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974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974A
KR20130138974A KR1020120062557A KR20120062557A KR20130138974A KR 20130138974 A KR20130138974 A KR 20130138974A KR 1020120062557 A KR1020120062557 A KR 1020120062557A KR 20120062557 A KR20120062557 A KR 20120062557A KR 20130138974 A KR20130138974 A KR 2013013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battery support
portable terminal
batte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일
박병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8974A/ko
Publication of KR2013013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고, 배터리장착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박육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1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 Portab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역할도 가능하고, 음악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바, 이 배터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별도로 제작하여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장착하고 있는데, 이 프레임은 휴대용 단말기의 셋 슬림화에 따라 두께도 얇아져 강성 저하가 되어, 충격 등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고, 배터리장착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박육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1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은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존재하고,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은 상기 홈 형상의 배터리 장착 영역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은 Al, Mg, Zn 중 하나 또는 하나의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박육부는 격자 패턴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박육부는,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이 소정 두께만큼 제거된 홈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홈은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바닥면,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바닥면의 반대면, 이들 모두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 지지 프레임이 박육부를 포함하고 있어,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된 박육부는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으므로, 외력에 의한 충격을 박육부가 흡수하여 강도 저하를 막아 뒤틀림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박육부로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함으로써, 평탄도를 개선되어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일례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에 박육부가 형성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에 박육부가 형성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다른 예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는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고, 배터리장착 영역(211)이 마련되어 있는 제 1 케이스(210)와;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211)에 위치되어 있고, 박육부(250)를 포함하는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과; 상기 제 1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케이스(2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커버이고, 상기 제 2 케이스(100)는 후면 커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210)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211)은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존재하고,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형상의 배터리 장착 영역(2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으로 구현된다.
또,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에 포함된 박육부(250)는 용기 형상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은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은 Al, Mg, Zn 중 하나 또는 하나의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은 배터리 접속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2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 지지 프레임이 박육부를 포함하고 있어,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박육부(250)는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으므로, 외력에 의한 충격을 상기 박육부가 흡수하여 강도 저하를 막아 뒤틀림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일례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에 박육부가 형성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에 박육부가 형성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은 't1'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영역(231)과, 영역 '231'보다 얇은 두께 't3'를 갖는 박육부(23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박육부(232)는 두께 't2'만큼 제거되어 두께가 얇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t2'만큼 제거된 영역은 홈과 같은 형상으로 존재하고, 이 홈들은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에서 균일한 간격 'd'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육부(2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의 일부 영역(A,B,C,D)에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육부(232)가 존재하는 영역은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의 전체적으로 박육부(250)가 분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박육부(250)는 패턴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는 박육부(250)가 격자 패턴으로 존재하고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다른 예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배터리 지지 프레임은 전술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만큼 제거하여 홈과 같은 형상을 만들어 박육부(232)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도 3과 같이, 상기 박육부(232)를 형성하기 위한 홈이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의 바닥면(230a)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a와 같이, 상기 박육부(232)를 형성하기 위한 홈(235)이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의 바닥면(230a)의 반대면(230b)에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육부(232)를 형성하기 위한 홈(233,235)이 배터리 지지 프레임(230)의 바닥면(230a)과 그의 반대면(230b)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233,235)은 서로 대응되어 위치되거나, 도 6c와 같이, 엇갈리게 위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지지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배터리 지지 프레임을 형성한다.(S100단계)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은 Al, Mg, Zn 중 하나 또는 하나의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에 박육부를 형성한다.(S110단계)
상기 박육부는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을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하거나, 또는 식각하여 형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고, 배터리장착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박육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1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은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존재하고,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은 상기 홈 형상의 배터리 장착 영역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으로 구현된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은 Al, Mg, Zn 중 하나 또는 하나의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형성된 것인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격자 패턴으로 존재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이 소정 두께만큼 제거된 홈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홈은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바닥면, 상기 배터리 지지 프레임의 바닥면의 반대면, 이들 모두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062557A 2012-06-12 2012-06-12 휴대용 단말기 KR20130138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57A KR20130138974A (ko) 2012-06-12 2012-06-12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57A KR20130138974A (ko) 2012-06-12 2012-06-12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974A true KR20130138974A (ko) 2013-12-20

Family

ID=4998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557A KR20130138974A (ko) 2012-06-12 2012-06-12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89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322B1 (ko) * 2014-09-16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53456A (ko) * 2014-11-04 2016-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18088773A1 (ko) * 2016-11-11 2018-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117664A1 (ko)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322B1 (ko) * 2014-09-16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53456A (ko) * 2014-11-04 2016-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18088773A1 (ko) * 2016-11-11 2018-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117664A1 (ko)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67921B2 (en) 2016-12-23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2074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with reinforcing support member
US9280177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US7697283B2 (en) Enclosure foot assembly and manufacture
CN105452128A (zh) 用于手机、其它便携式电子装置及其它设备的复合保护壳体
KR20130138974A (ko) 휴대용 단말기
US8718723B2 (en) Device housing,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997746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n enclosure stiffener
USD727304S1 (en) Electronic device
KR20150029733A (ko) 휴대형 전자제품
US20120155052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045557A1 (en) Mobile telephone case
JP2008147407A (ja) 枠体の補強構造及び該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CN203574814U (zh) 扬声器箱
CN104339529A (zh) 一种电子终端的制造方法和电子终端
US8456817B2 (en)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03690380U (zh) 一种抽屉式手机电池座
JP2012198673A (ja) 電子機器
CN202121741U (zh) 一种组合音响后壳结构
KR101966949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0588B1 (ko) 밴딩과 캠형금형을 이용한 가공으로 형성되는 휴대폰 메탈 케이스의 제조방법
CN205945841U (zh) 摄像头模组以及移动终端
JP2015139036A (ja) 携帯端末
KR20130030720A (ko)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JP5686685B2 (ja) 携帯端末
CN103546608B (zh) 一种多侧键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