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804A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804A
KR20130134804A KR1020120058590A KR20120058590A KR20130134804A KR 20130134804 A KR20130134804 A KR 20130134804A KR 1020120058590 A KR1020120058590 A KR 1020120058590A KR 20120058590 A KR20120058590 A KR 20120058590A KR 20130134804 A KR20130134804 A KR 2013013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ngine
power supply
image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익
김창용
서영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804A/ko
Publication of KR2013013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와; 영상처리 프로세스와 상이한 기 설정된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신호처리부와; 영상처리장치의 노멀모드 시에 제1신호처리부 및 제2신호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영상처리장치의 대기모드 시에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 중에서 적어도 제1부가 프로세스를 수행 가능하게 제2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대기모드 시에 제2신호처리부에 의한 제1부가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영상처리장치가 대기모드에서 노멀모드로 이행되게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시스템 전원의 소모 절감을 위한 대기모드에서 장치 내 각 컴포넌트의 연계 동작을 개선한 구조의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신호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신호를 처리 가능한 장치라면 영상을 표시 가능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및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바, 전자의 경우의 예시로는 TV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의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 box)가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의 추가 및 확장이 계속적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영상처리장치의 전원 소모 정도는 예전에 비해 커지고 있다. 근래의 환경 보호 및 에너지 절감의 추세에 맞추어, 영상처리장치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서 장치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시스템 전원의 소모를 절감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바, 이를 대기모드(stand-by mode)라고 지칭한다.
다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의 기능의 추가/발전/확장 추세는 현저히 진행되고 있는 것에 비해, 각 국가에서 요구하는 전원소모 기준은 엄격해지고 있으므로, 영상처리장치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도 전원 소모를 보다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적용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와 상이한 기 설정된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노멀모드 시에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 중에서 적어도 제1부가 프로세스를 수행 가능하게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노멀모드로 이행되게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는, 음성인식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접속되며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신호처리부는,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게 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제1엔진과; 상기 제1엔진에 수신되는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1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은 허용되고,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엔진은,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상기 대기모드 시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제2엔진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엔진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2엔진 사이의 전원공급경로 상에 설치된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고, 상기 제1엔진은,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도록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엔진 및 상기 제2엔진에 함께 접속되며, 상기 제2엔진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전원이 공급이 허용됨에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엔진은,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오디오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신호의 기 설정된 파장의 강도를 문턱값과 비교하며, 상기 강도가 상기 문턱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2엔진 사이의 전원공급경로 상에 설치된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와 상이한 기 설정된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신호처리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 중에서 적어도 제1부가 프로세스를 수행 가능하게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노멀모드로 이행되게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단계와; 상기 노멀모드 시에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는, 음성인식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단계는,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로부터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계와;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게 하는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제1엔진과; 상기 제1엔진에 수신되는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1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은 허용되고,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제1엔진이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1엔진이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제2엔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엔진 및 상기 제2엔진에 함께 접속되며,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엔진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제2엔진이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제1엔진에 의해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오디오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신호의 기 설정된 파장의 강도를 문턱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강도가 상기 문턱값 이상이면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는 영상처리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 가능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영상처리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를 출력 가능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한 바,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는 영상처리장치(100)가 TV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나, 구현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영상공급원은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CPU(미도시) 및 그래픽카드(미도시)를 가지고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로컬(local)로 제공하는 컴퓨터본체(미도시),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서버(미도시),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국의 송출장치(미도시) 등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와,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120)와, 제1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한 영상처리 프로세스 이외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 설정된 부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신호처리부(14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생성하는 사용자입력부(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에 대해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에 대한 전원공급부(160)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허용/차단하는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신호처리부(120)에 전달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는 신호수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미도시)로부터 영상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1신호처리부(120)는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제1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제1신호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신호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제2신호처리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기 설정된 프로세스 중에서, 제1신호처리부(120)가 수행하지 않는 부가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신호처리부(120)는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바, 제2신호처리부(140)는 이에 대비하여 다양한 예시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2신호처리부(140)가 수행하는 부가 프로세스는, 예를 들면 외부 음성의 인식, 화상통화, 외부 동작의 인식, 외부 환경의 촬영, 기타 다양한 기능의 예시가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제2신호처리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추가 설치된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다양한 외부환경 감지용 센서(미도시)에 접속됨으로써, 해당 구성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제어신호에 따라서 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화상통화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제1신호처리부(120)가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동안에, 제2신호처리부(140)는 카메라(미도시) 및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가능하게 처리하고, 또한 디스플레이부(130) 및 스피커(미도시)로 출력되게 해당 데이터를 제1신호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신호처리부(140)는 SOC 또는 개별 컴포넌트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신호처리부(140)는 제1신호처리부(120)와는 별도의 보드(미도시)로 구현되거나 또는 제1신호처리부(120)와 함께 하나의 영상처리보드(미도시)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외부로부터의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가변시켜, 신호수신부(110), 제1신호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에 대해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6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한 전원공급부(160)의 전원 공급을 허용/차단함으로써, 해당 구성을 선택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시스템 전원의 턴오프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사용자입력부(150)는 해당 이벤트를 나타내는 인터럽트(intruppt)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한다. 컨트롤러(170)는 해당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전원공급부(160)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대기모드 이행 이벤트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구성들 중에서, 사전에 설정된 일부 구성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여기서, 대기모드는 시스템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 및 시스템 전원이 턴온된 상태 각각에 대해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시스템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 비해서는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 많으며 시스템 전원이 턴온된 노멀(normal) 상태에 비해서는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 적다.
대기모드 시 전원 공급이 차단 또는 허용되는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가장 전원 소모가 높은 구성이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1신호처리부(120)인 바, 컨트롤러(170)는 대기모드 시에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1신호처리부(1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50)에 의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로 이행하고, 제1신호처리부(1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인터럽트 신호의 생성 방법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제2신호처리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 환경의 소리, 예를 들면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기모드인 동안에 음성을 감지하면, 대기모드로부터 노멀모드로 이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만일, 단지 음성의 감지 및 처리를 위하여 대기모드 동안에 제2신호처리부(140)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유지하게 되면, 제2신호처리부(140)의 활성화로 인해 대기모드 시의 전원 소요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대기모드 시에 제1신호처리부(1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2신호처리부(140)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 중에서 기 설정된 제1부가 프로세스를 수행 가능하도록 제2신호처리부(14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170)는 제2신호처리부(140)의 전체 구성이 아닌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전원 공급을 허용한다. 여기서, 제1부가 프로세스는 음성 인식 또는 음성 감지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70)는 제2신호처리부(140)에 의해 상기한 제1부가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에서 노멀모드로 이행하도록 제1신호처리부(1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제2신호처리부(140) 전체 구성에 대해 전원 공급을 허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노멀모드로 이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직접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구성만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구현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 내지는 표현하지 않는 구성을 제외해도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또한, 본 도면에서 각 컴포넌트 사이를 연결하는 선들 중에서, 실선은 신호의 전송 관계를, 점선은 전원 공급 관계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노멀모드 및 대기모드의 구분에 관해, 노멀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컴포넌트에 대한 전원 공급이 허용된 경우이며, 대기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컴포넌트 중에서 일부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모드에서 전원공급부(160)는 제1신호처리부(120), 제2신호처리부(140), 컨트롤러(170)에 대해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311, 312, 313, 314).
제2신호처리부(140)는 서브엔진(143) 및 메인엔진(141)을 포함한다. 서브엔진(143)은 마이크(180)에 접속됨으로써 마이크(18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메인엔진(141)은 서브엔진(143)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인터럽트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신호처리부(140)에 대해 마이크(180)만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카메라(미도시), 다양한 환경 감지를 위한 센서(미도시)가 제2신호처리부(140)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들 카메라(미도시) 또는 다양한 환경 감지를 위한 센서(미도시)는 메인엔진(141)에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마이크(180)와 같이 별도의 서브엔진(미도시)에 접속될 수도 있다.
메인엔진(141) 및 서브엔진(143)은 상호 분리된 칩셋, 하드웨어로 구현된다. 여기서, 메인엔진(141)은 서브엔진(143)에 비해 신호 처리를 위한 보다 복잡한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설계되므로, 메인엔진이 서브엔진(143)에 비해 전원 소모량이 많다. 예를 들면, 서브엔진(143)은 마이크(18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메인엔진(141)에 대해 전달하는 것에 비해, 메인엔진(141)은 전달받은 음성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스위치(191) 및 제2스위치(192)를 포함한다.
제1스위치(191)는 전원공급부(160) 및 제1신호처리부(120) 사이의 전원공급경로(311) 상에 설치되며, 제1신호처리부(1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허용/차단하도록 스위칭한다. 제1스위치(191)의 스위칭은 컨트롤러(170)에 의해 제어된다.
제2스위치(192)는 전원공급부(160) 및 메인엔진(141) 사이의 전원공급경로(314) 상에 설치되며, 메인엔진(14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허용/차단하도록 스위칭한다. 제2스위치(192)의 스위칭은 서브엔진(143)에 의해 제어된다.
제1스위치(191) 및 제2스위치(192)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노멀모드일 때에 전원공급부(16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허용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대기모드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170) 및 서브엔진(143)은 각각 제1스위치(191) 및 제2스위치(192)를 오픈(open)시킴으로써, 제1신호처리부(120) 및 메인엔진(14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반면, 대기모드 동안에, 전원공급부(160)는 컨트롤러(170) 및 서브엔진(14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312, 313).
즉,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일 때에, 제1신호처리부(120) 및 메인엔진(141)은 비활성화되고, 컨트롤러(170) 및 서브엔진(143)은 활성화된 상태이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대기모드 동안에 마이크(180)에 대해서 동작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마이크(180)는 자체 배터리(미도시)와 같은 독자적인 전원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마이크(180)를 통해 음성신호가 서브엔진(143)에 입력된다(411). 서브엔진(143)은 마이크(18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제2스위치(192)를 클로우즈(close) 상태로 스위칭되게 제어한다(412).
제2스위치(192)가 스위칭됨으로써 전원공급부(160)로부터의 전원이 메인엔진(141)에 공급되고(314), 이에 따라서 메인엔진(141)이 활성화된다. 서브엔진(143)은 메인엔진(141)이 활성화되면, 앞서 수신한 음성신호를 메인엔진(141)에 전달한다(413).
메인엔진(141)은 음성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이 인터럽트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송한다(414).
컨트롤러(170)는 메인엔진(141)으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서 제1스위치(191)를 클로우즈 상태로 스위칭되게 제어한다(415).
제1스위치(191)가 스위칭됨으로써 전원공급부(160)로부터의 전원이 제1신호처리부(120)에 공급되고(311), 이에 따라서 제1신호처리부(120)가 활성화된다. 제1신호처리부(120)는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구조 및 과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기모드 동안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음성을 감지하면, 대기모드로부터 노멀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메인엔진(141)을 대기모드 동안에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대기모드 시의 전원 소모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본 도면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행 가능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를 초기상태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80)로부터 서브엔진(143)에 음성신호가 수신되면(S100), 서브엔진(143)은 제2스위치(192)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메인엔진(141)을 활성화시킨다(S110). 서브엔진(143)은 메인엔진(141)에 음성신호를 전달한다(S120).
메인엔진(141)은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한다(S130).
컨트롤러(170)는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면, 제1스위치(191)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제1신호처리부(120)를 활성화시킨다(S140).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기모드에서 노멀모드로 이행한다.
이상 제1실시예에서는 제2신호처리부(140)가 서브엔진(143) 및 메인엔진(141)을 포함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서브엔진(143) 및 메인엔진(141)이 하나의 처리엔진(145)으로 통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현 예시를 제2실시예로 하여,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직접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구성만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구현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 내지는 표현하지 않는 구성을 제외해도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또한, 본 도면에서 각 컴포넌트 사이를 연결하는 선들 중에서, 실선은 신호의 전송 관계를, 점선은 전원 공급 관계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노멀모드 및 대기모드의 구분에 관해, 노멀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컴포넌트에 대한 전원 공급이 허용된 경우이며, 대기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컴포넌트 중에서 일부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를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신호처리부(120), 전원공급부(160), 마이크(180)에 관한 구성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노멀모드에서 전원공급부(160)는 제1신호처리부(120), 제2신호처리부(140), 컨트롤러(170)에 대해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321, 322, 323, 324).
제2신호처리부(140)는 처리엔진(145) 및 분석엔진(147)을 포함한다.
처리엔진(145)은 마이크(180)가 접속됨으로써 마이크(18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 가능하며, 수신된 음성신호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인터럽트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송한다. 처리엔진(145)은 앞선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브엔진(143, 도 2 참조) 및 메인엔진(141, 도 2 참조)을 하나의 칩셋 또는 하드웨어로 통합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처리엔진(145)에 대해 마이크(180)만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카메라(미도시), 다양한 환경 감지를 위한 센서(미도시)가 처리엔진(145)에 접속될 수도 있다.
분석엔진(147)은 마이크(180)가 접속됨으로써 마이크(18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 가능하다. 즉, 마이크(18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처리엔진(145) 및 분석엔진(147)에 각각 입력된다. 회로상으로는 마이크(180) 및 처리엔진(145) 사이의 신호경로 상의 노드(node)로부터 분석엔진(147)에 대한 신호경로가 분기하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분석엔진(147)은 음성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분석엔진(147)은 음성신호에 대한 오디오 스펙트럼(audio apectrum)을 분석하여, 해당 음성신호의 특정 파장의 강도를 기 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한다. 분석엔진(147)은 음성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작으면 0을 나타내는 논리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송한다. 반면, 음성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크면, 즉 마이크(18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의도적인 음성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되면, 분석엔진(147)은 1을 나타내는 논리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송한다.
여기서, 특정 파장은 사람의 음성에 해당하는 파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음성신호의 특정 파장의 강도를 기 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함으로써, 외부의 노이즈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적인 음성이 아닌 경우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분석엔진(147)이 컨트롤러(170)에 출력하는 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예시에 한정할 수 없으며, 음성신호의 분석 결과를 컨트롤러(170)가 판단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신호/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엔진(147)은 음성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어떠한 신호도 전달하지 않고, 음성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면 기 설정된 형태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170)는 분석엔진(147)으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마이크(180)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스위치(193) 및 제2스위치(194)를 포함한다.
제1스위치(193)는 전원공급부(160) 및 제1신호처리부(120) 사이의 전원공급경로(321) 상에 설치되며, 제1신호처리부(1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허용/차단하도록 스위칭한다.
제2스위치(194)는 전원공급부(160) 및 처리엔진(145) 사이의 전원공급경로(324) 상에 설치되며, 처리엔진(145)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허용/차단하도록 스위칭한다.
제1스위치(193) 및 제2스위치(194)의 스위칭은 컨트롤러(170)에 의해 제어된다.
제1스위치(193) 및 제2스위치(194)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노멀모드일 때에 전원공급부(16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대기모드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170)는 제1스위치(193) 및 제2스위치(194)를 오픈시킴으로써, 제1신호처리부(120) 및 처리엔진(145)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반면, 대기모드 동안에, 전원공급부(160)는 컨트롤러(170) 및 분석엔진(147)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322, 323).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일 때에, 제1신호처리부(120) 및 처리엔진(145)은 비활성화되고, 컨트롤러(170) 및 분석엔진(147)은 활성화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마이크(180)를 통해 음성신호가 처리엔진(145) 및 분석엔진(147)에 입력된다(421). 처리엔진(145)은 비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처리엔진(145)은 음성신호를 수신하더라도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 분석엔진(147)은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신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음성신호가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한다(422).
컨트롤러(170)는 분석엔진(147)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2스위치(194)를 클로우즈 상태로 스위칭되게 제어한다(423).
제2스위치(194)가 스위칭됨으로써 전원공급부(160)로부터의 전원이 처리엔진(145)에 공급되고(324), 이에 따라서 처리엔진(145)이 활성화된다.
처리엔진(145)은 마이크(18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이 인터럽트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송한다(424).
컨트롤러(170)는 처리엔진(145)으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서 제1스위치(193)를 클로우즈 상태로 스위칭시킨다(425).
제1스위치(193)가 스위칭됨으로써 전원공급부(160)로부터의 전원이 제1신호처리부(120)에 공급되고(321), 이에 따라서 제1신호처리부(120)가 활성화된다.
이러한 구조 및 과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기모드 동안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음성을 감지하면, 대기모드로부터 노멀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본 도면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행 가능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를 초기상태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80)로부터 분석엔진(147) 및 처리엔진(145)에 음성신호가 수신된다(S200). 분석엔진(147)은 음성신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한다(S210).
컨트롤러(170)는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2스위치(194)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처리엔진(145)을 활성화시킨다(S220). 이에, 처리엔진(145)은 마이크(18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한다.
처리엔진(145)은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한다(S230).
컨트롤러(170)는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면, 제1스위치(193)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제1신호처리부(120)를 활성화시킨다(S240).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기모드에서 노멀모드로 이행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노멀모드 및 대기모드에 관해서만 나타내었으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구현 가능한 절전모드는 앞서 설명한 형태의 대기모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의 대기모드는 제1신호처리부(120)가 비활성화되는 경우이나, 이와 별도로 제1신호처리부(120)가 활성화되고 제2신호처리부(140) 전체 구성이 비활성화되는 절전모드도 가능하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신호처리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내용만을 나타낸 것으로서, 설계 방식에 따라서 제2신호처리부(140)는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신호수신부
120 : 제1신호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2신호처리부
150 : 사용자입력부
160 : 전원공급부
170 : 컨트롤러

Claims (17)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와 상이한 기 설정된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노멀모드 시에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 중에서 적어도 제1부가 프로세스를 수행 가능하게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노멀모드로 이행되게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는, 음성인식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접속되며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신호처리부는,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게 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제1엔진과;
    상기 제1엔진에 수신되는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1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은 허용되고,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엔진은,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상기 대기모드 시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제2엔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엔진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2엔진 사이의 전원공급경로 상에 설치된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고,
    상기 제1엔진은,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도록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엔진 및 상기 제2엔진에 함께 접속되며,
    상기 제2엔진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전원이 공급이 허용됨에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엔진은,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오디오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신호의 기 설정된 파장의 강도를 문턱값과 비교하며, 상기 강도가 상기 문턱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2엔진 사이의 전원공급경로 상에 설치된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1.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와 상이한 기 설정된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신호처리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복수의 부가 프로세스 중에서 적어도 제1부가 프로세스를 수행 가능하게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노멀모드로 이행되게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단계와;
    상기 노멀모드 시에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는, 음성인식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가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단계는,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로부터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계와;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게 하는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제1엔진과;
    상기 제1엔진에 수신되는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대기모드 시에 상기 제1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은 허용되고,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제1엔진이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1엔진이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제2엔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1엔진 및 상기 제2엔진에 함께 접속되며,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엔진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제2엔진이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에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제1엔진에 의해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오디오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신호의 기 설정된 파장의 강도를 문턱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강도가 상기 문턱값 이상이면 상기 제2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KR1020120058590A 2012-05-31 2012-05-31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130134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90A KR20130134804A (ko) 2012-05-31 2012-05-31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90A KR20130134804A (ko) 2012-05-31 2012-05-31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804A true KR20130134804A (ko) 2013-12-10

Family

ID=4998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90A KR20130134804A (ko) 2012-05-31 2012-05-31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8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751A (ko) * 2015-03-18 2016-10-04 방창용 모니터의 전원 관리기능을 내장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10975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음성 인식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751A (ko) * 2015-03-18 2016-10-04 방창용 모니터의 전원 관리기능을 내장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10975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음성 인식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47232A (zh) 一种移动终端向显示设备推送媒体文件的方法及显示设备
JP200914172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US10459738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state of an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90160843A1 (e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3792499B2 (ja) テレビ視聴制御装置およびテレビ視聴システム
KR20130134804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0644040B1 (ko) 무선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절전방법
US201000039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saving and wake-up
EP1521236A2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display device
JP2007312259A (ja) 液晶テレビ
EP2829948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US20100214489A1 (en) Auto-broadcasting tv unit and method
WO2021008102A1 (zh) 显示设备、显示面板的短路检测方法及装置
KR100429165B1 (ko) 모니터와 티브이화면의 전환 시스템
KR20040062277A (ko) 외부 기기 연결시의 디스플레이 모드 최적화 장치 및 방법
JP3131609U (ja) ハイブリッドチューナを備えた電子装置
WO2017188019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9009337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装置における省電力化方法
KR101315414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595072A (zh) 电子设备和遥控电视的方法
JP2007306050A (ja) 液晶表示装置
JP2008092023A (ja) プロジェクタ
JP2007034548A (ja) インターフェイスを備えた機器
JP2008085526A (ja) 映像表示装置
KR20110012923A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워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