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415A -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 Google Patents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415A
KR20130135415A KR1020120058873A KR20120058873A KR20130135415A KR 20130135415 A KR20130135415 A KR 20130135415A KR 1020120058873 A KR1020120058873 A KR 1020120058873A KR 20120058873 A KR20120058873 A KR 20120058873A KR 20130135415 A KR20130135415 A KR 20130135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corner
pattern array
auxiliary pattern
corner member
retrorefle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230B1 (ko
Inventor
오종민
이준용
김진우
김민형
현성욱
연효동
노영화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12005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230B1/ko
Priority to CN201380028120.6A priority patent/CN104364679B/zh
Priority to PCT/KR2013/004712 priority patent/WO2013180465A1/ko
Publication of KR2013013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는 제1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메인 패턴 어레이; 및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 설정된 틸팅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CUBE-CORNER TYPE RETROREFLECTIVE SHEET}
본 발명은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를 배치하되,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를 하나의 패턴 어레이로 각각 형성하여 그 형성된 다수의 패턴 어레이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규칙에 따라 배치하도록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 시트는 시트의 주요 표면상에서 입사광을 그 광원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기능으로 인하여 교통 및 개인 안전표지와 관련된 폭넓고 다양한 식별성(conspicuity) 강화 용도에 재귀반사 시트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재귀반사 시트의 전형적인 용도의 예로는, 구체적으로 야간 운전조건과 같은 불량한 조명 조건 하에서 또는 궂은 날씨 조건에서 식별성을 강화시키는 도로 표지판, 교통안전용 원추체, 및 바리케이드 상에 상기 시트를 배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전형적으로, 큐브 코너형 재귀 반사 시이트는 시이트 주요 표면 상에서 입사광을 재귀 반사시키는 단단하고 상호 연결된 큐브 코너 부재를 사용한다. 재귀 반사 관련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기본적인 큐브 코너 부재는 일반적으로 단일 기준점 또는 꼭지점에서 교차하는 상호 거의 수직인 3개의 측면과 꼭지점을 마주보는 삼각형 밑면을 갖는 사면체 구조물이다.
이러한 큐브 코너 부재의 대칭축 또는 광축은 큐브 꼭지점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큐브 코너 부재의 내부 공간을 3등분하는 축을 일컫는다. 등변의 삼각형 밑면을 갖는 종래의 큐브 코너 부재에 있어서,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은 삼각형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이다. 작동시, 큐브 코너 부재의 밑면상에 입사된 광은 부재의 3개 측면 각각으로부터 반사되어 광원으로 되돌아 간다. 일반적으로, 재귀 반사 시이트는 물체의 가시도를 강화시키는 1개 이상의 큐브 코너 반사 부재 배열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큐브 코너형 재귀 반사 시트는 광축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재귀 반사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규브 코너형 재귀 반사 시트는 광축이 기울어지지 않을 경우에 재귀 반사가 일어나는 유효 면적이 가장 넓어 재귀 반사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나는데, 그럼에도 재귀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를 배치하되,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를 하나의 패턴 어레이로 각각 형성하여 그 형성된 다수의 패턴 어레이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규칙에 따라 배치하도록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는 제1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메인 패턴 어레이; 및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 설정된 틸팅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와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틸팅 각도는 +3°~ -3°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와 상기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밑면의 각 변의 길이는 170 ~ 240 ㎛이고 높이는 60 ~ 9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가로 길이 1000㎛이고, 세로 길이 1880 ~ 200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이 이루는 제1 중심축 방향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제2 중심축 방향을 갖는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보다 그 폭이 작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는 제1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메인 패턴 어레이; 및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 설정된 틸팅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틸팅 각도는 +3°~ -3°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와 상기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밑면의 각 변의 길이는 170 ~ 240 ㎛이고 높이는 60 ~ 9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이 이루는 제1 중심축 방향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제2 중심축 방향을 갖는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보다 그 폭이 작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는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메인 패턴 어레이; 및 상기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이 이루는 제1 중심축 방향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제2 중심축 방향을 갖는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보다 그 폭이 작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를 배치하되,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를 하나의 패턴 어레이로 각각 형성하여 그 형성된 다수의 패턴 어레이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규칙에 따라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재귀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빛의 입사에 따라 반사되는 빛이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재귀 반사 시트를 사용할 수 있는 각도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2는 큐브 코너 부재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큐브 코너 부재의 틸팅 각도에 따른 유효 면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3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4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5 도면이다.
도 8은 큐브 코너 부재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6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7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를 배치하되,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를 하나의 패턴 어레이로 각각 형성하여 그 형성된 다수의 패턴 어레이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규칙에 따라 배치하도록 하는 재귀 반사 시트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패턴 어레이를 메인 패턴 어레이와 보조 패턴 어레이로 구분하여 메인 패턴 어레이에서 반사되는 빛의 방향성을 보조 패턴 어레이를 이용하여 넓히고자 하는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메인 패턴 어레이와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에 포함된 큐브 코너 부재의 구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데, 예컨대, 1)큐브 코너 부재의 틸팅(tilting)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2)큐브 코너 부재의 밑면의 모양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3)큐브 코너 부재의 중심축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4)큐브 코너 부재의 배열 개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들 1),2),3),4) 중 둘 이상을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패턴 어레이(100)는 밑면이 정삼각형의 형태인 정삼각뿔의 구조이고 그 광축이 기울어지지 않은 큐브 코너 부재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큐브 코너 부재가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은 정삼각뿔의 정점 또는 꼭지점으로부터 밑면의 중심점까지 수직으로 이르는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패턴 어레이(100)는 밑면이 정삼각형일 뿐 아니라 이등변 삼각형이나 부등변 삼각형일 수 있는데, 이등변 삼각형이나 부등변 삼각형인 경우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은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예컨대, 하나의 큐브 코너 부재 즉, 삼각뿔의 밑면의 각 변의 길이는 170 ~ 240 ㎛이고 높이는 60 ~ 90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 패턴 어레이(100)는 가로 길이 5,000~20,000㎛의 범위일 수 있는데 10,000㎛(1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로 길이는 1000 ~ 3000㎛의 범위일 수 있는데 1880 ~ 2000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큐브 코너 부재의 밑면의 크기가 200 ㎛라면 메인 패턴 어레이(100)는 이러한 크기의 큐브 코너 부재를 세로로 약 50개, 가로로 약 10880 ~ 11550개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밑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삼각뿔의 구조이고 그 광축이 기울어진 큐브 코너 부재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밑면이 이등변 삼각형일 뿐 아니라 정삼각형이거나 부등변 삼각형일 수 있는데, 정삼각형인 경우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이 기울어지지 않거나 부등변 삼각형인 경우 광축이 일정 각도 기울어 질 수 있다.
그림 (a)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틸팅 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그림 (b)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즉,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이때, 두 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광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은 광축이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현되고,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는 광축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사용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와 두 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배열할 때 메인 패턴 어레이, 제1 보조 패턴 어레이, 제2 보조 패턴 어레이 순으로 배열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메인 패턴 어레이, 제1 보조 패턴 어레이, 메인 패턴 어레이, 제2 보조 패턴 어레이 등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패턴 어레이에 배열되는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보조 패턴 어레이에 배열되는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패턴 어레이와 보조 패턴 어레이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큐브 코너 부재의 밑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경우의 틸팅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큐브 코너 부재로서, 그림 (a)에서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큐브 코너 부재 각각의 광축이 중심축으로 멀어지는 방향인 상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보여주고, 그림 (b)에서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큐브 코너 부재 각각의 광축이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인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진 틸팅 각도는 +3°~ -3°사이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틸팅 각도의 범위는 필요에 따라 더 커질 수 있고 작아질 수 있다.
도 3은 큐브 코너 부재의 틸팅 각도에 따른 유효 면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a)에서는 광축이 기울어지지 않은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에서 빛이 반사되는 유효 면적을 보여주고, 그림 (b)에서는 광축이 상측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에서 빛이 반사되는 유효 면적을 보여주며, 그림 (c)에서는 광축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큐브 코너 부재에서 빛이 반사되는 유효 면적을 보여주고 있다.
광축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유효 면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광축이 기울어진 정도가 다른 패턴 어레이를 반복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하여 반사되는 빛의 방향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a)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보조 패턴 어레이는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큐브 코너 부재의 중심축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중심축 방향은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큐브 코너 부재가 이루는 직선의 방향을 일컫는데, 예컨대, 0도에서 360도까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틸팅 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그림 (b)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큐브 코너 부재의 중심축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두 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서로 다른 중심축 방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은 90도의 중심축 방향을 갖도록 구현되고,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는 180의 중심축 방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패턴 어레이(100)의 0도의 배향 방향과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의 180도의 중심축 방향이 동일하게 보여질 수 있으나, 그 제조 공정의 영향으로 큐브 코너 부재의 특성이 다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르게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3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a)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보조 패턴 어레이(200)의 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보조 패턴 어레이(200)의 폭을 메인 패턴 어레이(100)의 폭보다 작게 설정하는데, 예컨대, 메인 패턴 어레이의 폭의 1/2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바사 시트에는 이렇게 틸팅 각도와 폭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이렇게 보조 패턴 어레이의 폭을 작게 설정하는 이유는 광축이 기울어지지 않은 큐브 코너 부재의 특성이 가장 우수하기 하지만 여전히 빛이 반사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자 보조 패턴 어레이를 사용하되 보포 패턴 어레이 자체의 특성 자체가 우수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사용 면적을 적게 하려는 것이다.
그림 (b)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의 폭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의 폭과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의 폭을 메인 패턴 어레이(100)의 폭보다 작게 설정하되,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의 폭과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와 두 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배열할 때 제1 보조 패턴 어레이, 제2 보조 패턴 어레이 모두 그 폭이 메인 패턴 어레이보다 작게 형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제1 보조 패턴 어레이, 제2 보조 패턴 어레이 중 어느 하나만 그 폭을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4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a)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큐브 코너 부재의 중심축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보조 패턴 어레이(200)의 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보조 패턴 어레이(200)의 폭을 메인 패턴 어레이(100)의 폭보다 작게 설정하는데, 예컨대, 메인 패턴 어레이의 폭의 1/2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바사 시트에는 이렇게 중심축 방향과 폭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그림 (b)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큐브 코너 부재의 중심축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의 폭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의 폭과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의 폭을 메인 패턴 어레이(100)의 폭보다 작게 설정하되,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의 폭과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5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패턴 어레이(100)는 밑면이 정삼각형의 형태인 정삼각뿔의 구조이고 그 광축이 기울어지지 않은 큐브 코너 부재가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밑면이 부등변 삼각형인 삼각뿔의 구조이고 그 광축이 기울어진 큐브 코너 부재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메인 패턴 어레이(100)는 밑면이 정삼각형일 뿐 아니라 이등변 삼각형이나 부등변 삼각형일 수 있는데, 이등변 삼각형이나 부등변 삼각형인 경우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은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밑면이 부등변 삼각형일 뿐 아니라 정삼각형이거나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는데, 정삼각형인 경우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이 기울어지지 않거나 이등변 삼각형인 경우 광축이 일정 각도 기울어 질 수 있다.
그림 (a)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틸팅 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그림 (b)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즉,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이때, 두 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광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은 광축이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현되고,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는 광축이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보조 패턴 어레이를 구성하는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정하여 측면에 대한 반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큐브 코너 부재의 밑면이 부등변 삼각형인 경우의 틸팅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이 부등변 삼각형인 큐브 코너 부재로서, 그림 (a)에서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큐브 코너 부재 각각의 광축이 중심축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보여주고, 그림 (b)에서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큐브 코너 부재 각각의 광축이 중심축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큐브 코너 부재는 그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만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뿐 아니라 광축이 좌측 상단 또는 좌측 하단이거나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틸팅 각도는 +3ㅀ~ ??3ㅀ사이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틸팅 각도의 범위는 필요에 따라 더 커질 수 있고 작아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6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a)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보조 패턴 어레이는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큐브 코너 부재의 중심축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틸팅 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그림 (b)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큐브 코너 부재의 중심축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두 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서로 다른 중심축 방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은 90도의 중심축 방향을 갖도록 구현되고,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는 180의 중심축 방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나타내는 제7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a)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보조 패턴 어레이(200)는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보조 패턴 어레이(200)의 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보조 패턴 어레이(200)의 폭을 메인 패턴 어레이(100)의 폭보다 작게 설정하는데, 예컨대, 메인 패턴 어레이의 폭의 1/2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바사 시트에는 이렇게 틸팅 각도와 폭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그림 (b)에서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와 두개의 보조 패턴 어레이(200)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은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틸팅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서 보조 패턴 어레이 각각의 폭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의 폭과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의 폭을 메인 패턴 어레이(100)의 폭보다 작게 설정하되,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의 폭과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에는 하나의 메인 패턴 어레이(100), 제1 보조 패턴 어레이(210), 제2 보조 패턴 어레이(220)가 교차 배열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메인 패턴 어레이
200: 보조 패턴 어레이
210: 제1 보조 패턴 어레이
220: 제2 보조 패턴 어레이

Claims (16)

  1. 제1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메인 패턴 어레이; 및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 설정된 틸팅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와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는 +3°~ -3°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와 상기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밑면의 각 변의 길이는 170 ~ 240 ㎛이고 높이는 60 ~ 9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가로 길이 10,000㎛이고, 세로 길이 1880 ~ 200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이 이루는 제1 중심축 방향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제2 중심축 방향을 갖는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보다 그 폭이 작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9. 제1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메인 패턴 어레이; 및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의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 설정된 틸팅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되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는 +3°~ -3°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와 상기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밑면의 각 변의 길이는 170 ~ 240 ㎛이고 높이는 60 ~ 9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이 이루는 제1 중심축 방향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제2 중심축 방향을 갖는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보다 그 폭이 작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14.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메인 패턴 어레이; 및
    상기 두 개의 제1 큐브 코너 부재들이 이루는 제1 중심축 방향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제2 중심축 방향을 갖는 제2 큐브 코너 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면을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큐브 코너 부재들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 어레이는, 상기 메인 패턴 어레이보다 그 폭이 작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패턴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큐브 코너 부재는 그 밑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및 부등변 삼각형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KR1020120058873A 2012-05-31 2012-05-31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KR10193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873A KR101937230B1 (ko) 2012-05-31 2012-05-31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CN201380028120.6A CN104364679B (zh) 2012-05-31 2013-05-29 立方角型反光片
PCT/KR2013/004712 WO2013180465A1 (ko) 2012-05-31 2013-05-29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873A KR101937230B1 (ko) 2012-05-31 2012-05-31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15A true KR20130135415A (ko) 2013-12-11
KR101937230B1 KR101937230B1 (ko) 2019-01-14

Family

ID=4967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873A KR101937230B1 (ko) 2012-05-31 2012-05-31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37230B1 (ko)
CN (1) CN104364679B (ko)
WO (1) WO2013180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0391A (zh) * 2018-09-21 2019-01-04 重庆互艺文化创意发展有限公司 一种不规则镜面单元及具有多角度折射光的观光体验隧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278B1 (ko) * 1995-06-09 2003-10-10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타일링된재귀반사시트
US5706132A (en) * 1996-01-19 1998-01-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al orientation retroreflective sheeting
JPH10123309A (ja) * 1996-10-22 1998-05-15 Nippon Carbide Ind Co Inc 三角錐型キューブコーナー再帰反射シート
US6036322A (en) * 1997-12-01 2000-03-14 Reflexite Corporation Multi-orientation retroreflective structure
KR100373209B1 (ko) 1999-09-11 200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재귀 반사체
US7329447B2 (en) * 2004-04-01 2008-0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sheeting with controlled cap-Y
JP4772102B2 (ja) 2008-10-31 2011-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ナーキューブアレイ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64679B (zh) 2017-10-24
CN104364679A (zh) 2015-02-18
KR101937230B1 (ko) 2019-01-14
WO2013180465A1 (ko)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3568A (en) Retroreflector units with three mutually perpendicular surfaces defining a trihedral angl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JP5335811B2 (ja) 再帰反射体
KR880006555A (ko) 원하는 발산 프로필을 갖는 입방체 역반사 물품
JP2006510951A (ja) 3レベル切削のキューブコーナー
JP5932659B2 (ja) キューブコーナー型再帰反射シート
JP4611442B2 (ja) キューブコーナー型再帰反射物品
KR101937230B1 (ko)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KR102133964B1 (ko) 변형된 구조의 큐브 코너를 이용하는 재귀반사 시트
JP2009537023A (ja) 再帰反射体
JP2016535287A (ja) 広角性が改善されたステッププリズム型再帰反射体
KR20100079855A (ko) 재귀 반사 시트
KR102200725B1 (ko)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CN101770046A (zh) 定向回复反射器
EP2360498B1 (en) Retroreflective article
KR100991069B1 (ko) 재귀반사소자 및 이를 구비한 재귀반사체
KR20160014182A (ko) 재귀반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재귀반사 시트
KR20130124116A (ko) 광각성이 개선된 스텝 프리즘형 재귀반사체
KR101060431B1 (ko) 재귀반사소자 및 이를 구비한 재귀반사체
CN213814011U (zh) 反光片及其反光设备
KR100924438B1 (ko) 교통안전표지용 재귀반사체
CA1096832A (en) Retroreflector
KR20140033292A (ko) 재귀반사체 제조용 마스터 금형 제조방법
KR100909386B1 (ko) 교통안전표지용 재귀반사체
JPH0719706U (ja) 車輌用反射器
JPS585402B2 (ja) サイキハンシヤキ オヨビ ソノセイケイヨウカネガ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