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586A - 누룽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누룽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586A
KR20130129586A KR1020120053599A KR20120053599A KR20130129586A KR 20130129586 A KR20130129586 A KR 20130129586A KR 1020120053599 A KR1020120053599 A KR 1020120053599A KR 20120053599 A KR20120053599 A KR 20120053599A KR 20130129586 A KR20130129586 A KR 2013012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hours
drying
nurungji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329B1 (ko
Inventor
박남영
Original Assignee
박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영 filed Critical 박남영
Priority to KR102012005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32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5Cooked; Precooked; Fried or pre-fried in a non-aqueous liquid frying medium, e.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83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heating without using a pressure releas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에 쌀가루 또는 파쇄미를 6~7:3~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2시간 동안 물에 불리는 제1 단계; 상기 물에 불린 재료에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수염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밥물을 맞춘 후 증기로 쪄서 밥을 하는 제2 단계; 상기 밥을 골고루 섞어서 스텐통에 넣은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식힌 후 영하 15~40℃로 24시간 동안 냉동하는 제3 단계; 상기 냉동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해동한 다음 35~50℃로 2~3시간 동안 건조하는 제4 단계; 스텐통 모양으로 있던 밥을 건조판에 고르게 펴서 60℃에서 2시간, 80℃에서 3시간 정도 건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제조방식을 획기적으로 간편화하고, 모양의 변형이 용이하며, 고열을 쓰지 않아 연료를 절약하고, 고열의 철판을 사용하지않아 작업공정의 위험 요소가 적으며, 원하는 모양과 첨가물이 고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맛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또 첨가제에 따라 스낵, 과자, 간식, 비상식량 등 광범위하게 제조가 가능하므로 쌀과 곡물의 소비를 촉진시키고, 원재료값을 낮추며, 원료의 낭비를 줄이고, 곡물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누룽지의 제조방법{MAKING METHOD OF NURUNGJI}
본 발명은 누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제조방식을 획기적으로 간편화하고, 모양의 변형이 용이하며, 고열을 쓰지 않아 연료를 절약하고, 고열의 철판을 사용하지않아 작업공정의 위험 요소가 적으며, 원하는 모양과 첨가물이 고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맛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누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라 함은 밥을 지을 때 밥의 일부가 솥 바닥에 눌어붙는 것으로, 보통 재래식 밥솥에 밥을 지을 경우 밥솥의 밑바닥에 위치되는 쌀, 보리, 콩 등의 곡류가 눌어붙어 생성된다.
이와 같은 누룽지는 그 자체가 간식거리로 활용되거나 물과 함께 끓여 밥 대용으로 먹기도 하며, 쌀에 들어 있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아미노산이 누룽지로 눌리면서 생성되는 포도당 등 여러 가지 물질로 인하여 구수한 맛과 냄새를 유발하게 된다.
근래에 들어, 밥을 지을 때 가마솥과 같은 재래식 밥솥을 대신하여 전기밥솥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이유로 누룽지가 생기기 어려워 이를 쉽게 접할 수가 없게 됨에 따라 누룽지를 먹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부러 쌀을 눌려 누룽지를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스낵 제조회사에서 누룽지를 제조하여 선보이고 있으나 누룽지의 형태 및 맛을 흉내 내는 것에 불과하므로 여전히 누룽지 본래 맛을 발현시키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기존 누룽지는 흰쌀만을 재료로 제조하여 그 맛이 단조로울 뿐더러 식사로 대용하기에는 영양상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음에 따라 영양분을 풍부히 함유하면서도 맛과 풍미가 우수한 누룽지 제조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제조방식을 획기적으로 간편화하고, 모양의 변형이 용이하며, 고열을 쓰지 않아 연료를 절약하고, 고열의 철판을 사용하지않아 작업공정의 위험 요소가 적으며, 원하는 모양과 첨가물이 고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맛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의 제조방법은, 곡물에 쌀가루 또는 파쇄미를 6~7:3~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2시간 동안 물에 불리는 제1 단계; 상기 물에 불린 재료에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수염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밥물을 맞춘 후 증기로 쪄서 밥을 하는 제2 단계; 상기 밥을 골고루 섞어서 스텐통에 넣은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식힌 후 영하 15~40℃로 24시간 동안 냉동하는 제3 단계; 상기 냉동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해동한 다음 35~50℃로 2~3시간 동안 건조하는 제4 단계; 스텐통 모양으로 있던 밥을 건조판에 고르게 펴서 60℃에서 2시간, 80℃에서 3시간 정도 건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물은 찹쌀, 보리, 율무, 현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의 제조방식을 획기적으로 간편화하고, 모양의 변형이 용이하며, 고열을 쓰지 않아 연료를 절약하고, 고열의 철판을 사용하지않아 작업공정의 위험 요소가 적으며, 원하는 모양과 첨가물이 고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맛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첨가제에 따라 스낵, 과자, 간식, 비상식량 등 광범위하게 제조가 가능하므로 쌀과 곡물의 소비를 촉진시키고, 원재료값을 낮추며, 원료의 낭비를 줄이고, 곡물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의 제조방법은, 곡물에 쌀가루 또는 파쇄미를 6~7:3~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2시간 동안 물에 불리는 제1 단계; 상기 물에 불린 재료에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수염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밥물을 맞춘 후 증기로 쪄서 밥을 하는 제2 단계; 상기 밥을 골고루 섞어서 스텐통에 넣은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식힌 후 영하 15~40℃로 24시간 동안 냉동하는 제3 단계; 상기 냉동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해동한 다음 35~50℃로 2~3시간 동안 건조하는 제4 단계; 스텐통 모양으로 있던 밥을 건조판에 고르게 펴서 60℃에서 2시간, 80℃에서 3시간 정도 건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단계에서는 곡물에 쌀가루 또는 파쇄미를 6~7:3~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이를 1~2시간 동안 물에 불리는 공정이 수행되는데, 상기와 같은 중량비 혼합하여 물에 불리는 이유는 누룽지의 성형과 함께 호화를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곡물은 찹쌀, 보리, 율무, 현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곡물, 쌀가루, 파쇄미의 세척이 선행됨은 당연하다.
제2 단계에서는 물에 불린 재료에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수염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밥물을 맞춘 후 증기로 쪄서 밥을 하는 공정이 수행되는데, 이때 상기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수염차는 누룽지에 독특한 향미를 부여함과 더불어 차의 효능을 기대하기 위함이다.
물론 밥물은 통상적으로 밥을 짓기 위한 물의 양이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제3 단계에서는 밥을 골고루 섞어서 스텐통에 넣은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식힌 후 영하 15~40℃로 24시간 동안 냉동하고, 제4 단계에서는 냉동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해동한 다음 35~50℃로 2~3시간 동안 건조하는데, 이는 추후 포장공정에서 별도의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누룽지의 장기간 온전한 보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제5 단계에서는 스텐통 모양으로 있던 밥을 건조판에 고르게 펴서 60℃에서 2시간, 80℃에서 3시간 정도 건조하는데, 이는 누룽지의 균일한 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누룽지(실시예)와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누룽지(비교예)를 20~60세 연령의 성인남녀 50명을 대상으로 평점을 1점(매우 나쁨)~10점(매우 좋음) 사이에서 평가하도록 하는 10점 평가법을 사용하여 맛, 향기 및 취식감에 관하여 관능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관능평가
비교예 실시예
7.5 9.0
6.2 9.2
취식감 7.8 9.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1. 곡물에 쌀가루 또는 파쇄미를 6~7:3~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2시간 동안 물에 불리는 제1 단계; 상기 물에 불린 재료에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수염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밥물을 맞춘 후 증기로 쪄서 밥을 하는 제2 단계; 상기 밥을 골고루 섞어서 스텐통에 넣은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식힌 후 영하 15~40℃로 24시간 동안 냉동하는 제3 단계; 상기 냉동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해동한 다음 35~50℃로 2~3시간 동안 건조하는 제4 단계; 스텐통 모양으로 있던 밥을 건조판에 고르게 펴서 60℃에서 2시간, 80℃에서 3시간 정도 건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찹쌀, 보리, 율무, 현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0120053599A 2012-05-21 2012-05-21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134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99A KR101341329B1 (ko) 2012-05-21 2012-05-21 누룽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99A KR101341329B1 (ko) 2012-05-21 2012-05-21 누룽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86A true KR20130129586A (ko) 2013-11-29
KR101341329B1 KR101341329B1 (ko) 2013-12-18

Family

ID=4985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599A KR101341329B1 (ko) 2012-05-21 2012-05-21 누룽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569A (ko) * 2016-11-22 2018-05-30 임옥진 건강기호재료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지는 누룽지
KR20230061745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웰크리 다랑어 추출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06B1 (ko) * 2019-03-28 2020-10-23 박수옥 백출, 백복령, 황기, 맥아 및 신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599185B1 (ko) 2021-01-28 2023-11-07 김평순 두부를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823B1 (ko) 2003-08-04 2005-11-22 하임조 누룽지 제조방법
KR101050171B1 (ko) 2008-11-13 2011-07-19 김현구 누룽지 칩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569A (ko) * 2016-11-22 2018-05-30 임옥진 건강기호재료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지는 누룽지
KR20230061745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웰크리 다랑어 추출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329B1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6670B (zh) 一种可微波加热的冷冻熟面
KR100774535B1 (ko) 전자레인지 조리용 즉석떡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4304999A (zh) 一种蜂蜜茶香锅巴及其制备方法
KR101341329B1 (ko)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0869406B1 (ko)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KR101221326B1 (ko)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36746A (ko) 밥 찐빵 제조방법
KR20150128249A (ko) 현미누룽지 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1996799B1 (ko) 발효 현미를 이용한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그 누룽지 스낵
KR20120105091A (ko)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1457265B1 (ko) 튀김전용 멥쌀 떡 제조방법
KR20200000075A (ko) 즉석 백설기떡 조성물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즉석 백설기의 제조 방법
JPH04104754A (ja) パ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35762B1 (ko) 튀김 누룽지 쌀과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튀김 누룽지 쌀과자
CN107821958A (zh) 一种火锅专用面条的制备方法
KR100529823B1 (ko) 누룽지 제조방법
CN103478196B (zh) 一种油炸麻叶及其生产方法
KR101237897B1 (ko)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
KR20110038851A (ko) 해물맛 인스턴트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5651A (ko) 구운 감자를 함유하는 반죽 제조방법
CN101584359B (zh) 一种米比萨及其制作方法
KR20180094545A (ko) 오분도미를 이용한 떡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3074A (ko)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0974349B1 (ko) 떡고물 제조방법
KR20210072434A (ko) 신규한 누룽지 면류 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