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333A -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 - Google Patents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6333A KR20130136333A KR1020120060054A KR20120060054A KR20130136333A KR 20130136333 A KR20130136333 A KR 20130136333A KR 1020120060054 A KR1020120060054 A KR 1020120060054A KR 20120060054 A KR20120060054 A KR 20120060054A KR 20130136333 A KR20130136333 A KR 201301363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carpal ligament
- cutting
- wire
- carp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3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adapted for use within the carpal tunne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9—Chain, wire or band saw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6—Surgical cutting instruments with a cutting strip, band or chain, e.g. like a chainsa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근인대를 절삭하기 위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는,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근위(proximal)에서 피부 내측으로 들어가 수근인대의 하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원위(distal)에서 피부를 향하도록 선단이 굴곡된 중공의 굴곡형 캐뉼러 니들(cannular needle); 및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굴곡된 선단에 대응하여 굴곡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트레이트 니들 및 스트레이트 니들과 연결되는 절삭 와이어를 포함하는 절삭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굴곡형 캐뉼러 니들 내측으로 절삭부재를 삽입하여, 절삭 와이어의 일부를 수근인대의 하부에 배치하고, 피부 외측에 배치되는 절삭 와이어의 다른 일부를 피부 밑과 수근인대의 상부 사이에 배치하여, 절삭 와이어가 수근인대를 감싸게 배치하고, 절삭부재를 이용하여 수근인대를 절삭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근관 위로 지나는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수술에 사용될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근인대 상부의 피부 절개를 최소화한 상태로 수근인대의 절개를 구현할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수근관(carpal tunnel)이란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인데, 이 곳으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손 쪽으로 지나간다.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이 통로가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여기를 지나가는 정중신경(median nerve)이 눌려 이 신경 지배 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나타나는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수근관 증후군의 초기에는 수근관 내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는 방법을 통해서 개선시킬 수 있지만, 스테로이드 주사로 개선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을 통한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근관 위를 가로 지르는 수근인대(flexor retinaculum)(10)가 드러나도록 피부를 절개하고, 수근인대(10)를 메스로 일부 절개하는 수술 방법을 통해서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했다. 하지만, 이러한 수술은 피부의 절개 범위가 너무 넓고, 수술 후 회복도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내시경을 수근인대 아래로 삽입하여 수근인대를 절개하는 내시경 수술도 시행되고 있으나, 이 역시 내시경 삽입을 위한 절개 부위가 작지 않고, 수근인대의 절개 시에 어려움도 많아 수술시간이 길고, 회복시간이 더딘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피부 절개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수근인대를 절개할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수근관 증후군 치료용 절삭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주변 조직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수근관 증후군 치료용 절삭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수근인대를 찢는(tearing) 것이 아니라, 절삭(cutting)할 수 있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수근관 증후군 치료용 절삭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근인대를 절삭하기 위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는,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근위(proximal)에서 피부 내측으로 들어가 수근인대의 하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원위(distal)에서 피부를 향하도록 선단이 굴곡된 중공의 굴곡형 캐뉼러 니들(cannular needle); 및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굴곡된 선단에 대응하여 굴곡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트레이트 니들 및 스트레이트 니들과 연결되는 절삭 와이어를 포함하는 절삭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굴곡형 캐뉼러 니들 내측으로 절삭부재를 삽입하여, 절삭 와이어의 일부를 수근인대의 하부에 배치하고, 피부 외측에 배치되는 절삭 와이어의 다른 일부를 피부 밑과 수근인대의 상부 사이에 배치하여, 절삭 와이어가 수근인대를 감싸게 배치하고, 절삭부재를 이용하여 수근인대를 절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를 위한 외과적인 방법으로는 비대해진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수근인대를 덮고 있는 손목 부분의 피부를 절개하고 메스로 직접 절개하거나 내시경을 수근인대 밑으로 넣어 수근인대를 밑에서부터 일부 절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피부 절개 범위가 넓어 회복 기간이 긴 문제가 있다.
반면에, 상술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를 사용하여 수근인대의 상부와 하부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통로로 와이어 형태의 절삭부재를 삽입한 후에, 수근인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근인대를 U 자 형태로 감싸게 배치되는 절삭부재를 이용하여 수근인대를 손쉽게 절삭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형상의 절삭부재를 통해서 수근인대를 절삭하게 되면,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관통 홀만이 피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술 후 회복 기간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먼저, 굴곡형 캐뉼러 니들은 수근인대의 하부로 통로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굴곡형 캐뉼러 니들은 수근인대의 전방(다른 말로, 근위)에서 피부 내측으로 진입하여 수근인대의 후방(다른 말로, 원위)에서 피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수근인대 하부로 배치되는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내부 중공으로 절삭부재를 삽입할 수 있고,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제거하면 수근인대의 하부에는 절삭부재만 남게 된다.
한편, 굴곡형 캐뉼러 니들은 직선파트 및 직선파트로부터 굴곡된 선단파트를 가지는데, 선단파트는 직선파트에 대해서 25°내지 35°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선단이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형 캐뉼러 니들 내부로 삽입되는 절삭부재를 수근인대의 원위에서 피부 외측으로 빼내기가 용이하다.
다만, 선단파트가 직선파트로부터 25°미만으로 구부러져 있으면, 선단파트를 통해서 노출되는 절삭부재를 피부 외측으로 빼내기가 쉽지 않고, 35°초과하여 구부러져 있으면,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의 하부를 통해서 전방에서 후방까지 밀어 넣기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굴곡형 캐뉼러 니들 내부로 삽입된 절삭부재(특히, 스트레이트 니들)가 상당한 각도로 휘어져야 하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있고, 절삭부재를 밀어 넣는데 상당한 힘이 필요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굴곡된 선단의 길이는 대략 5 내지 7㎜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굴곡된 선단이 5㎜ 미만이면 수근인대의 피부 밑 깊이를 고려할 때 너무 짧아 선단의 위치를 피부 외측에서 파악하기 어렵고, 7㎜를 초과하면 피부 밑 조직에 걸려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의 하부를 통해서 전방에서 후방까지 밀어 넣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살펴본 바와 같이, 굴곡형 캐뉼러 니들은 수근인대의 하부로 통로를 제공하는데 최적화된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하여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한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한다.
다만,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경우에는 캐뉼러 니들이 피부 내측으로 깊이 삽입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선단이 굴곡되지 않더라도 비교적 캐뉼러 니들 선단으로 노출되는 절삭부재를 피부 외측으로 빼내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는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직선형 캐뉼러 니들은 앞서 설명한 굴곡형 캐뉼러 니들과 비교할 때 선단의 굴곡이 없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통해서 이미 일부가 수근인대 하부로 배치되어 있는 절삭 와이어의 피부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피부 밑과 수근인대의 상부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근위에서 피부 내측으로 수근인대의 상부로 진입시키고,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원위에서 피부 외측으로 선단을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에 앞서 언급한 절삭 와이어의 나머지 일부를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내부로 통과시키고,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제거하여 절삭 와이어를 수근인대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피부를 뚫고 삽입시키기 전에, 캐뉼러 니들이 삽입되는 위치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 방법(ultrasonography)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위치는 구체적으로, 손목 주름(wrist crease) 부분에 수근인대가 놓이기 때문에, 캐뉼러 니들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는 위치는 대략 손목 주름에 인접한 곳에 형성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장장근(palmaris longus)에서 새끼 손가락 바로 옆, 손목 주름 근처가 될 수 있고, 이렇게 확인된 위치는 손바닥 피부 위에 표시(marking)할 수 있다.
또한, 굴곡형 캐뉼러 니들 및 직선형 캐뉼러 니들은 각각 뭉툭한(blunt) 선단을 갖는 중공의 외측 캐뉼러부, 외측 캐뉼러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절삭부재가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중공의 내측 니들부, 및 중공의 내측 니들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타일렛(stylet)부를 포함할 수 있다.
뭉툭한 선단을 갖는 중공의 외측 캐뉼러부에 의해서 굴곡형 캐뉼러 니들 및 직선형 캐뉼러 니들이 수근인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손목에 인접한 척골 동맥(ulnar artery)이나, 정중신경, 혹은 그 외의 다른 신체 조직을 불필요하게 손상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굴곡형 캐뉼러 니들 및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선단이 수근인대 후방에 놓인 상태에서 내측 니들부를 외측 캐뉼러부의 선단 외측으로 노출시켜 수근인대 후방의 피부를 관통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스타일렛부는 캐뉼러 니들 내측으로 피부 조직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부를 뚫기 위한 별도의 펀칭 니들을 사용할 경우, 내측 니들부 없이 외측 캐뉼러부 내부에 삽입되는 스타일렛부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굴곡형 캐뉼러 니들 및 직선형 캐뉼러 니들은 각각 외측 캐뉼러부 후단과 이격된 상태로 노출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버튼부는 스타일렛부와 결합되며, 내측 니들부와 분리되되, 내측 니들부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버튼부를 밀어 내측 니들부를 외측 캐뉼러부 선단으로 노출시켜 피부를 뚫을 수 있고, 버튼부를 당겨 버튼부에 연결된 스타일렛부를 외측 캐뉼러부에서 빼낼 수 있고, 스타일렛부가 빠진 자리로 절삭부재를 집어 넣을 수 있다. 참고로, 절삭부재는 스트레이트 니들과 절삭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선단이 굴곡된 굴곡형 캐뉼러 니들에도 사용 가능하게 쉽게 굴곡되고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탄성이 좋은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근인대를 절삭하기 위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용 절삭 와이어가 개시된다. 절삭 와이어는 수근인대를 감싸게 상하로 밀착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수근인대를 절삭할 수 있다.
절삭 와이어는 중심 와이어와 중심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중심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꼬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중심 와이어를 내측에 두고 복수개의 외측 와이어가 서로 짜여 제공되는 절삭 와이어는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끊어질 염려도 적고, 그 표면에는 와이어에 의한 골과 산이 생겨 수근인대를 절삭하기 용이한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수근인대를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외측 와이어는 수근인대의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된 부분을 연결하는 중심 부분(견인력을 받는 포인트)에서 풀어질(unbraid) 수 있는데, 이렇게 풀어진 외측 와이어들은 마치 날카로운 이빨(tooth) 역할을 하면서 수근인대를 절삭(cutting)할 수 있다. 이는 힘으로 수근인대를 찢는(tearing) 것과 다르게 수술 후 통증도 적고 회복도 빠르다. 한편, 수근인대의 상면과 하면에 완전히 밀착(attach completely)되는 절삭 와이어는 톱날(tooth)이 없으므로 왕복운동 시 수근인대의 주변조직들에 스크래치(scratch) 및 찢어지는 손상을 주지 않고, 단지 무해한 마찰(harmless rubbing)만 일어나게 된다.
또한, 절삭 와이어는 수근인대에 밀착 가능하도록 충분히 유연한 재질과 굵기를 갖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U자 형태로 수근인대에 감긴 상태에서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주변 조직이 수근인대와 절삭 와이어 사이로 끼어들어 필요 없는 절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포인트이다. 이하, 절삭 와이어의 재질이나 직경을 한정하는 것도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절삭 와이어가 포함하는 중심 및 외측 와이어의 총수는 대략 6~7개 정도가 바람직하나 그 수는 원하는 강도 혹은 거칠기를 위하여 변경 설계가 가능하며, 그 재질은 스테인리스, 강선, 동선,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으나, 독성이 없어 신체 내부에 삽입되어도 무방한 재료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와이어를 내측에 두고, 5 내지 7개의 외측 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중심 및 외측 와이어의 직경은 0.05 내지 0.15㎜ 범위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수근인대의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된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견인력을 받는 포인트)에서 견고하게 꼬여 있던 외측 와이어가 풀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직경이다. 구체적으로, 견인력이 집중되는 수근인대 부위에서는 꼬여져 있는 와이어가 풀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상기 직경 미만은 끊어질 수 있고, 상기 직경을 초과하면 견인력을 받는 포인트에서 외측 와이어가 잘 풀리지 않을 수 있다.
절삭 와이어의 나선화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근인대를 찢는 것이 아니라 절삭하는데 유용한 구조이다. 예를 들어, 가는 낚싯줄이나 실을 사용하게 되면 나선화가 없어 수근인대를 찢는 것만 가능하고 절삭하는 것이 어렵다.
이상 상술한 절삭부재를 앞서 설명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를 통해서 수근인대의 상부 및 하부로 형성된 통로로 삽입시킬 수 있고, 수근인대의 상부와 하부를 걸쳐 배치된 절삭부재를 왕복 운동시켜 수근인대를 절삭할 수 있다.
이하, 절삭부재를 수근인대의 상부와 하부를 걸쳐 수근인대를 마치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참고로, 아래에 사용되는 전방 및 후방은 상대적인 표현으로 서로 바뀌어 사용될 수 있으며, 수근인대를 사이에 두고 수근인대에서 팔꿈치 쪽(다른 표현으로, 근위부로 칭하기도 함)을 전방으로, 수근인대에서 손가락 끝 쪽(다른 표현으로, 원위부로 칭하기도 함)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펀칭 니들을 사용하여 수근인대 전방에서 피부에 전단 관통 홀을 내는데, 이때, 전단 관통 홀은 대략 손목 주름에 인접한 곳에 형성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장장근에서 새끼 손가락 방향으로 바로 옆, 손목 주름 근처가 될 수 있다. 전단 관통 홀의 깊이는 대략 전완근막(antebrachial fascia)까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전단 관통 홀로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넣고, 초음파 검사 방법을 통해서 미리 확인해 손바닥에 표시해 놓은 라인을 따라서 수근인대 하부로 밀어 넣는다. 굴곡된 캐뉼러 니들의 선단 즉, 외측 캐뉼러부의 선단은 뭉툭하여 이동하는 동안 내부 조직의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수근인대와 그 하부의 주변 조직을 유착분리(adhesiolysis)시킬 수 있다.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선단이 대략 수근인대의 후방에 이르면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선단이 피부를 통해서 촉지될 수 있다. 이때, 굴곡된 선단은 상부를 향하고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나서, 굴곡형 캐뉼러 니들로부터 스타일렛부만 잡아서 빼내면, 내측 니들부의 내부가 비어 있게 되고, 그 내부로 절삭부재의 스트레이트 니들을 밀어 넣어 내측 니들부 선단으로 빼내면 수근인대 후방에 후단 관통 홀이 형성되고, 절삭 와이어만이 굴곡형 캐뉼러 니들 내부에 남게 된다. 여기서, 굴곡형 캐뉼러 니들은 외측 캐뉼러부, 내측 니들부, 및 스타일렛부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내측 니들부 없이 스타일렛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외측 캐뉼러부와 내측 니들부를 마저 전단 관통 홀로 다시 빼내면 수근인대의 하부로 수근인대의 전방에 생긴 전단 관통 홀과 후방에 생긴 후단 관통 홀에 걸쳐 절삭 와이어가 수근인대의 하부로 수근인대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게 된다.
참고로, 굴곡형 캐뉼러 니들이 수근인대 밑으로 관통하는 방향은 전방에서 후방이나 그 방향은 반대가 되더라도 무관하며, 굴곡형 캐뉼러 니들 내측으로 삽입되는 절삭부재의 삽입방향도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이상 수근인대 하부로 통로를 내고, 절삭부재를 상기 하부 통로로 배치하기 위해서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아 보았다.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살펴본 바와 같이, 굴곡형 캐뉼러 니들은 수근인대의 하부로 통로를 제공하는데 최적화된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하여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경우에는 굳이 선단이 굽어있는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경우에는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전단 관통 홀로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삽입하는데, 이는 필요 없는 구멍을 피부에 내지 않기 위함이고, 나아가, 전단 관통 홀이 2개가 생길 경우, 절삭 와이어를 당기고 미는 과정에서 전단 관통 홀 사이의 피부가 절개되기 때문에 하나의 전단 관통 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내로 삽입된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의 상부와 피부 밑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선단 즉, 외측 캐뉼러부의 선단은 뭉툭하여 이동하는 동안 내부 조직의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수근인대와 그 상부의 주변 조직을 유착분리(adhesiolysis)시킬 수 있다.
수근인대의 후방에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선단이 다다르면, 직선형 캐뉼러 니들 후단에 이격된 버튼부를 민다. 그러면, 내측 니들부 및 스타일렛부가 피부를 뚫고 함께 피부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후단 관통 홀이 생긴다. 이때의 후단 관통 홀은 반드시 앞서서 절삭부재의 스트레이트 니들에 의해서 생긴 후단 관통 홀과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선단이 날카로운 내측 니들부로 피부를 뚫은 다음에는 다시 버튼부를 잡아 빼서 스타일렛부를 제거하고, 다시 내측 니들부를 외측 캐뉼러부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 외측 캐뉼러부 내부로 이미 수근인대 하부에 배치된 절삭 와이어의 노출된 부분을 후방에서 집어 넣어 전방으로 빼내고, 외측 캐뉼러부를 후방 관통 홀로 당겨서 빼내면, 절삭 와이어는 수근인대를 마치 U자로 감싸게 배치된다.
참고로, 절삭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던 스트레이트 니들은 절삭 와이어를 수근인대 하부에 배치하고 이미 잘라 제거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절삭 와이어가 수근인대를 마치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절삭부재의 양 단을 잡고 한쪽을 당기고 미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근인대를 절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를 사용하여 수근인대의 상부와 하부로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통로로 절삭부재를 삽입하여 수근인대를 절삭함으로써, 피부에는 절삭부재를 삽입하는 관통 홀 외의 불필요한 피부 절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수술 후의 피부 봉합이 불필요하고, 소독 작업이 간단하며, 회복도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를 사용하여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절삭부재는 수근인대를 위아래로 감싸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수근인대를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완전히 잘라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삭부재는 와이어 형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종래의 돌출된 칼날과는 다르게 수근인대에 닿은 상태에서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주변 조직의 훼손을 극히 미미하게 줄일 수 있다.
특히, 수근인대를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수근인대의 위아래를 연결하는 측부에서만 절삭 와이어에 의해서 수근인대의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수근인대의 측부에 놓이는 절삭 와이어의 중심 부분(견인력을 받는 포인트)에서 견고하게 꼬여 있던 외측 와이어들이 풀어진다. 이렇게 풀어진 외측 와이어들은 마치 날카로운 이빨(tooth) 역할을 하면서 수근인대를 절삭(cutting)할 수 있다. 이는 힘으로 수근인대를 찢는(tearing) 것과 다르게 수술 후 통증도 적고 회복도 빠르다. 반면에, 수근인대의 상면과 하면에 완전히 밀착(attach completely)되는 절삭 와이어는 톱날(tooth)이 없으므로 왕복운동 시 수근인대의 주변조직들에 스크래치(scratch) 및 찢어지는 손상을 주지 않고, 단지 무해한 마찰(harmless rubbing)만 일어나게 된다. 톱날을 갖는 와이어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톱날에 의해서 수근인대의 상면과 하면이 함께 절삭되지만, 꼬인 와이어 형태의 절삭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근인대의 측부에서만 절삭이 가능하다.
또한, 절삭 와이어는 수근인대에 밀착 가능하도록 충분히 유연한 재질과 굵기를 갖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U자 형태로 수근인대에 감긴 상태에서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주변 조직이 수근인대와 절삭 와이어 사이로 끼어들어 필요 없는 절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굴곡 혹은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피부 내에 삽입하기 전에, 캐뉼러 니들이 삽입되는 위치를 초음파를 사용하여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피부에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 와이어는 간단하게 와이어를 꼬아서 제조하여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단가가 낮은 장점이 있어 일회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수근관 위를 가로 지르는 수근인대가 드러나도록 피부를 절개하고, 수근인대를 메스로 일부 절개하는 종래의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수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수근인대가 배치되는 손목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중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하여 절삭부재를 수근인대의 하부로 수근인대를 가로질러 배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펀칭 니들을 사용하여 수근인대의 전방에서 피부에 전단 관통 홀을 형성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 전방에 형성된 전단 관통 홀로 수근인대의 하부까지 집어 넣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의 하부로 수근인대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진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전단 관통 홀로 스타일렛부를 제거하고, 절삭부재의 스트레이트 니들을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 내부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 선단으로 스트레이트 니들을 노출시키고, 다시 피부를 뚫고 노출되는 스트레이트 니들에 의해서 후단 관통 홀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후단 관통 홀로 노출되는 스트레이트 니들을 외측 캐뉼러부 선단을 통해서 완전히 잡아 뺀 후,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를 제거한 후, 스트레이트 니들을 절삭 와이어로부터 절단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중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하여 절삭부재를 수근인대의 상부로 수근인대를 가로질러 배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수근인대 전방에 형성된 전단 관통 홀로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삽입하고, 수근인대의 상부 및 피부 밑으로 밀어 넣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버튼부를 밀어 내측 니들부의 날카로운 선단이 피부를 뚫고 수근인대의 후방에서 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스타일렛부를 제거한 상태도이다.
도 13은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를 마저 제거하여, 수근인대의 상부에 내측 니들부만을 남겨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수근인대의 하부에 배치된 절삭 와이어 중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을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 니들부 내부로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 니들부 마저 후단 관통 홀로 빼내어, 수근인대의 하부 및 상부로 절삭 와이어가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절삭 와이어를 사용하여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중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수근인대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부분, 즉 수근인대의 측면에서 견인력을 받는 부분에서 절삭 와이어가 풀어져 나선 구조를 갖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와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수근인대가 배치되는 손목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중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하여 절삭부재를 수근인대의 하부로 수근인대를 가로질러 배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펀칭 니들을 사용하여 수근인대의 전방에서 피부에 전단 관통 홀을 형성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 전방에 형성된 전단 관통 홀로 수근인대의 하부까지 집어 넣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수근인대의 하부로 수근인대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진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전단 관통 홀로 스타일렛부를 제거하고, 절삭부재의 스트레이트 니들을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 내부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 선단으로 스트레이트 니들을 노출시키고, 다시 피부를 뚫고 노출되는 스트레이트 니들에 의해서 후단 관통 홀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후단 관통 홀로 노출되는 스트레이트 니들을 외측 캐뉼러부 선단을 통해서 완전히 잡아 뺀 후,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를 제거한 후, 스트레이트 니들을 절삭 와이어로부터 절단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중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하여 절삭부재를 수근인대의 상부로 수근인대를 가로질러 배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수근인대 전방에 형성된 전단 관통 홀로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삽입하고, 수근인대의 상부 및 피부 밑으로 밀어 넣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버튼부를 밀어 내측 니들부의 날카로운 선단이 피부를 뚫고 수근인대의 후방에서 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스타일렛부를 제거한 상태도이다.
도 13은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를 마저 제거하여, 수근인대의 상부에 내측 니들부만을 남겨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수근인대의 하부에 배치된 절삭 와이어 중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을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 니들부 내부로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 니들부 마저 후단 관통 홀로 빼내어, 수근인대의 하부 및 상부로 절삭 와이어가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절삭 와이어를 사용하여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중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수근인대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부분, 즉 수근인대의 측면에서 견인력을 받는 부분에서 절삭 와이어가 풀어져 나선 구조를 갖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와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100)는 수근인대(10)를 절삭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 및 절삭부재(140) 외에도 도 4에 도시되는 펀칭 니들(130), 도 10에 도시되는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 및 도 17에 도시되는 지지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를 위하여 수근인대를 덮고 있는 손목 부분의 피부를 절개하고 메스로 직접 절개하거나 내시경을 수근인대 밑으로 넣어 수근인대를 밑에서부터 일부 절개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피부 절개 범위가 넓어 회복 기간이 긴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100)를 사용하여 수근인대(10)의 상부와 하부로 통로를 제공하고, 그 통로로 와이어 형태의 절삭부재(140)를 삽입한 후에, 수근인대(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근인대(10)를 U자 형태로 감싸게 배치되는 절삭부재(140)를 이용하여 수근인대(10)를 손쉽게 절삭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형상의 절삭부재(140)를 통해서 수근인대(10)를 절삭하게 되면,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관통 홀만이 피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술 후 회복 기간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먼저,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은 수근인대(10)의 하부로 통로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캐뉼러부(113)의 외측에서 외측 캐뉼러부(113)에 연결된 파지부(116)외에도 절삭부재(140)를 삽입할 수 있는 중공의 외측 캐뉼러부(113) 및 외측 캐뉼러부(113)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타일렛부(115)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내측 니들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펀칭 니들 없이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관통 홀을 형성할 경우 필요한 구성이며, 상세한 내용은 추후에 설명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캐뉼러부(113) 및 스타일렛부(115)를 포함하는 경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의 외측 캐뉼러부(113)는 직선파트(111) 및 직선파트(111)로부터 굴곡된 선단파트(112)를 가지는데, 선단파트(112)는 직선파트(111)에 대해서 25°내지 35°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30°로 구부러져 있다.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의 선단이 굴곡되면,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 내부로 삽입되는 절삭부재(140)를 수근인대(10)의 원위에서 피부 외측으로 빼내기가 용이하다. 참고로, 외측 캐뉼러부(113)의 선단은 뭉툭하게 형성되어 수근인대(10) 밑에서 이동 시 필요 없는 조직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에 선단파트의 길이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선단파트(112)가 직선파트(111)로부터 25°미만으로 구부러져 있으면, 선단파트(112)를 통해서 노출되는 절삭부재(140)를 피부 외측으로 빼내기가 쉽지 않고, 35°초과하여 구부러져 있으면, 외측 캐뉼러부(113)를 수근인대(10)의 하부를 통해서 전방에서 후방까지 밀어 넣기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외측 캐뉼러부(113) 내부로 삽입된 스트레이트 니들(141)이 상당한 각도로 휘어져야 하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있고, 스트레이트 니들(141)을 밀어 넣는데 상당한 힘이 필요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외측 캐뉼러부(113)의 굴곡된 선단의 길이는 대략 5 내지 7㎜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일 수 있다. 그 이유는 굴곡된 선단이 5㎜ 미만이면 수근인대의 피부 밑 깊이를 고려할 때 너무 짧아 선단의 위치를 피부 외측에서 파악하기 어렵고, 7㎜를 초과하면 피부 밑 조직에 걸려 외측 캐뉼러부(113)를 수근인대(10)의 하부를 통해서 전방에서 후방까지 밀어 넣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을 살펴본 바와 같이,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은 수근인대(10)의 하부로 통로를 제공하는데 최적화된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을 사용하여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하기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다른 기구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수근인대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경우에는 캐뉼러 니들이 피부 내측으로 깊이 삽입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선단이 굴곡되지 않더라도 비교적 캐뉼러 니들 선단으로 노출되는 절삭부재를 피부 외측으로 빼내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100)는 수근인대(10)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때,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은 앞서 설명한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과 비교할 때 선단의 굴곡이 없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수근인대(10)의 상부로 통로를 제공할 때, 상기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하지 않고,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사용할 수도 있고, 중공의 바늘을 사용하는 것도 불가한 것은 아니다.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캐뉼러부(123), 외측 캐뉼러부(123)에 결합되어 있는 파지부(126), 외측 캐뉼러부(123) 내부 중공으로 삽입되는 내측 니들부(124), 및 내측 니들부(124) 내부 중공으로 삽입되는 스타일렛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의 외측 캐뉼러부(123) 역시 선단이 뭉툭하게 형성되며, 스타일렛부(125)는 내측 니들부(124) 내부로 피부 밑 조직이 유입되지 않도록 내측 니들부(124) 중공을 매울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니들부(124)는 직접 피부를 뚫을 수 있는 날카로운 선단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은 외측 캐뉼러부 후단과 이격된 상태로 노출되는 버튼부(127)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버튼부(127)는 스타일렛부(125)의 후단에 연결되고, 내측 니들부(124)와 분리되되, 내측 니들부(124)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버튼부(127)를 밀어 내측 니들부(124)를 외측 캐뉼러부(123) 선단으로 노출시켜 피부를 뚫을 수 있고, 버튼부(127)를 당겨 버튼부(127)에 연결된 스타일렛부(125)를 외측 캐뉼러부(123)에서 빼낼 수 있으며, 스타일렛부(125)가 빠진 자리로 절삭부재(140)를 집어 넣을 수 있다.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을 통해서 수근인대(10) 상부로 통로를 제공하여, 절삭 와이어(150)를 피부 밑과 수근인대(10)의 상부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잠시 도 3 및 도 20을 보면, 본 실시예의 절삭부재(140)가 절삭 와이어(150) 및 절삭 와이어(150)의 일단에 연결되는 스트레이트 니들(141)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절삭 와이어(150)는 중심 와이어(151)와 중심 와이어(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중심 와이어(151)를 수용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꼬아지는 6개의 외측 와이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중심 와이어(151)를 내측에 두고 복수개의 외측 와이어(152)가 서로 짜여 제공되는 절삭 와이어(150)는 수근인대(10)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끊어질 염려도 적고, 그 표면에는 와이어에 의한 골과 산이 생겨 수근인대(10)를 절삭하기 용이한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수근인대(10)를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외측 와이어(152)는 수근인대(10)의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된 부분을 연결하는 중심 부분(견인력을 받는 포인트)에서 풀어질 수 있는데, 이렇게 풀어진 외측 와이어(152)들은 마치 날카로운 이빨 역할을 하면서 수근인대(10)를 절삭(cutting)할 수 있으며, 이는 힘으로 수근인대를 찢는(tearing) 것과 다르게 수술 후 통증도 적고 회복도 빠르다.
또한, 수근인대의 상면과 하면에 완전히 밀착(attach completely)되는 절삭 와이어는 톱날(tooth)이 없으므로 왕복운동 시 수근인대의 주변조직들에 스크래치(scratch) 및 찢어지는 손상을 주지 않고, 단지 무해한 마찰(harmless rubbing)만 일어나게 된다. 만약, 별도의 톱날을 갖는 와이어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톱날에 의해서 수근인대의 상면과 하면이 함께 절삭되지만, 꼬인 와이어 형태의 본 발명의 절삭부재는 수근인대의 측부에서만 풀어져 그 부분만 마치 이빨 역할을 하면서 수근인대의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절삭 와이어(150)가 포함하는 중심 및 외측 와이어(151, 152)의 총수는 대략 6~7개 정도가 바람직하나 그 수는 원하는 강도 혹은 거칠기를 위하여 변경 설계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직경이 동일한 절삭 와이어들에서 중심 와이어를 감싸는 외측 와이어의 개수를 변경하면서, 그 표면 거칠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동일한 경우, 외측 와이어의 개수가 적은 절삭 와이어의 표면이 더 거칠어 질 것이다.
또한, 중심 및 외측 와이어(151, 152)는 각각 0.1㎜의 직경을 가지며, 본 실시예와 같이, 총 7개가 꼬여진 직경은 0.3㎜의 직경을 갖는데, 이는 수근인대(10)의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된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견인력을 받는 포인트)에서 견고하게 꼬여 있던 외측 와이어(152)가 풀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직경이다. 구체적으로, 견인력이 집중되는 절삭 와이어(150) 부분은 와이어들이 풀어지게 되는데, 상기 직경 미만은 끊어질 수 있고, 상기 직경을 초과하면 견인력을 받는 포인트에서 외측 와이어(152)가 잘 풀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절삭 와이어(150)의 나선화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근인대(10)를 찢는 것이 아니라 절삭하는데 유용한 구조이다. 예를 들어, 가는 낚싯줄이나 실을 사용하게 되면 나선화가 없어 수근인대(10)를 견인력으로 찢는 것만 가능하고 절삭하는 것이 어렵다.
이상 상술한 절삭부재를 앞서 설명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100)를 통해서 수근인대(10)의 상부 및 하부로 형성된 통로로 삽입시킬 수 있고, 수근인대(10)의 상부와 하부를 걸쳐 배치된 절삭부재(140)를 왕복시켜 수근인대(10)를 절삭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100)를 사용하여 절삭부재(140)를 수근인대(10) 상부와 하부로 배치하고, 절삭부재(140)를 이용하여 수근인대(10)를 적어도 일부 절삭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특히, 절삭부재(140)를 수근인대(10)의 상부와 하부를 걸쳐 마치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참고로, 아래에 사용되는 전방 및 후방은 상대적인 표현으로 서로 바뀌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 수근인대를 사이에 두고 수근인대에서 팔꿈치 쪽을 전방으로, 수근인대에서 손가락 끝 쪽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펀칭 니들(130)을 사용하여 수근인대(10)의 전방에 전단 관통 홀(12)을 형성한다. 사람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대략 손목 주름 부분에 수근인대(10)가 놓이기 때문에, 전단 관통 홀(12)의 위치는 대략 손목 주름에 인접한 곳에 형성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장장근에서 새끼 손가락 방향으로 바로 옆, 손목 주름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펀칭 니들의 직경은 18게이지 디아메타(gauge diameter)로 1.024㎜에 해당하며, 외측 캐뉼러부의 직경도 동일하다. 또한, 스트레이트 니들의 직경은 0.5 내지 0.7㎜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0.6㎜의 직경을 갖는다.
전단 관통 홀(12)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의 선단을 밀어 넣어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의 선단이 수근인대(10)의 하부까지 진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을 수근인대(10) 하부로 전방에서 후방까지 진입시킬 수 있다.
굴곡된 캐뉼러 니들(110)의 선단 즉, 외측 캐뉼러부(113)의 선단은 뭉툭하여 이동하는 동안 내부 조직의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수근인대(10)와 그 하부의 주변 조직을 유착분리(adhesiolysis)시킬 수 있다.
한편,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을 수근인대(10)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피부를 뚫고 삽입시키기 전에,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이 삽입되는 위치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고,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의 이동 경로를 별도로 피부 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수근인대(10)의 후방까지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의 선단이 다다르면 손바닥 피부를 향하는 선단파트(112)에 의해서 피부가 약간 볼록하게 솟거나, 선단파트(112)가 피부 위에서 손가락으로 촉지될 수 있다.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의 위치를 확인하고 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렛부(115)를 전단 관통 홀(12)로 다시 빼내어 외측 캐뉼러부(113)의 내측을 비운다. 참고로, 스타일렛부(115)는 고무나 합성수지 혹은 탄성이 좋아 잘 휘는 합금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 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는 굽어 있는 선단에 맞춰 구부러져 있을 수 있고, 도 7과 같이, 외측 캐뉼러부(113)에서 빠진 경우 직선형태로 형상이 돌아올 수 있다.
이렇게 외측 캐뉼러부(113)의 내측을 비워 놓고, 절삭부재(140)의 스트레이트 니들(141)부터 밀어 넣을 수 있다.
그 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캐뉼러부(113) 내부로 스트레이트 니들(141)을 밀어 넣어 외측 캐뉼러부(113) 선단으로 스트레이트 니들(141)이 노출되고, 노출된 스트레이트 니들(141)의 날카로운 선단이 직접 수근인대(10) 후방의 피부를 뚫고 나와 후단 관통 홀(14)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후에, 스트레이트 니들(141)을 외측 캐뉼러부(113) 내부에서 완전하게 빼내고, 외측 캐뉼러부(113)를 전단 관통 홀(12)로 빼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재(140)만 수근인대 하부로 배치되게 된다. 참고로, 스트레이트 니들(141)은 절삭 와이어(150)로부터 잘라 제거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굴곡형 캐뉼러 니들(110)을 사용하여 절삭부재(140)를 수근인대(10) 하부에 배치하는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하,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을 사용하여 절삭부재(140)를 수근인대 상부에 배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10을 보면, 직선형 캐뉼러 니들(120)을 이미 형성된 전단 관통 홀(12)로 삽입하여, 수근인대(10) 전방에서 후방까지 밀어 넣는다.
그 후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27)를 밀어 내측 니들부(124) 및 스타일렛부(125)를 외측 캐뉼러부(123) 선단으로 노출시켜 이미 형성된 후단 관통 홀(14)로 빼낸다. 참고로, 이 과정에서 내측 니들부(124) 및 스타일렛부(125)를 반드시 후단 관통 홀(14)로 빼낼 필요는 없으나, 불필요한 피부 관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 형성된 후단 관통 홀(14)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렛부(125) 및 외측 캐뉼러부(123)를 전단 관통 홀(12)로 빼내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니들부(124)만 남긴다.
그 후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관통 홀(12)을 통해서 외부에 나와 있는 절삭 와이어(150) 부분부터 내측 니들부(124) 후미로 삽입하고, 내측 니들부(124)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단 관통 홀(14)로 절삭 와이어(150)를 빼내, 절삭 와이어(150)를 수근인대(10)의 상부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남아 있던 내측 니들부(124)를 후단 관통 홀(14)로 빼내서 제거하면, 도 15와 같이, 수근인대(10)의 상부와 하부에 절삭 와이어만 남게 되며, 절삭 와이어(150)를 살짝 당기면, 도 16과 같이, 절삭 와이어(150)가 수근인대(10)의 상면과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마치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절삭 와이어(150)가 수근인대(10)를 마치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그 후에, 후단 관통 홀(14)로 노출된 절삭 와이어(150)의 양 단을 잡고 한쪽을 당기고 미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근인대(10)를 수근인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절삭할 수 있다.
이때, 절삭 와이어(150)는 수근인대에 밀착 가능하도록 충분히 유연한 재질과 굵기를 갖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U자 형태로 수근인대에 감긴 상태에서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주변 조직이 수근인대와 절삭 와이어 사이로 끼어들어 필요 없는 절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시 도 18을 참조하면, 수근인대(10)를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수근인대의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된 부분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중심 부분(견인력을 받는 포인트)에서 견고하게 꼬여 있던 외측 와이어(152)가 풀어지게 된다. 이는 마치 DNA가 복제될 때 일어나는 양성 초 나선화 과정처럼 풀어지는 것과 유사하다. 이는 견인력을 받는 와이어의 중심 부분이 늘어나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며, 이렇게 풀어진 외측 와이어들은 마치 날카로운 이빨 역할을 하면서 수근인대를 절삭(cutting)할 수 있다. 이는 힘으로 수근인대를 찢는(tearing) 것과 다르게 수술 후 통증도 적고 회복도 빠르다. 반면에, 수근인대의 상면과 하면에 완전히 밀착(attach completely)되는 절삭 와이어는 톱날(tooth)이 없으므로 왕복운동 시 수근인대의 주변조직들에 스크래치(scratch) 및 찢어지는 손상을 주지 않고, 단지 무해한 마찰(harmless rubbing)만 일어나게 된다.
도 17은 지지부재(160)를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지지부재(160)의 용도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지부재(160)는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되, 상방으로 내부가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부 절개된 파이프 형태로 제공된다.
상술한 지지부재(160)를 전단 관통 홀(12)로 삽입하면,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근인대(10) 하부로 지나가는 절삭 와이어(15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절삭 와이어(150)의 양 단을 잡고 한쪽을 당기고 미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근인대(10)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척골 동맥(13), 수근인대(10) 하부에 배치되는 정중신경(11)이나 손가락을 구부리는데 사용되는 굴근(flexor tendon)(15)등의 조직이 절삭 와이어(150)에 의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지지부재(160)는 전단 관통 홀(12)이 아닌 후단 관통 홀(14) 쪽에서 삽입되어 절삭 와이어(15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160)에는 지지부재(160)가 전단 관통 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날개가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테이프(20)로 간단하게 지지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형 캐뉼러 니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에 도시된 굴곡형 캐뉼러 니들(210)은 앞서 설명한 굴곡형 캐뉼과 다르게 별도의 내측 니들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는 별도의 펀칭 니들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피부에 구멍을 내기 위하여 내측 니들부(214)를 더 가지고 있는 경우로, 도 19의 굴곡형 캐뉼러 니들(210)은 외측 캐뉼러부(213), 내측 니들부(214), 및 스타일렛부(215)를 가진다. 물론, 외측 캐뉼러부(213)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직선파트(211)로부터 굴곡된 선단파트(212)를 갖는다.
버튼부(217)는 외측 캐뉼러부(213)의 후단과 이격되어 있으나, 스타일렛부(215)의 후단과는 연결되어 있고, 내측 니들부(214)의 후단과는 연결되지 않되,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버튼부(217)를 외측 캐뉼러부(213)의 후단쪽으로 밀어 밀착 시키면 내측 니들부(214)와 스타일렛부(215)가 함께 밀려 외측 캐뉼러부(213)의 선단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전단 관통 홀 14:후단 관통 홀
100: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110:굴곡형 캐뉼러 니들
111:직선파트 112:선단파트
113: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
115: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스타일렛부
116: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파지부
120:직선형 캐뉼러 니들
123: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
124: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 니들부
125: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스타일렛부
126: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파지부
127: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버튼부
130:펀칭 니들 140:절삭부재
141:스트레이트 니들 150:절삭 와이어
151:중심 와이어 152:외측 와이어
160:지지부재
100: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110:굴곡형 캐뉼러 니들
111:직선파트 112:선단파트
113: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
115: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스타일렛부
116: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파지부
120:직선형 캐뉼러 니들
123: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외측 캐뉼러부
124: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 니들부
125: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스타일렛부
126: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파지부
127:직선형 캐뉼러 니들의 버튼부
130:펀칭 니들 140:절삭부재
141:스트레이트 니들 150:절삭 와이어
151:중심 와이어 152:외측 와이어
160:지지부재
Claims (13)
- 수근인대(flexor retinaculum)를 절삭하기 위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에 있어서,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근위(proximal)에서 피부 내측으로 들어가 수근인대의 하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원위(distal)에서 피부를 향하도록 선단이 굴곡된 중공의 굴곡형 캐뉼러 니들(cannular needle); 및
상기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굴곡된 선단에 대응하여 굴곡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트레이트 니들 및 상기 스트레이트 니들과 연결되는 절삭 와이어를 포함하는 절삭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형 캐뉼러 니들 내측으로 상기 절삭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절삭 와이어의 일부를 수근인대의 하부에 배치하고, 피부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절삭 와이어의 다른 일부를 피부 밑과 수근인대의 상부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절삭 와이어가 수근인대를 감싸게 배치하고, 상기 절삭부재를 이용하여 수근인대를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와이어는 중심 와이어 및 상기 중심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중심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꼬아지는(braid)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굴곡된 선단의 길이는 5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형 캐뉼러 니들의 선단은 25°내지 35°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와이어는 수근인대를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수근인대의 위아래를 연결하는 측부에서만 상기 절삭 와이어에 의해서 수근인대의 절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형 캐뉼러 니들은,
뭉툭한(blunt) 선단을 갖는 중공의 외측 캐뉼러부, 상기 외측 캐뉼러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절삭부재가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중공의 내측 니들부, 및 중공의 상기 내측 니들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타일렛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절삭 와이어의 다른 일부를 상기 절삭부재를 피부 밑과 수근인대의 상부 사이에 배치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중공의 직선형 캐뉼러 니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직선형 캐뉼러 니들은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근위에서 피부 내측으로 수근인대의 상부로 진입하여, 수근인대를 기준으로 원위에서 피부 외측으로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수근인대의 상부로 배치되는 상기 캐뉼러 니들 및 수근인대의 하부로 배치되는 상기 캐뉼러 니들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는 진입 홀 및 피부를 뚫고 나오는 노출 홀 중 어느 일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절삭부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형 캐뉼러 니들이 피부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피부를 펀칭하기 위한 뾰족한 선단을 갖는 펀칭 니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수근인대를 절삭하기 위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용 절삭 와이어에 있어서,
중심 와이어; 및
상기 중심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중심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꼬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와이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및 외측 와이어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를 이용하며, 0.05 내지 0.15㎜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와이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와이어는 5 내지 7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와이어. - 제10항에 있어서,
수근인대를 U자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외측 와이어는 수근인대의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된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풀어지는(unbrai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와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0054A KR101413667B1 (ko) | 2012-06-04 | 2012-06-04 |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0054A KR101413667B1 (ko) | 2012-06-04 | 2012-06-04 |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6333A true KR20130136333A (ko) | 2013-12-12 |
KR101413667B1 KR101413667B1 (ko) | 2014-07-07 |
Family
ID=4998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0054A KR101413667B1 (ko) | 2012-06-04 | 2012-06-04 |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36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2985B1 (ko) * | 2023-11-15 | 2024-06-07 | 스마트와이어 주식회사 | 손목터널증후군 및 방아쇠수지증후군 치료를 위한 절단 시술용 와이어 그리핑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13745B2 (en) | 2004-10-15 | 2013-12-24 | Baxano Surgical, Inc.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carpal tunnel release |
JP2008017954A (ja) | 2006-07-11 | 2008-01-31 | Hi-Lex Corporation | 骨切りワイヤおよびそれに用いるワイヤガイドチューブ |
EP2461752B1 (en) | 2009-08-07 | 2017-03-15 | Thayer Intellectual Property Inc. | Systems for treatment of compressed nerves |
US8876845B2 (en) | 2010-09-30 | 2014-11-04 | Loubert Suddaby | Sling blade transection of the transverse carpal ligament |
-
2012
- 2012-06-04 KR KR1020120060054A patent/KR10141366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2985B1 (ko) * | 2023-11-15 | 2024-06-07 | 스마트와이어 주식회사 | 손목터널증후군 및 방아쇠수지증후군 치료를 위한 절단 시술용 와이어 그리핑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3667B1 (ko) | 2014-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71303B1 (en) |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tendon sheath release using device with hemi-cannula | |
AU2010215109B2 (en) | Side-loaded medical implement particularly useful in arthroscopic surgery | |
EP2605714B1 (en) | Surgical set of instruments for precision cutting | |
US5325883A (en) | Device and method for carpal tunnel release | |
EP2844165B1 (en) | System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 |
US20080281338A1 (en) | Surgical Suture System | |
CN112638294B (zh) | 用于经皮松解程序的医疗器械 | |
KR20130038451A (ko) | 수술기구 및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
US5782850A (en) | Method for treating trigger finger, and medical instrument therefor | |
US20180147077A1 (en) | Balloon catheter having an insertion aid for a guide wire | |
KR101368481B1 (ko) | 매선시술용 도구 | |
KR101413667B1 (ko) |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 | |
JP2014171629A (ja) | 内視鏡装置用補助具及びこれを用いた内視鏡装置 | |
KR101696696B1 (ko) | 오버튜브 및 그 사용법 | |
WO2018080487A1 (en) | Surgical device | |
KR101413668B1 (ko) |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 |
KR20180126402A (ko) | 실 삽입기 | |
JP2007296280A (ja) | 内視鏡用注射具 | |
KR0179684B1 (ko) | 방아쇠수지 치료기구 | |
KR102692879B1 (ko) | 시술용 와이어 그리핑 모듈 | |
JP2003310628A (ja) | 生体組織採取装置 | |
CN209916129U (zh) | 一种用于微创手术的腱鞘切开器 | |
KR101408242B1 (ko) |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 |
CN114096189A (zh) | 内窥镜松解手术牵开器 | |
JP4264378B2 (ja) | 手根管開放術用メスホル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