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805A -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805A
KR20130135805A KR1020130133207A KR20130133207A KR20130135805A KR 20130135805 A KR20130135805 A KR 20130135805A KR 1020130133207 A KR1020130133207 A KR 1020130133207A KR 20130133207 A KR20130133207 A KR 20130133207A KR 20130135805 A KR20130135805 A KR 20130135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ylinder
assembled
guide roller
hin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626B1 (ko
Inventor
서경진
Original Assignee
서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진 filed Critical 서경진
Priority to KR102013013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6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4Mechanisms for discharging a bale from the wrapping mach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입상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터닝원반스텝부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부는 작업현장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개선과, 활주사면프레임부에 있어서 과도한 스윙동작에 대한 완충시스템 으로 가이드롤러부에 대한 브레이크패드 신설과 쇽업텐션부에 설치되는 압력충전 및 조정이 용이한 유압실린더의 개선을 통하여 랩핑된 롤베일이 원형베일러 후방으로 배출과정에서 지면과 직각으로 스윙된 덤프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원상복귀하면서,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활주사면프레임이 상하로 과도하게 스윙되어 원형베일러 후방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롤베일스톱바와 후방게이트 측방에 설치된 롤베일감지센서가 종종 파손되는 문제해결과, 종전 활주중공파이프에 정착되는 중공파이프체인 탑프레임, 미들프레임, 그라운드프레임간의 일정각도로 밴딩하는 요소와 대접 되는 틈새가 넓어 정착 조립시 가공비 상승의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정착가공접촉부위가 면 접촉되어 용이하게 가공조립하도록 탑프레임, 미들프레임,그라운드프레임이 정착되는 메인프레임과 모듬파이프를 각관체로 개선하여 원가와 제작기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the improved model roll bail standing exector system for round baler}
본 발명은 베일·랩핑복합기(BW)작업시 랩핑된 롤베일이 원형베일러 후방게이트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옆으로 눕지 않고 지면으로 세워 착지 배출되도록 하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일러는 수확된 각종 건초를 손쉽게 처리 운반하거나, 사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집초기로 모은 건초를 거둬들여 사각으로 압축해 묶는 플런저베일러와 라운드로 압축해 묶는 원형베일러로 구분된다.
상기 원형베일러는 통상 트랙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견인구동되는 작업기로 픽업드럼으로 모은 건초를 베일러 챔버에서 정해진 폭과 지름의 드럼방식으로 감긴후 결속장치를 통해 노끈으로 결속시켜, 벨트 로울러를 통해 후방의 게이트를 통해 배출되거나, 노끈으로 결속하는 대신 비닐 랩핑기로 1.5∼2회 휘감아 베일러 후방에 부착한 덤프 프레임을 거쳐 배출되는 롤베일은 옆으로 굴러 떨어져 지면에 배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지면이 경사지인 경우에는 롤베일이 배출된 위치에 정착되지 않고, 경사지 하부로 굴러버린다는 문제가 있어, 트랙터나 작업차량의 진로에 방해를 주는 경우가 허다하다.
한편, 롤 베일의 원주 측면은 1.5∼2회 랩핑되지만 원형 평면부로는 수겹씩 비닐이 중첩되어 측면보다는 원형평면부의 비닐두께가 견고하다.
따라서, 롤베일의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면에 놓인 상태로 초지나 농지에 야적되는 경우에는 원형평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랩핑이 덜 감긴 측면부는 조류에 의해 비닐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며, 또한 랩핑된 비닐의 끝단부가 측면부에 위치해 바람에 한없이 풀려 휘날리는 경우가 허다해 랩핑 효과가 떨어져 상품가치가 하락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부를 강화하기 위해 랩핑 횟수를 늘리는 낭비와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요소와 더불어 별도의 작업기인 픽업기를 이용해 롤베일을 일으켜 세우는 2차 작업으로 인한 농가부담이 늘고 있다.
또, 조류피해나 랩핑비닐이 바람에 풀리지 않은 경우라도 축사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옆으로 뉘어진 롤베일을 픽업기로 집는 과정은 원통 길이 양방향으로만 픽업기 집게가 진입하기 때문에 작업시간과 연료소모가 늘며, 트랙터가 농지에 진입하는 횟수가 늘어 농지가 다져지는 문제로 후작물재배에 영향을 끼친다.
때문에,평지나 경사지에서도 베일러에서 랩핑되어 배출되는 착지 지점에 롤베일이 세워진체 배출되는 장치가 필요로 하는 것으로, 세워진 롤베일은 사방에서 픽업기의 집게 진입작업이 가능해 작업거리와 동선이 짧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측면부를 보강하기 위한 과다한 랩핑비닐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베일러용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종전기술중 문헌 1 기술은 트랙터부착형견인식 원형베일러에 장착되는 롤베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롤베일을 받는 받침부재를 후방으로 비스듬히 설치한 것으로 받침부재에는 진행방향의 우측방향으로 축회전시키는 전개수단과, 우측방향에는 롤베일 전도방지수단이 재치되게 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문헌기술 1의 원형베일러는 롤베일이 감겨진후, 일정규격으로 이루어진후 결속장치를 통해 노끈으로 결속되고, 벨트롤러를 통해 후방의 게이트를 통해 배출되는 기종에 적용된 것으로, 상기 원형베일러의 주행차륜축의 높이는 25㎝에 불과하여, 문헌 1에 기재된 도 3과 같이 내리막길에서 챔버의 높이가 낮아 받침부재로 롤베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받침부재의 전개수단으로 차축과 기계틀과의 연결간에 구비한 실린더에 반전수단으로 사용한 스프링은 롤베일이 배출된후 요동이 심하여 기기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받침 부재 하단에 설치된 실린더로 90°에 이르는 축회전으로 재치되어 착지과정이 유연하지 않은 요동으로 차축에서 후방으로 일정거리 수평으로 연결해 수직체결한 연결브라켓트과 그것에 설치한 지지판에 힌지 조립한 전도방지수단의 내구성이 지적된다.
이와 관련된 문헌기술 2는 롤베일방출장치로 롤베일러 본체 후부의 리어케이스 양단에 연결로드가 힌지조립된 승강도와 일체로 조립된 'U'자형 킥커와; 킥커와 후방위치에서 주행차륜축 폭방향 일편에서 연결된 전동 안내암 후단에 후방 상측으로 밴딩된 전동안내 아암과, 전동안내 아암단부에서 상측 후방으로 밴딩된 반전폴과, 반전폴 상하로 외방으로 향하거나 비스듬히 장착시킨 규제아암; 반전폴 대향편 끝부 기체프레임상에 재치되는 전도방지 아암을 후방으로 연장설치한 수단이 있다.
상기 문헌 2 기술에 따르면, 리어케이스의 오픈과 연동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재치되는 킥커에 유도되어 후방의 소망하는 위치에 안내되도록 킥커에 형성된 미끌림멈출돌기는 랩핑되지 않은 롤베일의 경우에는 이용이 가능하지만, 랩핑되는 롤베일의 경우에는 비닐의 훼손으로 사용이 적절치 않다.
또한, 상기 반전폴은 베일을 휘감는 끈에 잘 걸리는 방식으로 킥커로부터 원활히 롤베일을 인계받는 과정이 부자연스럽다. 또한, 반전폴 대향편에 마련된 전도방지아암 역시, 내구성이 취약하며 비록 선회축에 의해 조립되고 계합도구로 재치가능 하지만 평지에서 작업할 때도 상시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어 회전이나, 주행시 장애물로 여겨진다.
한편, 문헌 3 기술은 랩핑머신의 베일방출장치로서 랩핑머신의 본체프레임의 회동단측에 지주부와 실린더로 힌지결합된 암롤러붙이 연장암과; 대향된 2개의 베일지지대 양편으로 감긴 벨트롤러와; 기체프레임의 진행방향 일측편에 일체로 재치식으로 돌출설치되거나, 진행방향의 후방부 기체프레임에 캐스터가 부착된체 연장돌출된 세워내림 아암이 형성되고, 랩핑된 롤베일을 방출하는 리프트암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문헌 3 기술은 랩핑머신으로 랩핑된 롤베일을 베일지지대를 덤프회동해 포장면에 방출하기 베일방출장치이나, 경사지면에서는 기체프레임의 진행방향 일측편에 일체로 재치식으로 돌출설치된 방식에서는 특히 경사지에서 소망하는 위치에 롤베일을 정치시키기 위해, 베일지지대를 덤프회동하고 덤프프레임으로 파지하고 세워 내려 아암에 유도시키는 동작이 연속동작으로 진행되지 않고, 랩핑과 덤프회동이 동작을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작업시간이 지연되며, 경사지에서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한편, 문헌 4 기술은 트랙터에 3점연결 구동되는 원형베일러와 원형베일러 후방부에 장착한 랩핑머신으로 특히 랩핑된 롤베일의 원형평면부를 지면에 기립시키고자함을 목적으로 롤베일의 일단측에 치우쳐 배치되고 후단부에 탄발부세수단을 통해 설치된 차륜이 구비되며, 후방으로 늘어나는 세로치프레임이 랩기구부의 사이드프레임에 상하 회동자재 설치되는 랩핑머신에 관한 것이나, 도로상에서 이동시 회전폭이 좁도록 중절시켜 상부에 기립 고정시키지만, 매번 접어올리는 불편함이 상존하며, 롤베일 작업시 세로치프레임의 차륜이 상시 포장면에 견인된 상태로 주행되기 때문에 작업기 전체 기장이 길어져 작업반경이 커지는 문제와, 중간이 중절되는 제1세로치프레임과 제2세로치프레임이 하나의 중절 봉상을 경유해 배출되는 관계로 롤베일이 불안전하며, 스톱퍼에 의해 부딪혀 진행방향 측면 포장면에 소망하는 장소에 정착되지 않고 경사지로 굴러내릴 염려가 상존하여, 트랙터의 작업진로방해와 주변의 보조작업차량에도 운전장애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문헌 5에 따른 베일랩핑장치는 트랙터에 견인구동되는 랩핑장치의 섀시에 진행방향 후방부로 덤프회동되는 벨트 롤러부와 함께 피봇되는 지면접지프레임과 베일 서포트 플랫폼을 포함한 베일이동메카니즘이 구비된 베일랩핑장치로서, 지면 접지프레임에 부착된 접지판 일측에 직립된 틸트서포트와 덤프회동되는 베일서포트 플랫폼 이면의 롤러판에 의해 진행방향의 일측으로 롤베일이 배출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문헌 5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경사지면으로 배출시 스톱퍼와 같은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고 롤베일의 원형평면부가 지면으로 정착되더라도 경사지로 굴러내릴 염려가 상존하여, 트랙터의 작업진로방해와 주변의 보조작업차량에도 운전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와; 랩핑과 덤프회동 동작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지적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기초가 되는 문헌 6의 선출원 발명 10-2012-0030373호에서는 첨부 도면 1,2와 같이 베일·랩핑복합기(BW)에 장착된 수평상태의 덤프프레임(DP)의 좌측편에 장착되는 쇽업텐션부(210)와; 덤프프레임(DP) 우측편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부(220)와; 상기 쇽업텐션부와 가이드롤러부사이에 피봇조립되는 터닝원반스텝부(turning disk step part;230)를 구비한 활주사면프레임부(240)와; 베일·랩핑복합기(BW)의 후방 하부 우측섀시에 장착된 덤프프레임장착브라켓트(100) 외측에 장착되는 롤베일 전도방지 재치로드부(250)를 포함하는 '원형베일러용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에 의하여, 기체프레임에 피봇설치되고 연장돌출된 활주사면프레임을 개선하여, 도로주행이나 작업시는 상시 기체프레임에 탄력적으로 재치되는 구조로 도로이동시나 작업현장에서 회전폭이 좁거나, 안정이동이 가능하고, 또 쇽업완충을 가감할 수 있는 쇽업텐션부에 의한 내구성 증진과 중량을 감소시켜 취급 및 연비를 개선시키고, 활주사면프레임과 터닝원반스텝부에 의해 배출되는 롤베일이 옆으로 눕지 않고 지면으로 세워 착지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랩핑피복의 손상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부와 전도방지용 재치수단으로 경사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세워 정착 되게 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의 기초가 되는 문헌 6의 선출원 발명에 따른 원형베일러용 롤베일 입상배출장치는 랩핑된 롤베일이 원형베일러 후방으로 배출과정에서 지면과 직각으로 스윙된 덤프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원상복귀하면서,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이 상하로 과도하게 스윙되어 원형베일러 후방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롤베일스톱바와 후방게이트 측방에 설치된 롤베일감지센서가 종종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나아가, 본 출원발명의 기초발명에서는 베일·랩핑복합기(BW)의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부는 작업현장에서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아 상시 장착한 상태로 도로 이동한다.
때문에 과속방지턱을 지나거나, 도로상의 포트홀을 지나는 경우에도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이 상하로 과도하게 스윙되어 기기파손의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또, 작업기로 랩핑을 하지 않고 네트 작업만으로 베일작업하는 경우에는 롤베일을 굳이 지면으로 세워 착지 배출시키지 않아도 되는 관계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부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분리조립되게 하는 구조개선과; 과도한 스윙동작에 대한 완충시스템 신설과 쇽업텐션부의 개선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문헌 1] JP 특개평 9-220020 A(1997.8.26) [문헌 2] JP 특개평 9-224466 A(1997.9.2) [문헌 3] JP 특개 2002-253042 A(2002.9.10) [문헌 4] JP 특개 2009-291082 A(2009.12.17) [문헌 5] IE 73863 B2 (1997.7.2) [문헌 6] KR 특허출원 10-2012-30373호(2012.03.26)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트랙터에 연결 구동되는 베일머신과 랩핑머신이 복합되어 동시작업이 진행되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입상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특히 베일·랩핑복합기(BW)의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부는 작업현장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개선과 활주사면프레임부에 있어서 과도한 스윙동작에 대한 완충시스템 신설과 쇽업텐션부의 개선을 통하여 랩핑된 롤베일이 원형베일러 후방으로 배출과정에서 지면과 직각상태의 덤프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스윙해 원상복귀하면서,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이 상하로 과도 스윙되어 원형베일러 후방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롤베일스톱바와 후방게이트 측방에 설치된 롤베일감지센서가 종종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베일·랩핑복합기(BW)의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부를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부는 작업현장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개선으로 쇽업 텐션부(210)의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과 가이드롤러부(220) 양단에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5)에 사이에 내재되어 각각 체결볼트(240-3)로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부(240)의 분리는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체결편(240-2) 상측에 조립된 각각 1개씩의 체결볼트(240-3)를 풀어내고, 다음으로 쇽업텐션부(210)의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와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의 양편 선단부에 마련된 파이프파지반홈(210B-2)의 반호클램프(210B-5) 일측의 볼트(210B-4a)와 너트(210B-4b)만을 풀어낸 후, 반호클램프(210B-5)상의 탑프레임보강판상부중공파이프(240-9)와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5)에 사이에 내재되어 각각 1개의 체결볼트(240-3)로 3점 체결된 활주사면프레임부(240)를 분리하거나, 반대의 과정을 거쳐 용이하게 조립하도록 하였다.
한편, 활주사면프레임부는 과도한 스윙동작을 저지하기 위한 완충시스템 신설로 덤프프레임(DP) 우측편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부(220)에 구비된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 어느 한 원주상에 육각볼트머리스톱퍼보강판(220-7)을 덧붙여 천공시킨 2개의 육각볼트머리공(220-8)에 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220-9)를 끼워 제1브레이크패드(220-10)를 조립하고,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을 기점으로 원호각도 90°로 형성한 브레이크라이닝유격공(220-11)을 통해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 외측으로 돌출된 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220-9)에 제2브레이크패드(220-13)와 접시스프링와셔(220-14)를 끼워 채결한 너트(220-15)로 접시스프링와셔(220-14)의 압력을 가감시켜 활주사면프레임부의 과도한 스윙동작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쇽업텐션부의 개선으로는 상하 2포인트용 축압탱크(210c-1a;210c-1b)와 마구리탭(12)이 구비된 유압입출니플(11), 실린더 유압 입출력니플(13), 유압릴리프밸브(14), 유압유 회수단자(15)가 일체의 블럭에 조립되어 베일·랩핑복합기본체에 부착하는 유압블럭(10)과;
압력체크포인트(21)를 구비한 레귤레이터(210c-2)와 실린더몸통대우(210c-5)가 구비된 복동형 실린더몸통(210c-3)와; 실린더로드(210c-6)에 실린더로드대우 (210c-4)가 구비되어, 제1실린더하우징(210Ba)및 제2실린더하우징(210Bb)와 만곡부구비 다각판상체(210A-3)에 힌지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기본형(20), 유압블럭(10)없이 단동형 실린더몸통(30a)에 압력배출구(30b), 축압탱크(210c-1a;210c-1b) 일체형 유압실린더 변형실시예1 (30) 또는 유압블럭(10) 없이 유압실린더몸통(40a)에 압력배출구(40b)가 구비되고 축압탱크(210c-1a;210c-1b) 분리형 유압실린더 변형실시예2(40)중 선택되는 어느 한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는 쇽업텐션부의 개선으로 롤베일이 원형베일러 후방으로 배출과정에서 지면과 직각상태의 덤프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과도하게 스윙 원상복귀되지 않도록 하여,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이 원형베일러 후방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롤베일스톱바와 후방게이트 측방에 설치된 롤베일감지센서를 종종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또, 종전 활주사면프레임부(240)는 중공체파이프인 활주중공파이프에 정착되는 탑프레임(240-6), 미들프레임(240-240-4), 그라운드프레임(240-7) 역시 중공파이프 형상으로 상호 일정각도로 밴딩해 정착시키는 것으로, 상호 대접 되는 틈새가 넓어 정착 조립시 가공비 상승의 요인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착가공접촉부위가 면 접촉되어 용이하게 가공조립하도록 탑프레임(240-6), 미들프레임(240-240-4),그라운드프레임(240-7)이 정착되는 메인프레임을 각관체인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로 채택하였다.
본 발명은 트랙터에 연결 구동되는 베일머신과 랩핑머신이 복합되어 동시작업이 진행되는 원형베일러용 롤베일입상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쇽업텐션부(210)의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과 가이드롤러부(220) 양단에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5)과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와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의 양편 선단부에 마련된 파이프파지반홈(210B-2)의 반호클램프(210B-5) 사이에 3점 체결된 활주사면프레임부(240)를 분리하거나, 반대의 과정을 거쳐 용이하게 조립하도록 하여 도로주행이동의 안정성 도모와 단순네트랩핑작업시 불요장비를 탈거해 작업 용이와 함께 연비가 개선되고 정비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쇽업완충을 가감할 수 있는 압력충전 및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 쇽업텐션부 개선에 의해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이 상하로 과도하게 스윙되어 원형베일러 후방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롤베일스톱바와 후방게이트 측방에 설치된 롤베일감지센서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과, 도로주행이나 작업시는 상시 기체프레임에 탄력적으로 재치되는 구조로 도로이동시나 작업현장에서 회전폭이 좁아 안정적이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활주사면프레임에 제작공정상의 구조개선을 통해 정착가공접촉부위가 면 접촉되어 가공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도록 탑프레임(240-6), 미들프레임(240-240-4),그라운드프레임(240-7)이 정착되는 메인프레임을 각관체인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로 채택하고, 터닝원반스텝부(230)에도 활주사면모듬각관(240-5)을 채택해 종전 정착부위의 넓은 틈새가 면 접촉 되도록 하여, 가공밴딩과 정착조립시 넓은 틈새로 인해 가공조립비가 상승했던 요소를 줄이는 생산성 향상으로 원가를 낮추게 한 원형베일러용 롤베일 입상배출장치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베일·랩핑복합기(BW)의 후방 하부좌우섀시에 장착되는 공지의 덤프프레임(DP)과 롤베일유도드럼(RBD)의 장착상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대상 조립체인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참고 사용상태 조립사시도.
도 3은 덤프프레임(DP)과 롤베일유도드럼(RBD)에 조립된 롤베일 전도방지용 재치로드부를 제외한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사용상태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만의 사용상태 조립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구성수단인 터닝원반스텝부(turning disk step part)의 분해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구성수단인 활주사면프레임 쇽업텐션부 분해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구성수단인 가이드롤러부 조립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구성수단인 원형베일러 본체에 설치되는 유압블럭예시와 쇽업텐션부의 기본형 유압실린더 및 그 변형실시도.
도 9는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일실시 사용상태 부분발췌 측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베일·랩핑복합기(BW)는 베일작업과 랩핑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복합기로서, 베일·랩핑복합기(BW)의 후방 하부좌우섀시에는 롤베일유도드럼(RBD)이 탑재된 덤프프레임(DP)이 구비된다.
도 1, 도 2와 도 6, 도 7 를 참조하여 상세히 알아보면, 베일·랩핑복합기(BW)의 후방 하부 좌우섀시에 장착된 덤프프레임장착브라켓트(100)에는 덤프프레임힌지축(101)으로 피봇결합되고 덤프프레임장착브라켓트 이면 하우징과 덤프프레임간에 설치된 덤프프레임실린더(102)가 설치된 'U'형의 덤프프레임(DP)이 결합되고, 덤프프레임 양편에 정착시킨 롤베일유도드럼장착브라켓트A,B(103a;103b)에 각각 조립된 사각베어링(104)에는 롤베일유도드럼(RBD)의 양단에 돌출된 롤베일유도드럼축(105)이 조립되며, 상기 베일·랩핑복합기(BW) 진행방향 우측편에 위치된 롤베일유도드럼축에 조립한 스프로켓(106)에는 체인(107)을 권취해 롤베일유도드럼장착브라켓트B(103b) 외측의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유압모터장착브라켓트(108)에 도시되지 않은 트랙터 유압펌프에서 인가 구동되는 유압모터(109)가 인접장착되며, 유압모터가 장착된 덤프프레임장착브라켓트(100) 외측에는 재치로드부(250)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롤베일유도드럼(RBD)이 탑재된 덤프프레임(DP)이 구비된 베일·랩핑복합기(BW)의 후방 하부좌우섀시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원형베일러용 롤베일 입상배출장치는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덤프프레임(DP)과 롤베일유도드럼(RBD)에 조립된 롤베일 전도방지용 재치로드부를 제외한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사용상태 조립 사시도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만의 사용상태 조립 사시도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구성수단인 활주사면프레임 쇽업텐션부 분해조립 사시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베일·랩핑복합기(BW)에 장착된 수평상태의 덤프프레임(DP) 좌측편에 장착되는 쇽업텐션부(210)와; 덤프프레임(DP) 우측편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부(220)와; 상기 쇽업텐션부사이에 피봇조립되는 터닝원반스텝부(turning disk step part;230)를 구비한 활주사면프레임부(240)로 이루어진 롤베일입상배출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쇽업텐션부(210)는 베일·랩핑복합기(BW)에 기 형성된 좌측편 덤프프레임(DP)에 정착된 덤프프레임붙이브라켓트(103a-1)과 롤베일유도드럼장착브라켓트A(103a)에 설치되는 사각베어링(104) 자리에 각각 볼트체결되도록, 반홈소켓(210A-1) 좌우에 반홈소켓외측브라켓트(210A-2)와 만곡부 구비 다각판상체(210A-3)가 일체로 정착된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만곡부 아래에 천공된 제1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A-4) 외연에 베어링블럭(201A-5)을 정착해 내경키(210A-6)로 조립한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을 통과 조립되는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210B-8)과;
상기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에 통과 조립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 (210B-8)을 피봇축으로 만곡부 구비 다각판상체(210A-3) 양측에 간격부싱(210B-1)으로 상호 일정간격 유지된체 일단에 파이프파지반홈(210B-2)과 타단 하측에 제1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A-4)이 각각 형성된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과; 동일형상의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을 형성하고, 상기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 외측 일정위치에서 내측으로 풀아웃오프너(pull out opener;210B-4)을 탭조립해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쇽업텐션유격공a(210A-8) 하부 중간에 천공한 스톱퍼홀(210A-9)에 구속되게 하고, 상기 파이프파지반홈(210B-2) 사이에는 2조의 볼트 너트로 분리체결되는 반호클램프(210B-5)를 설치하며, 상기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에 조립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210B-8)의 일단은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의 제1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A-4)에 정착하고,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을 경유한 타단은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에 마련된 제2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B-4) 외연에 정착된 반타원형의 축공보강편(210B-6)과; 바닥에 여타의 원호가 형성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7)이 볼트조립된 제2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B-4) 사이로 안내되어 돌출정착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210B-8) 타단에는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고정봉(210B-9) 일단을 끼워 볼트조립하고, 상기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의 파이프파지반홈(210B-2)과 인접된 간격부싱(210B-1) 외측으로 정착시킨 앵글형의 실린더힌지브라켓(210B-10)에는 실린더로드대우(210C-4)를; 상기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반홈소켓외측브라켓트(210A-2)과 만곡부 구비 다각판상체(210A-3) 사이의 축압탱크(210C-1)는 베일·랩핑복합기에 설치하고 레귤레이터(210C-2)가 실린더몸통(210C-3)에 부착된 실린더몸통대우(210C-5)를 각각 설치하는 쇽업텐션부(210)로 이루어진다.
한편, 롤베일유도드럼축(105)에 조립된 스프로켓(106)에 체인(107) 귄취된 유압모터(109)가 설치되어 덤프프레임(DP)의 우측부로 정착된 유압모터장착브라켓트(108)와; 롤베일유도드럼축(105)이 축설되는 사각베어링(104)이 조립되는 롤베일유도드럼장착브라켓트B(103b) 사이에 볼트조립되는 다각판상체의 일측에 형성된 롤베일유도드럼축요홈(220-2) 상하연에 볼트조립공(220-3)이 형성되고, 이측의 만곡부 상부에는 테두리가 보강용접된 호형(弧形)의 쇽업텐션유격공b(220-4)이; 이측의 만곡부 하부에 천공된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이 형성된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 내측편에 형성된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에도 외연에 베어링블럭(210A-5)을 정착해 내경키(210A-6)로 설치한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에 축설되는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220-6)을 기점으로 하는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 어느 한 원주상에 육각볼트머리스톱퍼보강판(220-7)을 덧붙여 천공시킨 2개의 육각볼트머리공(220-8)에 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220-9)를 끼워 제1브레이크패드(220-10)를 조립하고, 상기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을 기점으로 원호각도 90°로 형성한 브레이크라이닝유격공(220-11)을 통해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 외측으로 돌출된 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220-9)에 제2브레이크패드(220-13)와 접시스프링와셔(220-14)를 끼워 너트(220-15) 체결하며, 체결된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의 브레이크라이닝유격공(220-11)이 피봇되는 외측 코너부에는 가이드롤러축(220-12)에 가이드롤러(220-14)가 조립된 가이드롤러힌지아암(220-17)에 일단이 굴곡된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220-18)을 정착시키고, 가이드롤러힌지아암(220-18) 설치방향과 90°방향으로 직교되는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의 첨부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의 쇽업텐션유격공b(220-4)을 경유해 왕복운동되는 유격공롤러(220-19)를 볼트(220-20)와 너트(220-21)로 조립시키고, 상기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 내측편의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을 통해 축설되어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 외연에 정착된 반타원형의 축공보강편(210B-6)과 바닥에 여타의 원호가 형성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5) 사이에 정착되는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220-6)에 볼트조립되는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고정봉(210B-9)을 조립하고, 상기 활주사면프레임조립편 (240-2) 하측단에 돌출된 가이드롤러축(220-16) 일단에는 카탈로그핀(220-22) 조립하는 가이드롤러부(22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쇽업 텐션부(210)와 가이드롤러부(220)사이에 탈부착되는 활주사면프레임부(240)와 터닝원반스텝부(230)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라 도시된 도 3과, 도 4, 도 5, 도 6, 도 7 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쇽업 텐션부(210)의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과 가이드롤러부(220)의 활주사면프레임조립편(240-2) 사이에 조립된 축공보강편(210B-6)과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7)사이에 정착조립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고정봉(210B-9) 상측에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7)내로 조립되어 각각 하나의 체결볼트(240-3)가 조립되는 볼트구멍이 상단에 형성된 2개의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체결편(240-2) 사이에 사각관이 일체로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를 형성해 그 중간에 일정각도로 밴딩된 미들프레임(240-4) 일단을 길이방향 접면에서 직교방향으로 정착하고, 미들프레임 타단은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 길이 거리에 일정길이의 활주사면모듬각관(240-5) 중간전면에 상기 미들프레임과 같은 밴딩각도로 정착시키며, 이어 일단이 일정각도로 밴딩된 탑프레임(240-6) 일단을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 좌측에 정착하고,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 좌측편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체결편(240-2)과 탑프레임(240-6) 정착부에서 탑프레임의 수평연장부 일정지점에 이르는 곡면부에 이르는 탑프레임보강판(240-8)의 끝단에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와 평행되게 정착한 탑프레임보강판상부중공파이프(240-9)를 형성하며, 탑프레임(240-6) 타단 끝단 일부도 미들프레임과 같은 경사각도로 탑프레임조립편(230-8)에 정착해 활주사면모듬각관(240-5) 상단 후면에 정착하고, 다시 일단이 일정 밴딩된 그라운드프레임(240-7)을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 우측에 정착하고, 타단 끝단 일부는 미들프레임 하측과 대접되게 밴딩해 활주사면모듬각관(240-5)의 하단 전면에 정착되는 활주사면프레임부(24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활주사면모듬각관(240-5) 상단 내측에 정착시킨 회전봉파이프(230-7)내에 축설한 회전봉(230-5) 상단 일측에는 터닝원반수직축잡이쇠(230-6)를 정착시켜, 상기 탑프레임조립편(230-8)과 상호 대접시킨 장공부(230-9)에 터닝원반완충볼트(230-10)를 조립해 터닝원반완충스프링(230-11), 와셔(230-12), 너트(230-13)를 체결하고, 터닝원반수직축잡이쇠(230-6)와 직교 대접되는 회전봉 상단위치에 정착한 터닝원반수평하우징(230-4)에는 터닝원반축(230-1)에 터닝원반(230-2)를 조립해 이탈방지핀(230-3)을 체결한 터닝원반부(230A)와 ;
상기 활주사면모듬각관(240-5) 하단부에는 장방판상체 전후단이 밴딩된 접지판(230-14)의 바닥중간과 진행방향 우측테에 직교되게 돌출한 접지판힌지브라켓트(230-15)사이에 볼트(230-16),너트(230-17)로 체결되는 스텝부(230B)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형베일러용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의 구성수단중 쇽업텐션부(210)의 주요구성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형베일러 본체에 설치되는 유압블럭예시와 쇽업텐션부의 기본형 유압실린더 및 그 변형실시도로 도시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 2포인트용 크고 작은 축압탱크(210c-1a;210c-1b)와 마구리탭(12)이 구비된 유압입출니플(11), 실린더 유압 입출력니플(13), 유압릴리프밸브(14), 유압유 회수단자(15)가 일체의 블럭에 조립되어 베일·랩핑복합기본체에 부착하는 유압블럭(10)과;
압력체크포인트(21)를 구비한 레귤레이터(210c-2)와 실린더몸통대우(210c-5)가 구비된 복동형 실린더몸통(210c-3)와; 실린더로드(210c-6)에 실린더로드대우 (210c-4)가 구비되어 제1실린더하우징(210Ba)및 제2실린더하우징(210Bb)와 만곡부구비 다각판상체(210A-3)에 힌지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기본형(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유압유 회수단자(15)는 과압유를 회수하여 유압탱크로 회수하는 단자이며, 마구리탭(12)이 구비된 유압입출력니플(11)은 예비유압입출력니플로 사용되며, 실린더 몸통(210C-3)에 장착되는 레귤레이터는(210C-2)는 에어배출과 함께 압력게이지로 압력을 체크하는 포인트로 사용되며, 축압탱크(210c-1a;210c-1b)가 유압블럭(10)에 일체형은 유압호스에 의한 유압력 손실을 방지하는 잇점이 있으나, 이러한 유압블럭(10)을 베일·랩핑복합기본체에 부착하는 것은 활주사면프레임부에 실리는 무게를 감경시키고자 하는 의도이다.
한편, 상기 쇽업텐션부의 유압실린더 기본형(20)의 변형실시예로
유압 실린더몸통(30a)에 압력배출구(30b),축압탱크(201c-1a;210c-1b) 일체형 유압실린더 변형실시예1(30)과;
유압 실린더몸통(40a)에 압력배출구(40b)가 구비되고 축압탱크(210c-1a;210c-1b) 분리형 유압실린더 변형실시예2(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유압실린더 변형실시예 1과 변형실시예 2는 유압실린더 기본형(20)에 비하여, 쇽업텐션부의 텐션압 가감조절이 난해하고, 작업시 축압탱크에 이물질이 적체되며, 축압탱크가 유압실린더에 원격설치되는 관계로 유압력 손실이 있으나, 가격이나 설치가 간편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쇽업텐션부(210),가이드롤러부(220), 터닝원반스텝부(230), 활주사면프레임부(240)로 이루어진 본 발명 원형베일러용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구성에 대한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터닝원반스텝부(230)를 구비한 활주사면브레임부(240)의 개선된 착탈 조립은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쇽업 텐션부(210)의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과 가이드롤러부(220) 양단에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5)에 사이에 내재되어 각각 체결볼트(240-3)로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부(240)의 분리는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체결편(240-2) 상측에 조립된 각각 1개씩의 체결볼트(240-3)를 풀어내고, 다음으로 쇽업텐션부(210)의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와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의 양편 선단부에 마련된 파이프파지반홈(210B-2)의 반호클램프(210B-5) 일측의 볼트(210B-4a)와 너트(210B-4b)만을 풀어 낸후, 반호클램프(210B-5)상의 탑프레임보강판상부중공파이프(240-9)와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5)에 사이에 내재되어 각각 1개의 체결볼트(240-3)로 3점 체결된 활주사면프레임부(240)를 분리하거나, 반대의 과정을 거쳐 용이하게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 외측 일정위치에서 내측으로 풀아웃오프너(pull out opener;210B-4)을 탭조립해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쇽업텐션유격공a(210A-8) 하부 중간에 천공한 스톱퍼홀(210A-9)에 구속된 상태에서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와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과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이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로 3점 체결된 활주사면프레임부(240)를 분리하거나, 반대의 과정을 거쳐 용이하게 조립하는데 유용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활주사면프레임부(240)의 착탈 분리 개선은 베일·랩핑복합기(BW)를 이용해 작업현장 간 이동이나, 도로주행시 또는 랩핑 작업이 아닌 원형베일러 작업만 진행하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손쉽게 중량체인 터닝원반스텝부(230)를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부(240)를 분리하거나, 다시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개선은 종전의 활주사면프레임부 분리는 실린더힌지하우징과 활주사면프레임부의 실린더로드대우측에 조립된 2개의 체결볼트분리와 쇽업텐션부의 실린더로드대우(210C-4)에 조립되는 볼트고정칼러붙이실린더로드대우축을 분리하고,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의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에 조립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의 분리와, 가이드롤러부(220)의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에 구비된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220-6)과; 쇽업텐션유격공b(220-4)와 가이드롤러축(220-16)에 각각 조립된 볼트를 해체하여야만 분리되는 것으로, 작업현장 이동을 을 위해서 일시 탈부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임을 개선함으로써, 도로주행시 안정성 도모와 단순네트랩핑작업시 불요장비를 탈거해 작업용이 연비를 개선 시킨 것이다.
그리고, 종전 쇽업텐션부(210)의 텐션압 가감조절은 레귤레이터(210C-2)에 일체구비된 축압탱크(210C-1)로 압력 조정을 위해 실린더몸통 중간에 정착한 로드조절볼트브라켓트와 조절너트, 중간나사부가 일정제거된 경첩볼트를 실린더로드대우(210C-5)쪽 실린더로드에 마련된 로드훅크에 경첩볼트 머리를 끼워 2개의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경첩볼트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감시킨 상태에서 레귤레이터로 축압탱크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하였으나, 부하 상황에 따라 텐션압가감조절이 어렵고 이러한 부가장치로 인하여 쇽업텐션부의 중량이 가중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하 2포인트용 크고 작은 축압탱크(210c-1a;210c-1b)와 마구리탭(12)이 구비된 예비유압입출니플(11), 실린더유압 입출력니플(13), 유압릴리프밸브(14), 유압유 회수단자(15)가 일체의 블럭에 조립된 유압블럭(10)을 베일·랩핑복합기본체에 부착하여 쇽업텐션부의 중량이 가중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압력체크포인트(21)를 구비한 레귤레이터(210C-2)와 실린더몸통대우(210C-5)가 구비된 실린더몸통(210C-3)와; 실린더로드(210C-6)에 실린더로드대우(210C-4)가 구비되어 제1실린더하우징(210Ba)와 만곡부 구비 다각판상체(210A-3)에 힌지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기본형(20) 쇽업텐션부(210)의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와 실린더힌지브라켓(210B-10)에 배치하여 쇽업텐션부의 중량이 가중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와 같은 쇽업텐션부의 텐션압 가감조정과 쇽업텐션부의 중량이 가중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유압실린더 기본형(20)의 변형실시예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인 실린더몸통(210C-3)에 부착된 레귤레이터(210C-2)는 베일·랩핑복합기 본체에 별도 부착하는 유압블럭(10)에 구비하는 대신 유압블럭에 조립된 축압탱크(210c-1a;210c-1b)는 압력배출구(30b)와 함께 실린더몸통(30a)에 일체 구비한 유압실린더 변형실시예1(30)와; 실린더몸통(40a)에 압력배출구(40b)가 구비되고 축압탱크(210c-1a;210c-1b) 분리형 유압실린더 변형실시예2(40)로도 실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원형베일러용 롤베일 입상배출장치에 있어서 쇽업텐션부의 텐션압 가감조정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도 1과 도 3, 도 4, 도 9의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일·랩핑복합기(BW)의 랩핑머신(W)에서 랩핑된 롤베일(RB)을 후방게이트로 배출시, 기립된 상태의 활주사면프레임부(240)를 통해 지면으로 배출하거나, 다시 기립된 상태로 복귀할때의 완충동작을 부드럽게 하여, 베일·랩핑복합기(BW)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소음을 완화하고 기기의 내구성 향상에 중요한 것으로, 작업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롤베일(RB)의 중량이 변동되는 경우에는 쇽업텐션부의 텐션압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정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발명의 중요한 구성이었으나, 간혹적으로 랩핑된 롤베일이 원형베일러 후방으로 배출과정에서 지면과 직각으로 스윙된 덤프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원상복귀하면서, 덤프프레임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이 상하로 과도하게 스윙되어 원형베일러 후방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롤베일스톱바와 후방게이트 측방에 설치된 롤베일감지센서가 파손되는 문제가 야기 되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와 같은 쇽업텐션부 텐션압조절수단을 개선한 것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신설 추가된 완충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덤프프레임(DP)의 우측부에 조립형성된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 (220-1) 내측편에 형성된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 외연에 베어링블럭(210A-5)을 정착해 내경키(210A-6)로 설치한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에 축설되는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220-6)을 기점으로 하는 어느 한 원주상에 육각볼트머리스톱퍼보강판(220-7)을 덧붙여 천공시킨 2개의 육각볼트머리공(220-8)에 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220-9)를 끼워 제1브레이크패드(220-10)를 조립하고, 상기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을 기점으로 원호각도 90°로 형성한 브레이크라이닝유격공(220-11)을 통해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 외측으로 돌출된 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220-9)에 제2브레이크패드(220-13)와 접시스프링와셔(220-14)을 끼워 너트(220-15)체결된 완충시스템으로 인하여,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의 브레이크라이닝유격공(220-11) 양편에 압착체결된 제1브레이크패드(220-10)와 제2브레이크패드(220-13)에 가해지는 접시스프링와셔(220-14)의 와셔장력을 너트(220-15)로 마찰력을 가감시켜 덤프프레임(DP)에 장착된 터닝원반스텝부(230)을 포함한 활주사면프레임(240)이 상하로 과도하게 스윙되는 것을 저감되게 하는 완충시스템으로 원형베일러 후방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롤베일스톱바와 후방게이트 측방에 설치된 롤베일감지센서가 파손되는 문제 등을 해결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부(220)의 작용은 도 4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일·랩핑복합기(BW)의 랩핑머신(W)에서 랩핑된 롤베일(RB)은 베일·랩핑복합기(BW)의 작업진행방향의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슬로프를 이루는 활주사면프레임(240)에 의해 기운체 미끌리다가 터닝원반부(230A) 부딪혀 롤베일의 원형평면부가 지면에 접한 상태로 착지된후, 덤프프레임(DP)이 덤프프레임실린더(102)에 의해 수평으로 원상복귀하는 과정에서 지면에 세우진 롤베일의 랩핑면을 가이드롤러부(220)의 가이드롤러(220-14)가 스치면서 상승 되는 동안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주사면프레임부(240)의 개선된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활주사면프레임부(240)에 대한 첨부도면 3도, 4도, 5도를 참조한다.
종전 활주사면프레임부(240)는 중공체파이프인 활주중공파이프에 정착되는 탑프레임(240-6), 미들프레임(240-240-4),그라운드프레임(240-7) 역시 중공파이프 형상으로 상호 일정각도로 밴딩해 정착시키는 것으로, 상호 대접 되는 틈새가 넓어 정착 조립시 가공비 상승의 요인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착가공접촉부위가 면 접촉되어 용이하게 가공조립하도록 탑프레임(240-6), 미들프레임(240-4),그라운드프레임(240-7)이 정착되는 메인프레임을 각관체인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로 채택하였다.
동시에 탑프레임(240-6), 미들프레임(240-4),그라운드프레임(240-7)이 한곳에 모아져 정착되는 터닝원반스텝부(230)에도 활주사면모듬각관(240-5)을 채택해 종전 정착부위의 넓은 틈새가 면 접촉 되도록 하였고, 특히, 종전 활주사면프레임부의 탑프레임(240-6)의 밴딩에 따른 원가상승요소를 스트레이트로 정착되도록 해 가공성을 향상시켰고, 별도로 면접촉방식으로 정착되는 탑프레임(240-6)의 탑프레임조립편(230-8)을 활주사면모듬각관(240-5)에 2차 조립하는 방식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각관체인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와 활주사면모듬각관(240-5)에 의해 단순히 종전 정착부위가 넓은 틈새를 면 접촉방식으로 정착이 수월하게 하는 이점 외에도 터닝원반스텝부(230)의 하단부에 종전에 장공형성브라켓트인 터닝원반수직축잡이쇠를 터닝원반수평하우징(230-4) 지향방향의 일정위치에 정착하고, 소정높이로 돌출된 장공 형성 브라켓트의 정착위치를 세팅하는 시간과 주의에 대한 작업지연요소도 개선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된 터닝원반스텝부(230)는 그라운드프레임(240-7) 쪽으로만 제한적으로 터닝원반(230-2)이 완충 회전되어 롤베일(RB)이 활주사면프레임의 기울어진 방향의 지면 쪽으로만 자세를 기울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작용은 종전과 동일하다.
한편, 종전 터닝원반스텝부의 스텝부(230B)는 장방판상체 전후단이 밴딩된 접지판(230-14)의 바닥중간과 진행방향 우측테에 직교되게 돌출한 접지판힌지브라켓트(230-15)사이에 길이조절볼트공이 다수 천공된 길이조절포스트 요소를 없애고 활주사면모듬각관(240-5)의 길이를 표준화시켜 하단부에 볼트(230-16)와 너트(230-17)로 힌지 결합시켜 생산공정을 단순화시켰다.
BW:베일·랩핑복합기 B:베일머신
W:랩핑머신 RBD:롤베일유도드럼
DP:덤프프레임
100:덤프프레임장착브라켓트 101:덤프프레임힌지축
102:덤프프레임실린더
103a:롤베일유도드럼장착브라켓트A 103a-1:덤프프레이붙이브라켓트
103b:롤베일유도드럼장착브라켓트B
104:사각베어링 105:롤베일유도드럼축
106:스프로켓 107:체인
108:유압모터장착브라켓트 109:유압모터
200:롤베일입상배출장치 210:쇽업텐션부
210A: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 210A-1:반홈소켓
210A-2:반홈소켓외측브라켓트 210A-3:만곡부 구비 다각 판상체
210A-4:제1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
210B-4:제2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
210A-5:베어링블럭
210A-6:내경키 210A-7: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
210A-8:쇽업텐션유격공a 210A-9:스톱퍼홀
210Ba:제1실린더힌지하우징 210Bb:제2실린더힌지하우징
210B-1:간격부싱 210B-2:파이프파지반홈
210B-4:풀아웃오프너(pull-out opener) 210B-5:반호클램프
210B-6:축공보강편 210B-7: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
210B-8: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
210B-9: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고정봉 210B-10:실린더힌지브라켓
210C:쇽업텐션부 210C-1a;210C-1b:축압탱크
210C-2:레귤레이터 210C-3:실린더몸톰
210C-4:실린더로드대우 210C-5:실린더 로드 몸통대우
210C-6:실린더로드
220:가이드롤러부 220-1: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
220-2:롤베일유도드럼축홈 220-3:볼트조립공
220-4:쇽업텐션유격공b
220-5: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
220-6: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
220-7:육각머리볼트스촙퍼보강판 220-8:육각머리볼트공
220-9: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 220-10:제1브레이크패드
220-11:브레리크라이닝유격공
220-12: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 220-13:제2브레이크패드
220-14:가이드롤러
230:터닝원반스텝부(turning disk step part)
230A:터닝원반부 230B:스텝부
240:활주사면프레임부 250:재치로드부

Claims (5)

  1. 공지의 베일·랩핑복합기(BW)에 장착된 수평상태의 덤프프레임(DP) 좌측편에 장착되는 쇽업텐션부(210)와; 덤프프레임(DP) 우측편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부(220)와; 상기 쇽업텐션부 사이에 피봇조립되는 터닝원반스텝부(turning disk step part;230)를 구비한 활주사면프레임부(240)로 이루어진 롤베일입상배출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쇽업텐션부(210)는 베일·랩핑복합기(BW)에 기 형성된 좌측편 덤프프레임(DP)에 정착된 덤프프레임붙이브라켓트(103a-1)과 롤베일유도드럼장착브라켓트A(103a)에 설치되는 사각베어링(104) 자리에 각각 볼트체결되도록, 반홈소켓(210A-1) 좌우에 반홈소켓외측브라켓트(210A-2)와 만곡부 구비 다각판상체(210A-3)가 일체로 정착된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만곡부 아래에 천공된 제1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A-4) 외연에 베어링블럭(201A-5)을 정착해 내경키(210A-6)로 조립한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을 통과 조립되는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210B-8)과;
    상기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에 통과 조립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 (210B-8)을 피봇축으로 만곡부 구비 다각판상체(210A-3) 양측에 간격부싱(210B-1)으로 상호 일정간격 유지된체 일단에 파이프파지반홈(210B-2)과 타단 하측에 제1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A-4)이 각각 형성된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과; 동일형상의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을 형성하고, 상기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 외측 일정위치에서 내측으로 풀아웃오프너(pull out opener;210B-4)을 탭조립해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쇽업텐션유격공a(210A-8) 하부 중간에 천공한 스톱퍼홀(210A-9)에 구속되게 하고, 상기 파이프파지반홈(210B-2) 사이에는 2조의 볼트 너트로 분리체결되는 반호클램프(210B-5)를 설치하며, 상기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에 조립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210B-8)의 일단은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의 제1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A-4)에 정착하고,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을 경유한 타단은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에 마련된 제2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B-4) 외연에 정착된 반타원형의 축공보강편(210B-6)과; 바닥에 여타의 원호가 형성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7)이 볼트조립된 제2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공(210B-4) 사이로 안내되어 돌출정착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210B-8) 타단에는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고정봉(210B-9) 일단을 끼워 볼트조립하고, 상기 제1실린더힌지하우징(210Ba)의 파이프파지반홈(210B-2)과 인접된 간격부싱(210B-1) 외측으로 정착시킨 앵글형의 실린더힌지브라켓(210B-10)에는 실린더로드대우(210C-4)를; 상기 쇽업텐션장착브라켓트(210A)의 반홈소켓외측브라켓트(210A-2)과 만곡부 구비 다각판상체(210A-3) 사이의 축압탱크(210C-1)는 베일·랩핑복합기에 설치하고 레귤레이터(210C-2)가 실린더몸통(210C-3)에 부착된 실린더몸통대우(210C-5)를 각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덤프프레임(DP) 우측편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부(220)는 롤베일유도드럼축(105)에 조립된 스프로켓(106)에 체인(107) 귄취된 유압모터(109)가 설치되어 덤프프레임(DP)의 우측부로 정착된 유압모터장착브라켓트(108)와; 롤베일유도드럼축(105)이 축설되는 사각베어링(104)이 조립되는 롤베일유도드럼장착브라켓트B(103b) 사이에 볼트조립되는 다각판상체의 일측에 형성된 롤베일유도드럼축요홈(220-2) 상하연에 볼트조립공(220-3)이 형성되고, 이측의 만곡부 상부에는 테두리가 보강용접된 호형(弧形)의 쇽업텐션유격공b(220-4)이; 이측의 만곡부 하부에 천공된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이 형성된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 트(220-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 내측편에 형성된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에도 외연에 베어링블럭(210A-5)을 정착해 내경키(210A-6)로 설치한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에 축설되는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220-6)을 기점으로 하는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 어느 한 원주상에 육각볼트머리스톱퍼보강판(220-7)을 덧붙여 천공시킨 2개의 육각볼트머리공(220-8)에 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220-9)를 끼워 제1브레이크패드(220-10)를 조립하고, 상기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을 기점으로 원호각도 90°로 형성한 브레이크라이닝유격공(220-11)을 통해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 외측으로 돌출된 브레이크패드설치볼트(220-9)에 제2브레이크패드(220-13)와 접시스프링와셔(220-14)를 끼워 너트(220-15) 체결하며, 체결된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의 브레이크라이닝유격공(220-11)이 피봇되는 외측 코너부에는 가이드롤러축(220-12)에 가이드롤러(220-14)가 조립된 가이드롤러힌지아암(220-17)에 일단이 굴곡된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220-18)을 정착시키고, 가이드롤러힌지아암(220-18) 설치방향과 90°방향으로 직교되는 브레이크라이닝가이드조립판(220-12)의 첨부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의 쇽업텐션유격공b(220-4)을 경유해 왕복운동되는 유격공롤러(220-19)를 볼트(220-20)와 너트(220-21)로 조립시키고, 상기 가이드롤러장착브라켓트(220-1) 내측편의 실린더하우징연결축베어링(210A-7)을 통해 축설되어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공(220-5) 외연에 정착된 반타원형의 축공보강편(210B-6)과 바닥에 여타의 원호가 형성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5) 사이에 정착되는 가이드롤러힌지하우징연결축(220-6)에 볼트조립되는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고정봉(210B-9)을 조립하고, 상기 활주사면프레임조립편 (240-2) 하측단에 돌출된 가이드롤러축(220-16) 일단에는 카탈로그핀(220-22)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덤프프레임(DP) 우측편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부(220)와 쇽업텐션부(210)사이에 피봇조립되는 터닝원반스텝부(turning disk step part;230)를 구비한 활주사면프레임부(240)는 쇽업 텐션부(210)의 제2실린더힌지하우징(210Bb)과 가이드롤러부(220)의 활주사면프레임조립편(240-2) 사이에 조립된 축공보강편(210B-6)과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7)사이에 조립된 실린더힌지하우징연결축고정봉(210B-9) 상측에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거치채널강(210B-7)내로 조립되어 각각 하나의 체결볼트(240-3)가 조립되는 볼트구멍이 상단에 형성된 2개의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체결편(240-2) 사이에 사각관이 일체로 조립된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를 형성해 그 중간에 일정각도로 밴딩된 미들프레임(240-4) 일단을 길이방향 접면에서 직교방향으로 정착하고, 미들프레임 타단은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 길이 거리에 일정길이의 활주사면모듬각관(240-5) 중간전면에 상기 미들프레임과 같은 밴딩각도로 정착시키며, 이어 일단이 일정각도로 밴딩된 탑프레임(240-6) 일단을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 좌측에 정착하고,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 좌측편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체결편(240-2)과 탑프레임(240-6) 정착부에서 탑프레임의 수평연장부 일정지점에 이르는 곡면부에 이르는 탑프레임보강판(240-8)의 끝단에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와 평행되게 정착한 탑프레임보강판상부중공파이프(240-9)를 형성하며, 탑프레임(240-6) 타단 끝단 일부도 미들프레임과 같은 경사각도로 탑프레임조립편(230-8)에 정착해 활주사면모듬각관(240-5) 상단 후면에 정착하고, 다시 일단이 일정 밴딩된 그라운드프레임(240-7)을 활주사면프레임탈착대(240-1) 우측에 정착하고, 타단 끝단 일부는 미들프레임 하측과 대접되게 밴딩해 활주사면모듬각관(240-5)의 하단 전면에 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터닝원반스텝부(230)는 활주사면모듬각관(240-5) 상단 내측에 정착시킨 회전봉파이프(230-7) 내에 축설한 회전봉(230-5) 상단 일측에는 터닝원반수직축잡이쇠(230-6)를 정착시켜, 상기 탑프레임조립편(230-8)과 상호 대접시킨 장공부(230-9)에 터닝원반완충볼트(230-10)를 조립해 터닝원반완충스프링(230-11), 와셔(230-12), 너트(230-13)를 체결하고, 터닝원반수직축잡이쇠(230-6)와 직교 대접되는 회전봉 상단위치에 정착한 터닝원반수평하우징(230-4)에는 터닝원반축(230-1)에 터닝원반(230-2)를 조립해 이탈방지핀(230-3)을 체결한 터닝원반부(230A)와;
    상기 활주사면모듬각관(240-5) 하단부에는 장방판상체 전후단이 밴딩된 접지판(230-14)의 바닥중간과 진행방향 우측테에 직교되게 돌출한 접지판힌지브라켓트(230-15)사이에 볼트(230-16),너트(230-17)로 체결되는 스텝부(230B)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쇽업텐션부(210)에는 상하 2포인트용 축압탱크(210c-1)와 마구리탭(12)이 구비된 유압입출니플(11), 실린더 유압 입출력니플(13), 유압릴리프밸브(14), 유압유 회수단자(15)가 일체의 블럭에 조립되어 베일·랩핑복합기본체에 부착하는 유압블럭(10)과;
    압력체크포인트(21)를 구비한 레귤레이터(210c-2)와 실린더몸통대우(210c-5)가 구비된 복동형 실린더몸통(210c-3)와; 실린더로드(210c-6)에 실린더로드대우 (210c-4)가 구비되어, 제1실린더하우징(210Ba)및 제2실린더하우징(210Bb)와 만곡부구비 다각판상체(210A-3)에 힌지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기본형(20), 유압블럭(10)없이 실린더몸통(30a)에 압력배출구(30b), 축압탱크(201c-1a;210c-1b) 일체형 또는 유압블럭(10) 없이 실린더몸통(40a)에 압력배출구(40b)가 구비되고 축압탱크(210c-1a;210-1b) 분리형 유압실린더 변형실시예2(40)중 선택되는 어느 한 수단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KR1020130133207A 2013-11-04 2013-11-04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KR10152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07A KR101528626B1 (ko) 2013-11-04 2013-11-04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07A KR101528626B1 (ko) 2013-11-04 2013-11-04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805A true KR20130135805A (ko) 2013-12-11
KR101528626B1 KR101528626B1 (ko) 2015-06-17

Family

ID=4998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207A KR101528626B1 (ko) 2013-11-04 2013-11-04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62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6533A (zh) * 2022-05-16 2022-07-22 厦门星番悦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手抓饼的制作方法、装置
US11550119B2 (en) 2016-07-07 2023-01-10 Corephotonics Ltd.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US11703668B2 (en) 2014-08-10 2023-07-18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US11733064B1 (en) 2018-04-23 2023-08-22 Corephotonics Ltd. Optical-path folding-element with an extended two 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US11770616B2 (en) 2015-08-13 2023-09-26 Corephotonics Ltd. Dual aperture zoom camera with video support and switching / non-switching dynamic control
US11809066B2 (en) 2017-11-23 2023-11-07 Corephotonics Ltd. Compact folded camera structure
US11832008B2 (en) 2020-07-15 2023-11-28 Corephotonics Ltd. Image sensors and sensing methods to obtain time-of-flight and phase detection information
CN117161246A (zh) * 2023-09-11 2023-12-05 邯郸市永年区三利工矿配件有限公司 一种卡缆生产用双向冲压装置及其使用方法
US11856291B2 (en) 2013-08-01 2023-12-26 Corephotonics Ltd. Thin multi-aperture imaging system with auto-foc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11852790B2 (en) 2018-08-22 2023-12-26 Corephotonics Ltd. Two-state zoom folded camera
US11962901B2 (en) 2020-05-30 2024-04-16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uper macro image
US11977210B2 (en) 2016-05-30 2024-05-07 Corephotonics Ltd. Rotational ball-guided voice coil mo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4044B2 (ja) * 1996-02-16 2005-02-23 株式会社タカキタ ロールベール排出装置
JP3616191B2 (ja) * 1996-02-23 2005-02-02 株式会社タカキタ ロールベールの放出装置
KR101374003B1 (ko) * 2012-03-26 2014-03-12 서경진 원형베일러용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6291B2 (en) 2013-08-01 2023-12-26 Corephotonics Ltd. Thin multi-aperture imaging system with auto-foc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11991444B2 (en) 2013-08-01 2024-05-21 Corephotonics Ltd. Thin multi-aperture imaging system with auto-foc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11703668B2 (en) 2014-08-10 2023-07-18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US11982796B2 (en) 2014-08-10 2024-05-14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US11770616B2 (en) 2015-08-13 2023-09-26 Corephotonics Ltd. Dual aperture zoom camera with video support and switching / non-switching dynamic control
US11977210B2 (en) 2016-05-30 2024-05-07 Corephotonics Ltd. Rotational ball-guided voice coil motor
US11550119B2 (en) 2016-07-07 2023-01-10 Corephotonics Ltd.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US11977270B2 (en) 2016-07-07 2024-05-07 Corephotonics Lid.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US11809066B2 (en) 2017-11-23 2023-11-07 Corephotonics Ltd. Compact folded camera structure
US11867535B2 (en) 2018-04-23 2024-01-09 Corephotonics Ltd. Optical-path folding-element with an extended two 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US11733064B1 (en) 2018-04-23 2023-08-22 Corephotonics Ltd. Optical-path folding-element with an extended two 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US11976949B2 (en) 2018-04-23 2024-05-07 Corephotonics Lid. Optical-path folding-element with an extended two 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US11852790B2 (en) 2018-08-22 2023-12-26 Corephotonics Ltd. Two-state zoom folded camera
US11962901B2 (en) 2020-05-30 2024-04-16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uper macro image
US11832008B2 (en) 2020-07-15 2023-11-28 Corephotonics Ltd. Image sensors and sensing methods to obtain time-of-flight and phase detection information
CN114766533A (zh) * 2022-05-16 2022-07-22 厦门星番悦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手抓饼的制作方法、装置
CN117161246B (zh) * 2023-09-11 2024-03-26 邯郸市永年区三利工矿配件有限公司 一种卡缆生产用双向冲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161246A (zh) * 2023-09-11 2023-12-05 邯郸市永年区三利工矿配件有限公司 一种卡缆生产用双向冲压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626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5805A (ko) 원형베일러의 개량형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US5326156A (en) Trailer construction
US4248561A (en) Round bale handling device
US3410063A (en) Mowing apparatus
US20120063871A1 (en) Grain cart having a single auger discharge conveyor
US9321388B2 (en) Adjustable motorcycle trailer assembly
US8910726B2 (en) Harvester with an attachment for a support wheel and a method for storing a support wheel of a harvester
US20090025355A1 (en) Walk-type lawn mower and catcher frame apparatus
HU182487B (en) Harvester particularly for getting in peas
CN108394732A (zh) 一种杆状作物收获机的集运装置
KR101374003B1 (ko) 원형베일러용 롤베일 입상배출장치
KR102071106B1 (ko) 주행 차량
US11026370B1 (en) Hydraulic bale trailer
CN207955845U (zh) 一种高适应性园林拖车
KR101522913B1 (ko) 콤바인
CN216058318U (zh) 一种穗茎兼收的卸粮、卸草装置
JP2011020512A (ja) クローラ緊張輪支持部材
CN111480458A (zh) 收割机
JPH0525390Y2 (ko)
JP6067599B2 (ja) 走行車両
CN219459789U (zh) 一种西兰花收获装置
WO2021006140A1 (ja) 全茎式サトウキビ植付装置
CN109941176A (zh) 轻型货车辅助卸料装置
JP3358146B2 (ja) コンバインの引起しケース
CN200938773Y (zh) 装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