커버 부재 및 허리 받침 매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을 감싸 사용자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엉덩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Automatic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and Excrement collection diar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인체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와병 환자 등의 사용자가 잠을 자고 있는 상태나 깨어있되 누워 있는 상태에서 타인의 시중 없이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양 측면과 바닥면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오물 유로가 구비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와, 배설물 수집 기저귀 내부의 배설물을 흡인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리 유닛과, 배설물 수집 기저귀와 처리 유닛을 접속하는 처리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배설물 수집 기저귀에 대변 감지 센서와 소변 감지 센서와 같은 배설물 감지 센서와 함께 각종 세척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하복 또는 허리에 배치되도록 하는 벨트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배설물 수집 기저귀의 벨트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서 밀착되는 정도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인체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 엉덩이 부분의 피부가 오물 유로 측으로 말려 들어가서 발생할 수 있는 배설물 감지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오물 유로의 주변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에어 커튼을 통하여 위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배설물 수집 기저귀;와,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 내부의 배설물을 흡인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리 유닛;과,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와 처리 유닛을 접속하는 처리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한 기저귀 컵;과, 상기 기저귀 컵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와, 상기 기저귀 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받침 매트;와, 상기 기저귀 컵과 커버 부재 및 허리 받침 매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을 감싸 사용자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엉덩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저귀 컵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양 측면과 바닥면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제1오물 유로가 구비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접촉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대응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제1벽부;와, 상기 측벽부에서 대응되도록 상기 제1벽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위치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벽부와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복 부분에 위치되는 제3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제1벽부와 제2벽부가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2벽부와 제3벽부가 연결되는 영역 중 어느 일 영역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허리 받침 매트는, 상기 기저귀 컵의 선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받치는 받침 매트부와, 상기 받침 매트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저귀 컵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고정 밴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밴드부는, 상기 허리 받침 매트의 일측을 기저귀 컵의 후단 일측에 연결하기 위한 제1고정 밴드부와, 상기 허리 받침 매트의 타측을 기저귀 컵의 후단 타측에 연결하기 위한 제2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제1고정 밴드부에 박음질되는 제1엉덩이 벨트와, 상기 제2고정 밴드부에 박음질되는 제2엉덩이 벨트와, 상기 제1엉덩이 벨트 또는 제2엉덩이 벨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수벨크로부재와, 상기 제1엉덩이 벨트 또는 상기 제2엉덩이 벨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암벨크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엉덩이 벨트는, 상기 기저귀 컵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 및 하복 부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실링부는, 상기 제1벽부와 제2벽부 및 제3벽부의 양 측면 상단에서 상기 제1오물 유로의 반대쪽을 향하여 넓게 퍼지는 횡방향 띠를 가지는 제1밀착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제1오물 유로에 구비되는 대변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와 케이스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엉덩이 벨트는, 상기 기저귀 컵 또는 커버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엉덩이 벨트와, 상기 상기 기저귀 컵 또는 커버부재의 다른 면에 결합되는 제2엉덩이 벨트와, 상기 제1엉덩이 벨트 또는 제2엉덩이 벨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수벨크로부재와, 상기 제1엉덩이 벨트 또는 상기 제2엉덩이 벨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암벨크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한 기저귀 컵;과, 상기 기저귀 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받침 매트;와, 상기 기저귀 컵 및 허리 받침 매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을 감싸 사용자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엉덩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저귀 컵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양 측면과 바닥면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제1오물 유로가 구비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접촉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대응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제1벽부;와, 상기 측벽부에서 대응되도록 상기 제1벽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위치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벽부와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복 부분에 위치되는 제3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 받침 매트는, 상기 기저귀 컵의 선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받치는 받침 매트부와, 상기 받침 매트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저귀 컵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제1벽부와 제2벽부가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2벽부와 제3벽부가 연결되는 영역 중 어느 일 영역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되 상기 고정 밴드부에 박음질 처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는 사용자의 인체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는 사용자 엉덩이 부분의 피부가 오물 유로 측으로 말려 들어가서 발생할 수 있는 배설물 감지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는 오물 유로의 주변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에어 커튼을 통하여 위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 케이스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 케이스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의 제1오물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10)는, 와병 환자와 같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이러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10)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한 C자 형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와,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 내부의 배설물을 흡인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리 유닛(200)과,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와 처리 유닛(200)을 접속시키기 위한 처리 호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 내의 배설물은 처리 호스(300)를 통해 처리 유닛에 흡인되어 축적된다. 이렇게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와 처리 유닛(200)을 연결하기 위한 처리 호스는 주름관과 같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배설물를 수집하기 위한 기저귀 컵(110)과, 기저귀 컵(110)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120)와, 기저귀 컵(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받침 매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부재(120)는 기저귀 컵(110)의 뒤쪽을 덮는 제1커버 부재(121)와, 기저귀 컵(110)의 아래쪽을 덮는 제2커버 부재(122)를 포함한다.
허리 받침 매트(130)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고정되는 판상형의 매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허리 받침 매트는 기저귀 컵(110)의 앞쪽에서 기저귀 컵과 대면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기저귀 컵(110)에 허리 받침 매트(130)가 설치되면, 전체 형상이 옆에서 보아 ⊃형을 이루기 때문에, 기저귀 컵(110)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안정되게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허리 받침 매트(130)는 그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서 기저귀 컵(110)에 착탈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허리 받침 매트(130)는 기저귀 컵(110)의 앞쪽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받치는 받침 매트부(131)와, 받침 매트부(131)에서 연장 형성되어 기저귀 컵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매트부(131)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받쳐서 쿠션력을 제공하는 통상의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밴드부(132)는 받침 매트부(131)에서 일체로 연장되는데, 이러한 고정 밴드부(132)를 통하여 받침 매트부(131)는 기저귀 컵(1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밴드부(132)는 받침 매트부(131)의 일측을 기저귀 컵(110)의 후단 일측에 연결하기 위한 제1고정 밴드부(133)와, 받침 매트부(131)의 타측을 기저귀 컵의 후단 타측에 연결하기 위한 제2고정 밴드부(134)를 포함한다.
제1고정 밴드부(133)는 받침 매트부(131)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1A고정 밴드부(132A)와, 기저귀 컵(110)의 후단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1B고정 밴드부(132B)와, 제1A고정 밴드부(132A)와 제1B고정 밴드부(132B)를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 부재(132C)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A고정 밴드부(132A)와 제1B고정 밴드부(132B)는 제1체결 부재(132C)에 의해 간편하게 체결되며, 그 길이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제1체결 부재(132C)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제2고정 밴드부(134)는 받침 매트부(13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2A고정 밴드부(134A)와, 기저귀 컵(110)의 후단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2B고정 밴드부(134B)와, 제2A고정 밴드부(134A)와 제2B고정 밴드부(134B)를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 부재(134C)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A고정 밴드부(134A)와 제2B고정 밴드부(134B)는 제2체결 부재(134C)에 의해 간편하게 체결되며, 그 길이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제2체결 부재(134C)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밴드부(132)에는 엉덩이 벨트(140)가 연결되어 기저귀 컵(110)을 인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자의 착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엉덩이 벨트(14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에 위치하여 엉덩이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 및 하복 부분에 밀착 고정되어 기저귀 컵(110)을 인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엉덩이 벨트(140)는 제1고정 밴드부(133)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엉덩이 벨트(141)와, 제2고정 밴드부(134)에 연결되어 있는 제2엉덩이 벨트(142)와, 제1엉덩이 벨트(141) 또는 제2엉덩이 벨트(14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수벨크로부재(143)와, 제1엉덩이 벨트(141) 또는 제2엉덩이 벨트(14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암벨크로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엉덩이 벨트(141)는 사용자가 기저귀 컵(110)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도록 제1고정 밴드부(133)의 소정 위치에서 박음질 처리되어 제1고정 밴드부(133)와 일체로 연결된다. 다만, 제1엉덩이 벨트(141)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하면 충분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박음질 외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연결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제1고정 밴드부(13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엉덩이 벨트(142)는 사용자가 기저귀 컵(110)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도록 제2고정 밴드부(134)의 소정 위치에서 박음질 처리되어 제2고정 밴드부(134)와 일체로 연결된다.
제1엉덩이 벨트(141)와 제2엉덩이 벨트(142) 중 어느 하나에는 수벨크로부재(143)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암벨크로부재(144)가 구비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제1엉덩이 벨트(141)에 수벨크로부재(143)가 구비되고, 제2엉덩이 벨트(142)에 암벨크로부재(144)가 구비된 것으로 한다.
수벨크로부재(143)는 제1엉덩이 벨트(141)의 일측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결합되는데, 예를 들면, 수벨크로부재(143)는 제1엉덩이 벨트(141)의 일측에 복수로 박음질 처리된다.
암벨크로부재(144)는 수벨크로부재(143)가 제1엉덩이 벨트(141)에 결합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엉덩이 벨트(142)의 타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결합되는데, 예를 들면, 암벨크로부재(144)는 제2엉덩이 벨트(142)의 타측에 복수로 박음질 처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엉덩이 벨트(141)에 결합된 수벨크로부재(143)를 제2엉덩이 벨트(142)에 결합된 암벨크로부재(144)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기저귀 컵(110)을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기저귀 컵(110)을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상복 또는 허리 부분에 결합되어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 기저귀의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 케이스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배설물 수집 기저귀의 제1오물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의 기저귀 컵(110)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은 후 배출구(4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400)와, 베이스 부재(400)의 외부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밀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400)는 오물 유로로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아 배출구(4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베이스 부재(400)는 하측에 형성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제1오물 유로(411)가 구비된 플레이트부(410)와, 플레이트부(410)에서 일체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제2오물 유로(421)가 구비된 측벽부(420)와, 플레이트부(410) 또는 측벽부(420)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오물 유로(411,421)와 연결되어 수집된 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부(410)의 제1오물 유로(411)는 연속적으로 된 일정한 폭의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제1A오물 유로(411A)와, 제1A오물 유로(411A)에서 연장되되 배출구(430)를 향해 점차 가늘어지는 폭의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제1B오물 유로(41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부(410)의 앞쪽에는 배설물을 수집하여 흡인시키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1A오물 유로(411A)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A오물 유로(411A)는 오목한 형상을 형성하도록 바닥면과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고 횡단면이 대략 U자 모양이 되도록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고 있는데, 여기서 제1A오물 유로(411A)의 양 측면 사이의 폭은 연속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부(410)의 뒤쪽에는 제1A오물 유로(411A)와 인접하여 배설물을 수집하여 흡인시키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1B오물 유로(411B)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B오물 유로(411B)는 오목한 형상을 형성하도록 바닥면과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고 횡단면이 대략 U자 모양이 되도록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고 있는데, 여기서 제1B오물 유로(411B)의 양 측면 사이의 폭은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배출구(43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이러한 제1B오물 유로(411B)에는 배출구(4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B오물 유로(411B)는 제1A오물 유로(411A)와 곡률이 일치하도록 매끄럽게 연결 배설되어 배출구(430)를 향해 유로 폭을 서서히 감소시켜 배출구(43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측벽부(420)는 플레이트부(410)의 후단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상인데, 이러한 측벽부(420)에는 제1오물 유로(411)에 연결되되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형상으로 정의된 제2오물 유로(421)가 구비되어 있다.
제2오물 유로(421)는 오목한 형상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고 횡단면이 대략 U자 모양이 되도록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고 있는데, 여기서 제2오물 유로(421)의 양 측면 사이의 폭은 연속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500)는, 베이스 부재(400)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하복 부분으로부터 사타구니 부분을 거쳐 엉덩이 부분을 덮도록 C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 부재(500)는, 베이스 부재(400)의 플레이트부(410)에 대응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제1벽부(510)와, 베이스 부재(400)의 측벽부(420)에 대응되게 제1벽부(510)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위치되는 제2벽부(520)와, 제2벽부(520)의 상단에서 제1벽부(510)와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복 부분에 위치되는 제3벽부(530)와, 제1벽부(510)와 제2벽부(520) 및 제3벽부(530)에 걸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과 하복 부분에 연속적으로 밀착되는 제1실링부(540)와, 제1실링부(540)의 내측에서 제1벽부(510)와 제2벽부(520)에 걸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에 연속적으로 밀착되는 제2실링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벽부(510)는 베이스 부재(400)의 플레이트부(410)에 대응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400)의 플레이트부(4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벽부(510)는 베이스 부재(400)의 제1오물 유로(411)를 한정하기 위한 제1개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1벽부(510)에는 와병 환자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게 되며 와병 환자가 케이스 부재(500)를 장착하면 제1벽부(510)는 와병 환자의 엉덩이에 밀착하게 된다.
제2벽부(520)는 베이스 부재(400)의 측벽부(420)에 대응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400)의 측벽부(42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벽부(520)는 베이스 부재(400)의 제2오물 유로(421)를 한정하기 위한 제2개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2벽부(520)에는 와병 환자의 사타구니가 위치하게 되며 와병 환자가 케이스 부재를 장착하면 제2벽부(520)는 와병 환자의 사타구니에 밀착하게 된다.
제3벽부(530)는 제2벽부(520)의 상단에서 제1벽부(510)와 마주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복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3벽부(530)는 와병 환자의 음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531)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제3벽부(530)의 하단에는 신축 가능한 자바라 튜브(532)가 구비되어 제2벽부(520)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3벽부(530)의 자바라 튜브(532)는, 제1벽부(510)를 엉덩이 부분에 밀착하고, 제2벽부(520)를 사타구니 부분에 밀착한 다음 제3벽부(530)를 하복 부분에 밀착하는 과정에서 하복 부분을 향하여 신축되므로 제3벽부(530)의 하복 부분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1실링부(540)는 제1벽부(510)와 제2벽부(520) 및 제3벽부(530)에 걸쳐 형성되어 와병 환자와의 사이의 틈을 1차적으로 실링하게 된다.
제1실링부(540)는 제1벽부(510)와 제2벽부(520) 및 제3벽부(53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넓게 퍼져서 연장되는 제1밀착 날개(5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밀착 날개(541)는 제1벽부(510)의 상단, 제2벽부(520)의 상단, 제3벽부(530)의 상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와병 환자의 엉덩이 부분, 사타구니 부분, 하복 부분에 밀착되어 케이스 부재(500)에서 비산되는 물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제2실링부(550)는 제1벽부(510)와 제2벽부(520)에 걸쳐 형성되되 제1실링부(540)의 외측에 위치하여 와병 환자와의 사이의 틈을 2차적으로 실링하게 된다.
제2실링부(550)는 제1벽부(510)와 제2벽부(52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넓게 퍼져서 연장되는 제2밀착 날개(5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밀착 날개(551)는 제1벽부(510)의 상단, 제2벽부(520)의 상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와병 환자의 엉덩이 부분, 사타구니 부분, 하복 부분에 밀착되어 케이스 부재(500)에서 비산되는 물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제2밀착 날개(551)는 제1밀착 날개(541) 두께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제1밀착 날개(541)의 폭에 비해 얇은 폭을 가지므로 제2밀착 날개(551)는 엉덩이 부분의 피부가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1밀착 날개(541)와 제2밀착 날개(551)의 사이에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에어 유로(56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에어 유로(560)는 에어 노즐(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벨트(140)는, 제1벽부(510)와 제2벽부(520)가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2벽부(520)와 제3벽부(530)가 연결되는 영역 중 어느 일 영역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에어 노즐은 베이스 부재(400)의 측벽부(420)에 설치되어 처리 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더운 공기를 에어 유로(560)를 통하여 베이스 부재(400)의 제1오물 유로(411)에 공급함으로써 배설물과 혼합된 세척수를 건조한다.
즉, 에어 노즐의 다수개의 벤트홀(562)을 베이스 부재(400)의 측벽부(420) 양쪽에 배열하여 제1오물 유로(411)의 주변 외곽을 따라서 에어 커튼을 형성하면서 더운 공기를 베이스 부재(400)의 제1오물 유로(411)에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건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는, 와병 환자의 다리 사이에 안정되게 장착되어 제1 및 제2오물 유로(411,421)가 와병 환자의 배설물을 받아 외부로 배출하고, 배설물은 처리 유닛(200)이 흡입함으로써 처리되는데, 처리 유닛(200)은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배출구(430)와 처리 호스(300)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오물 유로(411,421)에 담긴 배설물을 흡입하여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 기저귀의 기저귀 컵에는 배설물 감지 센서와 세척 노즐(700)이 더 구비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 기저귀의 배설물 감지 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저귀 컵에 수집된 배설물은 배설물 감지 센서(600)에 의해서 감지되고, 처리 유닛(200)은 배설물 감지 센서(600)가 배설물을 감지함으로써 생성하는 신호를 받아 제1오물 유로(411)에 담긴 배설물을 흡입 처리한다.
이러한 배설물 감지 센서(600)는 제1A오물 유로(411A)에 수집된 대변을 감지하기 위한 제1배설물 감지 센서(610)와, 제1A오물 유로(411A) 및 제1B오물 유로(411B)에 수집된 소변을 감지하기 위한 제2배설물 감지 센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변을 감지하기 위한 제1배설물 감지 센서(610)는 제1커버 부재(121)의 보호를 받으면서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적외선을 조사하여 제1A오물 유로(411A) 내부의 대변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제1배설물 감지 센서(610)는 적외선 발광부와 수광부를 두어 일정 거리에서 되돌아오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대변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A오물 유로(411A)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같은 수지 재질로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제작되므로 제1배설물 감지 센서(61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에 대하여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제2배설물 감지 센서(620)는 제1A오물 유로(411A)와 제1B오물 유로(411B)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제1A오물 유로(411A)와 제1B오물 유로(411B) 중 어느 유로에 수집된 소변을 감지하지 하게 된다.
이러한 제2배설물 감지 센서(620)는 도전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핀을 제1A오물 유로(411A)의 바닥면과 제1B오물 유로(411B)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2열의 U자 형으로 나란하게 설치하여 복수의 전극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소변의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2배설물 감지 센서(620)는 제1A오물 유로와 제1B오물 유로(411B)에 소변이 수집되면, 복수의 전극핀의 탄성 성분의 저항이 달라지기 때문에 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2배설물 감지 센서(620)는 복수의 전극핀을 제1A오물 유로(411A)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제1B오물 유로(411B)의 바닥면까지 넓은 면적에 걸쳐서 배열되어 소변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변을 배설한 상태에서 옆으로 누워도 제1A오물 유로(411A)와 제1B오물 유로(411B)의 주변부에 배열된 복수의 전극핀을 충분히 침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침수된 2열의 전극핀의 사이에서는 저항의 변화가 일어나 소변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배설물 감지 센서(620)가 제1A오물 유로(411A)뿐만 아니라 제1B오물 유로(411B)에도 2열의 전극핀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소변이 제1A오물 유로(411A)를 거치지 않고 제1B오물 유로(411B)로 바로 수집되는 경우에도 소변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감지 센서(600)는 제1A오물 유로(411A)와 제1B오물 유로(411B)에 걸쳐 넓은 면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저귀 컵(110)의 내부에 수집된 소변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배설물 감지 센서(610)와 제2배설물 감지 센서(620)가 배설물을 감지하면,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는 제1 및 제2오물 유로(411,421)에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배설물을 세척한다. 세척수는 처리 유닛(200)으로부터 공급받으며, 처리 유닛(200)은 세척수와 함께 배설물을 흡입하여 처리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 기저귀의 세척 노즐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10)의 세척 노즐(700)은 제1오물 유로(411)의 바닥면에 수집된 배설물을 세척하기 위한 배설물 세척 노즐(710)과, 사용자의 배설기관을 세척하기 위한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설물 세척 노즐(710)은 제1오물 유로(411)와 제2오물 유로에 각각 설치되는 제1세척 노즐(711)과 제2세척 노즐(712)을 통하여 제1오물 유로(411)와 제2오물 유로(421)의 바닥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배설물을 세척한다.
이때, 제1오물 유로(411)와 제2오물 유로(421)에 각각 설치되는 제1세척 노즐(711)과 제2세척 노즐(712)은 제1오물 유로(411)와 제2오물 유로(421)의 바닥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제1세척 노즐(711)과 제2세척 노즐(712)은 그 노즐 구멍을 제1 및 제2오물 유로(411,421)를 따라서 복수로 배열 설치하여 배설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설물 세척 노즐(710)은 배설물과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세척노즐(711,712)은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의 뒤쪽에서 연결되는 처리 호스가 제1커버 부재(121)를 관통해서 처리 유닛(200)으로부터의 처리 호스(300)에 연결됨으로써 세척수를 공급받아 배설물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오물 유로(411,421)의 바닥면에는 수지를 코팅 처리하여 그 바닥면을 매끄럽게 형성함으로써 배설물과의 마찰력을 줄여 배설물의 세척 효과를 더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오물 유로(411,421)의 바닥면에는 테프론 수지를 코팅 처리하여 배설물의 세척 효과를 높이고 있다.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은 사용자의 배설기관을 세척하기 위하여 제2오물 유로(421)에 구비된다.
이러한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은 항문이나 음부와 같이 몸 밖의 배설기관을 세척하게 되는데,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온수일 수 있다.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은 제2오물 유로(421) 내부에서 제2세척 노즐(712)과의 인접 위치에 배설기관의 위치에 따라 배열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여 배설하고 난 뒤의 배설기관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은 항문이나 음부의 위치에 맞게 제2오물 유로(42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설하고 난 뒤의 항문이나 음부를 깨끗하게 세척한다.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은 제1커버 부재(121)를 관통해서 인입되는 처리 유닛(200)로부터의 호스에 연결됨으로써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은 배설물 세척 노즐(710)과 동시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배설기관을 세척하거나, 배설물 세척 노즐(710)이 배설물을 세척하고 난 뒤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배설기관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배설기관 세척 노즐(720)은 배설물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배설기관을 세척할 수 있다.
배설기관에 묻은 세척수 및 기저귀 컵(110)에 묻은 세척수는 에어 노즐과 연통되는 에어 유로(560)의해서 건조된다.
이러한 에어 노즐은 베이스 부재(400)의 측벽부(420)에서 에어 노즐의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처리 호스가 커버 부재(120)를 관통해서 인입되는 처리 유닛(200)으로부터 처리 호스(300)에 연결됨으로써 더운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받아 에어 유로(560)를 거쳐 베이스 부재(400)의 제1오물 유로(411)에 골고루 공급한다.
특히, 에어 노즐를 통하여 공급되는 더운 공기는 케이스 부재(500)의 양쪽에 구비된 벤트홀(561)에서 제1밀착 날개(541)와 제2밀착 날개(551)의 사이에 구비된 에어 유로(560)를 거쳐 제2밀착 날개(551) 종방향 띠의 에어 통로(552)를 통하여 제1오물 유로(411)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오물 유로(411,421)는 항상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쾌적함과 안락함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한 기저귀 컵(110)과, 기저귀 컵(110)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120)와, 기저귀 컵(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받침 매트(130)와, 기저귀 컵(110)과 커버부재(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을 감싸 사용자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엉덩이 벨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엉덩이 벨트(140')는 똑딱이 단추(미부호)를 사용해서 기저귀 컵(110)에 설치되어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엉덩이 벨트(140')는 기저귀 컵(110)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엉덩이 벨트(141')와, 기저귀 컵(110)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있는 제2엉덩이 벨트(142')와, 제1엉덩이 벨트(141') 또는 제2엉덩이 벨트(14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수벨크로부재(143')와, 제1엉덩이 벨트(141') 또는 제2엉덩이 벨트(14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암벨크로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100')는 제1엉덩이 벨트(141')에 결합된 수벨크로부재(143')를 제2엉덩이 벨트(142')에 결합된 암벨크로부재(144')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기저귀 컵(110)을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기저귀 컵(110)을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상복 또는 허리 부분에 결합되어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벨트(140')는 기저귀 컵(110)에 똑딱이 단추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엉덩이 벨트(140')는 커버부재(120)에 똑딱이 단추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는 사용자의 인체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100...배설물 수집 기저귀
200...처리 유닛 300...처리 호스

Claims (11)

  1. 배설물 수집 기저귀;와,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 내부의 배설물을 흡인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리 유닛;과,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와 처리 유닛을 접속하는 처리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배설물 수집 기저귀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한 기저귀 컵;과,
    상기 기저귀 컵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와,
    상기 기저귀 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받침 매트;와,
    상기 기저귀 컵과 커버 부재 및 허리 받침 매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을 감싸 사용자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엉덩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 컵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양 측면과 바닥면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제1오물 유로가 구비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접촉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대응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제1벽부;와,
    상기 측벽부에서 대응되도록 상기 제1벽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위치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벽부와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복 부분에 위치되는 제3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제1벽부와 제2벽부가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2벽부와 제3벽부가 연결되는 영역 중 어느 일 영역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받침 매트는,
    상기 기저귀 컵의 선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받치는 받침 매트부와, 상기 받침 매트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저귀 컵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고정 밴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부는,
    상기 허리 받침 매트의 일측을 기저귀 컵의 후단 일측에 연결하기 위한 제1고정 밴드부와, 상기 허리 받침 매트의 타측을 기저귀 컵의 후단 타측에 연결하기 위한 제2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제1고정 밴드부에 박음질되는 제1엉덩이 벨트와, 상기 제2고정 밴드부에 박음질되는 제2엉덩이 벨트와, 상기 제1엉덩이 벨트 또는 제2엉덩이 벨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수벨크로부재와, 상기 제1엉덩이 벨트 또는 상기 제2엉덩이 벨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암벨크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기저귀 컵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 및 하복 부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제1벽부와 제2벽부 및 제3벽부의 양 측면 상단에서 상기 제1오물 유로의 반대쪽을 향하여 넓게 퍼지는 횡방향 띠를 가지는 제1밀착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오물 유로에 구비되는 대변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케이스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기저귀 컵 또는 커버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엉덩이 벨트와, 상기 상기 기저귀 컵 또는 커버부재의 다른 면에 결합되는 제2엉덩이 벨트와, 상기 제1엉덩이 벨트 또는 제2엉덩이 벨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수벨크로부재와, 상기 제1엉덩이 벨트 또는 상기 제2엉덩이 벨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복수의 암벨크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10.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한 기저귀 컵;과,
    상기 기저귀 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받침 매트;와,
    상기 기저귀 컵 및 허리 받침 매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주변을 감싸 사용자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엉덩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 컵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양 측면과 바닥면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정의되는 제1오물 유로가 구비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접촉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대응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제1벽부;와,
    상기 측벽부에서 대응되도록 상기 제1벽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위치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벽부와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복 부분에 위치되는 제3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 받침 매트는,
    상기 기저귀 컵의 선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받치는 받침 매트부와, 상기 받침 매트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저귀 컵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벨트는, 상기 제1벽부와 제2벽부가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2벽부와 제3벽부가 연결되는 영역 중 어느 일 영역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되 상기 고정 밴드부에 박음질 처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
KR1020120062582A 2012-06-12 2012-06-12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KR101440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82A KR101440899B1 (ko) 2012-06-12 2012-06-12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82A KR101440899B1 (ko) 2012-06-12 2012-06-12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983A true KR20130138983A (ko) 2013-12-20
KR101440899B1 KR101440899B1 (ko) 2014-09-17

Family

ID=4998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582A KR101440899B1 (ko) 2012-06-12 2012-06-12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8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774A (ko) * 2016-02-29 2018-10-04 가부시키가이샤 리버티솔루션 간호용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의 배설물 받이구
CN108685633A (zh) * 2017-04-11 2018-10-23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用于护理机的穿戴组件及护理机
CN108685631A (zh) * 2017-04-11 2018-10-23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护理机的穿戴组件及护理机
CN109730725A (zh) * 2019-01-08 2019-05-10 宁波新跃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集尿杯以及集尿器
CN113712724A (zh) * 2021-08-10 2021-11-30 深圳作为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机器人的工作头
KR102524715B1 (ko) * 2022-07-14 2023-05-02 진양메디 주식회사 환자용 비데침대
WO2024008062A1 (zh) * 2022-07-05 2024-01-11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包裤装置、集便组件及护理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675B1 (ko) * 2015-09-25 2016-05-19 주식회사 큐라코 통합연결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49B1 (ko) * 2006-05-26 2008-01-16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JP2008036018A (ja) 2006-08-03 2008-02-21 Care Life Japan Kk 使用者装着装置及び自動排泄処理装置
KR100946345B1 (ko) * 2007-09-18 2010-03-09 이진용 와병 환자용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093444B1 (ko) * 2010-01-04 2011-12-19 한국산재의료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774A (ko) * 2016-02-29 2018-10-04 가부시키가이샤 리버티솔루션 간호용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의 배설물 받이구
CN108685633A (zh) * 2017-04-11 2018-10-23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用于护理机的穿戴组件及护理机
CN108685631A (zh) * 2017-04-11 2018-10-23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护理机的穿戴组件及护理机
CN109730725A (zh) * 2019-01-08 2019-05-10 宁波新跃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集尿杯以及集尿器
CN113712724A (zh) * 2021-08-10 2021-11-30 深圳作为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机器人的工作头
CN113712724B (zh) * 2021-08-10 2023-12-26 深圳作为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机器人的工作头
WO2024008062A1 (zh) * 2022-07-05 2024-01-11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包裤装置、集便组件及护理机
KR102524715B1 (ko) * 2022-07-14 2023-05-02 진양메디 주식회사 환자용 비데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899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89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KR101093444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200473152Y1 (ko)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KR20160110936A (ko) 장착용 변좌
KR101210932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JP4537436B2 (ja) 病臥患者用自動排泄物処理装置
JPH08322868A (ja) 排泄物処理装置
KR10131322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 및 그 등 받침 매트
KR100946345B1 (ko) 와병 환자용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20130028282A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20150051376A (ko)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JP4502973B2 (ja) 装着型排泄装置
KR101544566B1 (ko)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622102B1 (ko) 회전노즐이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WO2007034774A1 (ja) オムツカバー体
KR20090078139A (ko)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JP2008035988A (ja) 使用者装着装置及び自動排泄処理装置
KR20120091682A (ko) 배설물 처리장치
KR101429170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JP5022634B2 (ja) 介護用マット
KR102667579B1 (ko) 착용형 폐기물 제거 및 세정 장치
KR102134871B1 (ko) 침대용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20171470A (ja) 介護用排泄物受けユニット及び介護用ガーター
JP2000210322A (ja) 排泄物処理装置
JP3995841B2 (ja) 介護用屎尿処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