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506A -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506A
KR20130136506A KR1020137017942A KR20137017942A KR20130136506A KR 20130136506 A KR20130136506 A KR 20130136506A KR 1020137017942 A KR1020137017942 A KR 1020137017942A KR 20137017942 A KR20137017942 A KR 20137017942A KR 20130136506 A KR20130136506 A KR 2013013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support
user
multisensory
bas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일라 베네딕트 하비쉐
Original Assignee
레일라 베네딕트 하비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일라 베네딕트 하비쉐 filed Critical 레일라 베네딕트 하비쉐
Publication of KR2013013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61H1/003Rocking or oscill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ransverse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Card operated, e.g. pre-paid card, credit card or ID c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1)는,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대(2), 지지대(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구조(3), 베이스 구조(3)에 대하여 지지대(2)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 메카니즘(4), 베이스 구조(3)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감각 중 적어도 일부분을 자극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극 장치(5), 이동 메카니즘(4, 4a), 및 자극 장치(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카드(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DEVICE FOR MULTISENSORY STIMULA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두에 특정된 타입의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Wade Marshall 교수와 Wilder Penfield 교수의 연구와 같은 중요 연구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연구들은 여러 감각 기관들과 뇌의 부분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강조해 왔으며, 뇌의 활동에 미치는 올바른 감각 자극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우리 몸의 다른 유기조직들과는 구별되는 뇌의 조직이, 뉴런들로부터 뉴런들의 극미세 구조에 이르는 조직(organization)을 가지며, 이러한 조직은 주로 삶의 과정에서 생기는 환경의 자극을 통해 결정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상세히 언급하면, 기본 구조 조직은 유전적 요소에 의하여 사전에 결정되는 반면, 성장과 후속 결과, 뉴런 간 회복(recovery)은 환경 자극에 의해 결정되므로, 띠라서 환경 자극은 뇌의 성장 및 뉴런 간 연결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 된다. 따라서 다감각적 자극은, 예를 들어 정보 전달, 학습 기능, 뉴런 소성(neuron plasticity), 사지 절단에 따라 발생하는 감각 지도의 재조직화와 같은, 수많은 뇌 기능들에 있어서 핵심이 된다.
특히, 감각 자극이 신체 장애를 가진 개인들에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동기 부여(motivation), 집중, 및 조화(coordination)의 영역에서 개선이 관찰되었고, 인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감각 자극이 인가되지 않았으면 얻을 수 없었던, 리랙세이션(relaxation)을 증진시키고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정신적 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치료 관계의 발전(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relationships)을 위한 이상적인 상황을 제공하며, 최종적으로 극심하고 만성적인 통증을 가진 개체들에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리랙세이션(relaxation) 및 더 나은 삶의 질에 기여하는 인간성 회복 효과 (rehumanizing effect)를 제공하게 된다.
다감각적 작용은 현재 스노잘렌 공간(Snoezelen Rooms)으로 알려진, 적절히 장비를 구비한 공간을 갖춘 특수한 센터들(specific centers)에서만 수행되고 있다.
그러한 공간들은 하나 이상의 환경적 요소들(외부의 빛을 위한 스크린, 벽들의 색, 천장과 바닥, 표면의 감촉)의 최적화를 추구하는 것에 의해 디자인되는데, 여기서의 환경적 요소들은, 시각적 요소들(디스크 이미지 프로젝터, 광 효과), 촉각 요소들(음악적인 안락의자를 바이브레이팅(vibrating)시키는 것), 음악적 요소들(정적으로 엄선된 라운지 음악), 및 후각적 요소들(주변 환경 내의 아로마)을 포괄한다.
하지만, 상기 인용된 배경 기술은 몇 가지 중요한 단점을 지닌다.
스노잘렌 공간(Snoezelen Rooms)은, 파라미터(parameter)의 복잡성으로 인해, 디자인 측면에서나 사용 측면에서 모두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이런 타입의 치료를 고비용으로 만들며, 따라서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는 없게 만든다.
상기 언급된 고비용과 관련된 또 다른 문제점은, 다감각적 자극의 수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본 치료법의 보급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파라미터의 수가 많아서, 숙련된 기술자에게조차도 복잡한 파라미터의 조정문제는, 또 다른 문제점이다.
최종적인 문제점은, 이러한 공간의 사용의 복잡성으로 인해, 그 사용에 기술자가 필요하게 된다는 점이다.
전술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된 문제점들을 실질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 발명은 사용하기에 간편하면서도 비용이 적게 드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술자 없이도 본 치료를 실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첨부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기술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비용을 낮출 수 있어,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의 보급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기술자의 도움 없이도, 각 사용자가 본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감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는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1)로 표시된다.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1)는, 사용자로 하여금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대(2), 지면이나 안착면(resting surface)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상승된 위치로 상기 지지대(2)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구조부(3), 베이스 구조부(3)에 대한 지지대(2)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메카니즘(4), 베이스 구조부(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사용자의 감각기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자극 장치(5), 이동 메카니즘(4), 및 자극 장치(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카드(6)를 포함한다.
특히, 베이스 구조부(3)는 그 내부에, 이동 메카니즘(4), 자극 장치(5), 및 전자 카드(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부 공간(inner cavity)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구조부(3)는 그 내부에 자극 장치(5) 및 이동 메카니즘(4)의 모든 부분을 수용한다. 최종적으로, 베이스 구조부(3)는 상기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자극을 사용자에게 도달하도록 하면서, 메카니즘(4)과 지지대(2) 사이의 움직임 이동 연계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개구부(openings)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는 지지대(2)는, 다감각적 자극이 이루어지는 동안, 안락하면서도 인체공학적인 자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유사 구조 또는 의자로 형성된다. 지지대(2)는 사용자로 하여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 내부에 누운자세(바람직하게는, 태아형 자세)로 눕게 만들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지지대(2)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지지대(2)의 표면 전부를 덮도록 만들어진, 바람직하기로는 항균 물질로 제조된 매트(mat)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이러한 매트는, 탄성체에 의해 제공된 경계(border)를 갖는 부직포(nonwoven fabric)로 만들어진 일회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2)는, 사용자의 무릎 아래에 접촉되는 지지 부위에,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신체 자세를 교정하면서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지지 만곡부(20) (supporting curvature)를 가진다. 지지대(2)는, 사용자의 팔을 그 측면을 따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 윤곽부(21)(recessed contours)를 더 포함한다. 지지대(2)는 또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바람직하게는 패딩형 또는 팽창성 쿠션 타입의, 목의 후미에 대한 지지 요소(2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미 지지 요소(22)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 시키기에 적합한 수단이 제공되거나, 또는 팽창성 쿠션 타입의 후미 지지 요소의 경우에는, 상기 쿠션에 공기를 주입하고 뺄 수 있도록 구성된 수단이 제공된다.
다른 대안으로는, 지지대(2)는 단순한 플랫폼이나,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바로 서게 할 수 있게 하는 다른 유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2)는 이동 메카니즘(4)에 의해 이동되는데, 베이스 구조(3), 지면, 및 안착면(resting surface)에 대하여 지지대(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한다. 특히, 이동 메카니즘(4)은, 베이스 구조(3)에 대하여 지지대(2)를 회전시키거나, 바람직하기로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메카니즘(4)은, 에센트릭 모터(eccentric motor) 또는 상기 언급된 진동 및 회전에 의하여 사용자의 촉각 자극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유사 요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감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는, 지지대(2)와 베이스 구조(3) 사이에 미끄러짐 결합(sliding engagement)을 위한 수단(3)을 포함한다. 상기 미끄러짐 결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32)를 갖는 베이스 구조(3)와 지지대(2) 사이에, 하나 이상의 롤러(31)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들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메카니즘(4a)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롤러들은 원호를 따라 배열되는데, 상기 이동 메카니즘(4a)이 구동하면, 상기 롤러(31) 및 롤러(32)의 배열에 의해 정의되는 원호를 따라, 베이스 구조(3)에 대한 지지대(2)의 오실레이션(oscillation)이 발생한다.
다감각적 자극은, 사용자의 후각, 시각,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하는, 자극 장치(5)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자극 장치(5)는,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스피커(7), 사용자의 후각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향기 물질들을 방출하는 후각 디퓨저(8), 및 시각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광 디퓨저(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피커(7)는 디지털 타입이다. 즉, 소리는 디지털 형식으로 보존되고 전파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CD, DVD, USB 드라이버, SD 메모리, 및 다른 유사 수단들과 같은, 디지털 메모리들에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피커(7)는 디지털 타입이고 하나 이상의 스피커 밀봉부(7a)(enclosure)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스피커 밀봉부(7a)는 상기 베이스 구조(3)의 개구부(opening)에 배치되어 소리 또는 음악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스피커는 베이스 구조(3)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디지털 메모리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 시스템(7b)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피커 밀봉부(7a)는 지지대(2)에 배열되는데, 반면 판독 시스템(7b)은, 디지털 메모리의 삽입 및 삭제를 허가하고 적당한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스피커(7a)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스피커(7c)는 사용자의 귀에 근접한 지지대(2)의 부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피커(7c)는, 스테레오 스피커 밀봉부(7a)를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는 스테레오 헤드폰과의 선택적인 연결을 위한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후각 디퓨저(8)는, 쉽게 교체 가능한 용기 속에 들어있는 향기 또는 향기 물질을 방출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공지 요소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퓨저는, 액체의 자연 증발, 액체 또는 고체 물질의 가열, 또는 대안으로서, 캔 내에 저장된 가스의 방출에 의하여 향기 물질을 방출한다.
마지막으로, 후각 디퓨저(8)는, 스피커 밀봉부(7a)와 같이 베이스 구조(3) 에 구비된 개구부에 배치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에 배치된다.
광 디퓨저(9)는, 램프나 LED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발광 요소들을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백색광 또는 여러 가지 광도를 가진 유색광의 적당한 조합의 색광을 방출한다. 또한 광 디퓨저(9)는, 간편하게 베이스 구조(3) 내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지지대(2)에 있을 때 조명을 비추도록 개구부에 배치된다. 상세히 언급하면, 올바른 시각 자극을 위하여 광 디퓨저(9)는 지지대(2)에, 즉 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에게, 광을 모으기에 적합한 거울 또는 다른 경로 재설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광 디퓨저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 전면에, 지지대(2)의 부분에 배치되는 LED(9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 디퓨저는 LCD 타입의 모니터(9b)를 포함하는데, 모니터(9b)는 사용자의 얼굴의 전면 쪽에 배치되며, 이미지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는 전원 공급 시스템(10)을 포함하는데, 이 전원 공급 시스템은 디바이스(1) 및 구동 유닛(11)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디바이스(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전원 공급 시스템(10)은, 외부의 전기적인 전력 공급 본선에 연결될 필요 없이 전력을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거나, 또는 외부의 전기적 본선에 연결되는 전류 흐름 연결 내에 디바이스를 설치함으로써 젼력을 의존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광전지 패널(10a)을 포함하는데, 광전지 패널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적 전력으로 직접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며, 또한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10b)를 포함하는데, 이는 전기적 전력을 저장하고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한편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연결 요소(10c)를 포함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전기적 핀의 설비를 갖춘 케이블에 의해 구성되고 디바이스(1)를 외부의 전기적 본선과의 전류 흐름 연결 내에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광전지 패널(10a)은, 지지대(2) 또는 지면의 표면이 아닌, 베이스 구조(3)의 측면부 표면에 설치된다. 반면, 배터리는 베이스 구조(3)에 수용된다.
도 3에 도시된 구동 유닛(11)은, 전자 카드(6)를 통해, 소정의 순서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정의되는 시퀀스에 따라, 디바이스(1), 메카니즘(4)의 특정부, 디퓨저(7), 디퓨저(8), 및 디퓨저(9)의 구동을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 같은 수단을 통해 수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등장을 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같은 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구동 유닛(11)은, 디바이스(1)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구동 유닛은, 사용자가 지지대(2)에 올라갔을 때 발생하는 무게 변화를 탐지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존재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11)은, 지지대(2)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기능들은 전자 카드(6)에 의해 제어되는데, 전자 카드(6)는 본 디바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컴포넌트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 카드(6)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시퀀스에 따라, 메커니즘(4)의 각 디퓨저들((7), (8), 및 (9))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카드(6)는, 당해 전자 카드(6)에 미리 설치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언급된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감각 자극을 사용자에게 시행하고자 하는 특정 치료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그 해당 프로그램에 의하여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 카드(6)는, 베이스 구조(3) 또는 지지대(2) 상에 간편하게 부착되는 키보드나 키패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카드(6)는, 원격 제어 또는 디바이스(1)의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하여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또는 다른 유사 구조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구조적인 면에서 전술한,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1)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 디바이스(1)는, 특별히 다감각적 치료를 위해 미리 설치된 공간이 아닌, 전력 공급 본선에 연결된, 보통의 공간 내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키보드 또는 원격 제어를 통해 다감각적 자극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그 후, 사용자는 디바이스(1)에 다가가서, 지지대(2)에 몸을 기댄다. 이 동작은 구동 유닛(11)을 작동시키게 되고, 전자 카드(6)에 의해, 이동 메카니즘(4)과 이동 장치(5)의 구동을 차례로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선택된 프로그램 및 전자 카드(6)에 의해 주어지는 명령에 의해, 이동 메카니즘(4)은, 미리 정해진 진동의 주파수(frequency)와 진폭(amplitude of oscillation)에 따른 지지대(2)의 바이브레이션(vibraton)을 시작하면서 사용자에게 촉각 자극을 주게 되고, 반면 각 디퓨저들((7), (8), 및 (9))은, 사용자의 감각에 시각적, 음향적, 및 후각적 자극을 주기 시작한다.
팽창성 쿠션을 가진 타입의, 후미 지지 요소(22)는, 사용자의 목의 근육들의 휴식 상태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바이브레이팅(vibrating)이 가능하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팽창과 수축을 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일단 다감각적 자극 프로그램이 끝나게 되면, 전자 카드(6)는 자극 장치(5) 및 이동 메카니즘(4)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그리하여 디바이스(1)의 작동은 정지된다.
본 발명은 중요한 장점들을 갖는다.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1)는, 실제로 사용하기에 간단하며 비용이 적게 든다.
특히, 전자 카드(6)의 존재는, 여러 다감각적 자극 디퓨저들 (7), (8), 및 (9)과 이동 메카니즘(4)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기술자들 없이도, 본 디바이스(1)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전자 카드(6)는 거의 모든 작동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것을 통하여, 디바이스(1)로 하여금 실질적으로 완전한 치료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디바이스(1)를 통해 달성되는 또 다른 이점은, 비용이 많이 드는 공간을 특별히 마련하지 않아도, 실제 어디에서든 다감각적 자극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저비용이지만 높은 품질을 갖는 다감각적 치료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구성된 디바이스는 수많은 조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모든 요소들은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모든 상세 내용들은, 다른 기술적으로 등가인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되는 물질뿐만 아니라 형태 및 치수들은, 조건 및 당해 기술 수준에 따라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 출원에서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이태리 실용신안 No. MI2010U000367 및 이태리 특허출원 No. MI2011A001082에 개시된 내용들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청구항에서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가 수반되어 있는 경우에, 그러한 참조 번호는 단지 청구항들의 이해를 증진시키려는 목적을 위해 포함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참조 번호는, 그런 참조 번호에 의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각각의 요소들의 해석에 어떤 제한적인 효과도 미치지 않는다.

Claims (11)

  1.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device for multisensory stimulation)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support)(2);
    상기 지지대(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구조부(base structure)(3)로서, 상기 베이스 구조부(3)에 대한 상기 지지대(2)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만들어내도록 구성된 이동 메카니즘(movement mechanism)(4, 4a)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부(3);
    상기 베이스 구조부(3)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감각의 적어도 일부분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자극 장치(stimulation apparatus)(5); 및
    상기 이동 메카니즘(4, 4a) 및 상기 자극 장치(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카드(electronic card)(6)를 포함하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부(3)에 대한 상기 지지대(2)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바이브레이션(vibration)인,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부(3)에 대한 상기 지지대(2)의 상대적인 움직임은오실레이션(oscillation)인,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장치(5), 상기 이동 메카니즘(4, 4a), 및 상기 전자 카드(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베이스 구조(3) 내에 수용되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장치(5)는,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스피커(7)를 포함하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장치(5)는,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광 디퓨저(9, 9a, 9b)를 포함하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장치(5)는, 사용자의 후각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후각 디퓨저(8)를 포함하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장치(5)는, 사용자의 후각, 시각,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도록 구성된,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activation unit)(11)을 포함하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1)은, 상기 지지부(2) 상에 사용자의 존재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전력 공급 시스템(10)은, 광전지 패널(photovoltaic panel)(10a)을 포함하는,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KR1020137017942A 2010-12-09 2011-10-26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KR201301365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0U000367 2010-12-09
IT000367U ITMI20100367U1 (it) 2010-12-09 2010-12-09 Dispositivo per la stimolazione multisensoriale
ITMI2011A001082 2011-06-16
IT001082A ITMI20111082A1 (it) 2010-12-09 2011-06-16 Dispositivo per la stimolazione multisensoriale.
PCT/EP2011/068794 WO2012076248A1 (en) 2010-12-09 2011-10-26 Device for multisensory stimu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506A true KR20130136506A (ko) 2013-12-12

Family

ID=4373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942A KR20130136506A (ko) 2010-12-09 2011-10-26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30261378A1 (ko)
EP (1) EP2648672B1 (ko)
JP (1) JP2014503263A (ko)
KR (1) KR20130136506A (ko)
CN (1) CN103249386A (ko)
BR (1) BR112013013050A2 (ko)
CA (1) CA2818185A1 (ko)
ES (1) ES2739890T3 (ko)
IT (2) ITMI20100367U1 (ko)
RU (1) RU2013131276A (ko)
SG (1) SG191047A1 (ko)
WO (1) WO20120762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6330A1 (de) 2013-11-11 2015-05-13 Samsung Sdi Co., Ltd. Polykarbonat-Verglas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5815B (zh) * 2014-04-17 2019-06-18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引导喷嚏发生的装置
US10362863B2 (en) 2014-12-18 2019-07-30 Roland Gregory Groenke Stowable sensory learning assembly
RU2691788C2 (ru) * 2015-06-05 2019-06-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РАНЗИСТ ВИДЕО" Способ координации наземных подвижных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х устройств с помощью единой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й управляющей системы
US10912915B2 (en) 2015-11-03 2021-02-09 Itai ARGAM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ultisensory stimulation
US10561250B2 (en) * 2016-05-09 2020-02-18 Jason Schwab Convertible personal multimedia pod
FR3076464B1 (fr) * 2018-01-05 2019-12-20 Be-Human Systeme de relaxation
US20210213238A1 (en) * 2018-06-15 2021-07-15 Hsign S.R.L. Multisensorial and multimedia room
FR3083442B1 (fr) * 2018-07-04 2020-08-28 Leila Benedicte Habiche Fauteuil de relaxation multisensoriel
WO2020028982A1 (en) * 2018-08-06 2020-02-13 David Steer Sleep suite
CN112807543B (zh) * 2021-02-03 2022-08-02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二附属医院 视听嗅三重感官的疼痛治疗仪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9781C2 (de) * 1994-06-06 1996-10-17 Marcus Dipl Ing Kattwinkel Geregelter Antrieb für pendelschwingungsfähige Sitz- oder Liegemöbel
DE19743902C2 (de) * 1996-10-07 2002-06-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ntspannungsvorrichtung
JP2005058404A (ja) * 2003-08-11 2005-03-10 Family Co Ltd マッサージ機
WO2006015335A1 (en) * 2004-07-30 2006-02-09 Wms Gaming Inc. Gaming machine chair
DE202005016015U1 (de) * 2005-10-12 2006-02-09 Health Med Gmbh Massagemöbel
WO2009018422A1 (en) * 2007-07-31 2009-02-05 Herman Miller, Inc. Integrated patient room
GB0903897D0 (en) * 2009-03-06 2009-04-22 Quincom Ltd Light projector
US9098114B2 (en) * 2009-09-03 2015-08-04 Human Touch, Llc Comprehensive user control system for therapeutic wellness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6330A1 (de) 2013-11-11 2015-05-13 Samsung Sdi Co., Ltd. Polykarbonat-Verglas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20100367U1 (it) 2012-06-10
SG191047A1 (en) 2013-07-31
CA2818185A1 (en) 2012-06-14
BR112013013050A2 (pt) 2016-08-09
ES2739890T3 (es) 2020-02-04
EP2648672A1 (en) 2013-10-16
JP2014503263A (ja) 2014-02-13
US20130261378A1 (en) 2013-10-03
CN103249386A (zh) 2013-08-14
ITMI20111082A1 (it) 2012-06-10
WO2012076248A1 (en) 2012-06-14
EP2648672B1 (en) 2019-05-01
RU2013131276A (ru)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6506A (ko) 다감각적 자극을 위한 디바이스
CN111225646B (zh) 执行脑部按摩的按摩装置
KR101858928B1 (ko) 브레인 마사지를 수행하는 안마의자
JP5540215B2 (ja) 精神治療装置
US20120058861A1 (en) Tactile exercise mat
US20110251535A1 (en) Induced Relaxation and Therapeutic Apparatus and Method
CN101909490A (zh) 用于传输声音和振动的椅子和系统
JP3151302U (ja) 精神状態誘導機能付き按摩椅子
US20180153763A1 (en) Personal Arousing Apparatus
KR102069969B1 (ko) 브레인 마사지를 수행하는 안마장치
KR20200092613A (ko) 베개 기반의 거북목 증후군 재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34049A1 (en) Human body support device
KR100910339B1 (ko) 교육 및 유희 기능이 포함된 다기능 테라피 장치
JP4481221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とそれ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210131273A (ko) 자외선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03437B1 (ko) 사용자의 혈액순환 촉진 및 기분전환이 가능한 힐링장치
KR20130098617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TWI423830B (zh) 心理測驗裝置
KR102138968B1 (ko) 컬러 테라피 기능을 갖는 미용실용 다기능 거치대
CN212201463U (zh) 一种多感官训练室
KR102494115B1 (ko) 펄스 전자기장을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03271B1 (ko) 미세전류 자극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52705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리 마사지 장치
JP3154555U (ja) 脳波誘導装置
KR101118998B1 (ko) 정신치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