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007A -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007A
KR20130135007A KR1020120115607A KR20120115607A KR20130135007A KR 20130135007 A KR20130135007 A KR 20130135007A KR 1020120115607 A KR1020120115607 A KR 1020120115607A KR 20120115607 A KR20120115607 A KR 20120115607A KR 20130135007 A KR20130135007 A KR 20130135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induction coil
coating
paint
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300B1 (ko
Inventor
김진원
박상봉
이경섭
이영건
Original Assignee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3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5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7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2Heavy-type cleaning devices, e.g. crawlers with plural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은 궤도부와 궤도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량 본체를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과, 이동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관로의 상단 면과 맞닿아서 대차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지지휠과, 상기 차량 본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본체와, 상기 회전 본체에 체결되고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덕션 코일부와 도장 제거 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Rust and Coating Removing System of Inside of Large size Pipe}
본 발명은 상하수도 관로와 같은 대형 관로 내부 코팅층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에 사용되는 대형관로 내부는 에폭시 수지, 콜타르 에나멜 수지 또는 액상 에폭시 수지 등으로 코팅되어 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로 부식, 코팅층의 도장 불량, 경련 열화 등에 의하여 코팅층이 손상되어 들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하수도 관로 내의 손상된 코팅층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워터젯 방식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손상된 코팅층을 제거하거나 회전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손상된 코팅층에 충격을 가하여 손상된 코팅층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대형 상하수도 관로의 손상된 코팅층 제거 장치는 대한 민국 등록 특허 제10-099391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관로 내를 이동하는 대차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77097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종래 회전기구를 이용한 코팅층 제거 장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회전기구를 이용한 코팅층 제거 장치는, 대형 강관 내면의 코팅층(C)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강관의 내부를 이동하는 대차(10)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대차(10)는 차체 프레임(12)의 하부에 강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4)들이 구비되고,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운전석 및 운전 조작기구가 구성된다. 상기 운전석의 뒤쪽에는 강관 코팅층(C) 제거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콘트롤 박스 또는 각종 장비의 탑재가 가능한 캐비닛(19) 등이 구성되고, 이러한 대차(10)의 앞쪽에 강관 코팅층(C) 제거 장치의 주요 구성부분이 위치하게 되는데, 180도 각도로 강관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회전 지지대(20)가 구비되고, 이 회전 지지대(20)의 중앙부에 회전 지지대(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모터(22) 및 구동 기어류(24)들이 설치된다. 상기 양쪽 회전 지지대(20)의 끝단에는 강관의 내면에 접촉되어 코팅층(C)을 벗겨내는 헤드부(30)가 설치되는데, 양쪽 회전 지지대(20)를 포함하여 회전 모터(22), 구동 기어류(24) 등이 구비된 대차(10)가 헤드부(30)를 강관 내에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회전 지지대(20)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린더는 상기 헤드부(30)에서 코팅층(C) 제거시 어느 정도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압을 이용한 에어 실린더(26)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대(20)에는 상기 헤드부(30)와 나란한 위치에 상기 헤드부(30)에 의해 코팅층(C)이 제거된 강관 내면을 청소할 수 있는 표면처리기(28)가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30)가 회전하고 헤드부 끝단의 해머가 관로 내면을 타격하는 방법으로 도장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관로 내면의 도장 제거 장치는 기계적인 구동 방식을 택함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 개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 방식을 택함으로 인하여 진동 및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기구를 이용한 타격 방식은 타격의 강도 및 타격 지점이 고르지 못하여 도장 제거가 완벽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회전 기구를 이용한 관로 내면 도장 제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 내면의 도장을 전기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구조를 간단히 한 도장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로 내면의 도장을 고르게 전체적으로 깨끗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차가 관로 내면을 통행하는 경우 대차의 전복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운행하면서 관로 내면의 도장을 제거할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은 궤도부와 궤도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량 본체를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과, 이동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관로의 상단 면과 맞닿아서 대차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지지휠과, 상기 차량 본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본체와, 상기 회전 본체에 체결되고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덕션 코일부와 도장 제거 끝부와, 연기 제거 수단 및 도장부 절단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인덕션 코일에 의하여 관로 내면의 도장 부위에 열을 가하여 도장 제거용 끌로 불량 도장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은 인덕션 코일을 이용한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도장을 고르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은 도장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차를 이용하여 관로를 운행하는데 대차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회전 기구를 이용한 관로 내면의 도장 제거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 본체의 구성 단면도,
도 4는 대차의 궤도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 도 5b, 도 5c는 궤도부의 조향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 본체의 위치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 본체의 위치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대형 관로 내에 안착된 본 발명 인덕션 코일 클리닝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덕션 코일 헤드와 도장 제거 끝의 상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 지지휠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 지지휠이 접혀진 상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 지지휠이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
도 13은 도장 제거용 끌부의 사시도,
도 14는 인덕션 코일부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콘트롤러의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1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의 사시도 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는 갱생이 요구되는 상수관로의 내부에 투입되어 관로의 내부 벽에 고착된 스케일 등을 전원에 의한 인덕션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관로 내면의 이물질, 도장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차량 본체(101)의 전.후방측으로 관로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조명을 갖는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와 함께 관로의 특정 부분을 집중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통상의 줌 기능과 촬영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관찰용 카메라가 차량 본체 커버(800)의 특정 부위에 설치되어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원격제어에 의해서 궤도부(102)에 의한 차량 본체(101)에 대한 주행과 상기 차량 본체(101)에 탑재된 도장 제거 수단(500) 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대형 관로 인덕션 코일 클리닝 시스템은 양측 궤도부(102)에 의해서 차량 본체(101)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 본체(101)는 관로(900)의 내벽을 향한 인덕션 코일부(511)과 도장 제거용 끌부(513)가 포함된 도장 제거 수단(500)이 탑재되며, 상기 도장 제거 수단(500)은 승강구동부(106)와 위치조절수단(107)에 의해서 상.하 위치이동과 좌.우 회동 및 직선 이동이 가능한 차량 본체에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장 제거 수단(500)은 회전하면서 관로 내면의 불량한 도장 부위에 열을 가하면서 도장 제거용 끌을 이용하여 불량한 도장 부위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106)는 나선축(161)과 한 쌍의 너트(162)(162a) 및 한 쌍의 링크부(163)(163a), 나선축 구동부(164)로 구성되며, 상기 나선축(161)은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너트(162)(162a)가 나선 결합되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부(161a)(161b)로 형성되고, 회전 본체(104)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차량 본체(10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후방측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링크부(163)(163a)의 일측단부는 너트(162)(162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분 회전 본체(10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선축 구동부(164)는 나선축(161)의 중간부, 즉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부(161a)(161b)가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피동 풀리(642)를 설치하고 구동모터(M1)에는 상기 피동풀리(642)와 전동벨트(644)로 연결되는 전동 풀리(643)를 설치하여 벨트 전동에 의해서 나선축(161)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구동부(106)는 전동벨트(644)를 통하여 구동모터(M1)의 동력이 피동풀리(642)로 전달되면, 나선축(161)이 일측 방향을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해서 상기 나선축(161)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선 결합된 너트(162)(162a)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상기 너트(162)(162a)와 회전 본체(104)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된 링크부(163)(163a)가 회전 본체(104)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차에는 제거된 도장 등 이물질을 워터젯으로 제거하기 위한 펌프(11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 본체의 구성 단면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에서 회전 본체(104)는 도장 제거 수단(5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 본체(104) 일측에 형성된 종동풀리(145)와, 상기 종동 풀리(145)와 대차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M2)의 원동 풀리(144)를 연결하는 구동 벨트(146)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 본체(104) 내측에서 상기 종동 풀리(145)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 축(142)과, 상기 회전 축(142)과 베어링(B)으로 체결되는 하우징(143)과, 상기 회전 축(142)에 지지대(510)에 의하여 체결되는 도장 제거 수단(500)의 지지대(510) 및 불량 도장을 제거 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인덕션 코일부(511)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관(555)을 통하여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기 흡입기(14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장 제거 수단(500)의 인덕션 코일(546)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원선은 상기 구동 모터(M2)의 전원선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본체의 회전 축(142)과, 도장 제거 수단(500)의 Y형 지지대(510) 내부를 거쳐 인덕션 코일(546)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축(142)은 베어링(B)에 의해서 하우징(14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장 제거 수단(500)의 Y형 지지대(510)의 회전을 위해 회전 축(142)은 외측에 구동모터(M2)의 원동풀리(144)와 구동벨트(146)로 연결되는 종동풀리(14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장 제거 수단(500)의 끝단에 설치되는 인덕션 코일부(511)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하는 열로 불량 도장 부위에 가열하고 도장 제거 수단(500)의 타단에 구성된 도장 제거 끌부(513)를 이용하여 불량 도장 부위를 제거하는 것으로 도장 제거 수단(500)을 회전시키는 Y형 지지대(510)는 회전축(142)이 전동 벨트에 의해서 구동모터(M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함께 회전하면서 관로 내면의 불량 도장 부위에 가열하고 제거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궤도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궤도부(102)는 궤도 조향부(103)에 의해서 틸팅 및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궤도 조향부(103)는 힌지 조인트(131)와 다수의 유압실린더(132)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 조인트(131)는 차량 본체(101)로부터 돌출된 본체 지지편(311)과 궤도부(102)로 돌출된 궤도 지지편(312)을 핀(314) 결합시켜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32)의 실린더 몸체(132a)는 차량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실린더 로드(132b)는 궤도부(102)의 궤도 지지편(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궤도부(102)는 구간 관로(900)의 형태를 따라 힌지 조인트(131)를 중심으로 유압실린더(132)의 작동에 의해서 차량 본체(101)의 측방향으로 회전 구동, 즉 틸팅(tilting)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5a, 도 5b, 도 5c는 궤도부의 조향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이다. 상기도 5a, 도 5b, 도 5c에서 본 발명 궤도부의 조향 장치는 유압실린더(132)의 작동에 의해서 궤도부(102)의 방향을 조절해줄 수 있는 것으로서, 후방측 유압실린더(132)의 실린더 로드(132b)의 돌출길이를 전방측 유압실린더(132)의 로드 돌출길이보다 크게 하면 양측 궤도부의 전방폭을 좁게 하여 전진할 수 있게 되고, 전방측 유압실린더(132)의 로드 돌출 길이를 후방측 유압실린더(132)의 로드 돌출길이보다 크게 하면 후진시 양측 궤도부의 후방폭을 좁게 하여 주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렇게 진행방향에 대하여 폭을 좁게 하여 주행하게 되면 차량 본체(101)의 중심을 잡아주게 되어 차량 본체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궤도부(102)가 차량 본체의 측방향에 대한 틸팅과 전후 진행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힌지 조인트(131) 부분과 궤도부에 대한 유압실린더(132)의 연결부분에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접촉 베어링(315)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 본체의 위치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대차 본체의 위치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도 6 및 7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 본체(104)는 위치조절수단(107)에 의해서 좌.우 소정각도의 회전과 측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조절수단(107)을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구동부(106)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베이스판(171)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171)의 하부에는 지지판(172)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71)의 중앙 하부에는 주축(171a)이 형성되고, 상기 주축(171a)은 지지판(172)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베어링을 포함하는 회전지지구(173)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17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구(173)의 외곽의 지지판(172) 상에는 원호형의 외접기어(741)가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 판(171)에는 외접기어(741)와 치합되는 구동기어(742)를 갖는 구동모터(M3)가 베이스판(171)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구동부(174)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베이스판(171)과 지지판(172) 및 승강구동부(106)를 포함하는 회전 본체(104)는 상기 지지판(172)의 하부에 구비된 직선이동부(175)에 의해서 측방향 직선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지지판(172)의 하부는 측방향 레일(751)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레일(751)의 사이에는 나선이 형성된 이송축(752)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판(172)의 하부에는 이송축(752)에 나선 결합되는 이송너트(75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축(752)은 구동모터(M3)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M3)에 의한 이송축(752)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송축(752)에 이송너트(753)로 결합된 지지판(172)을 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본체(104)는 상기 직선이동부(175)에 의해서 측방향 위치 이동이 가능하면서 지지판(172)의 베이스판(17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구동모터(M3)의 구동기어(742)를 정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좌.우 소정각도의 회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8은 대형 관로 내에 안착된 본 발명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상기도 8에서 본 발명의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은 관로(900) 하부의 양면에 지지하는 궤도부(102)와, 상기 궤도부 상부에 형성된 승강 수단 및 위치 조절 수단 및 회전 수단을 포함한 차량 본체(104)와 상기 차량 본체를 둘러싸는 본체 카버(800)와 본체 카버(800)의 전면(810) 일측으로 연장 구성되고 회전 본체(104)의 회전 축(142)에 체결된 도장 제거 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9는 상기에서 도장 제거 수단은 상기 회전 축(14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측에 인덕션 코일부(511)와 상기 인덕션 코일부(511)와 Y 자형을 구성하는 도장 제거용 끌부(5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인덕션 코일부(511)는 Y 자형 지지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로드(521)와, 상기 Y 자형 지지대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1힌지부(52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로드(523)와, 상기 제2로드(523)에 제1로드(521)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제2힌지부(527)와, 상기 제2로드(523) 끝단에 체결된 인덕션 스트립핑 헤드(529) 및 상기 인덕션 코일부(511)에서 발생되는 열로 코팅층을 가열할 때 생기는 연기를 수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집진 하우징(556)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장 제거용 끌부(513)는 상기 Y 자형 지지대의 타측에 고정 체결되는 제3로드(531)와, 상기 타측 끝단(532)에 체결되는 도장 제거용 끝(549)이 회동하도록 체결하는 제3힌지부(533)와, 상기 제3로드(531)와 상기 도장 제거용 끌(549)이 회동하도록 체결하는 제4힌지부(553)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장 제거용 끌(549)의 일측에는 진동 바이브레이터(548)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바이브레이터(548)는 상기 도장 제거용 끝(549)에 진동을 주어 관로의 불량 도장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로드(521) 내부에는 스프링(551)과 스프링에 의하여 이동하는 로드면(552)이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551)에 의하여 탄성력이 제2로드(523)과 인덕션 스트립핑 헤드(529)에 가해지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로드(531)에도 스프링(551)과 로드면(552)이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551)의 탄성력이 로드면(552)을 통하여 도장 제거용 끌(549)에 가해지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551) 및 로드면(551)으로 인하여 인덕션 스트립핑 헤드(529) 및 도장 제거용 끌(549)이 일정한 힘으로 관로(900) 내면에 밀착되어 내면에 열을 가하고 불량 도장을 제거할 수 있으며 가열 시 발생되는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 지지휠 사시도 이다. 상기도 10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 지지휠(400)은 베이스(410)와, 상기 베이스(410) 상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414)과, 한쌍의 회전 지지구(412)와, 상기 한쌍의 레일(414) 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제1구동부(416)와, 상기 한쌍의 제1구동부(416)를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실린더부(450)와, 상기 실린더부(450)의 밀림을 방지하는 고정부(452)와, 상기 한쌍의 회전 지지구(412)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1지지대(418)와 한쌍의 제1구동부(416)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2지지대(420)와, 상기 한쌍의 제1지지대(418)와 상기 한쌍의 제2지지대(420)를 지지대의 중앙에서 접철되도록 회동가능한 관절부(422)와, 상기 한쌍의 제1지지대(418) 끝단에 구비된 제1관절부(424)와, 상기 한쌍의 제2지지대(420) 끝단에 구비된 제2관절부(426)와, 상기 제1관절부(424) 양끝단에 각각 체결되는 제3지지대(428)와, 상기 제2관절부(426) 양끝단에 각각 체결되는 제4지지대(430)와, 상기 각각의 제3지지대(428)에 체결되는 제3관절부(434)와, 상기 각각의 제4지지대(430)에 체결되는 제4관절부(436)와, 상기 제4관절부(436)와 상기 제3관절부(434) 상부에 체결되는 제2베이스(438)와 상기 제2베이스(438) 일측으로 회동하도록 체결되는 구동휠(440)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 지지휠(400)은 상기 다수의 관절부(422, 424, 426, 434, 436)를 이용하여 다수의 지지대가 접혀지고 펼쳐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접혀지고 펼쳐지는 경우 한쌍의 제1구동부(416)가 상기 한쌍의 레일(414)을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 지지휠이 접혀진 상태 구성도이다. 상기도 11에서 상부 지지휠(400)은 관절부(422), 제1관절부(424) 및 제2관절부(426), 제3관절부(434) 및 제4관절부(436)를 통하여 제1지지대(418), 제2지지대(420), 제3지지대(428) 및 제4지지대(430)가 접혀지는 구조이고, 상기와 같이 지지대가 접혀지게 되면 제1구동부(416)는 레일(414)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구동부(416)와 고정부(452) 사이에 체결된 실린더부(450)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측으로 삽입되게 작용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 지지휠이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상기도 12에서 상부 지지휠(400)은 관절부(422), 제1관절부(424) 및 제2관절부(426), 제3관절부(434) 및 제4관절부(436)를 통하여 제1지지대(418), 제2지지대(420), 제3지지대(428) 및 제4지지대(430)가 펼쳐지는 구조이고, 상기와 같이 지지대가 펼쳐지게 되면 제1구동부(416)는 레일(414)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구동부(416)와 고정부(452) 사이에 체결된 실린더부(450)의 피스톤이 실린더에서 인출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장 제거 끌부의 사시도 이다. 상기도 1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장 제거 끌부(513)는 Y 자형 지지대(510) 끝단에 일체로 체결되는 제4로드(532)와 상기 제4로드(532) 끝단에 구성된 제3힌지부(533)와, 상기 Y 자형 지지대(510)에 일체로 체결되는 제3로드(531)와, 상기 제3힌지부(533)와 상기 제3로드(531) 끝단의 제4힌지부(553)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도장 제거용 끌(549)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제1로드(521)와 상기 제3로드(531)는 내부에 스프링(551)과 상기 스프링의 장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로드면(552)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덕션 코일부(511)는 제1로드(521)의 스프링(551)과 로드면(552) 및 제2힌지부(527)에 의하여 인덕션 스트립핑 헤드(529)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장 제거용 끌부(513)는 제3로드(531) 내부의 스프링(551)과 로드면(552), 제3힌지부(533) 및 제4힌지부(553)에 의하여 도장 제거용 끌(549)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도장 제거용 끌(549)의 후면에는 상기 도장 제거용 끌에 진동을 주기 위한 진동 바이브레이터(548)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인덕션 코일부의 사시도 이다. 상기도 14에서 인덕션 코일부(511)는 제1로드(521)의 끝단 제2힌지부(527) 및 제2로드(523)에 의하여 연결되는 인덕션 스트립핑 헤드(529)로 구성되며 상기 인덕션 스트립핑 헤드는 제2로드에 체결되는 인덕션 코일(546)과 상기 인덕션 코일 좌우에 체결되는 회동부(544) 및 상기 회동부 외측에 형성되어 도장부를 절단하는 도장 칼날(545)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544)의 회동으로 상기 인덕션 스트립핑 헤드(529)가 관로 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도장 칼날(545)이 도장부위를 일정범위로 절단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콘트롤러의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의 모터 및 인덕션 코일부의 코일은 관리실에서 원격 제어부(350)를 통하여 무선으로 대차에 설치된 콘트롤러의 송신부(351)과 수신부(353)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 결과를 수신받으며 대차에 설치된 콘트롤러의 CPU(354)를 통하여 대차에 설치된 각 모터, 진동 바이브레이터 및 카메라 등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인덕션 코일의 전류 및 on-off 등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대차, 12 : 프레임,
14 : 바퀴, 19 : 캐비넷,
20 : 회전지지대, 22 : 회전모터,
24 : 구동기어류, 30, 102 : 궤도부,
101 : 차량 본체, 103 : 조향부,
104 : 회전 본체, 106 ; 승강구동부,
107 : 위치조절수단, 131 : 힌지 조인트,
132 : 유압실린더, 142 : 회전축,
144 : 원동풀리, 145 : 종동풀리,
146 : 구동벨트, 161 : 나선축,
162 : 너트, 163 : 링크부,
164 : 나선축 구동부, 171 : 베이스판,
172 : 지지판, 173 : 회전지지구,
400 : 상부 지지휠, 410 : 베이스,
414 : 레일, 452 : 고정부,
500 : 도장제거 수단, 511 : 인덕션 코일부,
513 : 도장 제거용 끌부, 521 : 제1로드,
525 : 제1힌지부, 529 : 인덕션스트립핑 헤드,
549 : 도장 제거용 끌, 551 : 스프링,
742 : 구동기어, 751 : 레일,
752 : 이송축, 753 ; 이송 너트,
800 : 본체 카버, 900 : 관로

Claims (4)

  1. 궤도부와 상기 궤도부의 틸팅 및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궤도 조향부와, 상기 궤도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에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본체를 구비한 차량 본체와 상기 차량 본체가 승강하도록 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차량 본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이 구비되고 상하수도 관로 내를 이동하면서는 관로 내의 불량 도장을 제거하는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은,
    상기 회전 본체의 회전축(142)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인덕션 코일부(511)와;
    상기 인덕션 코일부와 체결되는 도장 제거용 끌부(5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대형 관로 인덕션 코일 클리닝 시스템은,
    상기 차량 본체 상부에 차량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지지휠(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코일부와 체결되는 도장 제거용 끌부(513)는,
    Y 자형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은,
    상기 인덕션 코일부(511)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인덕션 코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집진 하우징(55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KR1020120115607A 2012-10-17 2012-10-17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KR10144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607A KR101440300B1 (ko) 2012-10-17 2012-10-17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607A KR101440300B1 (ko) 2012-10-17 2012-10-17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278A Division KR101197112B1 (ko) 2012-05-31 2012-05-31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007A true KR20130135007A (ko) 2013-12-10
KR101440300B1 KR101440300B1 (ko) 2014-09-17

Family

ID=4998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607A KR101440300B1 (ko) 2012-10-17 2012-10-17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314A (zh) * 2019-02-25 2019-05-10 洛阳耐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检测与修复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271A (ja) * 2000-02-21 2001-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塗装塗膜の除去方法とその除去装置及びその除去システム
KR20080053693A (ko) * 2006-12-11 2008-06-16 대지종건(주) 상수도관 세척장치
KR100770976B1 (ko) * 2007-03-30 2007-10-30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상수관로 갱생용 무인 세관차량
KR100993910B1 (ko) 2008-06-27 2010-11-12 웰텍 주식회사 강관 내면 코팅층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314A (zh) * 2019-02-25 2019-05-10 洛阳耐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检测与修复机器人
CN109737314B (zh) * 2019-02-25 2023-08-29 洛阳耐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检测与修复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300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112B1 (ko)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CN109201661B (zh) 一种管道自动清污清洗设备及管道自动处理方法
KR101165090B1 (ko) 자기력을 이용한 강구조물 표면 이동 장치
KR100770976B1 (ko) 상수관로 갱생용 무인 세관차량
KR101324317B1 (ko) 관체 도장 장치 및 방법
KR101291120B1 (ko) 풍력 발전기의 유지보수 로봇
KR101168171B1 (ko) 파이프 도장 시스템
CN111760729B (zh) 一种管道内壁除锈机器人
JP2018508390A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ための洗浄ロボット
KR101336639B1 (ko) 제철설비의 롤 베어링 및 롤 쵸크 세척장치
CN103909080A (zh) 管道清洁机器人
KR100770988B1 (ko) 상수관로 갱생용 무인 도장차량
CA2728966A1 (en) Apparatus for applying wear coating in conduit elbows
CN107378098B (zh) 一种管道内翻边切除机器人
KR100770979B1 (ko) 상수관로 갱생용 무인 건조차량
WO2010098678A2 (en) Pipe travelling apparatus with alignment control
KR100867754B1 (ko) 파이프 내부표면 처리장치
KR101440300B1 (ko)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CN115055461A (zh) 清洁机器人及其运作方法
US7497224B2 (en) Nozzle apparatus
CN212859483U (zh) 一种管道清理机器人
CN206883372U (zh) 一种管道内壁表面连接焊缝打磨机
CN108908137B (zh) 一种半封闭空间辅助喷砂机器人
KR200364747Y1 (ko) 관로 연마용 자주차
KR20120004525U (ko) 배관 내부 검사 및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