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972A -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972A
KR20130129972A KR1020137014624A KR20137014624A KR20130129972A KR 20130129972 A KR20130129972 A KR 20130129972A KR 1020137014624 A KR1020137014624 A KR 1020137014624A KR 20137014624 A KR20137014624 A KR 20137014624A KR 20130129972 A KR20130129972 A KR 20130129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main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088B1 (ko
Inventor
쥰 히라노
고우이치 마스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switching information during the broadcast or the distribution
    • H04H20/103Transmitter-sid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8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broadcast or distribution via plur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38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where lower stations, e.g. receivers, interact with th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04H20/423Transmitt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9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4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from field pickup units [F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04H60/05Mobile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 H04H60/12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wherein another information is substituted for the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그 기술에 의하면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해야 할 복수의 콘텐츠에 관하여, 2개 이상의 콘텐츠가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나머지의 콘텐츠가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된다. 또한,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1개가 실제로 방송되는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나머지의 주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2개의 주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주 콘텐츠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고, 나머지의 대기용 콘텐츠를 주 콘텐츠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한다. 또한,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교체, 전환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의 교체에 의해, 콘텐츠의 전환을 행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복수의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중계지(중계 현장) 등으로부터 방송 중계를 행하는 경우, 중계 현장에서 촬영/집음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통신 위성을 이용한 SNG(Satellite News Gathering), 또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릴레이 전송이 가능한 FPU(Field Pickup Unit)를 이용하여 무선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해, 방송용 영상 소재/음성 소재를 방송국에 전송하고 있다. 통신 위성 또는 FPU를 이용한 중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중계차라고 불리는 이동 중계국이 중계 현장에 배치되고, 이동 중계국과 방송국측의 안테나 또는 기지국 사이의 전송은 방송용 영상 소재/음성 소재만이 전송되는 전용 회선이다.
종래에는, 예컨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위성 또는 FPU를 이용한 중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스위처 설비를 구비한 중계차(3200)를 중계 현장에 배치하고, 복수의 카메라(3100)로 촬영된 영상을 중계차(3200)로부터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방송국에 영상의 전송을 행하고 있다.
또한, 예컨대,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영상 출력 장치(비디오 소스)로부터 표시 장치(비디오 디스플레이)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메인 링크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보조 채널을 통한 트레이닝 세션을 마련하고, 메인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앞서, 보조 채널을 통한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하기의 특허 문헌 2에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통신 회선을 통하여 화상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가, 선택 스케줄 정보에 따라,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를 지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350266호 공보(요약서)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8-228340호 공보(단락 [0032]~[0041], 도 6)
최근, 휴대 전화 네트워크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이러한 일반적인 네트워크(공중 회선)를 활용하는 것에 의해, 방송용 영상 소재/음성 소재를 전송하는 간단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도 있다. 가장 용이한 방법은,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는 전용 회선 대신에 일반적인 공중 회선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전송을 SNG나 FPU 대신에 휴대 전화 네트워크(공중 회선)를 이용하도록 구성 가능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의 무선 전송을 휴대 전화 네트워크(기지국(4300) 및 네트워크(4400))로 대체한 것에 지나지 않고, 중계국(4200)은 스위처 설비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스위처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도 중계 현장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카메라(4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복수의 콘텐츠, 혹은, 모든 콘텐츠)을 방송국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 및, 중계 현장에 배치되는 중계국의 장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방송국측(콘텐츠 수신측)에서 선택(지정)한 콘텐츠를 즉시 방송에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없다.
또한, 예컨대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5100)의 각각에 대응한 무선 전송 장치(5200)로부터 무선 전송을 행하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기지국(5300) 및 네트워크(5400))를 통하여, 복수의 카메라(5100)의 각각의 영상이 방송국에 송신되도록 구성 가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중계 현장에 스위처 설비를 구비하고, 또한, 이 스위처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를 중계 현장에 배치할 필요는 없어진다. 그렇지만, 이 시스템 구성에서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카메라(5100)의 수에 대응하는 영상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되는 영상의 수(카메라(5100)의 수)에 대응하는 전송 대역을 처리할 수 있을 만큼의 회선수(도면에서는, 1대의 카메라(5100)에 대하여, 1개의 전송 회선이 대응하고 있는 예이고, 1대의 카메라(5100)에 대하여 필요하게 되는 전송 회선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가 필요하게 되고, 필요 최소한의 QoS(Quality of Service : 서비스 품질)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할 수 없다.
또, 예컨대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5100)를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무선 전송 장치(5200)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도,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카메라(5100)의 수에 대응하는 영상이 전송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고,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할 수 없다. 또한, 무선 전송 장치(5200)의 수에 대응하는 영상이 전송되도록 한 경우에는,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모든 영상(모든 콘텐츠)을 방송국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실현할 수 없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있어서, 보조 채널은, 메인 링크에 있어서 안정한 전송을 도모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콘텐츠는 메인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복수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메인 링크에 있어서도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안정한 링크 설정(안정한 송신 속도 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즉,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가 선택 스케줄 정보에 따라,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한 타이밍에 필요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예컨대 복수의 카메라에 대하여 영상을 요구한 경우에는, 요구를 받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영상이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1) 콘텐츠 송신측으로부터 복수의 콘텐츠가 공급되는 경우, 이들 복수의 콘텐츠를 콘텐츠 수신측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 (2)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 (3) 콘텐츠 송신측의 장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또한, 콘텐츠 수신측에서 선택한 콘텐츠를 낮은 타임래그로 방송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콘텐츠가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주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콘텐츠가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설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주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상기 고품질의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대기용 콘텐츠 전송부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되고,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소정의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설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를 주 콘텐츠 및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주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상기 고품질의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대기용 콘텐츠 전송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콘텐츠가 상기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주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콘텐츠가 상기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되고,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을 갖고 있고, (1) 콘텐츠 송신측으로부터 복수의 콘텐츠가 공급되는 경우, 이들 복수의 콘텐츠를 콘텐츠 수신측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 (2)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 (3) 콘텐츠 송신측의 장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또한, 콘텐츠 수신측에서 선택한 콘텐츠를 낮은 타임래그로 방송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차트.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의 제 1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의 제 2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의 제 3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의 제 4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콘텐츠 선택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콘텐츠 선택부의 콘텐츠 선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콘텐츠 선택부의 설정 갱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콘텐츠 선택부의 설정 정보의 갱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가 갖는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의 상태 통지 정보의 생성ㆍ통지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가 갖는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의 상태 통지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의 제 5 예(복수의 전환용 콘텐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의 제 6 예(전환용 콘텐츠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는, 장치 구성을 기능 블록에 의해 나타내고 있지만,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에 탑재되어 있는 CPU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단계에 의해 나타내고 있지만, 하드웨어에 의한 처리 또는 CPU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플로차트의 각 단계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 처리의 실행 순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복수의 카메라(촬영 장치)(100), 데이터 전송 장치(200), 기지국(300), 네트워크(400), 데이터 수신 장치(5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카메라(100)는, 방송 소재가 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복수의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중계 현장에 있어서의 영상은, 유선 매체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공급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일례로서,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이 행해지고, 그 영상이 방송 소재로서 방송국에 송신되는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보다 일반화한 경우, 카메라(100)는, 영상 및/또는 음성 등의 방송 소재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 취득 장치이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카메라(100)는, 콘텐츠 취득 장치로 바꿔 읽는 것이 가능하고,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콘텐츠 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된 콘텐츠로 바꿔 읽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중계 현장에 배치되어 있고, 기지국(300)과의 사이의 무선 매체 및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공급된 영상을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상태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영상의 송신을 행할 때에, 수신한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공급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가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영상의 송신을 행할 때에, 전송 대역의 관리 및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기지국(300) 및 네트워크(400)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을 실현하는 통신 회선을 구성하고 있다. 기지국(300), 네트워크(400)는, 예컨대, 기존의 통신 사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용 인프라스트럭처이고, 또한, 다른 다양한 사용자도 이용 가능한 공중 회선 네트워크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방송국에 배치되어 있고, 기지국(300)과의 사이의 무선 매체 및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영상을 수신하고, 재생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복수의 카메라(100)의 각각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처리에 따른 설정을, 상태 통지 정보로서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송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복수의 카메라(100)의 각각에 의해 촬영된 영상(콘텐츠)이 전송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되는 콘텐츠는, 방송용 콘텐츠, 전환용 콘텐츠, 대기용 콘텐츠의 3종류로 나눠진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N대의 카메라(100)가 존재하고 있고,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N개의 콘텐츠가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방송용 콘텐츠는, 실제의 방송에서 사용 가능한 콘텐츠 품질(예컨대, 고화질의 영상)을 유지한 채, 고품질(QoS가 확보되어 있거나, 우선적으로 전송되거나, 광대역)의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되는 콘텐츠이다. 방송용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1개만 설정되고, 이 방송용 콘텐츠의 전송에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방송용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회선이 1회선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 한다(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방송용 콘텐츠에 대하여 필요하게 되는 전송 대역이, 상황에 따라 다른 경우는 상당하는 수의 회선이 필요하게 된다). 방송용 콘텐츠는, 실제의 방송에서 이용되는 메인 콘텐츠이다.
또한, 전환용 콘텐츠도, 방송용 콘텐츠와 같이, 실제의 방송에서 사용 가능한 콘텐츠 품질(예컨대, 고화질의 영상)을 유지한 채, 고품질(QoS가 확보되어 있거나, 우선적으로 전송되거나, 광대역)의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되는 콘텐츠이다. 전환용 콘텐츠는 m개 설정 가능하고(단, m<N-1), 이 전환용 콘텐츠의 전송에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방송용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회선이 m회선 필요하게 된다. 또, 전환용 콘텐츠는, 실제의 방송에서 이용되는 메인 콘텐츠는 아니지만 방송용 콘텐츠와 같은 품질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방송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의 중간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다음의 신(scene)으로서 이용되는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기용 콘텐츠는, 어떠한 콘텐츠인지를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콘텐츠 품질이면 되고(즉, 방송 소재로서 사용 가능한 고화질의 영상일 필요는 없다), 또한, 방송용으로서 이용 가능한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될 필요도 없는 콘텐츠이다. 이와 같이, 대기용 콘텐츠의 전송에는, 저품질 회선(예컨대, 프록시 데이터 전송용 회선, 중간 정도 이하의 QoS, 또는 우선도가 확보된 회선 등, 반드시 낮은 품질을 실현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통상 회선으로 실현 가능, 낮은 비용, 적은 트래픽과 같은 이점이 있고, 고품질의 회선에 상대하여 전송 품질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지 않은 나머지의 콘텐츠는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기 때문에, 대기용 콘텐츠는 (N-m-1)개 존재한다.
또, 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는 양쪽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동등한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전송될 필요가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를 합쳐서, 주 콘텐츠라고 부르기로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의 선별을 행할 필요는 없고, 주 콘텐츠 및 대기용 콘텐츠의 어느 한쪽으로 선별하여,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전송을 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고품질의 회선을 주 콘텐츠용 회선이라고 부르고, 대기용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저품질의 회선을 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이라고 부른다. 또, 실제의 물리적인 전송 회선과의 대응은, 각 물리적인 전송 회선으로 확보 가능한 대역 등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고, 주 콘텐츠용 회선, 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은 논리적인 회선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논리적인 회선은 다양한 통신 방법에 따라, 세션, 커넥션, 베어러, 플로 등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 콘텐츠의 전송에 필요한 주 콘텐츠 회선을 (1+m)회선 준비하면 되고, 나머지의 콘텐츠((N-m-1)회선에 대응하는 대기용 콘텐츠)의 전송은 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을 통하여 전송하면 된다(예컨대, 도 13을 참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콘텐츠의 수를 5로 하고(예컨대, 카메라가 5대 존재), 전환용 콘텐츠의 수를 1로 설정한 경우(즉, 주 콘텐츠의 수를 2로 설정한 경우)에는, 주 콘텐츠의 전송에 필요한 주 콘텐츠 회선의 수는 2이고, 나머지의 콘텐츠(3회선에 대응하는 대기용 콘텐츠)의 전송은 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을 통하여 행하면 된다(예컨대, 도 3a~도 3d를 참조).
또, 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에는, 주 콘텐츠 회선보다 저품질의 회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콘텐츠 품질이면 되므로, 예컨대, 화면 분할 표시를 이용하여, (N-m-1)개의 대기용 콘텐츠를 1화면에 합치도록 인코딩하는 것에 의해 1개의 대기용 콘텐츠에 집약하여 버리더라도 좋다. 또한, 대기용 콘텐츠에 따른 영상을 일정 시간마다 캡처하고, 정지 화면으로서 전송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대기용 콘텐츠에 관해서는, 수신측에서 확인 가능하다면 임의의 가공 방법 및 전송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 콘텐츠(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가 설정되어,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이 행해지지만,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대하여, 설정 변경을 지시하는 상태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2가지 존재한다.
제 1 방법(전환용 콘텐츠의 선택)은, 전환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를 교체하는 변경 방법이다. 이 변경 방법은,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 대기용 콘텐츠 중에서, 다음의 신으로서 사용하는 카메라(100)로부터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대기용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됨과 아울러, 그때까지 전환용 콘텐츠였던 콘텐츠 중 1개가 대기용 콘텐츠로 설정된다. 즉, 이 방법에 의하면, 선택된 대기용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 승격되고, 그 대신에, 전환용 콘텐츠 중 1개가 대기용 콘텐츠로 격하된다. 또, 전환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를 교체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상태 통지 정보를, 주 콘텐츠 선택 정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제 2 방법(방송용 콘텐츠의 선택)은,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를 교체하는 변경 방법이다. 이 변경 방법은,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상태를 교체하는 것이고, 예컨대, 그때까지 방송용 콘텐츠였던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던 플래그(방송용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본 명세서에서는 선택 상태 플래그라고 부른다)가, 전환용 콘텐츠 중 1개에 다시 부가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전환용 콘텐츠 중 1개가 방송용 콘텐츠로 승격되고, 그 대신에, 그때까지의 방송용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 격하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에 관해서는 모두 같은 전송 방법(주 콘텐츠용 회선을 통한 전송)으로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상태가 논리적으로 교체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콘텐츠의 전송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하, 도 2 및 도 3a~도 3d를 참조하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차트이다. 또한, 도 3a~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우선, 데이터 전송 장치(200)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의 초기 설정이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이후 행해지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의 데이터 전송의 준비가 갖춰진다(단계 S1000). 또, 이 초기 설정에서는, 예컨대, 초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상태 통지 정보가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통지된다.
단계 S1000의 초기 설정에 있어서, 예컨대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 A의 영상 전송이 준비된 것으로 한다. 즉,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5대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상기 N=5)을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고, 또한, 전환용 콘텐츠가 1개만(상기 m=1) 설정되어 있고, 초기 상태로서, 방송용 콘텐츠로서 콘텐츠 A가 선택되고, 전환용 콘텐츠로서 콘텐츠 B가 선택되고, 대기용 콘텐츠로서 나머지의 3개의 콘텐츠 C~E가 선택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단계 S1000의 초기 설정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200) 및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콘텐츠의 전송 상태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 A인 것을 상호 유지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콘텐츠 A, B를 주 콘텐츠(콘텐츠 A를 방송용 콘텐츠, 콘텐츠 B를 전환용 콘텐츠), 나머지의 콘텐츠 C~E를 대기용 콘텐츠로서,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한다(단계 S1010).
여기서, 단계 S1010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데이터 수신 장치(500)가 전환용 콘텐츠(콘텐츠 B)와 대기용 콘텐츠(콘텐츠 D)를 교체한 것으로 한다(단계 S1020). 전환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의 교체는, 예컨대, 전환용 콘텐츠로 승격시키는 대기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선택된 대기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가 즉시 교체되게 되어 있더라도 좋다. 즉, 예컨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가, 대기용 콘텐츠(콘텐츠 D)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 콘텐츠 D가 전환용 콘텐츠로 설정됨과 동시에, 그때까지 전환용 콘텐츠였던 콘텐츠 B가 대기용 콘텐츠로 설정된다.
또한, 대기용 콘텐츠를 선택할 때에, 어느 전환용 콘텐츠와 교체를 행할지가 지정되더라도 좋다. 이것은, 예컨대, 전환용 콘텐츠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특별히 어느 전환용 콘텐츠와 교체할지의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예컨대, 그때까지의 콘텐츠 설정의 이력(콘텐츠 교체의 이력)이나 우선도 등의 소정의 조건에 근거하여, 교체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교체를 행한 1회 전에 있어서 방송용 콘텐츠로서 선택되어 있던 콘텐츠는, 전환용 콘텐츠로서 남도록 교체가 행해지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각 콘텐츠에 교체의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고, 이 우선도에 근거하여, 교체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가 결정되더라도 좋다. 또, 교체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의 결정은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서 행해지더라도 좋고, 또한, 교체 대상을 지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통지를 행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가, 교체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의 결정을 행하더라도 좋다.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전환용 콘텐츠(콘텐츠 B)와 대기용 콘텐츠(콘텐츠 D)가 교체되도록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통지 정보(주 콘텐츠 선택 정보)를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통지한다(단계 S1030).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통지된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 내에 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 그 결과, 설정 정보의 변경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도 변경된다(단계 S1040).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200) 및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영상 전송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 B인 것을 상호 유지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콘텐츠 A, D를 주 콘텐츠(콘텐츠 A를 방송용 콘텐츠, 콘텐츠 D를 전환용 콘텐츠), 나머지의 콘텐츠 B, C, E를 대기용 콘텐츠로서,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게 된다(단계 S1050).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데이터 수신 장치(500)가, 방송용 콘텐츠(콘텐츠 A)와 전환용 콘텐츠(콘텐츠 B)를 교체한 것으로 한다(단계 S1060).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교체는, 예컨대, 방송용 콘텐츠로 설정하고 싶은 전환용 콘텐츠가 선택되는 것에 의해, 선택된 전환용 콘텐츠와 현재의 방송용 콘텐츠의 방송용 콘텐츠 선택 상태가 즉시 교체되게 되어 있더라도 좋다. 즉, 여기서는, 예컨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가, 전환용 콘텐츠(콘텐츠 D)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 콘텐츠 D가 방송용 콘텐츠로 설정됨과 동시에, 그때까지 방송용 콘텐츠였던 콘텐츠 A가 전환용 콘텐츠로 설정된다. 또, 대기용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와 같이, 전환용 콘텐츠 중 어느 콘텐츠를 방송용 콘텐츠로 설정할지가 명시적으로 지정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한, 전환용 콘텐츠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전환용 콘텐츠 중에서 방송용 콘텐츠로 승격시키는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더라도 좋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방송용 콘텐츠(콘텐츠 A)와 전환용 콘텐츠(콘텐츠 D)가 교체되도록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통지 정보(선택 상태 통지 정보)를,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통지한다(단계 S1070).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통지된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단계 S1080).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200) 및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콘텐츠의 전송 상태가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 C인 것을 상호 유지한다. 또, 단계 S1080에 있어서의 설정 정보의 갱신에서는, 단계 S1080에서 방송용 콘텐츠로서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가 콘텐츠 A에서 콘텐츠 D로 전환된 것만이 변경된다. 따라서, 콘텐츠 A, D를 주 콘텐츠(콘텐츠 A를 방송용 콘텐츠, 콘텐츠 D를 전환용 콘텐츠), 나머지의 콘텐츠 B, C, E를 대기용 콘텐츠로서 송신한다고 하는 영상 전송 상태는 변경되지 않는다(단계 S1090). 즉, 단계 S1050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와, 단계 S1080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데이터 수신 장치(500)가, 전환용 콘텐츠(콘텐츠 A)와 대기용 콘텐츠(콘텐츠 E)를 교체한 것으로 한다(단계 S1100).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전환용 콘텐츠(콘텐츠 A)와 대기용 콘텐츠(콘텐츠 E)가 교체되도록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통지 정보(주 콘텐츠 선택 정보)를,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통지한다(단계 S1110).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통지된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 내에 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 그 결과, 설정 정보의 변경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도 변경된다(단계 S1120).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200) 및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영상 전송 상태가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 D인 것을 상호 유지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콘텐츠 D, E를 주 콘텐츠(콘텐츠 D를 방송용 콘텐츠, 콘텐츠 E를 전환용 콘텐츠), 나머지의 콘텐츠 A, B, C를 대기용 콘텐츠로서,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게 된다(단계 S1130).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060에 있어서의 선택은 단지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를 교체할 뿐이고, 단계 S1070에 있어서 상태 통지 정보(선택 상태 통지 정보)가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통지되었다고 하더라도,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의 영상 전송 상태는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대하여, 단계 S1070에 있어서의 상태 통지 정보의 통지를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주 콘텐츠/대기용 콘텐츠만을 관리하면 되고, 주 콘텐츠 중 어느 것이 방송용 콘텐츠이고, 어느 것이 전환용 콘텐츠인지에 대한 관리를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보다 안정하고 확실한 영상 전송의 전환을 행하기 위해, 예컨대 단계 S1050에 있어서의 상태 통지 정보의 통지가 행해지게 하는 등, 데이터 전송 장치(200)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사이에서, 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의 식별이 명확하게 동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복수의 콘텐츠 I/F(콘텐츠 인터페이스)(201), 콘텐츠 선택부(202),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 주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4),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6), 데이터 송신 I/F(데이터 송신 인터페이스)(207),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208)를 갖고 있다.
콘텐츠 I/F(201)는, 카메라(1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을 데이터 전송 장치(200) 내에 보내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 4에서는, 복수의 콘텐츠 I/F(201)의 각각이 복수의 카메라(100)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고, 카메라(100)로부터 공급된 콘텐츠는, 콘텐츠 I/F(201)를 통하여 콘텐츠 선택부(202)에 공급된다.
또한, 콘텐츠 선택부(202)는, 콘텐츠 I/F(201)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영상을, 주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로 나누어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콘텐츠 선택부(202)는, 예컨대,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208)를 통하여 취득한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작성된 설정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이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어떤 카메라(100)로부터 공급된 콘텐츠가 주 콘텐츠인지, 혹은 대기용 콘텐츠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콘텐츠 선택부(202)는, 주 콘텐츠로 판단된 콘텐츠에 관해서는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에 출력하고, 대기용 콘텐츠로 판단된 콘텐츠에 관해서는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에 출력한다. 또한, 콘텐츠 선택부(202)는, 저장하고 있는 설정 정보를,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208)를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콘텐츠 선택부(20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또한,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는, 콘텐츠 선택부(202)로부터 공급된 주 콘텐츠를 전송용 주 콘텐츠 데이터로 가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는, 주 콘텐츠의 인코딩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콘텐츠는 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이고, 전환용 콘텐츠의 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여기서는, 전환용 콘텐츠가 1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고, 도 4에는, 방송용 콘텐츠에 근거한 주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와, 전환용 콘텐츠에 근거한 주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2개의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가 도시되어 있다.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에서 생성된 주 콘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 I/F(207)에 공급된다. 또, 주 콘텐츠(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의 양쪽 모두)는, 방송 소재로서 사용 가능한 콘텐츠 품질(고화질의 영상)이 유지된 상태로, 또한, 방송용으로서 이용 가능하게 되도록 주 콘텐츠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된다.
또한, 주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4)는, 주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설정을 관리ㆍ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주 콘텐츠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콘텐츠 회선을 통하여 안정한 전송이 행해질 필요가 있고, 주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4)는, 주 콘텐츠 회선을 통하여 전송을 행하기 위한 QoS 제어에 관한 정보 등을 데이터 송신 I/F(207)에 공급한다. 또, 주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4)는, 모든 주 콘텐츠에 관하여, 주 콘텐츠 회선을 통한 전송이 행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는, 콘텐츠 선택부(202)로부터 공급된 대기용 콘텐츠를 전송용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로 가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는, 대기용 콘텐츠의 인코딩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에서 생성된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 I/F(207)에 공급된다. 또, 대기용 콘텐츠는, 어떠한 콘텐츠인지를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콘텐츠 품질이면 되고(즉, 방송 소재로서 사용 가능한 고화질의 영상일 필요는 없다), 또한, 방송용으로서 이용 가능하게 되도록 주 콘텐츠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전송될 필요도 없다.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는, 예컨대 대기용 콘텐츠를 압축 가공하더라도 좋고, 또한, 예컨대, 복수의 대기용 콘텐츠가 1개의 화면 내에 합쳐져 표시되도록 가공을 행하더라도 좋다. 또, 도 4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생각할 수 있지만,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를 1개의 블록으로서 기재하고 있다.
또한,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6)는,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설정을 관리ㆍ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주 콘텐츠 회선을 통하여 전송될 필요는 없고,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6)는, 이와 같은 전송이 행해지기 위한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의 QoS 제어에 관한 정보 등을 데이터 송신 I/F(207)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송신 I/F(207)는,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로부터 공급되는 주 콘텐츠 데이터, 및,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로부터 공급되는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를, 물리 I/F(210)를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 송신 I/F(207)는, 주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는 주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4)로부터 공급되는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을 행하고,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는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회선 설정 제어부(206)로부터 공급되는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을 행한다.
또한,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208)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물리 I/F(210)를 통하여 수신한 상태 통지 정보를, 콘텐츠 선택부(202)에 공급하는 기능, 및, 콘텐츠 선택부(202)에 유지하고 있는 설정 정보를, 상태 확인 통지 정보로서 물리 I/F(210)를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물리 I/F(210)는, 데이터 송신 I/F(207)로부터 공급된 주 콘텐츠 데이터 및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는 기능,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상태 통지 정보를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208)에 공급하는 기능, 및,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208)로부터 공급된 상태 확인 통지 정보를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물리 I/F(210)는, 예컨대, 복수의 물리 회선을 합쳐서, 대역의 합성, 분배, 제어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콘텐츠 선택부(20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콘텐츠 선택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콘텐츠 선택부(202)는,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를 갖는 복수 콘텐츠 관리 정보 유지부(2021), 정보 추출부(2024), 정보 출력부(2025)를 갖고 있다.
복수 콘텐츠 관리 정보 유지부(2021)는, 콘텐츠 I/F(201)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가 주 콘텐츠인지, 혹은 대기용 콘텐츠인지를 판단할 때에 참조되는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복수 콘텐츠 관리 정보 유지부(2021)에 의해 유지되는 설정 정보는,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의 2개로 크게 나누어진다.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에는, 주 콘텐츠(방송용 콘텐츠 및 전환용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에는, 주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 ID가 기재되어 있고, 또한,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에는 플래그(선택 상태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에는, 대기용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콘텐츠 ID)가 포함되어 있다. 즉, 콘텐츠 선택부(202)는, 설정 정보(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어떤 콘텐츠가 주 콘텐츠인지, 혹은, 대기용 콘텐츠인지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주 콘텐츠의 경우에는, 방송용 콘텐츠인지, 전환용 콘텐츠인지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콘텐츠 ID는 전송 구간 및 송수신 장치 사이에서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이고, 예컨대,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카메라의 정보나, 데이터 전송 장치의 카메라의 접속 인터페이스의 정보, 콘텐츠에 포함되는 정보(콘텐츠 그 자체와 구별하여 메타데이터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또한, 그들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호칭, 및, 그들을 장치 내/장치 사이에서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당된 값 등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정보 추출부(2024)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208)를 통하여 수신한 상태 통지 정보로부터, 콘텐츠의 설정 변경의 통지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정보 추출부(2024)는, 추출된 콘텐츠의 설정 변경의 통지에 근거하여, 복수 콘텐츠 관리 정보 유지부(2021)에 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를 갱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2025)는, 복수 콘텐츠 관리 정보 유지부(2021)에 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의 내용(상태 확인 통지 정보)을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통지하기 위해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상태 확인 통지 정보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 현재 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물리 I/F(2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물리 I/F(210)는, 복수의 전송 I/F(전송 인터페이스)(2101)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전송 I/F(2101)를 통합하는 복수 I/F 통합부(2102)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송 I/F(2101)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동적으로 전송 I/F(2101)의 설정 변경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예컨대, 복수의 전송 I/F(2101)에 의해 확보 가능한 총 대역을 콘텐츠마다의 회선에 균일하게 할당하거나, 1개의 콘텐츠의 회선 각각을 복수의 전송 I/F(2101)에 분배하거나, 특정 회선을 특정 전송 I/F(2101)에 할당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대역 변동이나 지연 변동의 흡수, 총 대역의 관리, 주 콘텐츠의 수의 변경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주 콘텐츠의 수의 변경(대기용 콘텐츠의 수와의 배분의 변경을 포함한다)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주 콘텐츠가 1개(전환용 콘텐츠가 없다)인 경우와의 동적인 전환이나, 전환용 콘텐츠의 설정의 수의 변경 등과 연동하여, 필요하게 되는 회선의 수(혹은 회선 품질ㆍ대역마다의 수의 비)와, 물리 I/F(210)와의 매핑을 변경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콘텐츠 선택부(202)에 있어서의 콘텐츠 선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콘텐츠 선택부의 콘텐츠 선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에 있어서, 우선, 콘텐츠 선택부(202)는 초기 설정을 행한다(단계 S1200). 이 처리는, 예컨대, 데이터 전송 장치(200)의 기동이나, 초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상태 통지 정보가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통지되고, 이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정보(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의 설정이 행해지는 등의 사전 준비이다.
콘텐츠 선택부(202)는, 콘텐츠 I/F(201)로부터 콘텐츠가 공급되거나, 이 콘텐츠 선별 처리의 동작이 종료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1210, S1220), 콘텐츠가 공급된 경우에는, 그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특정한다(단계 S1230). 그리고, 콘텐츠의 선별을 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를 참조하고, 공급된 콘텐츠가 주 콘텐츠인지, 혹은 대기용 콘텐츠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선택부(202)는, 우선, 단계 S1230에서 특정된 콘텐츠 ID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40). 콘텐츠 ID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콘텐츠를 주 콘텐츠로 판단하고,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에 출력한다(단계 S1250). 또한, 콘텐츠 ID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 선택부(202)는, 단계 S1230에서 특정된 콘텐츠 ID가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60). 콘텐츠 ID가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콘텐츠를 대기용 콘텐츠로 판단하고,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에 출력한다(단계 S1270).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선택부(202)는, 공급된 콘텐츠를, 주 콘텐츠 또는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한쪽으로 판단하고, 주 콘텐츠는 주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3)에, 대기용 콘텐츠는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생성부(205)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선택부(202)에 공급되는 모든 콘텐츠의 콘텐츠 ID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 중 어느 하나에 등록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공급된 콘텐츠의 콘텐츠 ID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 중 어디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임의의 부가 처리를 행하게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 중 어디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는, 주 콘텐츠로서 다루게 하더라도 좋고, 혹은, 대기용 콘텐츠로서 다루게 하더라도 좋고, 혹은, 어떤 처리도 행하는 일 없이 콘텐츠 출력을 행하지 않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콘텐츠 ID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 중 어디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통지하는 정보(콘텐츠 ID 미등록의 경고)를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자동적으로 콘텐츠 ID를 부여하고(또한, 예컨대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 등에 등록하더라도 좋다), 그 취지를 통지하게 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콘텐츠 선택부(202)에 있어서의 선택 상태의 설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콘텐츠 선택부의 설정 갱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설정 갱신 처리는, 상술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콘텐츠 선별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진다.
도 8에 있어서, 우선, 콘텐츠 선택부(202)는 초기 설정을 행한다(단계 S1300). 이 처리는, 예컨대, 데이터 전송 장치(200)의 기동이나, 초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상태 통지 정보가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통지되고, 이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정보(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의 설정이 행해지는 등의 사전 준비이다.
다음으로, 콘텐츠 선택부(202)는, 콘텐츠 I/F(201)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선별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10). 또, 이 콘텐츠 선별 처리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 I/F(201)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를 주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로 선별하여 출력하는 처리이다.
콘텐츠 선별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작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콘텐츠 선택부(202)는, 콘텐츠를 주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로 선별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설정 갱신 처리는 종료하게 된다.
한편, 콘텐츠 선별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작 상태의 경우(즉, 이 설정 갱신 처리와 병행하여, 콘텐츠의 선별 및 출력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태 통지 정보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20). 상태 통지 정보가 공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갱신 처리는 단계 S1310으로 돌아가고, 동작 상태가 종료되거나, 혹은, 상태 통지 정보가 공급될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는 특별히 변경되는 일은 없고, 병행하여 동작하고 있는 콘텐츠 선별 처리에서는, 이미 설정ㆍ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선별이 행해진다.
한편, 상태 통지 정보가 공급된 경우에는, 콘텐츠 선택부(202)는, 설정 정보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단계 S1330). 이 설정 정보의 갱신 처리는, 공급된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 콘텐츠 관리 정보 유지부(2021)에 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를 갱신하는 처리이다. 또, 단계 S1330에 있어서의 설정 정보의 갱신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단계 S1330에 있어서의 설정 정보의 갱신 처리가 완료되면, 복수 콘텐츠 관리 정보 유지부(2021)에 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는 갱신되고, 콘텐츠 선택부(202)는, 설정 정보가 갱신된 것, 및, 그 갱신 내용(예컨대, 갱신된 콘텐츠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100)의 ID 등을 포함한다) 등을 표시하거나,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대하여 갱신이 완료된 것, 및, 그 갱신 내용(예컨대, 갱신된 콘텐츠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100)의 ID 등을 포함한다) 등을 통지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단계 S1340). 그리고, 설정 갱신 처리는 단계 S1310으로 돌아가고, 동작 상태가 종료되거나, 혹은, 상태 통지 정보가 공급될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또, 이 경우, 병행하여 동작하고 있는 콘텐츠 선별 처리에서는, 단계 S1330에서 갱신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선별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단계 S1330의 설정 정보의 갱신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콘텐츠 선택부의 설정 정보의 갱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정보의 갱신 처리는, 상태 통지 정보가 공급된 경우에 실행된다. 콘텐츠 선택부(202)는, 상태 통지 정보의 내용을 확인하고, 상태 통지 정보가 선택 상태 통지 정보(즉,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단계 S1331)에는,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전환을 행하도록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를 갱신한다(단계 S1332).
예컨대,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에서는, 주 콘텐츠 중 1개에 대하여 방송용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선택 상태 플래그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방송용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관리가 행해지고 있다. 이 방송용 콘텐츠를 나타내는 선택 상태 플래그를, 다른 주 콘텐츠(전환용 콘텐츠로서 관리되고 있는 콘텐츠)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단계 S1332의 주 콘텐츠의 전환이 행해진다. 또, 상태 통지 정보에 의해, 방송용 콘텐츠로서 선택 상태 플래그를 새롭게 부가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가 명시적으로 지정되더라도 좋고, 혹은, 방송용 콘텐츠로서 선택 상태 플래그를 새롭게 부가하는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태 통지 정보가 주 콘텐츠 선택 정보(즉, 대기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단계 S1333)에는, 대기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전환을 행하도록 주 콘텐츠 설정 정보(2022) 및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2023)를 갱신한다. 대기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전환을 나타내는 주 콘텐츠 선택 정보에는, 예컨대, 현재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고, 이 통지에 의해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가 포함되어 있다. 콘텐츠 선택부(202)는, 전환용 콘텐츠로 설정되어야 할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태 통지 정보로부터 추출하고(단계 S1334), 그 콘텐츠 ID가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335), 그 콘텐츠 ID에 의해 특정된 대기용 콘텐츠를 전환용 콘텐츠와 교체한다(단계 S1336). 즉, 단계 S1336에 있어서, 콘텐츠 선택부(202)는, 상태 통지 정보에 의해 지정된 대기용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주 콘텐츠 설정 정보에 등록함과 아울러, 현재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주 콘텐츠 설정 정보로부터 삭제하고, 동시에, 상태 통지 정보에 의해 지정된 대기용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로부터 삭제함과 아울러, 현재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대기용 콘텐츠 설정 정보에 등록하도록, 설정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 또, 상태 통지 정보에 의해, 대기용 콘텐츠와의 교체를 행하는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의 콘텐츠 ID가 명시적으로 지정되더라도 좋고, 혹은, 대기용 콘텐츠와의 교체를 행하는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콘텐츠 I/F(콘텐츠 인터페이스)(501), 주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2),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3),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504), 상태 관리ㆍ확인부(505), 상태 출력부(506), 선택 입력 조작부(507),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를 갖고 있다.
콘텐츠 I/F(501)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주 콘텐츠 데이터 및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장치(500) 내에 보내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콘텐츠 I/F(501)에 의해 보내어진 주 콘텐츠 데이터는, 주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2)에 공급되고, 콘텐츠 I/F(501)에 의해 보내어진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는,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3)에 공급된다. 또, 주 콘텐츠 데이터는 주 콘텐츠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수신되고,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는 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수신되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 주 콘텐츠 데이터 및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의 판별은 용이하게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태 관리ㆍ확인부(505)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정보를 참조하면서, 주 콘텐츠 데이터 및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의 판별이 행해지더라도 좋다.
또한, 주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2)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주 콘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3)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주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2)에서 디코딩된 주 콘텐츠, 및,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3)에서 디코딩된 대기용 콘텐츠는, 예컨대, 스위처나 모니터 등에 출력 가능하다. 또,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3)로부터의 출력의 수는, 대기용 콘텐츠의 표시의 형태에 따라 다른(복수가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1개의 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504)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대하여 상태 통지 정보를 송신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상태 확인 통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상태 관리ㆍ확인부(505)는, 콘텐츠의 전송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현재의 콘텐츠의 전송 상태(영상 전송 상태)를 상태 정보로서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태 관리ㆍ확인부(505)에 유지되는 상태 정보에는, 예컨대, 각 콘텐츠의 설정 상태(방송용 콘텐츠, 전환용 콘텐츠,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태 관리ㆍ확인부(505)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상태 확인 통지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의 설정이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 정보와,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유지되어 있는 설정 정보는 동기되어 있어야 하지만, 상태 확인 통지 정보의 확인에 의해 동기되어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예컨대,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의 상태 통지 정보의 재통지를 행하는 것에 의해, 동기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태 출력부(506)는, 예컨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가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의 현재의 상태(상태 관리ㆍ확인부(505)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의 현재의 상태(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상태 확인 통지 정보),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에서 생성된 상태의 변경 통지 내용(상태 통지 정보) 등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태 출력부(506)로부터의 출력은, 예컨대, 모니터에 합성 출력하거나, 파일럿 램프에 의해 상태를 통지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오퍼레이터에 통지되더라도 좋고, 혹은, 다른 제어 장치에 제어용 신호로서 공급되더라도 좋다.
또한, 선택 입력 조작부(507)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인터페이스(조작 패널이나 키보드, 마우스, 다른 기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등)이다.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는, 선택 입력 조작부(507)를 이용하여,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교체 지시나, 전환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의 교체 지시 등, 다양한 설정ㆍ지시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모니터의 영상을 보면서, 대기용 콘텐츠로서 표시되어 있는 영상을 조작 패널에서 선택하고, 다음에 사용하는 콘텐츠로서 고품질의 전송을 준비하도록 조작한다(다시 말해,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주 콘텐츠의 선택 정보의 통지에 관련되는 일련의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이, 반드시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직접적으로 입력되지 않고, 예컨대, 다른 설비에 의해, 방송 영상의 스위칭(다시 말해,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의, 방송용 콘텐츠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전환을 나타내는 신호가 선택 입력 조작부(507)에 조작 정보로서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선택 상태의 통지에 관련되는 일련의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대하여 상태의 변경 통지를 행하기 위한 상태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에 근거하여, 상태 관리ㆍ확인부(505)에 있어서 유지되어 있는 상태 정보의 갱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 및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콘텐츠 I/F(콘텐츠 인터페이스)(501), 주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2),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3)에 의해 구성)와,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의 콘텐츠 전송 상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I/F(상태 통지 정보ㆍ상태 확인 통지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504), 상태 관리ㆍ확인부(505), 상태 출력부(506), 선택 입력 조작부(507),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의 2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는, 각각 다른 장치로서 실현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에 있어서의 상태 통지 정보의 생성ㆍ통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가 갖는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의 상태 통지 정보의 생성ㆍ통지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 통지 정보의 생성ㆍ통지 처리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콘텐츠 I/F(501), 주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2) 및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3)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수신 및 디코딩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진다.
도 11에 있어서, 우선,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는 초기 설정을 행한다(단계 S1500). 이 처리는, 예컨대, 상태 관리ㆍ확인부(505)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 정보의 초기 설정, 및, 데이터 전송 장치(200)를 초기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상태 통지 정보의 생성 및 통지 등의 사전 준비이다.
다음으로,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재생 처리를 행하는 동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10). 또, 콘텐츠 재생 처리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콘텐츠 I/F(501), 주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2) 및 대기용 콘텐츠 데이터 디코딩부(503)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수신 및 디코딩 처리이다.
콘텐츠 재생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작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콘텐츠의 수신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태 통지 정보의 생성ㆍ통지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콘텐츠 재생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작 상태의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20).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태 통지 정보의 생성ㆍ통지 처리는 단계 S1510으로 돌아가고, 동작 상태가 종료되거나, 혹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상태 관리ㆍ확인부(505)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 정보는 특별히 변경되는 일은 없고, 즉, 방송용 콘텐츠, 전환용 콘텐츠, 대기용 콘텐츠의 설정은 변하지 않고 유지되게 된다.
한편,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는, 상태 통지 처리를 행한다(단계 S1530). 단계 S1530의 상태 통지 처리에서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태의 변경을 통지하기 위한 상태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송신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또, 단계 S1530에 있어서의 상태 통지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또한, 단계 S1530에 있어서의 상태 통지 정보의 통지ㆍ송신 처리와 동시에,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태 관리ㆍ확인부(505)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단계 S1540). 또, 이때에, 상태 정보의 갱신이 행해진 것, 및, 그 갱신 내용(예컨대, 갱신된 콘텐츠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100)의 ID 등을 포함한다) 등을 상태 출력부(506)로부터 출력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상태 통지 정보의 생성ㆍ통지 처리는 단계 S1510으로 돌아가고, 동작 상태가 종료되거나, 혹은, 상태 통지 정보가 공급될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또, 이 경우, 상태 통지 정보의 통지를 받은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서는, 단계 S1530에서 통지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선별 및 송신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단계 S1530의 상태 통지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가 갖는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의 상태 통지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 통지 처리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실행된다.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508)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의 내용을 확인하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의 내용이,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전환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단계 S1531)에는,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의 전환을 나타내는 상태 통지 정보(선택 상태 통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송신한다(단계 S1532). 또, 이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서는, 주 콘텐츠 설정 정보 내의 선택 상태 플래그의 교체가 행해질 뿐이고,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의 영상 전송 상태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상태 확인 통지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 설정 변경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의 내용이, 전환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의 전환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단계 S1533)에는, 전환용 콘텐츠와 대기용 콘텐츠의 전환을 나타내는 상태 통지 정보(주 콘텐츠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송신한다(단계 S1534). 또, 이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있어서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는 설정 정보의 갱신이 행해지면,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의 영상 전송 상태는 변경된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예컨대 도 3a~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환용 콘텐츠가 1개만 설정되어 있는 것을 주로 상정하고 있지만,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환용 콘텐츠를 임의의 수(m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환용 콘텐츠가 복수(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환용 콘텐츠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와는 다르게, 전환용 콘텐츠를 선택할 때에 대기용 콘텐츠와 교체되는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가 복수 존재하게 되고, 또한, 방송용 콘텐츠를 선택할 때에 방송용 콘텐츠와 교체되는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가 복수 존재하게 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설명에서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태 통지 정보에 있어서, 대기용 콘텐츠 또는 방송용 콘텐츠와의 교체를 행하는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의 콘텐츠 ID가 명시적으로 지정되더라도 좋고, 혹은, 대기용 콘텐츠 또는 방송용 콘텐츠와의 교체를 행하는 대상이 되는 전환용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더라도 좋다.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콘텐츠 교체의 이력, 콘텐츠의 우선도(예컨대, 카메라의 우선도) 등, 다양한 조건이 고려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직전에 방송용 콘텐츠였던 전환용 콘텐츠(즉, 콘텐츠 교체의 이력을 참조하여, 방송용 콘텐츠와의 교체가 가장 가까운 과거에 행해진 전환용 콘텐츠)는, 다음의 대기용 콘텐츠와의 교체 대상으로부터 제외(다시 방송용 콘텐츠로서 바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하도록 조건 설정하거나, 빈번하게 전환하여 방송하는 앵글의 콘텐츠는 주 콘텐츠로 고정(lock)하여 두고, 대기용 콘텐츠와의 교체 대상으로는 하지 않도록 조건 설정하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 콘텐츠 송신측으로부터 다수의 콘텐츠가 공급되는 경우, 이들 다수의 콘텐츠를 콘텐츠 수신측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
(2)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주 콘텐츠의 전송에 필요한 주 콘텐츠 회선을 (1+m)회선만 준비하면 된다),
(3) 콘텐츠 송신측의 장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또한, 콘텐츠 수신측에서 선택한 콘텐츠를 즉시 방송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또한, 콘텐츠 송신측에 있어서 송신하는 콘텐츠의 선택에 관한 인적 조작이 행해질 필요를 없애는 것도 가능)
이 모두 실현된다. 또한, 전환용 콘텐츠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방송용 콘텐츠로서 전환되는 다음의 신을 주 콘텐츠용 회선으로 전송되는 전환용 콘텐츠로 하는 것에 의해, 다음의 신의 콘텐츠를 안정하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방송용 콘텐츠를 부드럽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대기용 콘텐츠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방송용 콘텐츠 품질을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높은 QoS를 확보해야 할 회선의 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대기용 콘텐츠를 마련하는 것이 필수이고, 전환용 콘텐츠의 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1개 이상의 전환용 콘텐츠를 마련한 경우(2개 이상의 주 콘텐츠를 마련한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을 행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환용 콘텐츠를 설정하지 않게 하는(즉, 주 콘텐츠를 1개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N개의 콘텐츠에 대하여 방송용 콘텐츠가 1개만(주 콘텐츠가 1개만) 설정됨과 아울러, 나머지의 (N-1)개의 콘텐츠가 대기용 콘텐츠로 설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장치(200)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사이에 있어서는, 방송용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주 콘텐츠용 회선이 1회선 필요하게 되고, 또한, 나머지의 (N-1)개의 대기용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이 필요하다.
이 경우, 전환용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2가지였던 콘텐츠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대기용 콘텐츠와 방송용 콘텐츠를 교체하는 변경 방법으로 집약된다. 즉, 대기용 콘텐츠 중에서, 다음의 신으로서 사용하는 카메라(100)로부터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대기용 콘텐츠가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됨과 아울러, 그때까지 방송용 콘텐츠였던 콘텐츠가 대기용 콘텐츠로 설정된다.
또, 전환용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다른 동작은, 기본적으로, 전환용 콘텐츠에 따른 구성이나 동작을 생략하거나, 혹은, 전환용 콘텐츠를 방송용 콘텐츠로 바꿔 읽는 것에 의해, 상술한 전환용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의 구성 및 동작으로부터 파악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환용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주 콘텐츠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1) 콘텐츠 송신측으로부터 다수의 콘텐츠가 공급되는 경우, 이들 다수의 콘텐츠를 콘텐츠 수신측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
(2)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주 콘텐츠의 전송에 필요한 주 콘텐츠 회선을 1회선만 준비하면 된다),
(3) 콘텐츠 송신측의 장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또한, 콘텐츠 수신측에서 선택한 콘텐츠를 즉시 방송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또한, 콘텐츠 송신측에 있어서 송신하는 콘텐츠의 선택에 관한 인적 조작이 행해질 필요를 없애는 것도 가능)
이 모두 실현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1개의 방송용 콘텐츠를 마련한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을 행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방송용 콘텐츠를 복수 설정하는(즉, 주 콘텐츠 중 복수를 전환용 콘텐츠와 구별하여 다루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N개의 콘텐츠에 대하여 전환용 콘텐츠가 m개(내지는 0개), 방송용 콘텐츠가 k개(k≥2) 설정됨과 아울러, 나머지의 (N-m-k)개의 콘텐츠가 대기용 콘텐츠로 설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장치(200)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사이에 있어서는, 방송용 콘텐츠와 전환용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주 콘텐츠용 회선이 m+k회선 필요하게 되고, 또한, 나머지의 (N-m-k)개의 대기용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프록시 데이터 전송 회선이 필요하다.
이 경우, 방송용 콘텐츠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에 설정하고 있던 방송용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1개의 선택 상태 플래그)는, 방송용 콘텐츠의 수에 맞춰, k개(혹은 k종류) 준비한다. 즉, 주 콘텐츠 중에서, 방송용의 신으로서 사용하는 카메라(100)로부터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 콘텐츠가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됨과 아울러, 그때까지 방송용 콘텐츠였던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방송 내용(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복수 시점(멀티 앵글)으로 다채로운 콘텐츠를 구성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단지 복수 시점에서의 방송을 행하는 경우는, 선택 상태 플래그가 k개 있으면 되고, 각각의 시점을 구별하여 방송하는 경우(각각의 앵글을 ○○앵글 등으로 하여, 시청자가 일정 시간, 소정의 앵글을 지켜보는 경우)는, 선택 상태 플래그가 k종류(서로 구별 가능한 k개) 있으면 된다.
또, 방송용 콘텐츠가 k개 존재하는 경우의 다른 동작은, 기본적으로, 방송용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복수 다룰 수 있게 하고, 방송용 콘텐츠로서의 출력을 복수 준비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1개의 방송용 콘텐츠를 마련한 경우의 구성 및 동작으로부터 파악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방송용 콘텐츠가 k개 존재하는 경우에도,
(1) 콘텐츠 송신측으로부터 다수의 콘텐츠가 공급되는 경우, 이들 다수의 콘텐츠를 콘텐츠 수신측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
(2)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주 콘텐츠의 전송에 필요한 주 콘텐츠 회선을 m+k회선만 준비하면 된다),
(3) 콘텐츠 송신측의 장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또한, 콘텐츠 수신측에서 선택한 콘텐츠를 즉시 방송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또한, 콘텐츠 송신측에 있어서 송신하는 콘텐츠의 선택에 관한 인적 조작이 행해질 필요를 없애는 것도 가능)
이 모두 실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에 따라, 전환용 콘텐츠의 선택이나 방송용 콘텐츠의 선택이 행해지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예컨대, 소정의 스케줄(시퀀스)에 따라, 전환용 콘텐츠의 선택이나 방송용 콘텐츠의 선택이 행해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콘텐츠의 전환 시퀀스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신으로서 사용하는 콘텐츠(다음으로 방송용 콘텐츠로 승격시키는 콘텐츠)를 미리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하여 두고, 소망하는 타이밍에 선택 상태 플래그의 교체를 행하는 것만으로, 즉시 부드러운 콘텐츠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택 입력 조작부(507)의 조작 인터페이스가 다른 기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등인 경우, 방송용으로 사용하는 콘텐츠보다 더 상위의 스위칭 설비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데이터 수신 장치(500)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의 중계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또한, 데이터 수신 장치(500)가 설치된 스튜디오나, 다른 중계 설비로부터의 콘텐츠와 전환하면서, 최종적인 방송용 콘텐츠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서 사용한, 방송용 콘텐츠란, 용어에 얽매이는 일 없이,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서의 선택 상태에 있는 콘텐츠(실제로 방송되고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다른 콘텐츠와는 구별되는 선택 상태에 있는 콘텐츠)로서 다루는 것이 가능하다. 즉,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서 수신하고 있는 어떤 콘텐츠도 방송용으로서 이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있어서의 방송용 콘텐츠의 상태는, 방송 전의 초기 상태 등과 같이, 단지, 데이터 수신 장치(500) 내에서, 방송용 콘텐츠로서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선택 입력 조작부(507)를 통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500) 이외의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것, 혹은 아무 것도 방송되고 있지 않은(리허설 등의 상태인) 것을 취득하고, 상태 표시에 반영시키거나,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의 상태 정보의 1개로서 통지하거나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용 콘텐츠가 실제로는 방송되고 있지 않은 경우란, 예컨대, 하기와 같이 데이터 수신 장치(500) 및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서 다루고 있는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ㆍ데이터 수신 장치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기동 직후
ㆍ리허설 중
ㆍ리허설 후의 본방송 전
ㆍ다른 중계지의 영상이 방영되고 있을 때
ㆍ스튜디오의 영상이 방영되고 있을 때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와 기지국(300)의 사이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또한, 네트워크(400)는 공중 회선 네트워크인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에 영상 전송이 가능하고, 또한,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장치(200)에 상태 통지 정보의 통지가 가능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200)와 데이터 수신 장치(500)의 사이의 접속 형태는 유선 또는 무선을 불문하고, 어떠한 것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의 영상 전송에 SNG나 FPU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또한, 데이터 수신 장치(5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장치(200)로의 상태 통지 정보의 통지가, 소정의 전용 회선을 통하여 행해지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200)가 중계 현장에 배치되고, 데이터 수신 장치(500)가 방송국에 배치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데이터 전송 장치(200)가 복수의 콘텐츠를 송신하고, 데이터 수신 장치(500)가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배치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가정 내의 AV 시스템으로서 배치되고, 복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동시 재생이 가능한 재생 장치와, 이들 복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가정 내의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 장치에 데이터 전송 장치(200)가, 표시 장치에 데이터 수신 장치(500)가 각각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데이터 전송 장치도 제공 가능하다.
복수의 콘텐츠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콘텐츠가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콘텐츠가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설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주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상기 고품질의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대기용 콘텐츠 전송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데이터 전송 장치도 제공 가능하다.
복수의 콘텐츠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1개의 콘텐츠가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주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콘텐츠가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설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주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상기 고품질의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대기용 콘텐츠 전송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도 제공 가능하다.
복수의 콘텐츠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소정의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설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주 콘텐츠 및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주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상기 고품질의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대기용 콘텐츠 전송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콘텐츠가 상기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콘텐츠가 상기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도 제공 가능하다.
복수의 콘텐츠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소정의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설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주 콘텐츠 및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주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상기 고품질의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대기용 콘텐츠 전송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의 콘텐츠가 상기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주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콘텐츠가 상기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또,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 이용힌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더라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더라도 좋다. 또,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Integrated Circuit),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더라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1) 콘텐츠 송신측으로부터 다수의 콘텐츠가 공급되는 경우, 이들 다수의 콘텐츠를 콘텐츠 수신측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
(2) 필요 최소한의 QoS를 확보한 상황(혹은, 제한된 필요 최소한의 QoS밖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복수의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실현하는 것,
(3) 콘텐츠 송신측의 장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또한, 콘텐츠 수신측에서 선택한 콘텐츠를 낮은 타임래그로 방송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
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고 있으며,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기술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28)

  1. 복수의 콘텐츠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콘텐츠가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주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콘텐츠가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설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주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상기 고품질의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대기용 콘텐츠 전송부
    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1개의 주 콘텐츠가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상기 방송용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주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방송용 콘텐츠 및 상기 전환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가 관리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복수의 주 콘텐츠가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상기 방송용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주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방송용 콘텐츠 및 상기 전환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가 관리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 상기 전환용 콘텐츠를 교체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주 콘텐츠 선택 정보를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주 콘텐츠 선택 정보 수신부와,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환용 콘텐츠 중 어느 1개를 상기 대기용 콘텐츠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를 상기 전환용 콘텐츠로 설정하도록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를 갱신하는 설정 정보 갱신부
    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에,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 교체되어야 할 상기 전환용 콘텐츠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갱신부가, 소정의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 교체되어야 할 상기 전환용 콘텐츠를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갱신부가, 콘텐츠 교체의 이력을 관리하고, 직전에 방송용 콘텐츠였던 전환용 콘텐츠를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의 교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갱신부가, 사전에 설정된 로크(lock) 설정 조건을 참조하고, 상기 로크 설정 조건에 의해 로크되어 있는 특정한 주 콘텐츠를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의 교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특정한 전환용 콘텐츠와 상기 방송용 콘텐츠를 교체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선택 상태 통지 정보를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선택 상태 통지 정보 수신부와,
    상기 선택 상태 통지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선택 상태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용 콘텐츠를 상기 전환용 콘텐츠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특정한 전환용 콘텐츠를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 설정하도록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를 갱신하는 설정 정보 갱신부
    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주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방송용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부가되고, 상기 설정 정보 갱신부가,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정보를,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주 콘텐츠로부터 상기 특정한 전환용 콘텐츠에 재배치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주 콘텐츠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방송용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부가되고, 상기 설정 정보 갱신부가,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특정한 주 콘텐츠에 부가된 플래그 정보를,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특정한 주 콘텐츠로부터 상기 특정한 전환용 콘텐츠에 재배치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주 콘텐츠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 다른 종류의 플래그 정보로서 상기 방송용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 정보가 부가되고, 상기 설정 정보 갱신부가,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특정한 주 콘텐츠에 부가된 플래그 정보를,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특정한 주 콘텐츠로부터 상기 특정한 전환용 콘텐츠에 재배치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의 내용을 포함하는 상태 확인 통지 정보를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상태 확인 통지 정보 통지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대기용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화면 분할 표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대기용 콘텐츠를 1화면에 합치도록 가공하는 대기용 콘텐츠 가공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가 각각의 식별자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설정 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 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에 대하여 새로운 식별자를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새로운 식별자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통지하는 식별자 설정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16. 복수의 콘텐츠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소정의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설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설정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주 콘텐츠 및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고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주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콘텐츠 선택부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된 콘텐츠를, 상기 고품질의 회선에 비하여 저품질의 회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대기용 콘텐츠 전송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콘텐츠가 상기 주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주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콘텐츠가 상기 대기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대기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1개의 주 콘텐츠가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상기 방송용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주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방송용 콘텐츠 및 상기 전환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가 관리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설정 정보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복수의 주 콘텐츠가 방송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 중 상기 방송용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의 주 콘텐츠가 전환용 콘텐츠로서 설정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주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방송용 콘텐츠 및 상기 전환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지가 관리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용 콘텐츠 중 어느 1개를 상기 대기용 콘텐츠로 설정함과 아울러,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를 상기 전환용 콘텐츠로 설정하도록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의 갱신을 행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 상기 전환용 콘텐츠를 교체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주 콘텐츠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주 콘텐츠 선택 정보 생성부와,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통지하는 주 콘텐츠 선택 정보 통지부
    를 갖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 생성부가,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 교체되어야 할 상기 전환용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에 삽입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 생성부가, 소정의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 교체되어야 할 상기 전환용 콘텐츠를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갱신부가, 콘텐츠 교체의 이력을 관리하고, 직전에 방송용 콘텐츠였던 전환용 콘텐츠를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의 교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갱신부가, 사전에 설정된 로크 설정 조건을 참조하고, 상기 로크 설정 조건에 의해 로크되어 있는 특정한 주 콘텐츠를 상기 특정한 대기용 콘텐츠와의 교체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고,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 생성부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주 콘텐츠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5.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콘텐츠를 상기 전환용 콘텐츠로 설정함과 아울러, 특정한 전환용 콘텐츠를 상기 방송용 콘텐츠로 설정하도록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의 갱신을 행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특정한 전환용 콘텐츠와 상기 방송용 콘텐츠를 교체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선택 상태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선택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와,
    상기 선택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선택 상태 통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통지하는 선택 상태 통지 정보 통지부
    를 갖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고,
    상기 선택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 상태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유지하는 상태 정보 유지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설정 정보의 내용을 포함하는 상태 확인 통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상태 확인 통지 정보 수신부와,
    상기 상태 정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상태 확인 통지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확인 통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상태가 적절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
    를 갖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28.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콘텐츠가 실제로는 방송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방송용 콘텐츠가 실제로는 방송되고 있지 않은 상태인 취지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통지하는 방송 상태 통지부를 갖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KR1020137014624A 2010-12-17 2011-11-25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KR101811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2199 2010-12-17
JPJP-P-2010-282199 2010-12-17
PCT/JP2011/006559 WO2012081170A1 (ja) 2010-12-17 2011-11-25 データ伝送装置及びデータ伝送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972A true KR20130129972A (ko) 2013-11-29
KR101811088B1 KR101811088B1 (ko) 2017-12-20

Family

ID=4624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624A KR101811088B1 (ko) 2010-12-17 2011-11-25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13159B2 (ko)
EP (1) EP2654223A4 (ko)
JP (1) JP5873999B2 (ko)
KR (1) KR101811088B1 (ko)
CN (1) CN103262445B (ko)
WO (1) WO20120811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000A1 (ko) * 2013-12-02 2015-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187671B2 (en) 2013-12-02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8824B2 (ja) 2013-03-08 2017-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切替装置
JP7143070B2 (ja) 2017-11-14 2022-09-28 株式会社東芝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EP4131974A4 (en) 2020-03-31 2023-09-20 Sony Group Corporation MEDICAL CONTROL SYSTEM, IMAGE PROCESSING SERVER, IMAGE CONVER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7280697A (zh) * 2021-05-18 2023-12-22 索尼集团公司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WO2023286342A1 (ko) 2021-07-15 2023-01-19
JP7469545B1 (ja) 2023-07-19 2024-04-16 Kddi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534A (ja) 1994-07-14 1996-02-02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H08228340A (ja) 1995-02-21 1996-09-03 Canon Inc 画像選択表示システム
US6452612B1 (en) * 1998-12-18 2002-09-17 Parkervision, Inc. Real time video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US7006154B2 (en) * 2001-02-21 2006-02-28 Edmond Louis Dudkowski Portable system for live television signal editing
JP4327370B2 (ja) * 2001-02-28 2009-09-09 ヤマハ株式会社 ビデオミキサー装置
US20030058934A1 (en) * 2001-09-25 2003-03-27 Haruhiro Koto Compressed video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30189589A1 (en) * 2002-03-15 2003-10-09 Air-Grid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event quality
AU2003901532A0 (en) * 2003-04-04 2003-05-01 Evolution Broadcast Pty Limited Broadcast control
US7088741B2 (en) 2003-05-01 2006-08-08 Genesis Microchip Inc. Using an auxilary channel for video monitor training
US20050094562A1 (en) * 2003-10-30 2005-05-05 Sumit Roy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total bandwidth when streaming multiple media streams
JP4421944B2 (ja) * 2004-05-24 2010-0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音声中継放送システムおよび音声中継放送方法
WO2006104519A1 (en) * 2005-03-29 2006-10-0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ust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971142B1 (en) * 2007-03-14 2012-12-19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displaying video pictures
JP2009171294A (ja) * 2008-01-17 2009-07-30 Hitachi Ltd 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中継装置、及び映像中継方法
US20090187826A1 (en) * 2008-01-22 2009-07-23 Reality Check Studios Inc. Data control and display system
JP4858525B2 (ja) * 2008-11-04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及びカメラ制御方法
JP4670938B2 (ja) * 2008-11-04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000A1 (ko) * 2013-12-02 2015-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187671B2 (en) 2013-12-02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32536A1 (en) 2013-09-05
EP2654223A4 (en) 2014-05-21
EP2654223A1 (en) 2013-10-23
US8813159B2 (en) 2014-08-19
CN103262445A (zh) 2013-08-21
JPWO2012081170A1 (ja) 2014-05-22
WO2012081170A1 (ja) 2012-06-21
CN103262445B (zh) 2016-03-02
JP5873999B2 (ja) 2016-03-01
KR101811088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088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KR101132935B1 (ko) 미디어 스트림들의 생성 및 선택
WO2016202887A1 (en) Providing low &amp; high quality streams
JP6358460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8966099B2 (en) Session change method and session change device
CN106105250B (zh) 接收装置、接收方法、传输装置以及传输方法
JP2014519732A (ja) ディジタルブロードキャス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システム
CN113507574A (zh) 一种超高清视频的制播处理系统
US20170180436A1 (en) Upload of Multimedia Content
JP2017539104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dab)伝送と拡張マルチメディア放送/マルチキャスト(embms)伝送の間の切換を含む放送サービスを受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48220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42416B1 (ko)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596930A1 (en) Video over ip based broadcast productions by combining a broadcast controller and a processing device
US10951243B2 (en) Wireless system having diverse transmission protocols
KR101511758B1 (ko) 여러 대의 액션캠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버퍼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재생장치
EP2688289B1 (en) Method for processing video and/or audio signals
CN107431571A (zh) 数据接收设备、数据传输系统、数据接收方法和数据传输方法
CN112740716A (zh) 用于提供经编辑的视频内容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JP2005341598A (ja) データストリーム合成装置、配信装置、配信システム、データストリーム合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742160B1 (ko) 지상파 디엠비 피에이디 방송에서의 덮어쓰기 송출방법
US20230239421A1 (en) System for Remote Production of Audiovisual Contents
CN105681375A (zh) 业务通告信息的更新方法及装置
WO2017048168A1 (en) Upload of multimedia content
Kim et al. Synchronous 2D/3D Switching System for Service‐Compatible 3DTV Broadcasting
JP2004187319A (ja) データ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第1データストリーム送出装置、第2データストリーム送出装置、データストリーム送出方法、及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れら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