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526A - 가상 온라인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가상 온라인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526A
KR20040054526A KR1020030092265A KR20030092265A KR20040054526A KR 20040054526 A KR20040054526 A KR 20040054526A KR 1020030092265 A KR1020030092265 A KR 1020030092265A KR 20030092265 A KR20030092265 A KR 20030092265A KR 20040054526 A KR20040054526 A KR 2004005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computing system
server computing
information
data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프펠다렌알렉산더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5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서비스를 유용하게 하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무선 장치가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접속되지 않더라도, 이메일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여 외견상 온라인 경험을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커니즘. 이는 모바일 착신이든지 모바일 발신이든지 온라인 경험을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정보를 신속하게 통신함으로써 달성된다. 데이터 접속이 현재 설정되어 있으면, 정보는 그 데이터 접속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정보(또는 그 일부)는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SMS와 같은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통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온라인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메커니즘{MECHANISMS FOR SUPPORTING A VIRTUAL ON-LINE MOBILE ENVIRONMENT}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장치가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 계속 접속될 필요없이 가상 온라인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기술은 사람들의 작업 및 오락 방식에 혁명을 가져 왔으며 인류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현재의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용 휴대 단말(PDA), 그리고 심지어 이동 전화 및 장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형태로 다가온다. 랩탑 컴퓨터, PDA, 및 무선 전화기와 같은 많은 종래의 모바일 무선 장치는 정보를 액세스하여 심지어 이동 중일 때에도 네트워크 지향 작업(network oriented tansk)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예를 들어, 이들 모바일 무선 장치 중 다수는 웹 서핑, 이메일 통신, 인스턴트 메시징 등과 같은 네트워크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통상, 실시간으로 이러한 네트워크 지향 애플리케이션에 참가하기 위해서, 풍부한 네트워크 경험이 소망되면, 무선 장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것이다. 접속 중에, 무선 장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심지어 인터넷상의 다른 컴퓨팅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이는 관련 사용자들에게는 매우 편리한 것이다.
본 명세서와 청구항 전체에 걸쳐서,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connected)"이라는 것은 캐리어 네트워크에 "액티브 데이터 세션을 설정함"으로서 정의된다. 무선 장치는 캐리어 네트워크에 액티브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지 못한 경우, 비록 그 장치가 액티브 데이터 세션의 사용없이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더라도, 그 장치는 본 명세서와 청구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SMS 메시지는 액티브 데이터 세션의 사용없이 그에 따라 접속없이 송수신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은 결함이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접속되지 않거나 대기 모드일 경우에 사용되는 경우보다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경우에 보다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통상, 액티브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는 것은 보다 많은 전송과 처리 전력을 요구한다. 무선 장치가 자체 바테리 전력으로 동작하면, 바테리는 무선 장치가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보다 훨씬 빨리 방전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속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보다 빈번하게 배터리를 충전 및/또는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부담하게 된다. 몇몇 경우에는, 사용자가 배터리 재충전 수단 및/또는 교체 배터리에 액세스할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무선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더욱이, 종종, 캐리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시간은 캐리어가 사용자에게 그 서비스에 대하여 얼마나 청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데 주요 요인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접속 시간은 무선 장치를 작동하는 데 있어 보다 높은 비용을 의미한다.
또한, 모든 캐리어 "셀"(캐리어 송신기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은 대역 제한으로 인해 한정된 개수의 접속가능 액티브 채널을 가진다. 종종, 이들 채널은 특히 셀 내의 전화기 대 액티브 셀 채널의 비가 높은 경우, 귀중한 필수품이다. 많은 접속이 유지될 때, 셀은 용량에 도달하여, 통화가 그 셀에 의해 커버되는 전화에 발신 또는 착신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접속의 사용은 모든 셀의 용량 증축 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데이터 서비스의 광범위한 전개를 방해할 수 있다. 더욱이, 접속 수요가 공급보다 클 경우, 통상, 캐리어 성능은 열화되어 통화 끊김이 발생하고, 주문형 통화를 수신 또는 수행할 수는 없게 된다. 또한, 보다 많은 접속 용량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비싸고 힘든 작업이다. 더 많은 용량은 새로운 셀 사이트를 발견하고, 그 사이트를 사용하기 위한 승낙을 얻으며, 비싼 하드웨어를 배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데 이들 여러 장애 요소에도 불구하고,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것은(즉, 캐리어 네트워크에 액티브 세션을 설정함) 실시간으로 많은 네트워크 지향 작업을 이행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의 전체 목적은 개인들로 하여금 "즉시" 적어도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통신할 수 있게 하여 실시간 전자 텍스트 대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종래, 캐리어 네트워크에 일정한 액티브 데이터 세션이 없으면, 새로운 메일을 즉시 통지받을 수 없고, 즉시 메일을 송신,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 참여 정보(presence information)를 즉시 갱신, 그리고 갱신된 참여 정보를 수신 등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규칙적으로 "폴링" 또는 점검하는 것(5 내지 15분 마다)과 같은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을 갖는 대안이 있다. 이 기술은 즉각적인 반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인스턴트 메시징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비효율적이다. 다른 대안은 장치에 실시간 경보(alert)를 전송하는 "WAP" 경보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보에 대하여 동작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임의의 동작을 완료하는 동안 지속적인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는 브라우저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지향 작업이 발생하는 세션 동안, 캐리어 네트워크에 액티브 데이터 세션이 설정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실시간 네트워크 지향 작업을 이행하는 방식이 유리하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용이하게 하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무선 장치가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항상 접속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외관상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온라인 경험(on-line experience)을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해 해결된다. 모바일 사용자는 그를 바라보는 사용자들에 온라인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즉, 서비스는 접속이 끊기더라도 모바일 데이터 세션의 지속을 시뮬레이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심지어 지속적인 캐리어 네트워크 접속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실시간 전자 텍스트 대화가 발생하는 (그리고 참여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에 참여할 수 있다. 이메일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접속 시간은 감소되기 때문에, 무선 장치의 배터리 수명이 연장될 수 있으며, 통상, 네트워크 서비스에 참여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캐리어 비용은 보다 낮아질 것이다. 더욱이, 네트워크 용량이 보존된다.
서버 컴퓨팅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컴퓨팅 시스템으로의 모바일 착신 정보를 통신하는 경우,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사용자는 어떤 정보가 실시간으로 통신되어야 하는지, 어떤 정보가 서버와의 다음 데이터 접속이 오픈될 때가지 대기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선택권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이메일은 실시간 통신용으로 지정될 수 있다. 특정 접점(contact)으로부터의 정규 이메일은 실시간 통신용으로 지정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접점으로부터의 이메일은 데이터 접속이 오픈될 때가지 대기할 수 있다. 통상, 네트워크 서비스가 인스턴트 메시징이면, 인커밍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참여 정보에 대한 갱신은, 무선 장치의 외관을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유지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으로 사인된 것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무선 장치에 실시간으로 실제 통신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메일이면, 서버 컴퓨팅 시스템이 새로운 이메일을 수신했을 때, 이메일 자체 뿐만 아니라 이메일의 통지도, 이메일 서버에 무선 장치가 사인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무선 장치에 실시간으로 통신될 수 있다.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무선 장치가 서버에 사인되었는 것으로 판정한다.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무선 장치가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현재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 서비스에 사인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통상, 무선 장치는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필요가 있으며, 네트워크 서비스에 사인되기 위해서 서버에 액티브 데이터 접속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에 사인되었지만 아직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현재 데이터 접속을 갖지 않으면,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무선 장치가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무선 장치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 종종, 단일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는 전송 메커니즘 보다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에 있어서 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문 서비스(SMS)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텍스트 메시지를 허용한다. 반면, GPRS 또는 종래의 회선 교환 전송 메커니즘을 통해 통신되는 메시지는 보다 큰 메시지를 허용할 수 있다.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할 정보가 충분히 작으면, 정보는 전송 메커니즘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지와 참여 정보에 대한 갱신은 통상 작은 메시지이다. 따라서,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무선 장치를 무선 캐리어 네크워크에 어떠한 접속을 하게 할 필요없이 온라인 경험을 사용자에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반면, 온라인 경험을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정보는 보다 큰 이메일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아마, 이메일의 단지 일부(예를 들어, 헤더 정보 및 이메일 본분의 첫 부분)이 SMS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무선 장치에게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여 이메일의 나머지를 검색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장치가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데이터 접속을 갖지 않으면,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온라인 경험을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서 오픈 데이터 접속을 단순히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장치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정보(예를 들어, 아웃고잉 인스턴트 메시지, 참여 정보 또는 이메일)를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무선 장치(특히,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는 정보를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통신하기 위한최적의 전송 메커니즘을 지능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미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였으면, 무선 장치는 단순히 그 데이터 접속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데이터 접속이 없으면, 무선 장치는 무선 장치가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SMS와 같은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장치는 정보의 전송비, 정보의 전달 속도 뿐만 아니라 전송 메커니즘을 언제 사용할지, 캐리어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서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할지 등의 캐리어와의 현재의 서비스 규약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착신이든 모바일 발신이든, 온라인 경험의 외관을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정보는 무선 장치가 정보가 전송될 때 네트워크에 현재 접속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통신될 수 있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정보는 적절한 시점에 수신됨으로써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지속적인 접속을 갖는 무선 장치의 대략적인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그 일부가 명확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습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에 의해 특히 지적되는 도구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명확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습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적합한 운영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통신하는 무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온라인 사용자 경험을 지원하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온라인 사용자 경험을 지원하는 무선 장치에 대한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컴퓨터 시스템 120: 처리부
140: 시스템 메모리 210: 무선 장치
220: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 230: 서버 컴퓨팅 시스템
본 발명의 원리는, 무선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를 용이하게 하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항상 접속되지 않는 경우에도 네트워크 서비스로 외관상 온라인 경험을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정보가 무선 장치에 인바운드(in-bound)인지(이하, "모바일-착신"이라 함),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아웃 바운드(out-bound)인지(이하, "모바일-발신"이라 함)에 따라 온라인 경험을 유지하기를 원하는 실시간 정보를 통신함으로써 달성된다.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현재 설정되어 있으면, 정보는 그 데이터 접속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접속이 캐리어 네트워크에 설정되지 않으면, 정보(또는 그 일부)는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SMS와 같은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통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여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입수가능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를 들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데이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는 물리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로의 다른 통신 접속(유선, 무선, 또는 유선과 무선의 조합)을 통해 전송되거나 제공되는 경우, 컴퓨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접속을 적절하게 간주한다. 따라서, 임의의 이러한 접속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절하게 지칭된다. 상기의 조합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주내에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특정 목적 컴퓨터 또는 특정 목적 처리 장치가 특정 함수 또는 함수 그룹을 이행하게 하는 임의의 명령 또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예를 들어, 어셈블리어, 심지어 소스 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일 수 있다.
도 1과 후술하는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략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비록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될 수 있다. 통상, 프로그램 모듈은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콤포넌트, 데이터 구조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특정 작업을 이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형을 구현한다.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에 관련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여기서 개시되는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적절한 운영 환경은 컴퓨터 시스템(100)의 형태에서 범용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여기서 개시되는 동작을 이행하는 데 적합한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또는 소형의 모바일 장치의 경우,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70)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기 위해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70)에 결합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데이터 또는 입력 장치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이러한 결합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비디오 출력 신호를 외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비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컬러 또는 흑백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또는 함께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공된 비디오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비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5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소형의 모바일 장치의 경우, 비디오 출력 인터페이스는 보다 소형의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유사하게, 컴퓨터 시스템(100)은 오디오 출력 신호를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스피커 또는 사운드 데이터를 내보낼 수 있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또는 함께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은 제공된 오디오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30)에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복잡하고 유연한 범용 처리 성능을 가능하게 하는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처리부(120)는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실행한다. 처리부(120)는 시스템 버스(110)에 결합되며, 이는 또한 시스템 메모리(140)를 포함하는 여러 다른 시스템 콤포넌트에 상호접속한다.
시스템 메모리(140)는 광범위한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일반적으로 나타내며 상술한 메모리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특정 유형은 본 발명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시스템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141),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2), 다른 프로그램 모듈(143), 및 프로그램 데이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대형 스토리지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기입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대형 스토리지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대형 스토리지 장치는 데이터의 판독 및 기입을 할 수 있도록 대형 스토리지 인터페이스(160)에 결합될 수 있다. 대형 스토리지 장치가 대형 스토리지 인터페이스(160)에 결합되는 경우, 운영 시스템(14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2), 다른 프로그램 모듈(143) 및 프로그램 데이터(14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이 대형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소형의 모바일 장치는 임의의 이러한 대형 스토리지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사내 또는 범사내 컴퓨터 네트워크, 인트라넷, 인터넷 및/또는 캐리어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컴퓨터 시스템(100)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0)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이러한 네트워크 상에서 원격 프로세서 시스템 및/또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지만, 임의의 컴퓨팅 시스템이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과 청구 범위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이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 콤포넌트 또는 콤포넌트들로서 폭넓게 정의된다. 컴퓨팅 시스템의 예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용 휴대 단말(PDA), 전화기, 또는 처리 성능을 갖는 임의의 다른 시스템 또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가 동작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200)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환경(200)은 무선 컴퓨팅 시스템(210)을 포함한다(이하, 무선 장치(210)로 지칭함). 무선 장치(210)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220)를 통해 서버 컴퓨팅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컴퓨팅 시스템" 또는 "무선 장치"는 그 컴퓨팅 시스템이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통신할 수 있더라도,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정의된다.
무선 장치(210)는, 우선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220)에 접속을 설정하고(즉,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220)와 액티브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고) 그 후, 잠재적인 여러 전송 프로토콜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서버 컴퓨팅 시스템(230)과 데이터 접속을 설정함으로써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220)를 통해 서버 컴퓨팅 시스템(230)에 통신할 수 있다. 설명된 예에서, 서로 다른 세 유형의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다른 세개의 데이터 접속이 가능하다. 데이터 접속은 데이터 접속(241,242, 및 24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접속(241)은 GPRS 데이터 접속일 수 있으며, 데이터 접속(242)은 회선 교환 데이터 접속일 수 있으며, 데이터 접속(243)은 무선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WCDMA)와 같은 패킷 교환 데이터 접속일 수 있다. 데이터 접속(241,242,243)은 서로 다른 유형이지만, 데이터 접속이 설정될 수 있기 전에 우선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220)에 대한 접속이 설정되는 것을 요구하는 공통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시간에 대하여, 통상의 사용하는 전송 메커니즘의 유형은 본 발명의 원리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반면, 무선 장치(210)는 정보를 통신할 수 있기 전에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251)을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메커니즘의 일 예는 단문 서비스(SMS)이다.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종래에 사용된 전송 메커니즘은 본 발명의 원리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시간에 대하여 진화할 수 있다.
무선 장치(210)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또는 이메일 서비스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에 사인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네트워크 서비스와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무선 장치(210)는 세션의 전체 구간 동안 데이터 접속을 오픈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무선 장치(210)와 서버 컴퓨팅 시스템(230)은 서로 협력하여, 무선 장치(210)가 서버 컴퓨팅 시스템(230)과 오픈 데이터 접속을 항상 유지하는지에 관계없이 사인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경험을 사인된 무선 장치(2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온라인 경험은, 온라인 경험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모바일 착신 정보와 모바일 발신 정보가 현재 오픈된 데이터 접속이 있는지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통신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서버 컴퓨팅 시스템(230)으로부터 무선 장치(210)로 통신되어야 하는 인커밍 정보에 대한 온라인 경험을 지원하는 방법(300)을 나타낸다. 방법(300)은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무선 장치에 수신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기능적이고 결과 지향적인 단계(단계 310)를 포함한다. 이 기능적이고 결과 지향적인 단계는 이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대응 동작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단계는 대응 동작(311,313 및 314)을 포함한다.
특히, 단계 310은,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비스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이면, 정보는 모바일 착신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갱신된 참여 정보일 수 있다. 반면에,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메일 서비스이면, 정보는 수신된 이메일 또는 그의 통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어떤 정보가 실시간으로 통신되어야 하는지, 어떤 정보가 다음의 데이터 접속이 서버와 오픈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선택권이 부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이메일은 실시간 통신용으로 지정될 수 있다. 특정 접점으로부터의 정규 이메일은 실시간 통신용으로 지정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접점으로부터의 이메일은 데이터 접속이 오픈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사용자 선호는 정보가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할 때 참조될 수 있다.
데이터 접속이 이용가능하지 않으면(판정 블록(312)에서 아니오),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현재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무선 장치가 서버에 사인되었다고(동작 313) 식별한다. 그 후,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무선 장치가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무선 장치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다(동작 314). 이러한 전송 메커니즘의 일 예는 SMS이다. 몇몇 경우에서, 모든 정보가 그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된 참여 정보는 통상 단일 SMS 메시지에 적합하기에 충분히 짧은 텍스트 스트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큰 이메일과 같은 다른 정보는 단일 SMS 메시지로 표현될 수 없다. 따라서, 아마 단지 헤더 정보와 이메일의 일부만이 SMS 메시지에 포함된다.
전체 정보보다 적은 정보가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되면, 무선 장치는 데이터 접속이 설정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모든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 입력을 탐지할 수 있으며, 동기화된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적으로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신되며(동작 315), 이에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데이터 접속을 협력하여 설정하며(동작 316), 그 후, 무선 장치에 데이터 접속을 통해 수신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제공한다(동작 317). 정보의 나머지 부분은 나머지 정보에 대한 요청을 예상하여 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큐의 사용자는 통상 정보가 비교적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완전 동기화는 장치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접속하지 않을 경우 방지될 수 있다.
정보가 무선 장치에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동작 311), 이용가능한 데이터 접속이 있으면,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그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정보를 대신 전송할 수 있다(동작 318). 따라서,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바일 착신 정보는 무선 장치가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 현재 접속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수신된다. 무선 장치가 접속되면, 정보는 예측대로 데이터 접속을 통해 신속하게 수신된다. 그러나, 무선 장치가 접속되지 않으면, 정보는 전체적으로 무접속 전송 메커니즘(connectionless transport mechanism)을 통해 또는 데이터 접속을 신속하게 설정한 후에 보다 신속하게 수신된다.
도 4는 모바일 발신 정보에 대한 온라인 경험을 지원하는 방법(400)을 나타내며, 무선 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무선 장치는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우선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무선 장치로부터 서버 컴퓨팅 장치로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한다(동작 411). 서비스가 인스턴트 메시지이면, 정보는 모바일 발신 인스턴트 메시지이거나 갱신된 참여 정보일 수 있다. 서비스가 이메일이면, 정보는 사용자가 즉시 전송되어야 한다고 표시한 이메일일 수 있다.
서비스(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신저 또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정보를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전송할 때 사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송 메커니즘 중에서 하나의 전송 메커니즘을 선택한다(동작 412).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정보는 그 전송 메커니즘에 허용가능한 포맷(예를 들어, 텍스트이거나 전송 메커니즘이 SMS일 때 텍스트로서 쉽게 인코딩 가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무접속 전송 메커니즘은 정보가 단일 메시지를 통신하기에 충분히 작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된 참여 정보는 텍스트로서 표현될 수 있으며, 단일 SMS 메시지에 대한 깊이 제한 내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갱신된 참여 정보(또는 매우 짧은 이메일)은 무접속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비용은 어떤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지를 판정하는 데 요인이 될 수 있다.
무접속 전송 메커니즘은 또한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에 참가하는 동안, 인커밍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전화 통화의 설정은 무선 장치의 성능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종종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장치는 SMS를 통해 갱신된 참여 정보를 전송하여 무선 장치의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에 대하여 수신가능하는 것으로 반영한다(전화 통화에 의해 선점되기 때문에).
물론, 또한, 무선 장치는, 비용이 타당하거나/타당하고 무접속 전송 메커니즘을 통해 정보를 전송할 방법이 없으면, 예를 들어, GPRS, 회선 교환, 또는 패킷 교환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는 전송 메커니즘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정보가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송되면(동작 413), 온라인 경험에 있어서 필수적인 정보가 신속하게 전송되고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것과 같이 여전히 체감할 수 있으면서, 무선 장치는 데이터 접속을 끊고, 캐리어 네트워크로부터 접속해제하는 선택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또는 이메일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에 사인되어 계속 참여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온라인 경험에 관련되는 캐리어 비용을 줄이면서, 무선장치 사용자의 온라인 경험이 유지된다.
본 발명은 그 정신과 필수적인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에는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모든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닌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나타낸다. 청구항의 의미와 균등 범위의 내에 있는 모든 변화는 그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지향 작업이 발생하는 세션 동안, 캐리어 네트워크에 액티브 데이터 세션이 설정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실시간 네트워크 지향 작업을 이행할 수 있다.

Claims (47)

  1. 서버 컴퓨팅 시스템 및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 사이를 중재하는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우선 설정하여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할 수 있음-,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접속되어야 할 필요없이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지속적으로 온라인 접속된 것으로 보이기 위해서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무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교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현재 설정된 데이터 접속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서비스에 사인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액티브 데이터 세션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정보의 일부의 미리보기(preview)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정보는 상기 전체 수신 정보 보다 적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 후에,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려는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장치와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데이터 접속을 통해 상기 무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큐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는,
    인스턴트 메시징 참여 정보(instant message presence information)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는,
    새롭게 수신된 이메일의 통지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메일 서비스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는,
    새롭게 수신된 이메일이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메일 서비스인 방법.
  10. 서버 컴퓨팅 시스템 및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 사이를 중재하는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우선 설정하여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접속되어야 할 필요없이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지속적으로 온라인 접속된 것으로 보이기 위해서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무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교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구현함-,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여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현재 설정된 데이터 접속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서비스에 사인된 것으로 판정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및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무선 장치에 전송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는 시스템 메모리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는 영구 스토리지 매체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정보는 상기 전체 수신 정보 보다는 적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한 후에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려는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의 요청의 수신을 탐지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상기 무선 장치와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및
    상기 수신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데이터 접속을 통해 상기 무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더 구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무선 장치에 전송되게 하는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전송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인스턴트 메시지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인스턴트 메시징 참여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새롭게 수신된 이메일의 통지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메일 서비스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새롭게 수신된 이메일이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메일 서비스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서버 컴퓨팅 시스템 및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 사이를 중재하는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우선 설정하여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할 수 있음-,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접속되어야 할 필요없이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지속적으로 온라인 접속된 것으로 보이기 위해서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무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교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상기 무선 장치에 수신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려는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장치와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데이터 접속을 통해 상기 무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상기 무선 장치에 수신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설정된 현재의 데이터 접속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서비스에 사인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서버 컴퓨팅 시스템 및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 사이를 중재하는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우선 설정하여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할 수 있음-,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접속되어야 할 필요없이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지속적으로 온라인 접속된 것으로 보이기 위해서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무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교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장치에 현재의 액티브 데이터 세션이 있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데이터 접속을 통해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서버 컴퓨팅 시스템 및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 사이를 중재하는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우선 설정하여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할 수 있음-,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접속되어야 할 필요없이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지속적으로 온라인 접속된 것으로 보이기 위해서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무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교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제1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서비스에 사인되어 상기 무선 장치에 설정된 데이터 접속을 갖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접속을 통해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제2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에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후에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설정된 현재의 데이터 접속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서비스에 사인됨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에 접속을 갖는 요구하지 않는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장치에 상기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메커니즘은 SMS 전송 메커니즘인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은 GPRS 데이터 접속인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은 회선 교환 데이터 접속인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은 패킷 교환 데이터 접속인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은 GPRS 데이터 접속인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은 회선 교환 데이터 접속인 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은 패킷 교환 데이터 접속인 방법.
  31. 제23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2. 서버 컴퓨팅 시스템 및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 사이를 중재하는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우선 설정하여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할 수 있음-,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접속되어야 할 필요없이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지속적으로 온라인 접속된 것으로 보이기 위해서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참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으로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상기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전송 메커니즘 중에서 하나의 전송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메커니즘은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과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함-; 및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은 SMS 전송 메커니즘인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은, GPRS, 회선 교환 전송 메커니즘, 및 패킷 교환 전송 메커니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은, GPRS, 회선 교환 전송 메커니즘, 및 패킷 교환 전송 메커니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이고, 상기 정보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이고, 상기 정보는 갱신된 인스턴트 메시징 참여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메일이고, 상기 정보는 모바일 발신 이메일을 포함하는 방법.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상기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하기 위해 복수개의 전송 메커니즘 중에서 하나의 전송 메커니즘을 선택하기 위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 중의 하나의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에서 현재의 음성 접속으로 인하여 상기 데이터 접속이 가능하지 않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다른 인스턴트 메시징 참여자들에게 상기 사용자가 접속 불가능함을 통지하는 참여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은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보다 사용하기에 더 비싼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하나의 또는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에 의해 지원되는 단일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는 방법.
  44. 서버 컴퓨팅 시스템 및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 사이를 중재하는 캐리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우선 설정하여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의 데이터 접속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장치가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접속되어야 할 필요없이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지속적으로 온라인 접속된 것으로 보이기 위해서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무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과 교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구현함-,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무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의 온라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통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상기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하기 위해 복수개의 전송 메커니즘 중에서 하나의 전송 메커니즘을 선택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상기 복수개의 전송 메커니즘은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과 데이터 접속을 요구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함-; 및
    상기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정보가 상기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전송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
    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는 시스템 메모리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는 영구 스토리지 매체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30092265A 2002-12-18 2003-12-17 가상 온라인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메커니즘 KR200400545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24,579 US20040122965A1 (en) 2002-12-18 2002-12-18 Mechanisms for supporting a virtual on-line mobile environment
US10/324,579 2002-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526A true KR20040054526A (ko) 2004-06-25

Family

ID=3239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265A KR20040054526A (ko) 2002-12-18 2003-12-17 가상 온라인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메커니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22965A1 (ko)
EP (1) EP1432206A3 (ko)
JP (1) JP2004201322A (ko)
KR (1) KR20040054526A (ko)
CN (1) CN1520119A (ko)
TW (1) TW200420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26B1 (ko) 2005-12-21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스턴스 메시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986107B1 (ko) * 2007-01-18 2010-10-0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4065B2 (en) * 2004-06-21 2011-03-08 Varia Holdings Llc Serving data/applications from a wireless mobile phone
JP2006094369A (ja) * 2004-09-27 2006-04-06 Nec Corp メッセージ自動通知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US7664820B2 (en) * 2005-03-15 2010-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FID wireless control of instant messaging
US20080175176A1 (en) * 2007-01-18 2008-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liable data connectivity with a network node by a user equipment (UE) device
US20080176586A1 (en) * 2007-01-18 2008-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ffectuating remote control of a network node by a user equipment (UE) device
EP1947869A1 (en) 2007-01-18 2008-07-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liable data connectivity with a network node by a user equipment (UE) device
US8180908B2 (en) * 2007-08-14 2012-05-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latform for standardizing vehicle communications with third-party applications
CN102149216B (zh) * 2010-02-09 2013-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激活处理方法及设备
CN101854742B (zh) * 2010-02-26 2014-02-05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在移动终端实现邮件收发的方法和装置
CN107113177B (zh) * 2015-12-10 2019-06-2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数据连接、传送、接收、交互的方法及系统,及存储器、飞行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1935B1 (en) * 1996-09-27 2001-01-30 Software.Com, Inc. Mobility extended telephon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method of use
JP3200800B2 (ja) * 1998-07-16 2001-08-20 株式会社超高速ネットワーク・コンピュータ技術研究所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の接続方式
US6920478B2 (en) * 2000-05-11 2005-07-19 Chikka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the online status of active users of an internet-based instant messaging system
US6947738B2 (en) * 2001-01-18 2005-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routing system and method
US8315651B2 (en) * 2001-05-03 2012-11-20 Kyocera Corporation Instant messaging to a mobile device
US6950854B2 (en) * 2001-06-07 2005-09-27 Eacceleration Software Dial back e-mail system using binary protocol
US7035923B1 (en) * 2002-04-10 2006-04-25 Nortel Networks Limited Presence information specifying communication preferences
US7318098B2 (en) * 2002-04-22 2008-01-08 Inphonic, Inc. Method and system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transactions for wireless devices
US6957077B2 (en) * 2002-05-06 2005-10-1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instant messaging on a mobile device
US7152111B2 (en) * 2002-08-15 2006-12-19 Digi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lient connection manager
US7068766B1 (en) * 2002-09-13 2006-06-27 At&T Corp.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condition in a circuit switched arrangement
US20060009243A1 (en) * 2004-07-07 2006-01-12 At&T Wireless Services, Inc. Always-on mobile instant messaging of a messaging centric wireless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26B1 (ko) 2005-12-21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스턴스 메시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986107B1 (ko) * 2007-01-18 2010-10-0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2206A2 (en) 2004-06-23
US20040122965A1 (en) 2004-06-24
CN1520119A (zh) 2004-08-11
TW200420066A (en) 2004-10-01
JP2004201322A (ja) 2004-07-15
EP1432206A3 (en)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588B1 (ko) 통신 통지 및 핸들링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8897823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contact list information for mobile stations including mobile telephones
US69680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resence monitoring contact list with dynamic membership
US8085756B2 (en) Automatically sending rich contact information coincident to a telephone call
US20080115087A1 (en) Tracking recent contacts
JP4809035B2 (ja) 無線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中に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ファイルを共有する方法及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ファイルの送受信をサポートする携帯端末機
EP1779627B1 (en) Methods, device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vailability data associated with data files to users of a presence service
US7610055B2 (en) Synchronizing information across telecommunications terminals for multiple users
US87000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s in conversational-type messaging applications
KR20060070419A (ko) 사용자가 통신을 위해 연락가능하게 된 경우에 통지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31639A (ko) 모바일 메시징용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KR20050016065A (ko) 컨택트 및 메타데이터 유지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 제품
KR20100115353A (ko) 원격 컴퓨터로부터 모바일 장치 기능을 이용하는 것
WO200606079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end data during a voice call
KR20040054526A (ko) 가상 온라인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메커니즘
US20060031341A1 (en) Maintaining instant message session status in dynamic operating environments
JP3909003B2 (ja)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3219469A (ja) 携帯型通信端末及び着信転送方法
JP2012516501A (ja) ほぼリアルタイムで通信をサポートできる電子メールクライアント、そのアドレス、プロトコル、及び電子メールインフラストラクチュアを用いてほぼリアルタイムで通信をサポートする方法
KR200200466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방법
JP5423336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マルチメディア通信方法
KR20200019924A (ko) 통화대기 콘텐츠 재생 중에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5569A (ko) 전화번호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300182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20090072693A (ko) 휴대 단말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