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718A -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 - Google Patents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718A
KR20130137718A KR1020137031211A KR20137031211A KR20130137718A KR 20130137718 A KR20130137718 A KR 20130137718A KR 1020137031211 A KR1020137031211 A KR 1020137031211A KR 20137031211 A KR20137031211 A KR 20137031211A KR 20130137718 A KR20130137718 A KR 20130137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parameter
communication
beac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오나르드 에이치. 그로콥
메멧 야뷰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레벨 전력 송신 방식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어떤 한 전력 레벨로 전송하는 한편, 짧은 기간들의 시간 동안에는 버스트 전력 레벨로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짧은 듀레이션의 주기적인 고 전력 버스트들로 비컨을 전송할 수 있는 한편, 펨토 셀 송신 전력은 또한 비컨 버스트들과 정렬되는 고 전력 버스트들을 겪는다. 네트워크 청취 기반 전력 제어 방식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청취한 다음, 수신된 파라미터(들)를 기초로 송신 전력을 정의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 및 채널에 대한 총 수신 신호 전력을 기초로 비컨 송신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정의된 커버리지 파라미터 및 특정 타입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신호들과 연관된 수신 에너지를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BEACON TRANSMIT POWER SCHEMES}
본 출원은 2009년 7월 24일자 제출되었으며 대리인 관리 번호 092907P1호가 부여된 공통 소유의 미국 예비 특허 출원 61/228,475호의 이익 및 이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는 이로써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배타적이진 않게 송신 전력 제어 방식(scheme)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정의된 지리적 영역에 걸쳐 전개되어 그 지리적 영역 내에서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타입들의 서비스들(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통상의 구현에서, (예를 들어, 상이한 매크로 셀들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이 네트워크 전역에 분산되어, 네트워크에 의해 서빙되는 지리적 영역 내에서 작동하고 있는 액세스 단말들(예를 들어, 휴대폰들)에 대해 무선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높은 속도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들에 대한 수요가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향상된 성능을 갖는 효율적이고 강력한 통신 시스템들을 구현하기 위한 과제가 존재한다. 기존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들)을 보완하기 위해, 작은 커버리지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모바일 유닛들에 더욱 강력한 실내 무선 커버리지 또는 다른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전개(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커버리지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예를 들어, 펨토 셀들,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들, 홈 NodeB들 또는 홈 eNodeB들로 지칭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작은 커버리지의 기지국들은 DSL 라우터 또는 케이블 모뎀을 통해 인터넷 및 모바일 운영자의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소정 시점에서, 액세스 단말은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주어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빙될 것이다. 액세스 단말이 네트워크 전역으로 로밍할 때, 액세스 단말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더 가까이 이동할 수도 있다. 특정 상황들 하에서, 그러면 액세스 단말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을 재선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자신의 현재 서빙 액세스 포인트에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이 관련 펨토 셀(예를 들어, 홈 펨토 셀)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이 펨토 셀의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하자마자 현재 서빙 매크로 셀로부터 펨토 셀로 액세스 단말을 핸드오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유휴 사용자 장비)이 펨토 셀에 도착할 때 액세스 단말이 펨토 셀을 지속적으로 발견하고 펨토 셀을 재선택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더욱이, 펨토 셀의 위치(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펨토 셀의 근접성)에 관계없이 그리고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에 상당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예를 들어, 매크로 셀과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중단(outage) 영역들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이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샘플 양상들의 개요가 이어진다. 본원의 논의에서, 양상들이라는 말의 언급은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을 언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부 양상들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송신들이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미칠 수 있는 임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면서, 인근의 액세스 단말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의 발견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송신 전력을 정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에 의한 송신들의 결과로서 달리 발생할 수 있는, 인근의 매크로 셀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단말들에서의 중단들(예를 들어, 통화 단절(call drop)들)을 완화하면서, 펨토 셀에 대한 액세스가 허가된 액세스 단말들에 의한 펨토 셀에 대한 재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해당 펨토 셀에 대해 송신 전력이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부 양상들에서는, 다중 레벨 전력 송신 방식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전력 레벨로 전송할 수 있지만, 간혹(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짧은 기간들의 시간 동안 버스트 전력 레벨(즉,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다중 레벨 전력 방식은 보통의 액세스 포인트 송신들(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들)을 위해 그리고/또는 비컨 송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펨토 셀은 짧은 듀레이션의 주기적인 고 전력 버스트들로 매크로 셀 주파수 상에서 전파 방해(jamming) 비컨을 전송할 수 있다. 게다가, 펨토 셀 송신 전력은 또한 주기적인 고 전력 버스트들을 겪을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일부 양상들에서는, 동기화된 방식으로 버스트들을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펨토 셀의 송신 전력 버스트들이 펨토 셀의 비컨 버스트들과 동기화(예를 들어,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기화된 버스트들의 사용은 펨토 셀의 근처의 임의의 허가된 액세스 단말들에 의한 펨토 셀에 대한 재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펨토 셀로부터의 비컨 버스트 검출시, 액세스 단말은 펨토 셀로부터의 다른 송신들(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의 탐색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송신들은 본원의 교시들에 따른 버스트 기간 동안 더 높은 전력으로 전송될 것이므로, 액세스 단말은 펨토 셀로부터 이러한 신호들을 더 쉽게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신호들(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의 획득시, 액세스 단말은 펨토 셀로의 재선택을 시작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부 양상들에서는, 네트워크 청취 기반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에 의해(예를 들어, 매크로 셀에 의해) 무선으로(over-the-air) 전송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청취한 다음, 수신된 파라미터(들)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송신 전력 값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기초로 펨토 셀의 비컨 버스트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Qqualmin 파라미터를 기초로 펨토 셀 전력 또는 비컨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부 양상들에서는, 채널 상의 총 수신 신호 전력을 기초로 한 그리고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를 기초로 한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펨토 셀에서 매크로 채널에 대해 측정된 총 수신 신호 전력을 기초로 그리고 펨토 셀 비컨이 액세스 단말에서의 매크로 셀 Ecp/Io를 특정한 최소 값(예를 들어, Qqualmin) 아래로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는, 펨토 셀로부터의 경로 손실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기초로 펨토 셀에서의 비컨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부 양상들에서는, 특정 타입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신호들과 연관된 수신 에너지를 기초로 한 그리고 정의된 커버리지 파라미터를 기초로 한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의 결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채널을 통해 모든 매크로 셀들로부터 수신된 에너지를 기초로 그리고 펨토 셀의 커버리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기초로 펨토 셀에서의 펨토 셀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샘플 양상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그리고 첨부 도면들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다중 레벨 전력 제어를 제공하도록 적응된 통신 시스템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동기화된 버스트 송신들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중단 및 비컨 커버리지 영역들의 샘플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4는 수신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총 수신 전력 및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를 기초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수신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수신 에너지 및 정의된 커버리지 파라미터를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흐름도이다.
도 8은 통신 노드들에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9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10은 펨토 노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11은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보여주는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12는 통신 컴포넌트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13 - 도 17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들의 여러 샘플 양상들의 단순화된 블록도들이다.
일반적인 실시에 따르면, 도면들에 나타낸 다양한 피처(feature)들은 스케일에 맞게 그려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명확성을 위해 다양한 피처들의 치수들은 임의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 도면들 중 일부는 단순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들은 주어진 장치(예를 들어, 디바이스) 또는 방법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도시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명세서 및 도면들 전반에서 동일한 피처들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본원의 교시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 개시되는 어떠한 특정 구조, 기능, 또는 둘 다는 예시일 뿐임이 명백할 것이다. 본원의 교시들을 기초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원에 개시된 양상이 다른 어떤 양상들과도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양상들 중 둘 이상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서 언급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되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언급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그 이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되거나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더욱이, 한 양상은 청구항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샘플 통신 시스템(100)(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의 여러 노드들을 나타낸다. 설명을 위해,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 액세스 포인트들 및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원의 교시들은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언급되는 다른 타입들의 장치들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들에 적용 가능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기지국들, 매크로 셀들, 펨토 셀들, NodeB들 등으로 지칭 또는 구현될 수도 있는 한편, 액세스 단말들은 사용자 장비, 모바일들 등으로 지칭 또는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100)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시스템(10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 전역으로 로밍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들(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2))에 대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시점들에서 액세스 단말(102)은 시스템(100) 내의 액세스 포인트(104), 액세스 포인트(106), 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은 광역 통신망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편의상 네트워크 엔티티(108)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구현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108)는: (예를 들어, 운용, 관리, 유지보수 및 제공 엔티티들을 통한) 네트워크 관리, 호 제어, 세션 관리, 이동성 관리, 게이트웨이 기능들, 연동(interworking) 기능들, 또는 다른 어떤 적합한 네트워크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의 교시들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106)(예를 들어, 펨토 셀)는 서로 다른 시간들에 서로 다른 송신 전력 레벨들이 사용되게 하는 다중 레벨 전력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대응하는 점선에 의해 단순화된 방식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표준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하나의 전력 레벨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대응하는 점선에 의해 단순화된 방식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버스트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전송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도 1의 다양한 양상들은 스케일에 맞게 그려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준 커버리지 및 버스트 커버리지는 도 1에서 스케일에 맞게 그려지지 않고 단순한 원들로 표현된다. 실제로 이러한 커버리지는 형태가 더 복잡할 것이고 버스트 커버리지는 표준 커버리지보다 훨씬 더 넓을 수도 있는 것이라고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도 1의 엔티티들 사이의 거리들은 스케일에 맞게 그려지지 않는다.
액세스 포인트(106)는 보통의 송신들(예를 들어, 펨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신들) 및 비컨 송신들(예를 들어, 매크로 채널을 통한 비컨 송신)을 위해 다중 레벨 전력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6)가 정상적으로 일정한 전력 레벨로 주어진 채널을 통해 전송하다가, 간혹 더 높은 전력 레벨로 전송(즉, 버스트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6)가 정상적으로 일정한 전력 레벨로 하나 이상의 매크로 채널들을 통해 비컨들을 전송하다가, 간혹 이러한 채널들을 통해 더 높은 전력 레벨로 비컨들을 전송(즉, 비컨 버스트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6)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자신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6)의 송신 전력 제어기(110)는 백홀을 통해 수신된(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108)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112)를 기초로 표준 송신 전력 레벨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기(110)는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6)가 존재하는 커버리지 내의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으로(over-the-air) 수신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114)을 기초로 비컨 송신 전력 레벨 및/또는 비컨 버스트 송신 전력 레벨을 정의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정규의 펨토 셀 송신, 정규의 비컨, 비컨 버스트 및 펨토 셀 버스트의 전력 레벨들은 매크로 신호 강도 및 총 수신 신호 전력의 측정들을 기초로 교정될 수 있다. 정규의 비컨 전력은 일정한(작은) 중단 반경이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네트워크 운영자가 매크로 셀들에 대해 파라미터 Sintersearch > 0을 설정했다면, 비컨 커버리지 반경(주파수 간 탐색이 트리거(trigger)되는 반경)은 중단 반경보다 더 커질 것이다. 비컨 버스트 전력은 매크로 셀 내에서의 펨토 셀의 위치와 관계없이, 펨토 셀 전개 위치 경계(예를 들어, 아파트, 주택 또는 사무실 경계)에서 주파수 간 셀 탐색의 일관된 트리거를 유지하도록 매크로 셀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기초로 설정된다. 펨토 셀 전력은 해당 펨토 셀 파일럿 스크램블링 코드(PSC: pilot scrambling code)에 대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11)을 통해 매크로 네트워크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Qqualmin 파라미터를 기초로 설정되어, 아파트/주택/사무실의 경계 내의 액세스 단말은 펨토 셀을 재선택할 수 있도록 충분한 펨토 셀 커버리지를 갖게 될 것이다. 이런 식으로, 매크로 셀 내에서의 펨토 셀의 위치와 관계없이, 집에 도착한 홈 액세스 단말들(예를 들어, 펨토 셀의 화이트리스트(whitelist)에 속하는 액세스 단말들)에 의한 펨토 셀의 일관된 발견이 보장될 수 있는 동시에, 매크로 액세스 단말들(예를 들어, 화이트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원의 교시들은 다양한 전개 방식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교시들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와 펨토 액세스 포인트가 동일한 채널(예를 들어, 주파수(f1)) 상에서 동작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 이상의 다른 채널들(예를 들어, 주파수(f2)) 상에서 동작하는 공통 채널 전개 방식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교시들은 또한 펨토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의 채널(예를 들어, 주파수(f1)) 상에서 동작하고 하나 이상의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들이 하나 이상의 다른 채널들(예를 들어, 주파수(f2)) 상에서 동작하는 전용 채널 전개 방식에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다음 논의는 주로 공동 채널 전개 방식을 설명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채널"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되는 (예를 들어, 지정된 공칭(nominal) 주파수에 대응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관습상, 이러한 채널은 주파수로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펨토 셀이 동작하는 채널은 펨토 주파수로 지칭될 수 있는 한편, 매크로 셀이 동작하는 채널은 매크로 주파수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6)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샘플 동작들이 이제 도 2 및 도 4 - 도 7의 흐름도들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편의상, 도 2 및 도 4 - 도 7의 동작들(또는 여기서 논의되거나 교시된 임의의 다른 동작들)은 특정 컴포넌트(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8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들은 다른 타입들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개수의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되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은 주어진 구현에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도 2는 동기화된 버스트 송신들을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함께 수행될 수 있는 샘플 동작들을 설명한다. 처음에, 보통의 송신들 및 비컨 송신들에 대해 표준 및 버스트 전력 레벨들이 정의된다. 그 다음, 액세스 포인트가 버스트들의 송신들을 동기화한다.
설명을 위해, 도 2의 동작들은 펨토 셀(즉, 펨토 액세스 포인트)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홈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적절한 펨토 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펨토 셀의 커버리지 반경 바로 바깥에 위치할 수 있는 매크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간섭 및 이들에 의한 재선택 시도들을 제한하도록 (예를 들어, 펨토 주파수(f1)에 대한 펨토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펨토 셀 전력 교정이 설계된다. 또한, 홈 액세스 단말들에 의한 펨토 셀의 발견을 용이하게 하고, 펨토 셀 주변의 매크로 액세스 단말들에 의한 펨토 셀의 발견을 방지하도록 (예를 들어, 매크로 주파수(f2)에 대한 전파 방해(jamming) 비컨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비컨 전력 교정이 설계된다.
다음 예에서, 전력 교정은 4개의 값들: 1) f1에 대한 펨토 셀 송신 전력; 2) f1에 대한 펨토 셀 버스트 전력; 3) f2에 대한 비컨 전력; 및 4) f2에 대한 비컨 버스트 전력의 계산으로 구성된다. 비컨 및 펨토 송신 전력들 모두 각각의 버스트가 정의된 버스트 듀레이션 동안 지속되는 정의된 버스트 기간에 따라 주기적인, 순간적 버스트들을 겪는다. 여기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버스트들의 사용을 통해, 홈 액세스 단말은 자신의 관련 펨토 셀을 더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비컨 및 펨토 버스트는 동시에 발생하고 동일한 듀레이션을 갖도록 동기화된다.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일부 구현들에서 버스트들은 네트워크에 걸쳐(즉,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시간 동기화된다. 이런 식으로, 주어진 액세스 단말은 그 액세스 단말에 가장 가까운 펨토 셀로부터 나오는 버스트에만 응답할 수 있다.
버스트 기간은 다양한 방식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버스트 기간은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버스트 듀레이션 = N x DRX_cycle_duration, 여기서 N은 (예를 들어, 펨토 셀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은) 가장 강한 서빙 매크로 셀의 Treselection 파라미터에 의해 주어지는 것과 같이, 셀 재선택이 일어나기 위해 재선택 기준들이 충족될 필요가 있는 연속 DRX 주기들의 개수이다. 샘플 구현에서는, 1 - 2분 정도의 버스트 듀레이션이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20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어떤 시점에서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자신이 펨토 주파수(예를 들어, 주파수(f1)) 상에서 일반적으로 전송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식들에는 선형 단위들이 사용된다.
펨토 셀은 다음 식에 따라, 펨토 셀 주파수(f1) 상에서 (예를 들어, 다른 펨토 셀들로부터의 기여들을 제외한) 매크로 셀들로부터의 총 수신 신호 전력의 추정치를 계산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macro_PSC_list_f1은 f1에 대한 매크로 PSC들의 리스트이고, Ecp_macro_f1(i)는 f1에 대한 i번째 매크로 PSC의 수신 파일럿 에너지이며, Ecp/Ior_macro는 매크로 셀들에 대한 파일럿 전력 대 총 전력의 추정된 비에 해당하는 파라미터이다. 펨토 셀은 다음 식들에 따라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Ecp_macro_f1은 f1에 대한 가장 강한 매크로 PSC의 수신 파일럿 에너지이고, Ecp/Io_min은 매크로 셀 사용자에 대해 요구되는 최소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PL_edge는 펨토 셀 커버리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Qqualmin_femto는 f1에 대해 매크로 셀의 SIB(11)로부터 판독된 펨토 셀 PSC에 대한 Qqualmin 값이고, pilot_gain은 파일럿 채널에 기인한 최대 총 송신 펨토 셀 전력의 분율(fraction)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P_femto_min은 최소(완전히 로딩된) 펨토 셀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이며, P_max는 최대 펨토 셀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이다.
전력 설정(P_femto2)은 펨토 셀로부터 PL_edge보다 더 멀리 떨어진 액세스 단말들이 펨토 셀을 재선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는 해당 펨토 셀에서 허가되지 않은 액세스 단말들에 의한 재선택 시도들(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단말들에 의한 시도들)의 수를 제한하고, 따라서 레거시(legacy) 액세스 단말들의 대기 시간을 개선한다. 전력 설정(P_femto1)은 액세스 단말이 펨토 셀로부터 PL_edge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액세스 단말이 대략 Ecp/Io_min의 Ecp/Io에서 매크로를 청취하도록 송신 전력을 제한함으로써 펨토 셀과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매크로 액세스 단말들을 보호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매크로 액세스 단말에서와 대비하여 펨토 셀에서의 Ecp_macro 값과 Io_macro 값 사이의 불일치는 Ecp/Io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매크로 액세스 단말로부터 PL_edge보다 더 멀리 위치하는 추가적인 간섭 펨토 셀의 존재는 예를 들어,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3㏈만큼 Ecp/Io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Ecp/Io_min 파라미터는 Qqualmin 값보다 몇 ㏈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블록(20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단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이 정의되면, 액세스 포인트 버스트 송신 전력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다음과 같이 블록(202)에서 계산된 펨토 전력에 마진을 추가함으로써 펨토 주파수 상에서 버스트들을 전송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블록(20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컨 송신 전력이 정의된다. 여기서, 펨토 셀은 대개 매크로 주파수(예를 들어, 주파수(f2)) 상에서 비컨들을 전송할 표준 전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비컨 전력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Io_f2는 주파수(f2) 상에서 측정된 총 수신 신호 전력이다. ACIR는 인접 반송파 간섭비에 해당하는 파라미터이며, P_NF는 방사 마스크의 잡음 플로어의 수신 전력에 해당하는 파라미터이고, PL_BE는 매크로 Ecp/Io를 Qqualmin 아래로 떨어뜨리게 할 가능성이 있는 펨토 셀로부터의 경로 손실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Ecp_macro_f2는 F2 상에서 가장 강한 매크로 PSC의 수신 파일럿 에너지이며, Qqualmin은 SIB(3)로부터 판독된 f2 상에서의 가장 강한 매크로 셀 PSC에 대한 해당 값이며, P_beacon_min은 최소 비컨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이다.
도 2의 블록(208)에 표시된 것과 같이, 비컨 버스트 송신 전력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다음 식들을 기초로 자신이 매크로 주파수 상에서 비컨 버스트들을 전송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Sintersearch는 f2 상에서 가장 강한 매크로 셀의 SIB(3)로부터의 대응 값이다. 비컨 버스트 전력은 이 예에서 정규의 비컨 전력과 다르게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비컨 버스트 전력은 펨토 셀로부터 PL_edge보다 더 가까운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주파수 간 탐색을 트리거하도록 설정된다. 상기로부터, 비컨 버스트 전력이 네트워크 운영자의 매크로 셀 Sintersearch 파라미터의 함수로써 설정됨이 확인된다. 이는 매크로 셀 Sintersearch 설정과 관계없이, 아파트/주택/사무실 경계에서 홈 액세스 단말의 펨토 셀의 일관된 홈 액세스 단말 발견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네트워크가 Sintersearch의 값을 변경하더라도, 주어진 펨토 셀에 대한 비컨 버스트 경계는 여전히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위의 식들에서, 비컨 전력은 펨토 셀로부터 PL_BE보다 더 떨어진 매크로 액세스 단말들이 매크로 중단 상태(매크로 Ecp/Io > Qqualmin)가 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 예에서, 매크로 신호 강도가 시작하기에 충분히 부족하다면, 비컨은 오프로 전환되어 매크로 커버리지의 추가 저하를 방지한다. 비컨이 주파수 간 탐색을 트리거하게 될 경로 손실은 네트워크의 Sintersearch 설정에 좌우되지만, Sintersearch > 0이 제공될 경우에는 PL_BE보다 더 클 것이다.
도 3은 (평면도에 도시된) 빌딩(302)에 전개된 액세스 포인트(304)에 대해 단순화된 방식으로 이 개념을 설명한다. 여기서, 중단 영역의 경계는 점선(306)으로 표시되는 한편, 비컨 커버리지 영역의 경계는 점선(308)으로 표시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들에서 버스트들의 송신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세트의 펨토 셀들(예를 들어, 주어진 네트워크 내의 또는 주어진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 내의 모든 펨토 셀들)은 이들의 버스트 송신들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블록(21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액세스 포인트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는 버스트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2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의 버스트 송신들을 동기화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자신의 펨토 버스트들 및 자신의 비컨 버스트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버스트들은 공통(즉,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기성 및 공통 버스트 듀레이션으로 전송된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의 버스트 송신의 타이밍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버스트 송신들의 타이밍과 동기화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식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의 설정들(㏈ 단위)의 예는 다음과 같다: Ecp/Ior_macro = -7㏈, Ecp/Io_min = -16㏈, Qqualmin_femto = -12㏈, Qqualmin = -18㏈, femto_burst_margin = 10㏈, beacon_burst_margin = -8㏈, PL_BE = 아파트들에 대해 45㏈, 주택들에 대해 55㏈, 사무실용 빌딩들에 대해 65㏈, PL_edge = 아파트들에 대해 75㏈, 주택들에 대해 85㏈, 사무실용 빌딩들에 대해 95㏈, P_femto_min = -30㏈m, P_beacon_min = -40㏈m, P_max = 10㏈m, P_NF = -45㏈m, ACIR = 33㏈, pilot_gain = -10㏈.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무선으로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한 비컨 전력의 정의와 함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샘플 동작들이 설명된다. 이러한 동작들은 표준 비컨 전력 및/또는 비컨 버스트 전력에 적용 가능하다.
블록(40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매크로 주파수(예를 들어, 주파수(f2)) 상에서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예를 들어, 펨토 셀의 관점에서 가장 강한 매크로 셀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SIB(3)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Qqualmin 파라미터와 같은 최소 필요 신호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와 같은 품질 파라미터는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있는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와의 호를 유지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에 대한 최소 신호 품질을 특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파라미터는 Sintersearch 파라미터와 같은 탐색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와 같은 탐색 파라미터는 액세스 단말이 다른 셀들을 어떻게(예를 들어, 얼마나 적극적으로) 탐색하는지를 제어하도록 정의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40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수신된 파라미터(들)를 기초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도 2에서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Qqualmin을 기초로 표준 비컨 송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표준 비컨 송신 전력의 계산은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예를 들어, PL_BE)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할 수도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와 같은 경로 손실 타깃은 중단 영역에 대응할 수 있는데, 이 중단 영역 내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call drop)들을 발생시키고, 이 중단 영역 밖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펨토 셀은 도 2에서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Sintersearch를 기초로 비컨 버스트 송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비컨 버스트 송신 전력의 계산은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예를 들어, PL_edge)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비컨 버스트 송신 전력의 결정은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이와 같이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보다 더 가까운 경우에 액세스 단말에서 다른 셀들에 대한 탐색이 트리거되게 하는 송신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40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된 비컨 송신 전력을 기초로 비컨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표준 비컨 송신 전력 레벨로 비컨을 전송할 수 있으며, 비컨 버스트들은 비컨 버스트 전력 레벨로 제공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공동 채널 전개의 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가 매크로 주파수(f2) 상에서 비컨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총 수신 신호 전력 및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를 기초로 한 비컨 전력의 정의와 함께 수행될 수 있는 샘플 동작들을 설명한다.
블록(50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채널을 통해 RF 신호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매크로 주파수(예를 들어, 주파수(f2))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50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채널과 연관된 총 수신 신호 전력을 결정한다. 이 신호 전력은 다수의 매크로 셀들(즉, 가장 강한 매크로 셀만이 아니라)로부터 그리고 하나 이상의 펨토 셀들(또는 채널을 통해 작동하는 다른 타입들의 셀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이 값은 Io_f2로 지정된다.
블록(50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도 2에서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총 수신 신호 전력(예를 들어, Io_f2) 및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예를 들어, PL_BE)를 기초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여기서 "반경"이라는 용어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거리(예를 들어, 대략적인 또는 평균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되어야한다. 이 용어의 사용은 커버리지가 반드시 원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비컨 송신 전력의 계산은 Qqualmin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할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는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들에, 이러한 경로 손실은 액세스 포인트의 전개(예를 들어, 위치)를 기초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가 더 큰 빌딩에 전개되고 있다면, 더 큰 경로 손실이 정의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더 작은 아파트에 전개된 액세스 포인트와 반대로, 주택에 전개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는 더 큰 경로 손실이 정의될 수 있다.
블록(50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비컨 버스트들이 전송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블록(506)에서 결정된 비컨 송신 전력을 기초로 비컨을 전송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공동 채널 전개 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가 매크로 주파수(f2) 상에서 비컨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최소 필요 신호 품질 파라미터(예를 들어, Qqualmin)를 기초로 한 액세스 포인트 전력(예를 들어, 펨토 셀 송신 전력)의 정의와 함께 수행될 수 있는 샘플 동작들을 설명한다.
블록(60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Qqualmin 파라미터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정의된 최소 필요 신호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와 같은 품질 파라미터는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을 재선택하기 위해(예를 들어, 펨토 셀을 재선택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에서 요구되는 최소 신호 품질을 특정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 액세스 포인트는 백홀을 통해 이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펨토 셀에 의해 현재 확인되는 가장 강한 매크로 셀)에 의해 전송된 SIB(11)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통해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이 품질 파라미터는 Qqualmin_femto로 지칭된다.
블록(60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수신된 최소 필요 신호 품질 파라미터를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도 2에서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이 송신 전력의 계산은 정의된 커버리지 파라미터(예를 들어, PL_edge), 펨토 주파수 상에서 가장 강한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수신 파일럿 에너지(예를 들어, Ecp_macro_f1), 및 정의된 타입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펨토 주파수 상의 수신 에너지(예를 들어, Io_macro_f1)와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후자의 파라미터가 어떻게 획득될 수 있는지에 관한 예가 아래 도 7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블록(60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을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 버스트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정의된 마진이 블록(604)에서 결정된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에 추가될 수 있다.
블록(60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 및 액세스 포인트 버스트 송신 전력을 기초로 신호들을 전송한다. 위에서 설명된 공동 채널 전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펨토 주파수(f1) 상에서 이러한 신호들을 전송한다.
도 7은 정의된 타입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채널 상의 수신 에너지 및 정의된 커버리지 파라미터를 기초로 한 액세스 포인트 전력(예를 들어, 펨토 셀 송신 전력)의 정의와 함께 수행될 수 있는 샘플 동작들을 설명한다.
블록(70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채널을 통해 RF 신호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펨토 셀은 펨토 주파수(예를 들어, 주파수 f1)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70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정의된 타입의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전송된 수신 신호들을 식별한다. 그 다음, 블록(70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식별 신호들과 연관된 수신 에너지(즉, 전적으로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채널 상에서의 수신 에너지)를 결정한다. 도 2의 예에서, 이러한 양은 Io_macro_f1로 지칭된다.
블록(70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도 2에서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수신 에너지 및 정의된 커버리지 파라미터(예를 들어, PL_edge)를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 송신 전력의 계산은 Qqualmin_femto 및 (예를 들어, 블록(704)에서 식별된 신호들을 기초로 결정된) 펨토 주파수 상에서 가장 강한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수신 파일럿 에너지(예를 들어, Ecp_macro_f1)와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블록들(710, 71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을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 버스트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 및 액세스 포인트 버스트 송신 전력을 기초로 신호들을 전송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펨토 주파수(f1) 상에서 이러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원의 교시는 전용 채널 전개에 적용 가능하다. 일례로, 이러한 경우에 펨토 셀 신호는 주파수(f1) 상에서 전송될 수 있고 비컨은 주파수(f2)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컨 전력 및 비컨 버스트 전력은 공동 채널 전개 시나리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그러나 펨토 주파수(f1) 상에 매크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펨토 셀 송신 전력에 대한 전력 설정들이 단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 셀 송신 전력은 다음 식들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No는 액세스 단말에서의 열 잡음 레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이 값은 다른 간섭하는 펨토 셀들이 없을 때에, 펨토 셀로부터의 PL_edge인 액세스 단말이 Qqualmin_femto의 펨토 Ecp/Io를 경험하게 되도록 선택된다.
그러면, 펨토 셀 버스트 전력은 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Figure pat00007
또한, 샘플 구현에서는 공동 채널 전개의 경우와 동일한 파라미터들의 설정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P_femto_min = -30㏈m이고 No = -99㏈m이다. 따라서 이러한 파라미터 설정들은 펨토 셀 송신 전력에 대해 다음 값들로 이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8
도 8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제어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6)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802)에 통합될 수 있는 몇 가지 샘플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실제로,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또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노드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다른 노드들은 액세스 포인트(802)에 대해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여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노드는 설명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금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기술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트랜시버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802)는 다른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트랜시버(804)를 포함한다. 트랜시버(804)는 신호들을 전송(예를 들어, 펨토 신호들, 펨토 버스트 신호들, 비컨 신호들 및 비컨 버스트 신호들을 송신하고, 버스트 송신들의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송신기(806) 및 신호들을 수신(예를 들어, RF 신호들 및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806)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802)는 다른 노드들(예를 들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10)는 유선 기반 또는 무선 백홀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10)는 (예를 들어, 백홀을 통해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유선 기반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송신기 및 수신기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송수신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802)는 또한 전력 제어 관련 동작들(예를 들어,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 총 수신 신호 전력의 결정,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 액세스 포인트 송신 전력의 정의, 액세스 포인트 버스트 송신 전력의 정의, 비컨 송신 전력의 정의, 비컨 버스트 송신 전력의 정의, 송신 전력의 결정, 신호들의 식별, 수신 에너지의 결정, 수신 파일럿 에너지의 결정) 및 본원에 교시된 것과 같은 다른 유사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어, 제어기(110)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 제어기(812)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8의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들)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사용 및/또는 통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들(810, 812)의 기능(그리고 선택적으로 트랜시버(804)의 기능의 일부)은 (예를 들어, 적절한 코드의 실행에 의해 그리고/또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과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일부 양상들에서 본원의 교시들은 매크로 스케일 커버리지(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매크로 셀 네트워크 또는 WAN으로 지칭되는 3G 네트워크와 같은 넓은 영역의 셀룰러 네트워크) 및 더 작은 스케일의 커버리지(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LAN으로 지칭되는 거주 기반 또는 빌딩 기반 네트워크 환경)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이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 access terminal)이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할 때, 액세스 단말은 매크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특정 위치들에서 서빙될 수도 있지만, 액세스 단말은 더 작은 스케일의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다른 위치들에서 서빙될 수도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는, 점진적 용량 증가, 옥내(in-building) 커버리지, 및 (예를 들어, 더 강력한 사용자 경험을 위한)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더 작은 커버리지 노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설명에서,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로 지칭되는 한편, 비교적 좁은 영역(예를 들어, 거주지)에 걸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노드는 (예를 들어, 위에서 펨토 셀로 지칭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로 지칭될 수 있다. 본원의 교시들은 다른 타입들의 커버리지 영역들과 연관된 노드들에 적용 가능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피코 액세스 포인트는 매크로 영역보다는 작고 펨토 영역보다는 넓은 영역에 걸친 커버리지(예를 들어, 상업용 빌딩 내의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 펨토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타 액세스 포인트 타입의 노드들을 참조하기 위해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노드,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eNodeB, 매크로 셀 등으로 구성 또는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홈 NodeB, 홈 eNodeB,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펨토 셀 등으로 구성 또는 지칭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노드는 하나 이상의 셀들 또는 섹터들과 연관(예를 들어, 이들로 지칭 또는 이들로 분할)될 수 있다.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 펨토 액세스 포인트 또는 피코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셀 또는 섹터는 각각 매크로 셀, 펨토 셀 또는 피코 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며 본원의 교시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900)을 나타낸다. 시스템(900)은 예를 들어, 매크로 셀(902A - 902G)과 같은 다수의 셀들(902)에 대한 통신을 제공하는데, 각각의 셀은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904)(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904A - 904G))에 의해 서비스된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액세스 단말들(906)(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들(906A - 906L))은 시간에 따라 시스템 전역의 다양한 위치들에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906)은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906)이 액티브 상태인지 여부 그리고 액세스 단말(906)이 소프트 핸드오프 중인지 여부에 따라 소정 순간에 순방향 링크(FL) 및/또는 역방향 링크(RL)를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904)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900)은 넓은 지역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들(902A - 902G)은 근처에 있는 몇 개의 블록들 또는 지방 환경의 몇 마일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0은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이 배치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000)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시스템(1000)은 비교적 작은 스케일의 네트워크 환경에(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거주지들(1030)에) 설치된 다수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A, 1010B))을 포함한다. 각각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는 (도시되지 않은) DSL 라우터, 케이블 모뎀, 무선 링크 또는 다른 접속 수단을 통해 광역 통신망(1040)(예를 들어, 인터넷) 및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050)에 연결될 수 있다. 뒤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는 관련 액세스 단말들(102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20A)) 및 선택적으로 다른(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또는 외부(alien)) 액세스 단말들(102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20B))을 서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주어진 액세스 단말(1020)은 한 세트의 지정된(예를 들어, 홈)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에 의해 서빙될 수 있지만 지정되지 않은 임의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예를 들어, 이웃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에 의해서는 서빙되지 않을 수 있도록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에 대한 액세스가 제한될 수 있다.
도 11은 여러 추적 영역들(1102)(또는 라우팅 영역들이나 위치 영역들)이 정의되는 커버리지 맵(1100)의 예를 나타내며, 이러한 영역들 각각은 여러 개의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1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추적 영역들(1102A, 1102B, 1102C)과 연관된 커버리지의 영역들은 굵은 선들로 그려지고,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104)은 더 큰 육각형들로 표현된다. 추적 영역들(1102)은 또한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106)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106)(예를 들어,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106B, 1106C)) 각각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104)(예를 들어,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104A, 1104B)) 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펨토 커버리지 영역(1106)의 일부 또는 전부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104) 내에 있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실제로, 상당수의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106)(예를 들어,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106A, 1106D))이 소정의 추적 영역(1102) 또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104) 내에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피코 커버리지 영역들이 소정의 추적 영역(1102) 또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104) 내에 정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의 소유자가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050)를 통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3G 모바일 서비스와 같은 모바일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1020)이 매크로 환경들 및 더 작은 스케일(예를 들어, 거주지)의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즉, 액세스 단말(102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액세스 단말(1020)은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050)와 연관된 매크로 셀 액세스 포인트(1060)에 의해 또는 한 세트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 거주지(1030) 내에 상주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A, 1010B)) 중 임의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자신의 집 외부에 있을 때, 가입자는 표준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60))에 의해 서빙되고, 가입자가 집에 있을 때, 가입자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10A))에 의해 서빙된다. 여기서,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는 레거시 액세스 단말들(1020)과 역호환 가능할 수도 있다.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는 단일 주파수 상에 또는 대안으로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 전개될 수 있다. 특정 구성에 따라, 단일 주파수 또는 다수의 주파수들 중 하나 이상이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60))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과 중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액세스 단말(1020)은 접속이 가능할 때마다 우선적인 펨토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20)의 홈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20A)이 사용자의 거주지(1030) 내에 있을 때마다, 액세스 단말(1020A)은 오직 홈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A 또는 1010B)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액세스 단말(1020)이 매크로 셀룰러 네트워크(1050) 내에서 작동하지만 (예를 들어, 우선적인 로밍 리스트에 정의된 것과 같은) 자신의 가장 우선적인 네트워크에 상주하고 있지 않다면, 액세스 단말(1020)은 더 나은 시스템 재선택(BSR: better system reselection) 프로시저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가장 우선적인 네트워크(예를 들어, 우선적인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현재 더 나은 시스템들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어서 이러한 우선적인 시스템들을 포착하기 위한, 이용 가능한 시스템들의 주기적 스캔을 수반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020)은 특정 대역 및 채널의 탐색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내의 모든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또는 모든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이 펨토 채널(들)을 통해 동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펨토 채널들이 정의될 수 있다. 가장 우선적인 시스템의 탐색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우선적인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의 발견시, 액세스 단말(1020)은 펨토 액세스 포인트(1010)를 선택하고 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사용하기 위해 그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등록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액세스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특정 액세스 단말들에 대해서만 특정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소위 제한된(또는 폐쇄된) 액세스를 갖는 전개들에서, 소정의 액세스 단말은 매크로 셀 모바일 네트워크 및 정의된 한 세트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 거주지(1030) 내에 상주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1010))에 의해서만 서빙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에 대해, 시그널링, 데이터 액세스, 등록, 페이징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폐쇄형 가입자 그룹 홈 NodeB로도 지칭될 수 있는)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제한 설비된 한 세트의 액세스 단말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이다. 이 세트는 필요에 따라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이 액세스 단말들의 공통 액세스 제어 리스트를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펨토 액세스 포인트와 소정의 액세스 단말 사이에 다양한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관점에서, 개방형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무제한 액세스를 갖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임의의 액세스 단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함)를 지칭할 수 있다.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어떤 방식으로 제한된(예를 들어, 액세스 및/또는 등록이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를 지칭할 수 있다. 홈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단말에 대해 액세스 및 작동이 허가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로 이루어진 정의된 세트에 대해 영구적 액세스가 제공됨)를 지칭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예를 들어, 게스트)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서로 다른 액세스 단말들에 대해 서로 다른 레벨들의 서비스가 제공되는(예를 들어, 일부 액세스 단말들에는 부분적인 및/또는 임시 액세스가 허용되는 한편, 다른 액세스 단말들에는 전체 액세스가 허용되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를 지칭할 수 있다. 외부 펨토 액세스 포인트는 아마도 긴급 상황들(예를 들어, 911 호출들)을 제외하고, 액세스 단말에 대해 액세스나 작동이 허가되지 않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를 지칭할 수 있다.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의 관점에서, 홈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단말의 소유자의 거주지에 설치된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액세스가 허가된 액세스 단말(보통, 홈 액세스 단말은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영구적 액세스를 가짐)을 지칭할 수 있다. 게스트 액세스 단말은 제한된(예를 들어, 기한, 사용 시간, 바이트, 접속 카운트, 또는 다른 어떤 기준이나 기준들을 기초로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임시 액세스를 갖는 액세스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외부 액세스 단말은 예를 들어 911 호출들과 같은, 아마도 긴급 상황들을 제외하고,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액세스 허가를 받지 않은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제한된 펨토 액세스 포인트에 등록하기 위한 자격 증명(credential)들이나 허가를 받지 않은 액세스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편의상, 본원의 개시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설명한다. 그러나 피코 액세스 포인트가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에 대해 동일한 또는 비슷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피코 액세스 포인트가 제한될 수도 있고, 소정의 액세스 단말에 대해 홈 피코 액세스 포인트가 정의될 수도 있는 식이다.
다수의 무선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에 본원의 교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 통신 링크는 단일 입력 단일 출력 시스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multiple-out) 시스템 또는 다른 어떤 타입의 시스템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N T )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N R )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 T 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N R 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공간 채널들로도 지칭되는 N S 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N S ≤ min{N T , N R }이다. N S 개의 독립 채널들 각각은 차원(dimension)에 대응한다.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추가 차원들이 이용된다면,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높은 신뢰도)을 제공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지원할 수 있다. 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송신들은 동일 주파수 영역에서 이루어지므로 상반(reciprocity) 원리가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다수의 안테나들이 이용 가능할 때 액세스 포인트가 순방향 링크에 대한 송신 빔 형성 이득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샘플 MIMO 시스템(1200)의 무선 디바이스(1210)(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및 무선 디바이스(125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를 나타낸다. 디바이스(1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212)에서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214)로 제공된다. 그 다음,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214)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을 기초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화,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을 기초로 변조(즉, 심벌 매핑)되어 변조 심벌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1232)가 프로세서(1230) 또는 디바이스(12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다음,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벌들은 TX MIMO 프로세서(1220)에 제공되고, TX MIMO 프로세서(1220)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해) 변조 심벌들을 추가 처리할 수 있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1220)는 N T 개의 변조 심벌 스트림들을 N T 개의 트랜시버들(XCVR)(1222A-1222T)에 제공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2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벌들 및 이 심벌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에 빔 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트랜시버(1222)는 각각의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며,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 조정(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그 다음, 트랜시버들(1222A-1222T)로부터의 N T 개의 변조된 신호는 각각 N T 개의 안테나들(1224A-1224T)로부터 전송된다.
디바이스(1250)에서, 전송된 변조된 신호들은 N R 개의 안테나들(1252A-1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1252)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각각의 트랜시버(XCVR)(1254A-12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트랜시버(12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 다음,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을 기초로 N R 개의 트랜시버들(1254)로부터의 N R 개의 수신 심벌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N R 개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에 의한 처리는 디바이스(12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1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21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270)는 (뒤에 논의되는)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1270)는 행렬 인덱스 부분 및 랭크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식화(formulate)한다. 데이터 메모리(1272)는 프로세서(1270) 또는 디바이스(125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1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23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1280)에 의해 변조되며, 트랜시버들(1254A-1254R)에 의해 조정되어, 다시 디바이스(1210)로 전송된다.
디바이스(1210)에서, 디바이스(12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1224)에 의해 수신되고, 트랜시버들(1222)에 의해 조정되며, 복조기(DEMOD)(12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242)에 의해 처리되어, 디바이스(12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 다음, 프로세서(1230)는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빔 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도 12는 또한 통신 컴포넌트들이 본원에 교시된 것과 같은 전력 제어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컴포넌트(1290)가 프로세서(1230) 및/또는 디바이스(121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협력하여 본원에 교시된 것과 같이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250))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1210, 1250)에 대해 설명된 컴포넌트들 중 2개 이상의 기능이 단일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 처리 컴포넌트가 전력 제어 컴포넌트(1290) 및 프로세서(1230)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원의 교시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시스템들 및/또는 시스템 컴포넌트들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본원의 교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코딩, 인터리빙 등 중 하나 이상을 특정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교시는 다음 기술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다중 반송파 CDMA(MCCDMA: Multiple-Carrier CDMA) 시스템들, 광대역 CDMA(W-CDMA) 시스템들,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들, 고속 패킷 액세스(HSPA, HSP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단일 반송파 FDMA(SC-FDMA: Single-Carrier 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또는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 또는 조합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교시들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IS-95, cdma2000, IS-856, W-CDMA, TDSCDMA와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과 다른 표준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 또는 다른 어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 및 로우 칩 레이트(LCR: Low Chip Rate)를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진화형(Evolved)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Flash-OFDM
Figure pat00009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본원의 교시들은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Mobile Broadband) 시스템 및 다른 타입들의 시스템들에 구현될 수 있다. LTE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release)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는 한편,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어떤 양상들은 3GPP 용어를 이용하여 기술될 수 있지만, 본원의 교시들은 3GPP(예를 들어, Rel99, Rel5, Rel6, Rel7) 기술뿐 아니라 3GPP2(예를 들어, 1xRTT, 1xEV-DO Rel0, RevA, RevB) 기술과 다른 기술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교시들은 다양한 장치들(예를 들어, 노드들)에 통합(예를 들어, 이들 내에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본원의 교시들에 따라 구현된 노드(예를 들어,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은 사용자 장비,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모바일, 모바일 노드,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다른 어떤 전문용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 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어떤 적당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 교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전화기(예를 들어, 셀룰러폰이나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데이터 보조기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 결정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NodeB, eNode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 기지국(RBS: radio base station),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기지국 트랜시버(BTS: base transceiver station), 트랜시버 기능(TF: transceiver function), 무선 트랜시버, 무선 라우터,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 확장 서비스 세트(ESS: extended service set), 매크로 셀, 매크로 노드, 홈 eNB(HeNB: Home eNB), 펨토 셀, 펨토 노드, 피코 노드, 또는 다른 어떤 비슷한 전문용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도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노드는 네트워크에 대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광역 통신망)로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노드는 다른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어떤 기능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노드들 중 하나 또는 둘 다 휴대용일 수도 있고, 또는 일부 경우들에는 상대적으로 휴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무선 노드는 비-무선 방식으로(예를 들어, 유선 접속을 통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은 수신기 및 송신기는 비-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적당한 통신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전기 또는 광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임의의 적당한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거나 아니면 임의의 적당한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양상들에서 무선 노드는 네트워크와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대역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여기서 논의된 것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 프로토콜들 또는 표준들(예를 들어, CDMA, TDMA, OFDM, OFDMA, WiMAX, Wi-Fi 등)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거나 아니면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 노드는 대응하는 다양한 변조 또는 다중화 방식들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거나 아니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노드는 상기 또는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들을 구축하거나 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적절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에어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노드는 무선 모뎀을 통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신호 발생기들 및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는 관련 송신기 및 수신기 컴포넌트들을 갖는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부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은 일부 양상들에서는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비슷하게 표기된, 기능을 "위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 - 도 17을 참조하면, 장치들(1300, 1400, 1500, 1600, 1700)이 일련의 상호 관련 기능 모듈들로 표현된다. 여기서, 무신 주파수 신호 수신 모듈(130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비컨 송신 전력 결정 모듈(1304)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비컨 버스트 신호 전송 모듈(1306)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신호 수신 모듈(140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총 수신 신호 전력 결정 모듈(1404)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비컨 송신 전력 결정 모듈(1406)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Sintersearch 파라미터 수신 모듈(1408)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Qqualmin 파라미터 수신 모듈(141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 1 송신 전력 정의 모듈(150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송신 전력 정의 모듈(1504)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 1 비컨 송신 전력 정의 모듈(1506)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비컨 송신 전력 정의 모듈(1508)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타이밍 동기화 모듈(151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 1 최소 신호 품질 파라미터 수신 모듈(151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최소 신호 품질 파라미터 수신 모듈(1514)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탐색 파라미터 수신 모듈(1516)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최소 신호 품질 파라미터 수신 모듈(160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송신 전력 결정 모듈(1604)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신호 수신 모듈(1606)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신호 식별 모듈(1608)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에너지 결정 모듈(161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파일럿 에너지 결정 모듈(161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신호 수신 모듈(170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신호 식별 모듈(1704)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에너지 결정 모듈(1706)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송신 전력 결정 모듈(1708)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파일럿 에너지 결정 모듈(171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 전력 제어기에 대응할 수 있다. 버스트 신호 전송 모듈(1712)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는, 예를 들어 여기서 논의된 것과 같은 송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 - 도 17의 모듈들의 기능은 본원의 교시들에 부합하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모듈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모듈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러한 모듈들의 기능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예를 들어, ASIC)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집적 회로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른 관련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의 기능은 또한 본원에 교시된 대로 다른 어떤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도 13 - 도 17의 임의의 점선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선택적이다.
여기서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기를 이용한 엘리먼트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일반적으로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수량이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여기서 이러한 표기들은 2개 이상의 엘리먼트들이나 엘리먼트의 인스턴스들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엘리먼트 및 제 2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거기서 단 2개의 엘리먼트들이 사용될 수 있거나 제 1 엘리먼트가 어떤 방식으로 제 2 엘리먼트를 선행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한 세트의 엘리먼트들은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형태의 용어는 "A 또는 B 또는 C 또는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양상들에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 중 어떤 것이든 전자 하드웨어(예를 들어, 소스 코딩 또는 다른 어떤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될 수 있는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이 둘의 결합), (여기서는 편의상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지칭될 수 있는) 명령들을 통합한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좌우된다.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집적 회로(IC: integrated circuit),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C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기 컴포넌트들, 광 컴포넌트들, 기계적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IC 내에, IC 외부에, 또는 이 둘 모두 가능하게 상주하는 코드들이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임의의 프로세스에서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샘플 접근 방식의 실례임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들을 기초로, 프로세스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재배열될 수도 있음이 이해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나타내며,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초고주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초고주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임의의 적당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개시된 양상들의 상기의 설명은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여기에 도시된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52)

  1.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함 ―;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액세스 단말이 다른 셀들을 어떻게 탐색하는지를 제어하도록 정의된 값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비컨 송신 전력을 기초로 비컨 버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을 추가로 기초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액세스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보다 더 가까운 경우에 상기 다른 셀들에 대한 탐색이 트리거(trigger)되게 하는 송신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의 호를 유지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에 대한 최소 신호 품질을 특정하는,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Qqualmin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은 다중 레벨 비컨 송신 전력 방식(scheme)의 더 낮은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을 추가로 기초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중단(outage)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중단 영역 내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call drop)을 발생시키고, 상기 중단 영역 밖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지 않는,
    통신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3.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함 ―;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액세스 단말이 다른 셀들을 어떻게 탐색하는지를 제어하도록 정의된 값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의 호를 유지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에 대한 최소 신호 품질을 특정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Qqualmin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8.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함 ―;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액세스 단말이 다른 셀들을 어떻게 탐색하는지를 제어하도록 정의된 값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의 호를 유지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에 대한 최소 신호 품질을 특정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Qqualmin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23.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게 하고 ―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함 ―; 그리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액세스 단말이 다른 셀들을 어떻게 탐색하는지를 제어하도록 정의된 값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의 호를 유지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에 대한 최소 신호 품질을 특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Qqualmin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8.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무선 채널과 연관된 총 수신 신호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수신 신호 전력 및 정의된 중단(outage) 반경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는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중단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중단 영역 내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중단 영역 밖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지 않는,
    통신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전개(deployment)를 기초로 정의되는,
    통신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기초로 정의되는,
    통신 방법.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은 다중 레벨 비컨 송신 전력 방식의 더 낮은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34. 제 28 항에 있어서,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추가로 기초로 함 ―; 및
    Qqualmin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Qqualmin 파라미터를 추가로 기초로 하는,
    통신 방법.
  35.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6.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결정된 비컨 송신 전력을 기초로 상기 무선 채널을 통해 비컨 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다른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법.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8.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무선 채널과 연관된 총 수신 신호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총 수신 신호 전력 및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송신 전력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는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중단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중단 영역 내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중단 영역 밖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지 않는,
    통신을 위한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전개를 기초로 정의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추가로 기초로 함 ―; 그리고
    Qqualmin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Qqualmin 파라미터를 추가로 기초로 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43.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무선 채널과 연관된 총 수신 신호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총 수신 신호 전력 및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는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중단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중단 영역 내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중단 영역 밖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지 않는,
    통신을 위한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전개를 기초로 정의되는,
    통신을 위한 장치.
  47. 제 43 항에 있어서,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추가로 기초로 함 ―; 및
    Qqualmin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Qqualmin 파라미터를 추가로 기초로 하는,
    통신을 위한 장치.
  48.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무선 채널과 연관된 총 수신 신호 전력을 결정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총 수신 신호 전력 및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비컨 송신 전력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중단 반경 파라미터는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중단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중단 영역 내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중단 영역 밖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의 송신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통화 단절들을 발생시키지 않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경로 손실 타깃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전개를 기초로 정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52.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수신하게 하고 ―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Sintersearch 파라미터를 추가로 기초로 함 ―; 그리고
    Qqualmin 파라미터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컨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Qqualmin 파라미터를 추가로 기초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37031211A 2009-07-24 2010-07-26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 KR20130137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847509P 2009-07-24 2009-07-24
US61/228,475 2009-07-24
US12/841,497 2010-07-22
US12/841,497 US8725192B2 (en) 2009-07-24 2010-07-22 Beacon transmit power schemes
PCT/US2010/043269 WO2011011792A1 (en) 2009-07-24 2010-07-26 Beacon transmit power schem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956A Division KR101452803B1 (ko) 2009-07-24 2010-07-26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718A true KR20130137718A (ko) 2013-12-17

Family

ID=430859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956A KR101452803B1 (ko) 2009-07-24 2010-07-26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
KR1020137031211A KR20130137718A (ko) 2009-07-24 2010-07-26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956A KR101452803B1 (ko) 2009-07-24 2010-07-26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725192B2 (ko)
EP (1) EP2457406B1 (ko)
JP (2) JP5619892B2 (ko)
KR (2) KR101452803B1 (ko)
CN (2) CN102474828B (ko)
TW (1) TW201129177A (ko)
WO (1) WO2011011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5192B2 (en) 2009-07-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transmit power schemes
US8761134B2 (en) 2009-07-24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transmit power schemes
JP5531767B2 (ja) * 2009-07-31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65082B2 (ja) 2009-07-31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決定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29036B2 (ja) 2009-08-06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486762A1 (en) * 2009-10-05 2012-08-15 Nokia Siemens Networks Oy Interference control
US20120231833A1 (en) * 2009-10-29 2012-09-13 Troels Emil Kolding Transmission Power Control
US8958838B2 (en) 2010-02-12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stage transmit power control scheme for access point
US8761060B2 (en) 2010-02-12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received access terminal messages
US8599744B2 (en) * 2011-07-27 2013-12-03 Cisco Technology, Inc. Transmit power control maximizing coverage at a minimum interference
US8693397B2 (en) 2011-07-29 2014-04-08 At&T Mobility Ii Llc Macro network optimization with assistance from Femto cells
US9313746B2 (en) * 2011-09-16 2016-04-12 Nec (Chin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a secondary transmitter in a hierarchical spectrum sharing system
US8787908B2 (en) * 2011-11-07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femto discovery protocol using macro synchronization
US20130189939A1 (en) * 2012-01-19 2013-07-25 Htc Corporation Layered beac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JP5955986B2 (ja) * 2012-02-24 2016-07-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イドルモードのモバイルデバイスによる頻繁なセル再選択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220045B2 (en) 2012-02-24 2015-12-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frequent handover by mobile devices between femtocells
EP2922351A4 (en) * 2012-12-11 2015-12-02 Huawei Tech Co Ltd CELL CONFIGURATION METHOD, POWER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WO2014101958A1 (en) * 2012-12-28 2014-07-03 Telecom Italia S.P.A. Activating deactivated small coverage nodes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
US9185667B2 (en) * 2013-09-26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IBE aware channel selection
FR3015170B1 (fr) * 2013-12-16 2018-01-12 Sagemcom Broadband Sas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comportant des moyens d'association d'un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avec une station de radiocommunication, station et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d'un tel systeme et procede d'association.
CN104883689A (zh) * 2014-02-28 2015-09-02 南京宇都通讯科技有限公司 混合网络系统及其抗干扰控制方法
KR20160132456A (ko) * 2014-03-14 2016-11-1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와이파이 효율적 네트워크 전이
KR20150121491A (ko) * 2014-04-21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비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376756A (zh) * 2014-08-26 2016-03-02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和设备
CN107852623A (zh) 2015-05-22 2018-03-27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电信系统的验证子系统
KR101702496B1 (ko) * 2015-10-29 2017-02-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기반 전자 디바이스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94807A1 (en) * 2016-01-06 2017-07-06 Ossia Inc. Techniques for charging beacon-free passive clients in multipath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US11038379B2 (en) * 2016-05-16 2021-06-15 Ossia Inc. Techniques for calibra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for operation in multipath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US9967716B2 (en) 2016-09-26 2018-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protected location beacon code generation
EP3301979A1 (en) 2016-09-30 2018-04-04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small cell search
CN108513014B (zh) * 2018-04-08 2021-03-26 深圳辉烨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手机通话辐射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0461035A (zh) * 2019-08-15 2019-11-15 上海寰创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漫游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426B2 (ja) * 2001-09-28 2006-05-17 株式会社東芝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フレーム送信方法
JP3634806B2 (ja) * 2002-02-18 2005-03-30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用接続装置、無線lan接続方法、無線lan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及び無線lanシステム用記録媒体
US7388845B2 (en) * 2002-08-26 2008-06-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 multisector configuration
EP1422492A1 (en) * 2002-11-22 2004-05-26 Mecos Traxler AG Device for contact-less measurement of distances in multiple directions
US9661519B2 (en) * 2003-02-24 2017-05-23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reporting of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62250B2 (en) * 2003-05-16 2007-0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sharing in wireless access networks based on dynamic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of access points
US8559406B2 (en) * 2003-06-03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f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DE602005013746D1 (de) * 2004-01-08 2009-05-20 Interdigital Tech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der drahtlosen kommunikation zur optimierung der leistungsfähigkeit von zugangspunkten
US20050152320A1 (en) 2004-01-08 2005-07-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the loads of access points by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ssion power levels
EP1716715A1 (en) * 2004-02-11 2006-11-02 Nokia Corporation Scheduling with hidden rate request
JP2006060322A (ja) * 2004-08-17 2006-03-02 Toshiba Corp 基地局装置、無線システム、接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135189A1 (en) * 2004-12-22 2006-06-22 Shirish Nagaraj Method of controll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targ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50609A4 (en) * 2005-02-14 2009-09-02 FREQUENCY SHARING METHOD, RECEPTION STATION AND TRANSMISSION STATION
PL1849260T3 (pl) * 2005-02-15 2009-12-31 Licania Gmbh Metoda i system podziemnej radiowej transmisji danych między co najmniej jedną stacją przenośną a jedną siecią stacjonarną za pośrednictwem sieci radiowej
EP1856822B1 (en) * 2005-03-10 2013-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 re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ing-pong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2006340008A (ja) * 2005-06-01 2006-12-14 Canon Inc 通信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70004445A1 (en) * 2005-06-29 2007-01-04 Dorsey Donald A Apparatus and method for cell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US7756548B2 (en) 2005-09-19 2010-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US7801546B2 (en) 2005-09-26 2010-09-21 Cisco Technology, Inc. Distributing configuration parameters in a high density network
US8180363B2 (en) * 2005-11-15 2012-05-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apparatus prevent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JP5306824B2 (ja) 2006-01-11 2013-10-0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端末のビーコン信号の使用を含むタイミングおよび/または同期に関連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559358B2 (en) * 2006-04-20 2013-10-15 Alcatel Lucent Methods and devices for balancing the load on access point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PL2008374T3 (pl) * 2006-04-20 2018-07-31 Alcatel-Lucent Usa Inc. Sposoby i urządzenia do równoważenia obciążenia punktów dostępowych w bezprzewodowych sieciach lokalnych
US7715353B2 (en) * 2006-04-21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LAN cell breathing
US8369859B2 (en) * 2006-05-22 2013-02-05 Alcatel Lucent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picocell base units
JP5237288B2 (ja) * 2006-06-16 2013-07-1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ーコン信号における情報の符号化
US20080008161A1 (en) * 2006-07-07 2008-01-10 Luis Aldaz Voice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cellular and voice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VoWLAN) communication using a single microprocessor
RU2433551C2 (ru) * 2006-11-06 2011-11-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Поиск сот на основе маяк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243638B2 (en) * 2007-01-08 2012-08-14 Hellosoft, Inc. Passive liste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US8271040B2 (en) 2007-02-12 2012-09-18 Ip. Access Limited Network element and method for setting a power lev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312550B (zh) * 2007-05-22 2016-05-25 株式会社Ntt都科摩 在混合网络中实现载荷均衡的方法和装置
JP2009033532A (ja) * 2007-07-27 2009-02-12 Sharp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91722B2 (en) 2007-08-10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based on channel quality
US20090074094A1 (en) * 2007-09-14 2009-03-19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symbols with multiple active subcarrie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090075664A1 (en) * 2007-09-14 2009-03-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ed beacon symbol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88738B2 (en) * 2007-10-01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access in a diverse access point network
US9055511B2 (en) * 2007-10-08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Provisioning communication nodes
US9775096B2 (en) * 2007-10-08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 configuration and access control
US9167505B2 (en) * 2007-10-08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090129332A1 (en) * 2007-11-20 2009-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648523B2 (en) * 2007-11-21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access point initiated communication handover
GB0725051D0 (en) * 2007-12-21 2008-01-30 Fujitsu Lab Of Europ Ltd Communications system
WO2009099363A1 (en) * 2008-02-08 2009-08-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763082B2 (en) * 2008-05-13 2014-06-24 At&T Mobility Ii Llc Interactive client management of an access control list
US9119164B2 (en) * 2008-08-20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Generating access point beacons at different power levels
US8244296B2 (en) * 2008-10-15 2012-08-14 Apple Inc. Dynamic thermal control for wireless transceivers
US8189547B2 (en) * 2008-10-21 2012-05-29 Symbol Technologies, Inc. Self-configuration of wireless access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8295153B2 (en) * 2008-12-23 2012-10-23 Nokia Corporation Radio resource sharing
US8416710B2 (en) * 2009-03-30 2013-04-09 At&T Mobility Ii Llc Indoor competitive survey of wireless networks
US8498267B2 (en) * 2009-05-01 2013-07-30 At&T Mobility Ii Llc Access control for macrocell to femtocell handover
US8958795B2 (en) * 2009-05-04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based access control
BRPI1016006B1 (pt) * 2009-06-30 2021-03-09 Deutsche Telekom (Uk) Limited método para manipular comunicação entre equipamento de um usuário e um controlador de rede de rádio
US8725192B2 (en) 2009-07-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transmit power schemes
US8761134B2 (en) * 2009-07-24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transmit power schemes
US20110206017A1 (en) * 2010-02-03 2011-08-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eacon transmission
US8861570B2 (en) * 2010-02-03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eacon transmission
US20110211562A1 (en) * 2010-02-03 2011-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eacon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0480A (zh) 2015-12-02
JP2014222927A (ja) 2014-11-27
JP5619892B2 (ja) 2014-11-05
CN105120480B (zh) 2019-03-12
WO2011011792A1 (en) 2011-01-27
JP5859608B2 (ja) 2016-02-10
CN102474828A (zh) 2012-05-23
CN102474828B (zh) 2015-11-25
US9301264B2 (en) 2016-03-29
TW201129177A (en) 2011-08-16
JP2013500641A (ja) 2013-01-07
EP2457406A1 (en) 2012-05-30
US20110177808A1 (en) 2011-07-21
US20140228069A1 (en) 2014-08-14
KR20120047976A (ko) 2012-05-14
KR101452803B1 (ko) 2014-10-21
EP2457406B1 (en) 2016-10-19
US8725192B2 (en)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803B1 (ko) 비컨 송신 전력 방식들
KR101720637B1 (ko) 액세스 포인트 전송들의 제한
US8761134B2 (en) Access point transmit power schemes
KR101487921B1 (ko) 통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8862169B2 (en) Beacon transmission for a set of femtocells
US8483690B2 (en) Transmitting substitute reselection parameters
KR20120085837A (ko)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셀 재선택 파라미터들의 결정
KR20150034818A (ko) 액세스 포인트 전송 전력 제어
KR20150023053A (ko) 액세스 포인트들의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제어
EP23162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ccess point beacons at different power levels
KR20120085838A (ko)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들의 결정
US20130237231A1 (en) Using access points to identify coverage holes
US20130242844A1 (en) Access point communication based on uplink transmission
US20150085755A1 (en) Coordinated determination of physical layer identifier and transmit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