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242B1 -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 Google Patents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242B1
KR101408242B1 KR1020120059249A KR20120059249A KR101408242B1 KR 101408242 B1 KR101408242 B1 KR 101408242B1 KR 1020120059249 A KR1020120059249 A KR 1020120059249A KR 20120059249 A KR20120059249 A KR 20120059249A KR 101408242 B1 KR101408242 B1 KR 10140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blade
probe pin
scalpel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566A (ko
Inventor
박찬영
Original Assignee
박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영 filed Critical 박찬영
Priority to KR102012005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24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7Instruments for cutt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용 봉합사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메스홀더에 연결된 절단부의 연결부 말단에 칼날을 형성하되, 칼날 외측에 전방으로 탐침핀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탐침핀을 이용해 구강내의 봉합사가 걸리도록 하되, 칼날로 봉합사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는, 피부조직에 밀착된 봉합사를 탐침핀을 이용해 쉽게 캐치할 수 있고, 칼날에 의한 피부조직 손상이 없으며, 봉합사 캐치 및 절단 작업을 한 명의 시술자가 모두 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인원이 감축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강용 봉합사제거기{Oral cavity for suture yarn remover tool}
본 발명은 구강용 봉합사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부의 탐침핀을 봉합사에 걸어 칼날로 봉합사를 제거하는 봉합사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현장에서는 절개 수술을 행한 후, 상처 부위를 봉합하게 되고, 이러한 봉합은 봉합사를 사용하여 상처를 봉합함으로써, 상처가 빠른 시일 내에 붙게 된다.
이때, 상처 부위가 붙은 후에는 봉합사 제거 치료를 해야하는데, 이때, 봉합한 곳의 봉합사를 자르고 나서, 이를 제거함으로써 상처가 빠른 시일 내에 아물게 된다.
특히, 구강내의 봉합사는 일반적인 의료용 가위 또는 도 1에 나타난 메스를 이용하여 봉합사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메스는, 막대형상의 메스홀더(1)와, 상기 메스홀더(1)에 연결되되, 말단이 굽어지게 형성되어 칼날(2)을 형성하고 있는 절단부(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스홀더(1)의 양 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홈(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3)는 상기 칼날(2)이 굽어진 말단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강내에 봉합된 봉합사(L)에 상기 절단부(3)의 칼날(2) 끝단을 걸어 정해진 방향으로 메스를 당기게 되면, 절단부(3)의 칼날(2)이 봉합사(L)를 절단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절단부(3)의 칼날(2)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봉합사가 칼날(2) 끝단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2)과 대응되는 절단부(3)의 말단 외측부분은 무디게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내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절단부(3) 말단에 형성된 칼날(2)로 봉합사(L)를 제거하는 구조는, 피부조직에 밀착된 봉합사(L)를 칼날(2) 끝단에 걸리도록 하기 어렵고, 날카로운 칼날(2) 끝단이 피부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봉합사(L)의 캐치 또는 절단 시술을 보조하는 보조인원이 필요하여 인력 손실의 문제점이 있다.
KR 2000-0030997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스홀더에 연결된 절단부의 연결부 말단에 칼날을 형성하되, 칼날 외측에 전방으로 탐침핀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탐침핀을 이용해 시술부위의 봉합사가 걸리도록 하되, 칼날로 봉합사를 제거할 수 있는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부 말단에 탐침핀과 대향되는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걸림돌부 말단에 구 형상의 피부손상방지구를 형성함으로써, 봉합사 제거시 피부손상방지구가 피부조직에 밀착된 상태로 칼날의 이동을 제한하여 칼날이 피부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는, 막대 형상의 메스홀더;와 상기 메스홀더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 말단에 칼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 외측에 탐침핀이 형성된 절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칼날이 반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연결부 말단에 상기 탐침핀과 대향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부 말단에 상기 걸림돌부가 구강내의 피부조직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손상방지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메스홀더는 말단에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 일 측면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 상,하면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연결부 일 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 상,하면에 상기 안내레일이 끼워지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카본 또는 스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는, 피부조직에 밀착된 봉합사를 칼날이 없는 탐침핀을 이용해 쉽게 캐치할 수 있고, 칼날에 의한 피부조직 손상이 없으며, 봉합사 캐치 및 절단 작업을 한 명의 시술자가 모두 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인원이 감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의 측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로 봉합사를 제거하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의 측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로 봉합사를 제거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메스홀더(10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납작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스홀더(10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기 절단부(20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스홀더(100)는 카본 또는 스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메스홀더(100)는 상협하광 구조로 양 측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홈(101)이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홈(101)은 상기 메스홀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스홀더(100)는 말단에 지지부(102)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02) 일 측면에 걸림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103) 상,하면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10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03)는 상기 절단부(200)의 삽입홈(206)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홈(206)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걸림부(103)는 상기 안내레일(104)에 상기 절단부(200)의 가이드(205)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절단부(200)가 상기 메스홀더(100)의 지지부(102)에 고정된다.
절단부(200)는 상기 메스홀더(100)에 연결되는 연결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01) 말단에 칼날(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202) 외측에 탐침핀(203)이 형성된다.
상기 칼날(202)은 상기 탐침핀(203) 외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봉합사(L)를 절단하는 상기 칼날(202)을 방해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탐침핀(203)은 상기 칼날(20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칼날(202)이 상기 탐침핀(203)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칼날(202)이 반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칼날(202)이 내측으로 굽어지는 반달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날(202)은 상기 탐침핀에 걸려, 상기 탐침핀(203)을 타고 이동된 봉합사(L)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연결부(201) 말단에 상기 탐침핀(203)과 대향되는 걸림돌부(2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부(204) 말단에 상기 걸림돌부(204)가 구강내의 피부조직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손상방지구(20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부(204)는 봉합사(L)가 걸리도록 하여 봉합사(L)가 상기 칼날(202)을 지나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부손상방지구(205)는 상기 걸림돌부(204) 말단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부조직이 상기 걸림돌부(204)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부손상방지구(205)는 구강내의 피부조직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칼날(202)이 봉합사(L) 절단후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피부조직이 상기 칼날(20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부손상방지구(205)는 상기 걸림돌부(204)와 동일한 스틸 또는 카본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탐침핀(203)은 상기 걸림돌부(204)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봉합사(L)가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200)는 카본 또는 스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연결부(201)가 상기 메스홀더(100) 말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연결부(201) 일 측면에 삽입홈(20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06) 상,하면에 상기 안내레일(104)이 끼워지는 가이드부(207)가 형성된다.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삽입홈(206)이 상기 메스홀더(100)의 걸림부(10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부(207)는 상기 메스홀더(100)의 안내레일(104)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절단부(200)가 상기 메스홀더(100)의 지지부(102)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막대 형상의 메스홀더(100) 말단에 절단부(200)의 연결부(201)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201) 말단에 칼날(202)이 형성되며, 상기 칼날(202) 외측에 탐침핀(203)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상기 절단부(200)의 탐침핀(203)을 구강내의 피부조직을 봉합하고 있는 봉합사(L) 부분에 위치시키되, 봉합사(L)를 탐침핀(203)에 걸어 탐침핀(203)을 타고 봉합사(L)가 이동되도록 하고, 절단부(200)의 연결부(201) 말단에 형성된 칼날(202) 부분으로 봉합사(L)를 유도하여 봉합사(L)를 칼날(202)로 절단함으로써, 피부조직을 봉합하고 있는 봉합사(L)가 절단된다.
이때, 상기 탐침핀(203)에 봉합사(L)가 걸리면, 시술자가 상기 절단부(200)를 수직 방향인 상,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탐침핀(203)을 타고 봉합사(L)가 칼날(202)로 이동되어 상기 칼날(202)에 의해 봉합사(L)가 절단된다.
이때, 상기 탐침핀(203)은 상기 칼날(202)이 상기 탐침핀(203)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칼날(202) 외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봉합사(L)를 절단하는 상기 칼날(202)에 방해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탐침핀(203)의 내,외주면은 날카롭지 않게 형성되어, 상기 봉합사(L)가 상기 탐침핀(203)에 의해 절단되거나 혹은 피부조직이 상기 탐침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칼날(202)이 반달형상으로, 상기 칼날(202)이 내측으로 굽어진 반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탐침핀(203)을 타고 이동된 봉합사(L)를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탐침핀(203)이 봉합사(L)를 용이하게 캐치 하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단부(200)는 카본 또는 스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메스홀더(100)는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스홀더(10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기 절단부(20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협하광 구조로 양 측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홈(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홈(101)은 상기 메스홀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시술자의 손에서 상기 메스홀더(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메스홀더(100)는 카본 또는 스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연결부(201) 말단에 상기 탐침핀(203)과 대향되는 걸림돌부(2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부(204) 말단에 상기 걸림돌부(204)가 구강내의 피부조직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손상방지구(20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부(204)는 봉합사(L)가 걸리도록 하여 봉합사(L)가 상기 칼날(202)을 지나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피부손상방지구(205)는 상기 걸림돌부(204) 말단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부조직이 상기 걸림돌부(204)에 의해 손상되거나 혹은 구강내의 피부조직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칼날(202)이 봉합사 절단후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피부조직이 상기 칼날(20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피부손상방지구(205)는 상기 걸림돌부(204)와 동일한 스틸 또는 카본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탐침핀(203)은 상기 걸림돌부(204)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봉합사(L)가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연결부(201)가 상기 메스홀더(100) 말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메스홀더(100)는 말단에 지지부(102)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02) 일 측면에 걸림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103) 상,하면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10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연결부(201) 일 측면에 삽입홈(20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06) 상,하면에 상기 안내레일(104)이 끼워지는 가이드부(20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단부(200)의 삽입홈(206)이 상기 메스홀더(100)의 걸림부(103)에 삽입결합되되, 상기 걸림부(10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절단부(200)가 전,후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절단부(200)의 전,후 이동으로, 상기 가이드부(207)가 상기 메스홀더(100)의 안내레일(104)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절단부(200)가 상기 메스홀더(100)의 지지부(10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2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의 반대 과정에 의해 상기 절단부(200)가 상기 메스홀더(100)의 지지부(102)에서 이탈된다.
상기 메스홀더(100) 및 절단부(200)로 구성된 구강용 봉합사제거기는, 본 발명에서 구강용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봉합사(L)를 제거하기 위한 구강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절단부(200) 말단에 칼날(202) 및 탐침핀(203)을 형성하여 봉합사(L)를 제거하는 구조는, 피부조직에 밀착된 봉합사(L)를 탐침핀(203)을 이용해 쉽게 캐치할 수 있고, 칼날(202)에 의한 피부조직 손상이 없으며, 봉합사(L) 캐치 및 절단 작업을 한 명의 시술자가 모두 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인원이 감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봉합사 제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메스홀더 101 : 미끄럼방지홈
102 : 지지부 103 : 걸림부
104 : 안내레일 200 : 절단부
201 : 연결부 202 : 칼날
203 : 탐침핀 204 : 걸림돌부
205 : 피부손상방지구 206 : 삽입홈
207 : 가이드부 L : 봉합사

Claims (5)

  1. 막대 형상의 메스홀더(100);와
    상기 메스홀더(100)에 연결되는 연결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01) 말단에 칼날(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202) 외측에 탐침핀(203)이 형성된 절단부(200);
    로 구성되는 구강용 봉합사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연결부(201) 말단에 상기 탐침핀(203)과 대향되는 걸림돌부(2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부(204) 말단에 상기 걸림돌부(204)가 구강내의 피부조직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손상방지구(20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핀(203)은 상기 걸림돌부(204)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4. 막대 형상의 메스홀더(100);와
    상기 메스홀더(100)에 연결되는 연결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01) 말단에 칼날(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202) 외측에 탐침핀(203)이 형성된 절단부(200);
    로 구성되는 구강용 봉합사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메스홀더(100)는 말단에 지지부(102)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02) 일 측면에 걸림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103) 상,하면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연결부(201) 일 측면에 삽입홈(20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06) 상,하면에 상기 안내레일(104)이 끼워지는 가이드부(20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00)는 카본 또는 스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KR1020120059249A 2012-06-01 2012-06-01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KR101408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49A KR101408242B1 (ko) 2012-06-01 2012-06-01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49A KR101408242B1 (ko) 2012-06-01 2012-06-01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66A KR20130135566A (ko) 2013-12-11
KR101408242B1 true KR101408242B1 (ko) 2014-06-17

Family

ID=4998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249A KR101408242B1 (ko) 2012-06-01 2012-06-01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491B1 (ko) * 2020-01-31 2022-01-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제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500A (ja) 2004-11-17 2006-06-08 Yasuki Hotta 手術用の縫合糸切断(用)メス
JP2007244493A (ja) 2006-03-14 2007-09-27 Yoshimasa Tomita メス
JP3157568U (ja) 2009-10-08 2010-02-25 康記 堀田 手術用のメス
KR20110000688U (ko) * 2009-07-15 2011-01-21 양근용 가위를 더한 수술용 지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500A (ja) 2004-11-17 2006-06-08 Yasuki Hotta 手術用の縫合糸切断(用)メス
JP2007244493A (ja) 2006-03-14 2007-09-27 Yoshimasa Tomita メス
KR20110000688U (ko) * 2009-07-15 2011-01-21 양근용 가위를 더한 수술용 지침기
JP3157568U (ja) 2009-10-08 2010-02-25 康記 堀田 手術用のメ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66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448B1 (ko) 원형 뼈 터널링 장치
US4723546A (en) Apparatus for arthroscopic surgery
JP4638051B2 (ja) 生検針
US8926642B2 (en) Method for extracting tubular structures
EP2923645A1 (en) Devices and systems for obtaining a tissue sample using a biopsy tool
EP2403416B1 (en) Side loaded medical implement particularly useful in arthroscopic surgery
AU20132565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US20070179343A1 (en) Suction retraction surgical instrument
US8465512B2 (en) Safety suture cutt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EP3021764B1 (en) Suture passer
WO1998046142A9 (en) Needle assembly and method for passing suture
US20060178677A1 (en) Hair punch
EP3205297B1 (en) Surgical instrument for making incisions
CA2656090C (en) Needle cover with site preparation tip
KR101408242B1 (ko) 구강용 봉합사제거기
EP2654596A2 (en) Safety suture cutting device and method
US20120165836A1 (en) Safety suture cutting device and method
CN211156098U (zh) 一种腔镜手术体表戳孔刀片
KR20140071712A (ko) 매선시술용 니들
CN213047167U (zh) 一种新型肌腱切取器
US20220409192A1 (en) Tendon haarvesting assemblies and methods
CN106388906B (zh) 破皮装置
KR20150098023A (ko) 주름, 흉터 치료를 위한 수술기구
KR20160071175A (ko) 봉합사제거기
CN205379326U (zh) 安全拆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