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411A -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411A
KR20130134411A KR1020120057890A KR20120057890A KR20130134411A KR 20130134411 A KR20130134411 A KR 20130134411A KR 1020120057890 A KR1020120057890 A KR 1020120057890A KR 20120057890 A KR20120057890 A KR 20120057890A KR 20130134411 A KR20130134411 A KR 20130134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roof rack
roof
lever
carri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439B1 (ko
Inventor
송대섭
이종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43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로스바(200)의 설치시 크로스바(200)가 루프랙(100)으로부터 상승 이동하면서 펼쳐지게 됨으로써, 크로스바(200)와 루프패널(31)과의 간섭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크로스바(200)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크로스바(200)에 의해 차체가 손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ROOF CARRIE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랙에 회전형 크로스바가 내장된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할 목적이나 또는 적재할 물건이 너무 커서 실내 공간으로 적재하지 못하는 경우 루프패널상에 장착된 루프캐리어를 이용해서 물건을 적재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루프캐리어는 통상적으로 RV차량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루프캐리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패널(1)상에서 차체의 좌우측에 위치하고 양단이 차량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루프랙(11)과,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상기 한 쌍의 루프랙(11)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12)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상기 크로스바(12)를 이용해서 물품을 적재하게 된다.
그런데, 도 1과 같이 루프랙(11)에 크로스바(12)가 상시 부설된 종래의 루프캐리어는 주행 중 크로스바(12)로 인한 공기저항이 발생함에 따라 연비악화 및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미적재시에는 루프랙(11)으로부터 크로스바를 분리시켜서 크로스바를 별도로 보관하는 루프캐리어도 있으나, 이런 경우 화물 적재시마다 크로스바를 장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크로스바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루프랙(21)속에 크로스바(22)가 내장된 루프캐리어가 제안되었는 바, 상기 루프캐리어는 크로스바(22)의 일단이 힌지(23)를 매개로 루프랙(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화물 미적재시에는 크로스바(22)가 루프랙(21)의 홈(21a)속으로 삽입되어서 보관되고, 화물 적재시에는 크로스바(22)가 힌지(23)를 매개로 루프랙(21)으로부터 회전되어서 반대편의 루프랙에 고정되는 구조인 것이다.
그런데, 도 3과 같은 종래의 루프캐리어는 크로스바(22)의 회전시 루프패널(24)과의 간섭발생 우려가 있고, 이럴 경우 크로스바(22)의 회전동작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차체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루프패널(24)과의 간섭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루프패널(24)로부터 크로스바(22)를 일정 높이로 높여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외관미 감소 및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이 악화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3395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물 미적재시에는 크로스바가 루프랙속에 위치해서 보관되고, 화물적재를 위해 크로스바가 루프랙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할 때에는 크로스바가 상승 이동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크로스바의 회전동작시 루프패널과의 간섭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크로스바로 인한 차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는, 크로스바의 일단과 루프랙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루프랙에 대해 상기 크로스바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크로스바의 회전방향에 따라 크로스바를 상승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승된 크로스바를 하강 복귀시키도록 작동하는 힌지기구; 및 상기 크로스바의 타단과 상기 루프랙에 구비되어서 상기 루프랙에 대해 상기 크로스바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도록 작동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바는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2개의 외부크로스바; 및 상기 중공부속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외부크로스바를 연결하는 1개의 내부크로스바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크로스바가 상기 내부크로스바를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루프랙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바깥 둘레면에 경사진 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 기둥형상의 루프랙힌지; 및 상기 크로스바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루프랙힌지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깥 둘레면에 상기 가이드홈과 접촉하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크로스바힌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크로스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잠금레버; 및 상기 잠금레버의 하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레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되었을 때에는 상기 크로스바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루프랙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정렬되었을 때에는 상기 크로스바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루프랙에 형성된 레버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은 상기 루프랙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타단은 상기 루프랙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가이드홈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크로스바의 타단을 상하로 관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조작부; 및 상기 축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레버홈으로 삽입되는 타원형상 플레이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홈은 상기 크로스바가 루프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루프랙속에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잠금레버가 삽입되는 제1레버홈; 및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된 후 상기 잠금레버가 삽입되는 제2레버홈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레버홈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는, 크로스바를 루프랙속에 삽입시켜서 보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행 중 크로스바로 인한 공기저항이 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연비향상 및 소음감소를 이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 장치는 크로스바의 설치시 크로스바가 루프랙으로부터 상승 이동하면서 펼쳐지게 됨으로써, 크로스바와 루프패널과의 간섭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크로스바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크로스바에 의해 차체가 손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루프랙에 크로스바가 상시 장착된 종래 루프캐리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화물 미적재시 루프랙에서 크로스바가 탈거된 종래 루프캐리어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루프랙속에 크로스바를 삽입시켜서 보관할 수 있는 종래 루프캐리어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가 루프패널에 설치된 상태의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힌지기구와 잠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힌지기구의 작동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크로스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크로스바의 설치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 장치가 루프패널에 설치 완료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는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패널(31)상에서 차체의 좌우측부에 위치하고 양단이 차량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루프랙(100)과,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루프랙(100)속에 삽입되어서 보관되고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펼쳐져서 상기 한 쌍의 루프랙(100)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200)로 이루어진 구성이고, 상기 크로스바(200)가 한 쌍의 루프랙(10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었을 때 상기 크로스바(200)를 이용해서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는 크로스바(200)의 일단과 루프랙(1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루프랙(100)에 대해 상기 크로스바(2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크로스바(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크로스바(200)를 상승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승된 크로스바(200)를 하강 복귀시키도록 작동하는 힌지기구(300)와, 상기 크로스바(200)의 타단과 상기 루프랙(100)에 구비되어서 상기 루프랙(100)에 대해 상기 크로스바(2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도록 작동하는 잠금기구(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힌지기구(300)와 잠금기구(400)는 좌우측에 위치한 루프캐리어 장치에서 전후방향 위치가 서로 반대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루프캐리어 장치에서는 잠금기구(400)가 전방에 위치하고 힌지기구(300)가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이고, 좌측의 루프캐리어 장치에서는 잠금기구(400)가 후방에 위치하고 힌지기구(300)가 전방에 위치하는 구조인 바, 상기와 같이 힌지기구(300)와 잠금기구(400)의 전후방향 위치를 서로 달리하는 이유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크로스바(200)를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격시켜서 펼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힌지기구(300)는 상기 루프랙(10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바깥 둘레면에 경사진 가이드홈(311)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 기둥형상의 루프랙힌지(310); 및 상기 크로스바(20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루프랙힌지(310)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깥 둘레면에 상기 가이드홈(311)과 접촉하는 가이드돌기(321)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크로스바힌지(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11)의 일단은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홈(311)의 타단은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가이드홈(311)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가 특징이다.
따라서, 크로스바(200)가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루프랙(100)속에 삽입된 상태일 때(즉 크로스바가 도 4와 같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일 때)에 가이드돌기(321)는 도 5와 같이 가이드홈(311)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크로스바(200)가 도 7과 같이 루프랙(100)으로부터 돌출되면서 루프랙(100)의 직각방향으로 펼쳐지는 동작을 하게 되면, 크로스바힌지(320)는 도 8과 같이 루프랙힌지(310)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돌기(321)는 가이드홈(311)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돌기(321)가 가이드홈(311)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 이동하면 최종적으로 크로스바(200)는 도시된 화살표 M1과 같이 루프랙(100)으로부터 상승 이동한 상태가 된다.
즉,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200)가 A1→A2→A3의 위치로 회전할수록 크로스바(200)는 점차 상승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회전하는 경우 점차 하강해서 최종적으로 루프랙(100)속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크로스바(200)를 펼쳐주는 작업을 할 때에 크로스바(200)가 상승 이동하게 되면 크로스바(200)와 루프패널(31)과의 간섭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크로스바(200)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크로스바(200)에 의해 차체가 손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기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바(20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잠금레버(410); 및 상기 잠금레버(410)의 하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레버(4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되었을 때에는 상기 크로스바(20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상기 잠금레버(410)가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정렬되었을 때에는 상기 크로스바(20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루프랙(100)에 형성된 레버홈(4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레버(410)는 상기 크로스바(200)의 타단을 상하로 관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411)와, 상기 축부(41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조작부(412)와, 상기 축부(4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레버홈(420)으로 삽입되는 타원형상 플레이트부(4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홈(420)은 상기 크로스바(200)가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루프랙(100)속에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잠금레버(410)가 삽입되는 제1레버홈(421)과, 상기 크로스바(200)가 상기 루프랙(1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된 후 상기 잠금레버(410)가 삽입되는 제2레버홈(42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레버홈(421,422)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 (B1)의 상태는 잠금레버(410)가 레버홈(420)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플레이트부(413)가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된 상태이며, 이때 플레이트부(413)는 루프랙(100)의 걸림턱(101)과 간섭되는 상황이므로 크로스바(200)는 잠금레버(410)와 레버홈(420)으로 구성된 잠금기구(400)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6에서 (B2)의 상태는 (B1)의 상태에서 조작부(412)를 돌려서 플레이트부(413)가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인 바, 이때부터 플레이트부(413)는 루프랙(100)의 걸림턱(101)과 간섭되는 상황이 아니므로 크로스바(200)는 루프랙(100)으로부터 돌출되게 힌지기구(300)를 중심으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200)는 내부에 중공부(211)를 구비한 2개의 외부크로스바(210)와, 상기 중공부(211)속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외부크로스바(210)를 연결하는 1개의 내부크로스바(2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외부크로스바(210)가 상기 내부크로스바(200)를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20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성인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크로스바(200)는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루프랙(100)속에 위치하도록 접혀져 있는 상태로서, 이때에는 크로스바(200)를 이용하여 물품을 적재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한, 잠금기구(400)는 도 6의 (B1)과 같이 플레이트부(413)가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게끔 정렬된 상태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잠금레버(410)의 조작부(412)를 돌려서 도 6의 (B2)상태와 같이 플레이트부(413)를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그러면, 플레이트부(413)는 루프랙(100)의 걸림턱(101)과 간섭되는 상황이 아니므로, 이때부터 크로스바(200)는 루프랙(100)으로부터 돌출되게 힌지기구(300)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크로스바(200)를 회전시켜서 루프랙(100)으로부터 돌출시키게 되는 바, 이때 크로스바(200)는 힌지기구(300)를 구성하는 가이드홈(311)과 가이드돌기(321)에 의해 루프랙(100)의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크로스바(200)를 펼쳐주는 작업을 할 때에 크로스바(200)가 상승 이동하게 되면 크로스바(200)와 루프패널(31)과의 간섭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크로스바(200)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크로스바(200)에 의해 차체가 손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와 같이 크로스바(200)를 루프랙(100)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펼쳐준 다음, 크로스바(200)를 구성하는 외부크로스바(210)를 당겨서 크로스바(200)의 길이를 조절해주고, 동시에 잠금기구(400)의 플레이트부(413)를 도 11과 같이 비어있는 반대편 루프랙(100)의 레버홈(420)으로 삽입시켜주게 된다.
그러면, 크로스바(200)는 펼져진 상태에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차량의 좌우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가 되며, 이 상태에서 잠금기구(400)를 다시 조작해서 플레이트부(413)가 도 6의 (B1)과 같이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게끔 정렬시켜 주게 되는 바, 이 결과 크로스바(2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대편의 크로스바(200)도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를 완료하면 루프캐리어 장치는 도 14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며, 설치 완료된 크로스바(200)를 이용해서 필요한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 장치는 물품을 적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크로스바(200)를 루프랙(100)속에 삽입시켜서 보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행 중 크로스바(200)로 인한 공기저항이 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연비향상 및 소음감소를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루프랙(100)속에 크로스바(200)를 보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크로스바(200)의 보관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고, 특히 크로스바(200)의 분실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크로스바(200)를 루프랙(100)으로부터 펼쳐서 설치할 때에 크로스바(200)가 루프랙(100)으로부터 상승 이동하면서 펼쳐지게 되는 바, 이로 인해 크로스바(200)와 루프패널(31)과의 간섭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크로스바(200)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크로스바(200)에 의해 차체가 손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루프랙 200 - 크로스바
210 - 외부크로스바 220 - 내부크로스바
300 - 힌지기구 310 - 루프랙힌지
320 - 크로스바힌지 400 - 잠금기구
410 - 잠금레버 420 - 레버홈

Claims (7)

  1. 크로스바(200)의 일단과 루프랙(1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루프랙(100)에 대해 상기 크로스바(2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크로스바(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크로스바(200)를 상승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승된 크로스바(200)를 하강 복귀시키도록 작동하는 힌지기구(300); 및
    상기 크로스바(200)의 타단과 상기 루프랙(100)에 구비되어서 상기 루프랙(100)에 대해 상기 크로스바(2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도록 작동하는 잠금기구(400);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200)는 내부에 중공부(211)를 구비한 2개의 외부크로스바(210); 및
    상기 중공부(211)속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외부크로스바(210)를 연결하는 1개의 내부크로스바(220)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크로스바(210)가 상기 내부크로스바(220)를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20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300)는 상기 루프랙(10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바깥 둘레면에 경사진 가이드홈(311)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 기둥형상의 루프랙힌지(310); 및
    상기 크로스바(20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루프랙힌지(310)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깥 둘레면에 상기 가이드홈(311)과 접촉하는 가이드돌기(321)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크로스바힌지(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400)는 상기 크로스바(20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잠금레버(410); 및
    상기 잠금레버(410)의 하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레버(4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되었을 때에는 상기 크로스바(20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상기 잠금레버(410)가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정렬되었을 때에는 상기 크로스바(20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루프랙(100)에 형성된 레버홈(4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11)의 일단은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홈(311)의 타단은 상기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가이드홈(311)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410)는 상기 크로스바(200)의 타단을 상하로 관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411);
    상기 축부(41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조작부(412); 및
    상기 축부(4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레버홈(420)으로 삽입되는 타원형상 플레이트부(4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홈(420)은 상기 크로스바(200)가 루프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루프랙(100)속에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잠금레버(410)가 삽입되는 제1레버홈(421); 및
    상기 크로스바(200)가 상기 루프랙(1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된 후 상기 잠금레버(410)가 삽입되는 제2레버홈(42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레버홈(421,422)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KR1020120057890A 2012-05-31 2012-05-31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KR10136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90A KR101360439B1 (ko) 2012-05-31 2012-05-31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90A KR101360439B1 (ko) 2012-05-31 2012-05-31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411A true KR20130134411A (ko) 2013-12-10
KR101360439B1 KR101360439B1 (ko) 2014-02-10

Family

ID=4998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890A KR101360439B1 (ko) 2012-05-31 2012-05-31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593A (zh) * 2017-11-20 2018-05-01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行李架组件、行李架以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1535A1 (de) * 1993-06-29 1995-01-12 Happich Gmbh Gebr Dachlastenträger für Fahrzeuge
KR100457918B1 (ko) * 2002-11-05 2004-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593A (zh) * 2017-11-20 2018-05-01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行李架组件、行李架以及汽车
CN107972593B (zh) * 2017-11-20 2023-12-29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行李架组件、行李架以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439B1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7914B2 (en) Height adjustable load compartment floor system
KR101284308B1 (ko) 차량용 수납장치
US9428117B2 (en) Under cover apparatus of rear bumper multi-carrier
KR101707393B1 (ko) 차량용 수납장치
US20160096483A1 (en) Bicycle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CN106541996B (zh) 集成了动态承载地板和摇臂总成的货物管理系统
KR102431221B1 (ko) 차량의 캐리어 장치
KR100706392B1 (ko) 해치백 스타일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구조
CN107264419A (zh) 用于机动车辆的可展开的、可扩展的存储总成
KR101360439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CN105539603A (zh) 装配有动态底板部分的机动车辆
EP2460686B1 (en) Vehicle table and vehicle fridge housing integrating the table, in particular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s
JP6434823B2 (ja) 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のキャップ取付構造及び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
KR20110020669A (ko) 러기지 박스
KR20210012535A (ko) 차량 적재함용 접철가능한 덮개구조체
KR20120040435A (ko) 차량용 핸드 카트
KR101846132B1 (ko) 다목적 트레일러
JP2009096270A (ja) キャンバス格納構造
KR101821267B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가이드장치
KR102389801B1 (ko) 차량 적재함의 덮개장치
JP7107861B2 (ja) 箱型荷台の荷室構造
JP2005186848A (ja) デッキフロア構造
JP2019051757A (ja) 車両の荷台構造
KR102307649B1 (ko)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
JP4389352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