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416A -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사용자 상태표시 향상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사용자 상태표시 향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416A
KR20130128416A KR1020137015191A KR20137015191A KR20130128416A KR 20130128416 A KR20130128416 A KR 20130128416A KR 1020137015191 A KR1020137015191 A KR 1020137015191A KR 20137015191 A KR20137015191 A KR 20137015191A KR 20130128416 A KR20130128416 A KR 20130128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mobile computing
online presence
user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393B1 (ko
Inventor
발두치 주안 브이 에스테브
쿠엔틴 에스 밀러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2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3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using or handling presenc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를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상태 표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태 변화 및/또는 변화율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상태 변화 및/또는 변화율 데이터는 그 모바일 컴퓨터 장치에 대한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를 결정하는 일군의 규칙들과 비교될 수 있다. 일군의 규칙들은 그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온라인 존재 상태를 기술할 수 있다. 그런 후에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와 연관된 현재 온라인 존재 상태는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사용자 상태표시 향상{AUGMENTING PERSONAL AVAILABILITY USING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상태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사용자들은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IM")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둘 이상의 사용자들 간에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문자, 음성 및 화상 커뮤니케이션을 전달하는 데 활용한다. 네트워크 기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또한 그들의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온라인 상태표시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온라인 상태표시는 하루 중 언제라도 사용자의 상태가 바뀌면 네트워크 기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또는 미사용)에 의해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그들의 온라인 상태를 여러 개의 상태(예컨대, 바쁨, 방해하지 마시오, 등) 중의 하나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현재의 네트워크-기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온라인 상태표시를 결정하는 것과 연관된 한가지 단점은 사용자의 온라인 상태표시 상태를 최신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현재의 네트워크-기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또다른 단점은 사용자가 그들의 상태표시를 직접 바꾸는 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예컨대 사용자가 운전중이거나 비즈니스 미팅 등을 하고 있는 경우) 경우에 그들의 온라인 상태표시를 자동으로 바뀔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고안되었다.
본 요약부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될 선택된 개념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요약부는 청구 대상의 주요 특징 또는 핵심적인 특징을 밝히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의 표시를 향상시키는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상태 변화 및/또는 변화율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상태 변화 및/또는 변화율 데이터는 그 모바일 컴퓨터 장치에 대한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를 결정하는 일군의 규칙들과 비교될 수 있다. 일군의 규칙들은 그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온라인 존재 상태를 기술할 수 있다. 그런 후에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와 연관된 현재 온라인 존재 상태는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 및 연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들 또는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전술된 일반적 설명 또는 뒤따를 자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의 표시를 향상시키는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도시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의 표시를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는 서버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의 표시를 향상시키는 루틴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의 표시를 향상시키는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상태 변화 및/또는 변화율 데이터가 고려될 수 있다. 상태 변화 및/또는 변화율 데이터는 그 모바일 컴퓨터 장치에 대한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를 결정하는 일군의 규칙들과 비교될 수 있다. 일군의 규칙들은 그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온라인 존재 상태를 기술할 수 있다. 그런 후에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와 연관된 현재 온라인 존재 상태는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이 참조될 수 있는데, 이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 또는 예를 도시하면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 실시예들이 결합되거나, 다른 실시예들을 이용하거나, 구조적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발명을 제한하려는 취지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동일한 참조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일면들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의 표시를 향상시키는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도시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네트워크 아키텍쳐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장치(6)와 통신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 상태표시 및 커뮤니케이션 선호 서비스 서버(70)(이하, 상태표시 서버(70)라 함), 메시징 서비스 서버(80) 및 전화 교환기(90)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네트워크(4)는 로컬 네트워크 또는 광역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를 포함한다. 네트워크(4)가 단일 네트워크 또는 각각의 서버들 (70) 및 (80)과 연관된 복수의 분리된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자는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서버들 (70) 및 (80)이 복수의 서버들에 호스트된 서비스들이나 다른 복합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2)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 센서(40), 규칙(50),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컴퓨팅 장치(2)는 컴퓨터 기능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모바일 전화기나 (태블릿과 같은) 다른 휴대용 장치를 포함하며, 랩탑 컴퓨터나 (예컨대 컴퓨터 기능을 가지고 및/또는 표준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운영체제를 가진 모바일폰과 같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4)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장치(6)와 같은) 둘 이상의 컴퓨터들 간의 문자, 음성 및 화상 커뮤니케이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매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또한 온라인 존재 상태를 네트워크의 다른 클라이언트 컴퓨팅 장치로 업데이트하는 상태표시 서버(7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듯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또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예컨대, 센서(40))을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의 표시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워싱턴 주 레드몬드 소재의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의 LYNC 및 라이브 메신저 인스턴트 메신저("IM")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임의의 숫자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제조사들의 다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들도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센서(40)은 위치, 방향, 이동 속도, 시간, 요일, 광량, 장치의 방향, 온도 및 압력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와 연관된 데이터 속성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40)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Wi-Fi" 네트워크)나 다른 모바일 컴퓨터 장치(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기술에 의한)의 존재를 네트워크 또는 장치에 실제로 연결하지 않고 발견하는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당업자에 의해 알려진 센서(40)는 광 센서, 위치 센서, 가속계,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및 (다른 무선 네트워크/장치들을 발견하고 접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센서(40)는 또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2)와 연관된 커뮤니케이션 사용 데이터를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사용 데이터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가 현재 전화 통화, 데이터 수신, 또는 둘 다를 위해 사용중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 속성 및 커뮤니케이션 사용 데이터의 임의의 변화 및/또는 변화율과 관련된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규칙(50)은 센서(40)에 의해 측정되는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와 연관된 다양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규칙(50)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의 온라인 존재 또는 상태표시와 연관된 온라인 존재 상태(52)의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존재 상태(52)는, "가능", "바쁨", "방해하지 마시오", "곧 돌아옴", "퇴근했음", "자유", "부재중"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규칙(50)은 온라인 존재 상태(520를 특정한 측정된 센서 데이터와 연관짓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온라인 존재를 변경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를 뒤집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센서(40)로 하여금 방향의 전환을 탐지하게 할 것이다. 규칙들(50) 중의 하나는 방향의 전환(예컨대 앞에 언급된 "뒤집기")이 "방해하지 마시오"를 나타내는 온라인 존재 상태(52)와 연관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방향 전환을 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규칙(50)에 액세스하여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를 결정함에 따라, 방향의 전환을 규칙(50)과 비교하고 전술한 대응하는 "방해하지 마시오" 존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는 그런 후에 상태의 변경을 상태표시 서버(70)에 통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온라인 존재를 "방해하지 마시오"로 설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팅 장치(6)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컴퓨터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컴퓨터 장치(6)는 네트워크(4)를 통해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사용자에게 문자, 음성 및 화상 커뮤니케이션을 전달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도시하지 않음)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태표시 서버(70)는 규칙(50), 사용자 온라인 존재(72),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 및 커뮤니케이션 선호(7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것처럼, 규칙(50)은 센서(40)에 의해 측정되고 모바일 컴퓨팅 장치(2)로부터 상태표시 서버(70)로 통신된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와 연관된 다양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규칙(50)은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사용자의 온라인 존재 또는 상태표시와 연관된 온라인 존재 상태(52)의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온라인 존재 데이터(72)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와 연관된 현재의 사용자 온라인 존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뒤에 더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사용자 온라인 존재(72)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 또는 (상태표시 서버(70)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 중의 하나에 의해 업데이트되어, 센서(40)로부터 (모바일 컴퓨터 장치(2)나 상태표시 서버(70) 중의 하나에 의해) 수신된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사용자(예컨대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의 현재 온라인 상태표시를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과 같은 메시징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표시 및 커뮤니케이션 선호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의 온라인 상태표시 상태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뒤에서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예컨대, 센서(40))를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표시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은 워싱턴주 레드몬드 소재의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의 익스체인지 서버 협동 애플리케이션, LYNC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나 메신저 서비스와 같은 협동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제조사에 의한 다른 협동 서버도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커뮤니케이션 선호(76)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컴퓨팅 장치(6)의 사용자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들 간에 송수신된 메시지에 관해 사용될 수 있는 몇몇 커뮤니케이션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선호(76)는 IM 문자 메시지, 전자 메일(예컨대, "IM을 대신하는 이메일"), 음성 통화(예컨대, "IM을 대신하는 음성 통화"), 비디오 컨퍼런싱(video conferencing), (수신된 음성 통화로 연결되는) 음성메일 및 앞에 언급된 커뮤니케이션 선호의 하나 이상과 연관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제한된 음성 컨퍼런싱과 같은) 제한된 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에서 도 3과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커뮤니케이션 선호(76)는 센서(40)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 또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62)에 기초하여)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가 움직인다고(예컨대, 사용자가 운전을 하고 있다) 판단되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 또는 (74)는 사용자가 운전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선호(76) 내의 선호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IM을 대신하는 음성 통화"로 바꿀 수 있다.
메시징 서비스 서버(80)는 도 1의 네트워크 아키텍쳐 내의 사용자들을 위해 엔터프라이즈 인스턴트 메시징, 존재 상태 표시, 파일 전송, 피어-투-피어 및 멀티파티 음성 및 화상 전화, 즉석 및 구조화된 컴퍼런스(음성, 화상 및 웹) 및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연결을 위한 인프라스트럭쳐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서비스 서버(80)는 워싱턴주 레드몬드 소재의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의 LYNC 서버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제조사로의 다른 커뮤니케이션 서버들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를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화 교환기(90)는 PSTN에 연결된 전통적인 전화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서비스 서버(80)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 및 클라이언트 컴퓨팅 장치(6)의 사용자들에게 음성 통화를 걸고 수신하는 것 뿐 아니라 음성메일 메시지를 생성 및 액세스하기 위한 PSTN 연결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운영 환경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이하의 논의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합한 컴퓨팅 환경의 간략하고 일반화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컴퓨터 장치의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함께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기술되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실시예들이 다른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및 프로그램 모듈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데이터형을 구현하는 다른 종류의 구조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당업자라면 다양한 실시예들이 휴대용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소비자 가전,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등에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원격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상태표시 서버(70)를 보여준다. 상태표시 서버(70)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CPU")(8),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18)와 리드 온리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20)를 포함하는 시스템 메모리(12) 및 메모리를 CPU에 결합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한다. 컴퓨터 내의 구성 요소들 간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스타트업(startup)과 같은 기초적인 루틴을 포함하는 기초적인 입/출력 시스템은 ROM(20)에 저장된다.
상태표시 서버(70)는 운영체제(32), 규칙(50) (온라인 존재 상태(52)의 라이브러리를 포함함), 사용자 온라인 존재(72),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 및 커뮤니케이션 선호(76)를 저장하는 대용량 기억 장치(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운영체제(32)는 워싱턴주 레드몬드 소재의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의 WINDOWS 운영체제와 같은 네트워크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적합할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 장치(14)는 버스(10)에 연결된 대용량 기억장치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CPU(8)에 연결될 수 있다. 대용량 기억 장치(14) 및 이와 연관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태표시 서버(70)를 위한 비휘발성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컴퓨터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기록하는 어떠한 방법 또는 기술이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착탈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매체는, RAM, ROM, 전자적으로 삭제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학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상태표시 서버(7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른 매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다른 컴퓨터 저장 매체라도 상태표시 서버(7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통신 매체도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 데이터 신호의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며, 어떠한 정보 전달 매체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호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특징(characteristic set)을 가지거나 신호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으로 변형된 신호를 말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나 직접-유선 연결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파, 라디오 주파수(RF) 또는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표시 서버(70)는 논리적 접속을 사용하여 네트워크(4)를 통해 원격 컴퓨터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태표시 서버(70)는 버스(10)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16)을 통해 네트워크(4)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16)이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데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원격표시 서버(70)는 키보드, 마우스, 펜, 스타일러스, 손가락, 및/또는 다른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여러 유형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처리하는 입/출력 제어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입/출력 제어기(22)는 출력을 디스플레이 장치(85) 뿐 아니라 프린터나 다른 종류의 출력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2) 및 클라이언트 컴퓨팅 장치(6)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태표시 서버(70)와 관련하여 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많은 전통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컴퓨팅 장치(2)는 무선 라디오, 전원 공급기(예컨대, 착탈식 또는 고정식 배터리) 및 실시간 시계와 같은 추가적인 전통적인 컴포넌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를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표시를 향상시키는 루틴(3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루틴의 논의를 읽을 때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논리적인 동작은 (1) 컴퓨터에서 구현된 행위의 시퀀스 또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및/또는 (2) 컴퓨팅 시스템 내의 서로 연결된 기계 논리 회로 또는 회로 모듈로서 구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 구현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 요구에 따라 선택될 문제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논리적 동작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이루는 것은 동작, 구조적 장치, 행위 또는 모듈로 다양하게 언급된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동작, 구조적 장치 행위 및 모듈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의 디지털 논리 및 청구범위에 인용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이들의 어떠한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루틴(300)은 동작(305)로 시작하는데, 여기서 모바일 컴퓨팅 장치(2)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962)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표시 서버(70)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는 모바일 장치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수신된 모바일 장치 변화 데이터(60) 및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에 의해 수신된 주위 밝기의 변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위치 변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가속도율 변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현재 커뮤니케이션 상태의 변화(예컨대, 모바일 컴퓨팅 장치(2) 상에서의 데이터 수신으로부터 모바일 컴퓨팅 장치(2) 상의 전화 통화로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현재 방향의 변화(예컨대, 모바일 컴퓨팅 장치(2)가 회전하거나 도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각운동량의 측정된 변화), 모바일 컴퓨팅 장치(2)를 둘러싼 현재 환경의 변화(예컨대, 온도, 압력 등의 변화),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발견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발견은 그 다른 모바일 컴퓨팅 장치들과 ("Wi-Fi"나 블루투스 무선 연결 기술과 같은) 네트워크 연결을 실제로 수립하지 않고도 가능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루틴(300)은 동작(305)로부터 동작(310)으로 계속되는데, 여기서 모바일 컴퓨팅 장치(2)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수신된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를 규칙(50)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52)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표시 서버(70)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이 위에서 언급된 비교를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센서(40)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는 모바일 컴퓨터 장치(2)가 뒤집혔음(예컨대, 뒤집힘)을 표시할 수 있고, 그러면 메시징 애플링케이션 (34) 또는 (74)는 규칙(50)에 액세스하여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현재 상태에 대한 매칭이나 적절한 규칙을 검색할 것이다. 예를 들어, 규칙(50)은 만약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위아래가 뒤집혔다면,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52)는 "방해하지 마시오"라고 기술하는 (즉, 온라인 존재 상태가 "방해하지 마시오"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으나, 만약 모바일 컴퓨터 장치(2)가 오른쪽을 위로하고 불이 꺼졌다면(예컨대,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광센서가 주변광이 없음을 발견한다면),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52)는 "불가능"일 수 있고(즉, 온라인 존재가 "불가능"으로 설정되어야 하고), 만약 모바일 컴퓨터 장치(2)가 오른쪽을 위로하고 불이 켜졌다면,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52)는 "가능"(즉, 온라인 존재가 "가능"으로 설정되어야 함)일 수 있다. 위에 설명한 예시적인 규칙들은 완전한 것이 아니며 이와 다른 규칙들도 수신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규칙들은 시스템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이나 장치 사용으로부터 학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루틴(300)은 동작(310)으로부터 동작(315)으로 계속되는데, 여기서 모바일 컴퓨터 장치(2)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사용자 온라인 존재(72)를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52)로 업데이트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표시 서버(70)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이 위에서 언급된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동작(310)에서 논의된 이전 예시를 사용하면, 만약 모바일 컴퓨터 장치(2)가 뒤집혔다면, 온라인 존재(72)는 "방해하지 마시오"로 업데이트가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존재(72)는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센서(40)의 능동적 혹은 수동적 사용 중의 하나에 의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것처럼, 사용자가 온라인 존재 상태(52)의 매칭을 개시하고 온라인 존재(72)의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 장치를 뒤집거나(flipping), 돌리거나(turning), 회전시키는(spinning) 것에 의해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상태를 물리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역으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 또는 (74)는 모바일 컴퓨터 장치가 현재 사용자의 수중에 있거나 사용자에게 가깝다는 전제에 기초하여 센서(40)에 의해 수신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라인 존재(52)를 수동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지리학적 위치는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위치 데이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규칙(50)은 사용자의 직장과 관련된 지리학적 위치를 저장하고 만약 모바일 컴퓨터 장치(2)가 저장된 지리학적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지면 사용자의 온라인 존재가 "불가능 또는 퇴근했음"으로 설정되어야 한다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존재(72)는 위에서 언급한 규칙에 기초하여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나 (74)에 의해 수동적으로 "불가능 또는 퇴근했음"으로 업데이트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존재(72)는 규칙(50)의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52)와 연관된 가속도율, 거리 및/또는 시간 임계값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온라인 존재(72)를 설정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칙(50)은 사용자가 자주 운전을 한다는 사용자 선호에 기초하여 만약 모바일 컴퓨터 장치(2)가 움직이면(에컨대, 가속도율이 센서(40)에 의해 탐지되면), 사용자의 온라인 존재를 "바쁨, 불가능 또는 운전중"으로 설정하도록 규정할 수 있다. 그러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 또는 (74)는 자동으로 위에 언급된 규칙에 기초하여 온라인 존재(72)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규칙(50)은 역사적인 존재 정보에 기초한 휴리스틱스(heuristics)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장에서 자신의 집으로 가고 있다고 결정하고, 온라인 존재가 사용자가 집이나 다른 위치에 도달한 후에만 (예컨대, 모바일 컴퓨터 장치(2)가 사용자의 집 또는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것) 업데이트 될 수 있다고 규정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집이나 다른 시간에 특정 시간 임계값 이상 머무른 후에만 업데이트될 수 있다고 규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 또는 (74)는 위에 언급된 규칙을 기초하여 자동으로 온라인 존재(72)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규칙(50)은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제한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규칙(50)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 또는 (74)에게 (비록 그 기능이 모바일 컴퓨터 장치(2)에 의해 지원되더라도) 보이스 컨퍼런싱을 허용하지 말라는 등의 특정한 커뮤니케이션을 제한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는 규칙(50)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 또는 (74)에게 수신된 센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한 커뮤니케이션 모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자동으로 지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커뮤니케이션 선호(76)는 사용자가 집에 있는 동안 "IM을 대신하는 이메일"과 같이, 다른 커뮤니케이션보다 특정 모드를 선호하도록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규칙(50)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사용자와 커뮤니케이팅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개시하는 상대방 (예컨대 클라이언트 컴퓨팅 장치(6))에게 대체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규칙(50)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 또는 (74)에게, 커뮤니케이션을 개시하는 상대방에게, (수신된 센서 가속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사용자가 운전중일 때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IM을 대신하는 음성통화"를 권장하도록 (예컨대, 클라이언트 컴퓨터 장치(6)의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내는 것에 의해) 지시할 수 있다.
루틴(300)은 동작(315)로부터 동작(320)으로 계속되는데, 여기서 모바일 컴퓨터 장치(2)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전의 사용자 온라인 존재를 복구(restore)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표시 서버(70)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이 위에서 언급된 동작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사용자는 모바일 컴퓨터 장치(2)에 대하여 만들어진 이전의 액션(예컨대 뒤집기(flipping), 돌리기(turning) 또는 회전시키기(spinning))을 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 온라인 상태를 "불가능"에서 "가능"으로 변경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컴퓨터 장치(2)를 위쪽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오른쪽을 위로한 상태로 돌리는 것에 의해 이전의 온라인 존재(76)를 복구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오른쪽이 올라간 상태는 "가능"에 매칭되는 규칙(50)의 온라인 존재 상태(52)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루틴(300)은 동작(320)으로부터 동작(325)로 계속되는데, 여기서 모바일 컴퓨터 장치(2)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34)은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에 기초한 사용자 커뮤니케이션 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표시 서버(70)에서 실행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74)이 위에서 언급된 동작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34) 및 (74)는 의 사용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선호(76)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부재중" 또는 "휴가중"을 포함하는 자동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다른 사용자들이 모바일 컴퓨터 장치(2)의 사용자가 마을을 떠나있거나 휴가중임을 알고 빠른 답변을 기대할 경우 다른 동료들에게 이메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선호(76)의 자동 설정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2)의 위치가 사용자의 직장으로부터 특정한 임계값 이상 떨어져 있다는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모바일 장치 상태 변화 데이터(60) 및/또는 모바일 장치 변화율 데이터(62)로부터의 판단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선호(76)의 설정은 사용자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선호 변화를 승인하는 피드백을 생성 및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자동 응답 내에 사용자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루틴(300)은 동작(325)에서 종료된다.
비록 본 발명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후술할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어떤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오히려 오로지 후술할 청구항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7)

  1.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센서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존재 상태(online presence) 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상태 변화 데이터 및 변화율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상기 상태 변화 데이터 및 변화율 데이터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를 일군의 규칙들(a set of rules)의 집합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규칙들의 집합은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와 연관된 복수의 온라인 존재 상태들을 기술함 - 및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온라인 존재를 상기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존재 상태 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상기 모바일 컴퓨터 장치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상태 변화 데이터 및 변화율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신된 주변 밝기의 변화,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위치의 변화,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가속도율(rate of acceleration)의 변화,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현재 커뮤니케이션 상태의 변화,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현재 방향의 변화,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둘러싼 현재 환경의 변화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발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존재 상태 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온라인 존재를 상기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존재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센서들을 수동적으로(passively)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존재 상태 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온라인 존재를 상기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존재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센서들을 능동적으로(actively)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존재 상태 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존재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센서들을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이전의 온라인 존재 상태를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존재 상태 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온라인 존재를 상기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되는 온라인 존재 상태와 연관된 가속도율, 위치 및 시간 임계값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존재를 불가능 상태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상기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상기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한 대체(alternative)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커뮤니케이션을 개시하는 상대방(a communication initiating party)에게 제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존재 상태 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상태 변화 데이터 및 변화율 데이터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선호(communication preference)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존재 상태 표시를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137015191A 2010-12-16 2011-12-07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사용자 가용성 향상 KR101931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0,020 2010-12-16
US12/970,020 US20120158943A1 (en) 2010-12-16 2010-12-16 Augmenting Personal Availability Using a Mobile Device
PCT/US2011/063741 WO2012082490A2 (en) 2010-12-16 2011-12-07 Augmenting personal availability using a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416A true KR20130128416A (ko) 2013-11-26
KR101931393B1 KR101931393B1 (ko) 2019-03-13

Family

ID=4623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191A KR101931393B1 (ko) 2010-12-16 2011-12-07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사용자 가용성 향상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20120158943A1 (ko)
EP (1) EP2652926B1 (ko)
JP (1) JP2014506043A (ko)
KR (1) KR101931393B1 (ko)
CN (1) CN102594722B (ko)
AR (1) AR084269A1 (ko)
AU (1) AU2011341408B2 (ko)
BR (1) BR112013015244A2 (ko)
CA (1) CA2820879C (ko)
CL (1) CL2013001721A1 (ko)
CO (1) CO6731118A2 (ko)
HK (1) HK1171298A1 (ko)
IL (1) IL226724B (ko)
MX (1) MX2013006821A (ko)
MY (1) MY171444A (ko)
NZ (1) NZ611977A (ko)
RU (1) RU2604428C2 (ko)
SG (2) SG10201509931UA (ko)
TW (1) TW201238299A (ko)
WO (1) WO2012082490A2 (ko)
ZA (1) ZA2013039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1115B2 (en) * 2010-06-26 2013-12-03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tate information and remote command execution in a managed media device
US20120284208A1 (en) * 2011-05-06 2012-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or Methods For Delivering Notifications O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30203400A1 (en) * 2011-11-16 2013-08-08 Flextronics Ap, Llc On board vehicle presence reporting module
US9736781B2 (en) * 2012-09-26 2017-08-15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points of interest within a geofence
US20140171132A1 (en) 2012-12-14 2014-06-19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peating Alarms and Notifications in Response to Device Motion
US10447844B2 (en) 2012-12-14 2019-10-1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tting alarms and notifications
US9210566B2 (en) 2013-01-18 2015-12-0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peration of notifications based on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level
KR102193619B1 (ko) * 2013-07-01 202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디바이스
JP5947767B2 (ja) * 2013-09-18 2016-07-0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20150095835A1 (en) * 2013-09-30 2015-04-02 Kobo Incorporated Providing a user specific reader mode on an electronic personal display
US9462438B2 (en) * 2013-11-14 2016-10-04 Google Inc. Do-not-disturb modes
US10362121B1 (en) * 2014-07-10 2019-07-23 Mitel Networks, Inc. Communications path verification
CN105338184A (zh) * 2015-10-29 2016-02-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拨打电话的方法及装置
US10484534B2 (en) 2016-01-04 2019-11-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cson (Publ) Methods of operating a user device in a user device group and related user devices and control servers
TWI682293B (zh) * 2017-01-19 2020-01-11 香港商阿里巴巴集團服務有限公司 即時消息的提醒方法和裝置
JP7023769B2 (ja) * 2018-03-28 2022-02-2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処理システム
US10854066B2 (en) 2018-04-12 2020-12-01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abling sleep alarm based on automated wake det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0117A1 (en) * 2003-06-27 2006-08-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presence statu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3412B2 (ja) * 1999-12-13 2004-02-0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状況伝達システム
US7606866B2 (en) * 2003-02-14 2009-10-20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ssenger assistant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S7455590B2 (en) * 2003-05-09 2008-11-25 Microsoft Corporation Sending messages in response to events occurring on a gaming service
US7881444B2 (en) * 2004-05-26 2011-02-0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mail service using presence status in packet data messaging system
US7593984B2 (en) * 2004-07-30 2009-09-22 Swift Creek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harmonizing changes in user activities, device capabilities and presence information
JP4507992B2 (ja) * 2005-06-09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13616A (ja) * 2005-06-30 2007-01-18 Docomo Technology Inc プレゼンス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7633076B2 (en) * 2005-09-30 2009-12-15 Apple Inc.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WO2007141804A1 (en) * 2006-06-06 2007-12-13 Sanjiv Agarwal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nd receiving calls with urgency tags
JP4445946B2 (ja) * 2006-07-21 2010-04-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プレゼンス管理サーバ及びプレゼンス管理方法
US7831262B2 (en) * 2006-08-03 2010-11-0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presence for an online service with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based on movement
JP5245230B2 (ja) * 2006-09-07 2013-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状況通知装置、状況通知装置の状況通知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状況通知装置の状況通知制御方法
US20080184170A1 (en) * 2007-01-16 2008-07-31 Shape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for displaying status of measurements from sensors
US20080242231A1 (en) 2007-03-29 2008-10-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pdating Presence Based on Detecting User Activity
JPWO2008155858A1 (ja) * 2007-06-21 2010-08-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サーバ、及びプレゼンス配信システム
US8600391B2 (en) * 2008-11-24 2013-12-03 Ringcentral, Inc. Call management for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20090153490A1 (en) * 2007-12-12 2009-06-18 Nokia Corporation Signal adaptation in response to orientation or movement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090258674A1 (en) 2008-04-10 2009-10-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presence information
US20130237287A1 (en) * 2009-06-16 2013-09-12 Bran Ferren Electronic device using status awareness
JP2009284501A (ja) * 2009-07-08 2009-12-03 Panasonic Corp プレゼンス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8502837B2 (en) * 2010-03-04 2013-08-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components on an electronic device using orientation data
US8311522B1 (en) * 2010-09-28 2012-11-13 E.Digit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0117A1 (en) * 2003-06-27 2006-08-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presence st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8299A (en) 2012-09-16
NZ611977A (en) 2015-04-24
RU2013127236A (ru) 2014-12-20
MX2013006821A (es) 2013-08-26
ZA201303998B (en) 2014-08-27
RU2604428C2 (ru) 2016-12-10
CA2820879C (en) 2018-05-01
CL2013001721A1 (es) 2013-11-29
IL226724B (en) 2018-02-28
AU2011341408A1 (en) 2013-07-04
CN102594722B (zh) 2016-05-04
EP2652926A2 (en) 2013-10-23
AR084269A1 (es) 2013-05-02
CO6731118A2 (es) 2013-08-15
CA2820879A1 (en) 2012-06-21
WO2012082490A3 (en) 2012-09-20
SG191009A1 (en) 2013-07-31
MY171444A (en) 2019-10-15
US20120158943A1 (en) 2012-06-21
BR112013015244A2 (pt) 2016-09-13
KR101931393B1 (ko) 2019-03-13
JP2014506043A (ja) 2014-03-06
HK1171298A1 (zh) 2013-03-22
WO2012082490A2 (en) 2012-06-21
EP2652926A4 (en) 2014-06-18
CN102594722A (zh) 2012-07-18
EP2652926B1 (en) 2017-12-06
SG10201509931UA (en) 2016-01-28
AU2011341408B2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393B1 (ko)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사용자 가용성 향상
KR100899911B1 (ko) 컨택트 및 메타데이터 유지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9544409B2 (en) Automated caller identifier from contact lists of a user's contacts
US9686368B2 (en) Aggregating endpoint capabilities for a user
EP24269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contacts into an instant messaging interface
US9288638B2 (en) Social networking of mobile devices
KR101785899B1 (ko) 인-콜 접촉 정보 디스플레이
US10200338B2 (en) Integrating communication modes in persistent conversations
US8583750B1 (en) Inferring identity of intended communication recipient
KR20040054526A (ko) 가상 온라인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메커니즘
US9578602B1 (en) Device aware social graphs
JP2016207210A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利用した揮発性メッセージ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端末
CN111770011A (zh) 风险提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191917A1 (en) Cross-platform multi-transport remote code ac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