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998B1 - 정신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정신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998B1
KR101118998B1 KR1020100074581A KR20100074581A KR101118998B1 KR 101118998 B1 KR101118998 B1 KR 101118998B1 KR 1020100074581 A KR1020100074581 A KR 1020100074581A KR 20100074581 A KR20100074581 A KR 20100074581A KR 101118998 B1 KR101118998 B1 KR 10111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ght emitting
output means
user
la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335A (ko
Inventor
이인태
Original Assignee
이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태 filed Critical 이인태
Publication of KR2011001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일정한 방식으로 유도 및 보조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치료에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신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신치료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무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하우징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수단과, 본체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수단 및, 상기 발광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멸 구동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따라 발광수단을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 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순차 점멸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신치료장치{Psychotherapeutic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일정한 방식으로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치료에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신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교통사고, 강간, 폭행 등을 비롯하여 전쟁, 자연재해 등 다양한 형태의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는 사람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 및 피해를 끼침으로써 이들 사고를 겪은 당사자는 고통스런 기억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물론이고, 심한 경우에는 공포증, 공황발작, 소아 정서적 문제 등의 정신병적 증상에 시달리게 된다.
종래의 정신 의학적 치료방법으로서는 약물을 이용한 치료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방법은 그 치료기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치료효과도 매우 제한적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아직도 상기한 정신병적 증상에 시달리고 있다.
상기한 정신병적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눈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거나 양 무릎을 번갈아서 두드리는 방법, 양쪽 귀에 번갈아서 소리를 들려주는 방법 등을 통해 인간의 양쪽 뇌를 자극하는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1987년 미국의 심리학자 Francine Shapiro는 우연히 자발적인 안구 운동이 부정적이고 기분 나쁜 생각을 감소시킴으로써 공포증이나 공황 장애 등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안구운동은 통상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Processing)이라 칭하고 있다. 이 EMDR은 의사가 손가락을 좌우로 움직이고 환자가 두 눈으로 의사의 손가락을 주시하도록 하여 환자가 일정한 속도로 안구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안구운동과 함께 예컨대 좌우측 손바닥에 자극을 주는 단순한 방법을 통해 실행된다. EMDR은 점진적으로 많은 정신과 치료에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약물치료방법에 비하여 효과가 빠르고 치료기간도 매우 단축되어 치료자와 환자에게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양쪽 뇌를 자극하는 방법은 심각한 정신적 질환과 더불어 종래의 안좋은 기억으로부터 초래되는 단순한 불안감이나 공포증을 치유하는데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정신적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환자가 정신병원을 방문하여 정신과 의사와 면담을 하여야 하는데, 통상 중증의 환자가 아닌 단순한 정서적 불안감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정신과 의사를 방문하는데 심리적, 시간적 제한이 있기 때문에 간단한 뇌자극 운동만으로 치유가 될 수 있는 정신적 장애를 감수하면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반인이 혼자서 간단하게 양쪽 뇌를 자극하는 방식에 따라 정신치료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신치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정신치료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하우징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점을 제공하는 발광점 제공수단과, 본체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수단 및, 상기 발광점 제공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멸 구동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따라 발광점을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 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순차 점멸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신치료장치는 신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드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수단은 좌우측 발광수단의 점등 구동에 동기하여 진동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정신치료장치는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이저광 출력수단, 본체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이저광 출력수단은 서로 광조사각도가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콘트롤수단은 상기 복수의 레이저광 출력수단을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순차 점멸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신치료장치는 신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드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수단은 좌우측 레이저광 출력수단의 점등 구동에 동기하여 진동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신치료장치는 레이저광 출력수단의 조사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각도조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정신치료장치는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레이저광 출력수단, 콘트롤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레이저광 출력수단을 좌우로 회동 구동하는 구동수단 및, 본체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수단은 상기 레이저광 출력수단을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회동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정신치료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하우징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1개 이상씩 배치되는 발광점을 제공하는 발광점 제공수단과, 본체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수단 및, 상기 발광점 제공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멸 구동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따라 좌우측 발광점을 교번적으로 점멸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장치는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으로 정신병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안내음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시각과 촉각을 통해 사용자의 좌우 신체부위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좌우측 뇌를 교대로 자극하게 된다. 따라서, 편안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좌우뇌 자극을 통한 정신치료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치료장치의 전체적인 장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본체(1)를 전면에서 본 경우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본체(1)를 후면에서 본 경우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4는 본체(1)의 구동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는 진동패드(5)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서 디스플레이장치(4)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7은 디스플레이장치(4)의 구동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의 전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80)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신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정신치료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신치료장치는 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4) 및 본체(1)에 결합되는 진동패드(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디스플레이장치(2)는 본체(2)로부터의 제어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2)는 유선 또는 무선, 바람직하게는 무선을 통해 결합된다. 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2)를 무선을 통해 결합하는 경우에는 그 결합방식으로서 RF 방식과 적외선 방식 등 현재 사용가능한 모든 무선통신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2)가 적외선 통신수단을 통해서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본체(1)의 전면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체(1)의 후면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체(1)의 전면에는 본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1)이 구비되고, 이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하측에는 메뉴키(12), 탐색키(13), 방향키(14) 및 선택키(15)가 구비된다. 여기서 탐색키(13)는 사용자가 치료 시나리오 등을 탐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본체(1)의 상측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않음)을 결합하기 위한 이어폰잭(16)과 진동패드(3)를 결합하기 위한 진동패드 연결잭(17)이 구비된다. 본체(1)의 일측에는 이어폰이나 이후에 설명할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키(18)와 본체(1)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홀드키(19)가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본체(1)의 타측에는 녹음키와 전원키가 구비되고, 본체(1)의 하측에는 외부 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잭과 본 본체(1)를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등에 결합하기 위한 예컨대 USB 포트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의 후면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20)와, 본체(1)를 세워서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21)가 구비되고, 특히 본체(1)의 후면 상측에는 디스플레이장치(2)로 적외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부(22)가 설치된다. 이 적외선 송신부(22)는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키(12)와 방향키(14) 및 선택키(15)를 이용하여 본 정신치료장치의 동작모드 및 동작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동작상태 설정 모드로서는 예컨대 LED 구동시의 비프음 출력, 진동패드(3)의 구동, 나레이션의 재생, 나레이션 배경음 재생, 음성 녹음, LED 디스플레이의 스윙속도 가변, LED 밝기 조절, 진동패드(5)의 진동강도 조절, 치료 컨텐츠 다운로드 등이 있다. 사용자는 메뉴키(12)를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상태 설정모드를 설정한 후 방향키(14)와 선택키(15)를 이용하여 동작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도 4는 본체(1)의 내부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본체(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과 USB 포트(111), 이어폰 잭(16), 진동패드 연결잭(17), 스피커(20) 및 적외선 송신부(22)를 구비함과 더불어, 외부 키의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키패드(112)와, 배경음악 및 나레이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3), 배경음악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서브 디코더(114) 및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특히, 여기서 콘트롤러(115)는 전체적인 제어동작 이외에 나래이션의 재생과 각종 입출력 데이터의 아날로그/디지털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동작, 배경음악과 나레이션 정보의 합성동작 등을 실행한다.
또한, 본체(1)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 장치 동작을 위한 충방전용 밧데리 등을 포함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도 5는 진동패드(3)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진동패드(3)는 한쌍의 원형 패드(31)와, 원형 패드(31)에 각각 실장되는 진동판(3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 패드(31)는 예컨대 실리콘 수지 등과 같이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진동판(32)은 와이어(6)를 통해서 본체(1)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 진동패드(5)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를 양 손목 등에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진동패드(3)는 특정한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쉬운 타원형 구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1에서 디스플레이장치(4)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4)는 하우징(41)의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발광수단(42)이 배치되고, 중앙 부분에는 본체(1)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43)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수단(42)으로서는 예컨대 LED가 사용된다. 물론, 상기 발광수단(42)으로서는 LED 이외에 LCD나 PDP 등의 디스플레이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서는 사용자의 눈에 발광점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의 것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41)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본 장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4)의 전면에는 본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장치(7)의 구동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7)는 발광수단(42)으로서 다수의 LED가 배치되는 기판(40)과 본체(1)로부터의 적외선 데이터, 즉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43) 및 본체(1)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근거로 발광수단(42)을 구동하는 제어부(4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장치(4)는 각 회로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 또는 전원부가 구비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4)의 전원키를 조작하여 해당 기기를 작동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진동패드(3)를 신체에 착용한다. 그리고, 본체(1)의 메뉴키(12), 탐색키(13), 방향키(14) 및 선택키(15)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치료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가 치료모드를 선택한 후 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본체(1)는 적외선 송신부(22)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4)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어데이터에는 예컨대 LED의 구동 패턴과 LED의 점멸 속도, 최초로 점멸되는 LED의 위치 정보, LED의 밝기 정보 등이 포함된다.
동작 모드 설정이 종료되면 본체(1)의 콘트롤러(115)는 송신부(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4)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스플레이장치(4)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로 동기신호를 송출하면서, 일정 시나리오에 따라 나래이션 정보를 이어폰이나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함과 더불어 진동패드(3)를 구동하게 된다.
진동패드(3)의 구동은 디스플레이장치(4)의 LED 점등에 대응하여 실행된다. 즉, 콘트롤러(115)는 좌측에 위치하는 LED(42)가 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신체의 좌측에 대응되는 진동패드(3)를 구동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LED(42)가 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신체의 우측에 대응되는 진동패드(5)를 구동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4)의 제어부(45)는 본체(1)의 콘트롤러(115)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를 근거로 LED(42)를 구동제어한다. 즉, 제어부(45)는 본체(1)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예컨대 좌측에 위치하는 LED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LED 측으로 LED(42)를 순차적으로 온시키고, 다음 동기신호 입력시에는 다시 우측에 위치하는 LED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는 LED 측으로 LED(42)를 순차적으로 온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대한 치료동작이 종료되면 콘트롤러(115)는 디스플레이장치(4)에 대하여 동작 정지신호를 송출한 후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4)의 LED(42)의 점등상태를 눈으로 주시하면서 이어폰이나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는 나래이션을 청취하게 된다.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정보에는 예컨대 "잊고 싶은 기억을 떠 올리세요"와 같이 사용자의 정신병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나래이션 정보와 더불어 명상 음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장치는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으로 정신병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안내음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시각과 촉각을 통해 사용자의 좌우 신체부위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좌우측 뇌를 교대로 자극하게 된다. 따라서, 편안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좌우뇌 자극을 통한 정신치료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각을 통해 사용자의 좌우뇌를 자극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련의 발광수단(42)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이동시키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4)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하나씩 발광수단(42)을 설치하고 이를 교대로 점등시키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1)가 디스플레이장치(4)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4)의 동작상태의 안정적인 동기화를 위해서는 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4)가 양방향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장치(4)로서 벽결이 형태의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탁상 등의 상측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80)도 동일한 방식으로 채용가능하다.
즉, 도 9에 나타낸 디스플레이장치(80)는 탁상 등에 거치가 가능한 몸체(81)와 디스플레이 패널(82)을 구비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82)로서는 LCD나 PDP 등의 화상출력장치는 물론 적어도 2개 이상의 LED가 실장되는 LED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81)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잭(83)과 구동신호 입력을 위한 구동신호 입력포트(84)가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81)의 전면에는 본 디스플레이장치(80)의 동작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원 버튼(85)이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본체(1)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예컨대 적외선 수신부가 구비된다.
본 디스플레이장치(80)의 경우에도 본체(1)로부터의 구동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82)상에 발광점을 표시하고, 이 발광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좌측 및 우측 발광점이 교대로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1)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를 근거로 발광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에 대한 발광점의 제공은 다른 수단을 통해서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신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디스플레이장치(4)를 채용하는 대신에 본체(1)의 후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을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구비한 것이다. 레이저광 출력수단은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레이저광 출력수단은 본체(1)로부터 출력되는 조사각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사용자측을 향하게 놓은 후, 거치대(21)를 이용하여 본체(11)를 세워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때 본체(1)는 후면이 옥내의 벽면을 향해서 배치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본체(1)를 작동시키게 되면 콘트롤러(115)는 본체(1)의 후면에 설치된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을 동작시키게 된다.
도 11은 본체(1)에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이 2개, 도 12는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이 4개 설치된 경우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에서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이 2개 설치된 경우에는 콘트롤러(115)는 좌우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을 교대로 점멸 구동하게 된다. 또한,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의 구동에 동기하여 진동패드(3)를 구동하게 된다. 즉, 좌측에 위치하는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을 온구동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신체의 좌측에 대응되는 진동패드(3)를 구동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을 온구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신체의 우측에 대응되는 진동패드(3)를 구동하게 된다.
도 11에서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이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115)는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을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그리고 다음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순차 점등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가장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레이저광 출력수단(91)을 점등시키는 것에 동기하여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에 대응하는 진동패드(3)를 구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광이 벽면에 반사되어 사용자의 시야에 인식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벽면에 조사된 레이저광을 주사하는 동작으로 눈동자 운동을 실행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레이저광 출력수단의 조사각을 상하로 조정하기 위한 각도조정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레이저광 출력수단을 설치하고, 이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발광수단의 점등에 동기하여 좌우측 이어폰으로 비프음을 출력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본체, 3: 진동패드,
4: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 패널,
12: 메뉴키, 13: 탐색키,
14: 방향키, 15: 선택키.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하우징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점을 제공하는 발광점 제공수단과, 본체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수단 및, 상기 발광점 제공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멸 구동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따라 발광점을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 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순차 점멸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신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드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수단은 좌우측 발광수단의 점등 구동에 동기하여 진동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치료장치.
  3.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이저광 출력수단, 본체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이저광 출력수단은 서로 광조사각도가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콘트롤수단은 상기 복수의 레이저광 출력수단을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순차 점멸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치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신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드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수단은 좌우측 레이저광 출력수단의 점등 구동에 동기하여 진동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치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출력수단의 조사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각도조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치료장치.
  6.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레이저광 출력수단,
    콘트롤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레이저광 출력수단을 좌우로 회동 구동하는 구동수단 및,
    본체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수단은 상기 레이저광 출력수단을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회동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치료장치.
  7. 본체와,
    상기 본체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나래이션 및 음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 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하우징 전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1개 이상씩 배치되는 발광점을 제공하는 발광점 제공수단과, 본체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수단 및, 상기 발광점 제공수단을 선택적으로 점멸 구동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따라 좌우측 발광점을 교번적으로 점멸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치료장치.
KR1020100074581A 2009-07-31 2010-08-02 정신치료장치 KR101118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0794 2009-07-31
KR1020090070794 200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335A KR20110013335A (ko) 2011-02-09
KR101118998B1 true KR101118998B1 (ko) 2012-03-14

Family

ID=4377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581A KR101118998B1 (ko) 2009-07-31 2010-08-02 정신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277B1 (ko) 2023-01-16 2023-04-24 김병준 스포츠선수 멘탈치유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489A (ko) * 2002-10-26 2004-04-30 김형성 최면유도장치
KR100902610B1 (ko) * 2008-05-19 2009-06-11 이인태 정신치료장치
KR20090120402A (ko) * 2009-04-29 2009-11-24 이인태 정신치료장치
JP2010075266A (ja) * 2008-09-24 2010-04-08 Seiji Nonoshita 眼筋トレー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489A (ko) * 2002-10-26 2004-04-30 김형성 최면유도장치
KR100902610B1 (ko) * 2008-05-19 2009-06-11 이인태 정신치료장치
JP2010075266A (ja) * 2008-09-24 2010-04-08 Seiji Nonoshita 眼筋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90120402A (ko) * 2009-04-29 2009-11-24 이인태 정신치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277B1 (ko) 2023-01-16 2023-04-24 김병준 스포츠선수 멘탈치유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335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0215B2 (ja) 精神治療装置
CN111225646B (zh) 执行脑部按摩的按摩装置
KR101904505B1 (ko) 정신치료장치 및 개인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
US8292797B2 (en) Diversionary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and interactive devices
US20150092972A1 (en) Functional headwear
KR101492792B1 (ko)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KR101858928B1 (ko) 브레인 마사지를 수행하는 안마의자
JP2002082751A (ja) 仮想空間とのインタラクション装置およびこれを応用した仮想空間システム
JP7273924B2 (ja) 呼吸センサ、呼吸検出装置、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マインドフルネス支援装置
US20100271458A1 (en) Multi-Input-Driven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Console With Minimum User Mobility
KR101118998B1 (ko) 정신치료장치
TWI423830B (zh) 心理測驗裝置
US11830628B1 (en)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treatment system
KR20090120402A (ko) 정신치료장치
US7507206B2 (en) Stress reducer
US20200333884A1 (en) Motion feedback device
CA2674797C (en) Psychotherapeutic device
US1017922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ducing sleep
KR102619766B1 (ko)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기 위한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102494127B1 (ko)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안마장치 및 방법
TWM588531U (zh) 音樂筋膜按摩器
JP6514183B2 (ja) 意思表示装置、及び、施術箇所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