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412A -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 - Google Patents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412A
KR20130128412A KR1020137014848A KR20137014848A KR20130128412A KR 20130128412 A KR20130128412 A KR 20130128412A KR 1020137014848 A KR1020137014848 A KR 1020137014848A KR 20137014848 A KR20137014848 A KR 20137014848A KR 20130128412 A KR20130128412 A KR 20130128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roke
input
written
hand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876B1 (ko
Inventor
리신 전
텅 롱
Original Assignee
인트시그 인포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트시그 인포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트시그 인포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33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30/347Sampling; Contour coding; Stroke ex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를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터치 유닛을 통하여 문자를 쓰며; 제i번재 문자를 쓴 후, 제i+1번째 문자를 제i번째 문자 상에 중첩되도록 쓰며;사용자가 쓰기할 때, 사용자가 현재 쓴 필획이 제i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제i+1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판단하며;사용자가 중첩되게 제i+1번째 문자를 쓰기 시작한다고 판단하면, 자동적으로 제i+1번째 문자 디스플레이 컬러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컬러를 다르게 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 상에서 자기가 쓴 새로운 문자의 궤적을 확실하게 볼 수 있도록 하며;상기 방식에 따라 정지함이 없어 임의로 다수의 문자를 쓰며, 제i+2번째 문자를 쓸 때, 제i번째 문자는 스크린에서 자동으로 소실되고, 제i+1번째 문자 컬러가 자동으로 어두워지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2번째 문자의 컬러가 다르게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서로 다른 문자를 쓸 때 정지할 필요가 없고, 연속적으로 핸드라이팅 스크린에서 다수의 문자를 쓰고 상응한 식별 및 디스플레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라이팅 문자 입력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MULTI-CHARACTER CONTINUOUS HANDWRITING INPUT METHOD}
본 발명은 핸드라이팅 기술분야에 속하고, 핸드라이팅 입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라이팅 입력기는 중요한 문자 입력 방식으로 스마트폰, 테플릿 컴퓨터, 넷북, GPS 단말기, 학습기 등 여러 가지 이동 설비 중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핸드라이팅 입력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전자설비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쓰고, 아울러 전자설비는 채집된 문자 쓰기 궤적을 식별하여 상응한 문자로 전환시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현재, 이동 설비 터치 스크린 크기의 제한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상에서 한번에 하나의 문자만 쓸 수 있고, 사용자는 한 문자를 쓴 후 일반적으로 일정 시간 정지하여(일반적인 정지 시간은 약 200~1000ms), 이동 설비가 이미 쓴 문자에 대하여 탐지 및 식별을 진행한 후에야만 다름 문자의 핸드라이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핸드라이팅으로 문자를 입력할 때 효율이 낮고 사람들이 문자를 쓰는 방식처럼 연속적으로 핸드라이팅을 진행할 수 없다.
핸드라이팅 입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련 기술인원들은 풀 스크린 라이팅 풀 스크린 식별의 핸드라이팅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바, 한 번에 터치 스크린 상에 소량의 다문자를 쓸 수 있지만, 해당 방법은 여전히 터치 스크린 크기의 제한을 받아 임의 다문자의 연속 쓰기를 진행할 없고(예를 들면, 한 마디의 완전한 구절), 특히 터치 스크린 크기가 제한을 받는 이동 전자설비(예를 들면, 핸드폰) 상에서, 통상적으로 전반 터치 스크린이 수용할 수 있는 문자 수가 아주 적으며(특히 손가락 쓰기를 유도하는 터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4문자 이하), 만일 사용자가 풀 스크린 쓰기를 진행할 때 서로 다른 문자 사이에 연결 또는 중첩 상황이 발생하면 식별 엔진이 문자를 정확하게 분할하고 식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서로 다른 문자를 쓸 때 정지할 필요가 없고, 연속적으로 핸드라이팅 스크린에서 다수의 문자를 쓰고 상응한 식별 및 디스플레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라이팅 문자 입력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1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여 필획을 입력하기 시작하며;
12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고, 이를 기록하고 터치 스크린 상의 핸드라이팅 영역에서 필획 궤적을 디스플레이하며;
13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을 떠나고 현재 필획의 입력을 종료하며;
140 단계: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속한다면 150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70 단계로 진행하며;
150 단계: 새로운 필획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2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60 단계로 진행하며;
160 단계: 현재 쓴 문자 궤적을 식별 엔진에 제출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출력하며; 220 단계로 진행하며;
170 단계: 터치 스크린 상에 어두워진 문자가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8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90 단계로 진행하는 바, 상기 어두워진 문자는 이미 입력 완성되고 또한 식별을 진행한 핸드라이팅 문자이고, 이의 필획 컬러는 200 단계의 처리를 거친 것이며;
180 단계: 전의 어두워진 문자를 제거하며;
190 단계: 현재 필획을 제외한 모든 필획으로 하나의 핸드라이팅 문자를 구성하여 식별 엔진에 제출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출력하며;
200 단계: 현재 필획을 제외한 모든 필획으로 구성된 핸드라이팅 문자의 컬러를 어두워지게 하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문자의 컬러를 다르게 하는 바, 해당 문자는 어두워진 문자로 정의되며;
210 단계: 새로운 필획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2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60 단계로 진행하며;
220 단계: 종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104 단계에 있어서,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현재 쓰여진 필획의 기하학적 위치와 이전에 입력된 모든 필획이 구성하는 문자의 기하학적 위치 정보 이전의 관계에 의하여 판단을 진행하는 바,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41 단계: 현지 필획이 사용자가 입력한 첫번째 필획인지 판단하여, 만일 그렇다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142 단계로 진행하며;
142 단계: 현재 필획이 그 전 필획 우측의 새로 쓰여진 문자의 필획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만일 속한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43 단계로 진행하며;
143 단계: 현재 필획이 쓰여진 다른 필획과 중첩되는지 판단하여, 만일 중첩된다면 144 단계로 진행하고, 중첩되지 않는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4 단계: 현재 필획과 쓰여진 필획의 중첩 정도가 어느 역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만일 이상이라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이상이 아니라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5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할 수 있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며;
146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하지 않는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한다.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 유닛을 통하여 문자를 쓰며; 제i번째 문자를 쓴 후, 제i+1번째 문자를 제i번째 문자 상에 중첩되도록 쓰며;
사용자가 쓰기할 때, 사용자가 현재 쓴 필획이 제i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제i+1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판단하며;
사용자가 중첩되게 제i+1번째 문자를 쓰기 시작한다고 판단하면, 자동적으로 제i+1번째 문자 디스플레이 컬러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컬러를 다르게 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 상에서 자기가 쓴 새로운 문자의 궤적을 확실하게 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방식에 따라 정지함이 없이 임의로 다수의 문자를 쓰며, 제i+2번째 문자를 쓸 때, 제i번째 문자는 스크린에서 자동으로 소실되고, 제i+1번째 문자 컬러가 자동으로 어두워지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2번째 문자의 컬러가 다르게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사용자가 현재 쓴 필획이 제i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제i+1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41 단계: 현지 필획이 사용자가 입력한 첫 번째 필획인지 판단하여, 만일 그렇다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142 단계로 진행하며;
142 단계: 현재 필획이 그 전 필획 우측의 새로 쓰여진 문자의 필획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만일 속한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43 단계로 진행하며;
143 단계: 현재 필획이 쓰여진 다른 필획과 중첩되는지 판단하여, 만일 중첩된다면 144 단계로 진행하고, 중첩되지 않는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4 단계: 현재 필획과 쓰여진 필획의 중첩 정도가 어느 역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만일 이상이라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이상이 아니라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5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할 수 있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며;
146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하지 않는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기 하드웨어 조건을 구비하여야 하는 바, 해당 설비에는 일반적은 연산 및 저장 장치가 필요한 바, 일정한 주파수의 CPU(중앙프로세서), 일정한 연산을 위한 메모리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본적인 운영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 등이 포함된다. 상기 설비에는 핸드라이팅을 진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는 임의의 영역을 지정하여 핸드라이팅 입력 영역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또 식별 결과의 디스플레이 영역, 명령 버튼 영역 등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라면, 본 발명에 의한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 스크린 상에서 쓰기할 때, 사람들의 자연적인 쓰기 습관에 따라 연속적으로 핸드라이팅을 진행하도록 하고, 연속하여 다수의 핸드라이팅 문자를 쓸 수 있고, 핸드라이팅 식별 엔진은 자동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필적에 대하여 식별 수출을 진행하여 핸드라이팅 입력의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도 1은 중첩 쓰기 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중첩 쓰기 방식으로 "合合信息科技" 여섯 글자를 핸드라이팅 하고, 식별 엔진이 최종으로 상기 핸드라이팅 문자를 식별해 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흐름도.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중첩 쓰기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연속하여 다수의 핸드라이팅 문자를 쓱 수 있고, 핸드라이팅 식별 엔진은 자동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필적에 대하여 식별 수출을 진행하여 핸드라이팅 입력의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더욱 자유롭게 더욱 효율적인 핸드라이팅 입력 방식을 제공한다.
소위 말하는 중첩 쓰기 방식이란 사용자가 한 문자를 입력한 후, 다음 문자를 쓸 때 첫 번째 문자 상에 중첩될 수 있는 쓰기 방식을 말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속하여 두 문자 "科欺"를 쓸 때, 두 번째 문자 "欺"는 첫번째 문자와 동일한 중첩 영역에서 쓸 수 잇다. 관련된 기술수단을 이용하여 첫 번째 문자와 두 번째 문자의 서로 다른 필획을 탐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중첩되게 두 번째 문자를 쓰기 시작할 때, 자동으로 첫 번째 문자 필획의 디스플레이 컬러를 어두워지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 상에서 자기가 쓰기 시작한 새로운 문자 궤적을 보아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부단히 연속하여 다수의 문자를 쓰기할 수 있는 바, 세 번째 문자를 쓰기할 때, 첫 번째 문자는 스크린에서 자동으로 소실되고, 두 번째 문자 컬러가 자동으로 어두워지며, 이렇게 유추된다. 도 2는 "合合信息科技" 여섯 문자를 쓸 때, 전자설비 처리 결과 및 상응한 문자 컬러가 어두워지는 결과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허를 구현하는 설비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스마트폰(예를 들면, HTC/Google Nexus One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드폰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쓴 필획 궤적을 채집할 수 있다. C++ 언어로 상응한 여러 가지 처리 프로그램을 코팅하면 아주 훌륭하게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테블릿 컴퓨터, PDA, GPS 단말기 등 기타 이동 전자 설비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또 Java 등 기타 코딩 언어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를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10 단계]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여 필획을 입력하기 시작하며; 프로그램은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는 이벤트를 탐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필획 궤적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12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고, 프로그램이 이를 기록하고 터치 스크린 상의 핸드라이팅 영역에서 상응한 필획 궤적을 디스플레이 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빨강으로 현재 쓰는 문자의 필획 컬러를 표시한다 (다른 컬러를 이용하여 현재 쓰는 문자의 필획 컬러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본 발명의 내용의 실질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13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을 떠나고 현재 필획의 입력을 종료한다.
[140 단계]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만일 속한다면, 150 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속하지 않는다면, 170 단계로 진행한다.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현재 쓰여진 필획의 기하학적 위치와 이전에 입력된 모든 필획이 구성하는 문자의 기하학적 위치 정보 이전의 관계에 의하여 판단을 진행하는 바, 하나의 구체적인 구현 흐름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150 단계] 새로운 필획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2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60 단계로 진행한다.
[160 단계] 현재 쓴 문자 궤적을 식별 엔진에 제출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출력하며; 220 단계로 진행한다.
[170 단계] 터치 스크린 상에 어두워진 문자가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8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90 단계로 진행한다.
소위 말하는 어두워진 문자는 이미 입력 완성되고 또한 식별을 진행한 핸드라이팅 문자이고, 이의 필획 컬러는 200 단계의 처리를 거친 것이다.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컬러를 다른게 하도록 한다.
[180 단계] 전의 어두워진 문자를 제거한다.
[190 단계] 현재 필획을 제외한 모든 필획으로 하나의 핸드라이팅 문자를 구성하여 식별 엔진에 제출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출력한다.
[200 단계] 현재 필획을 제외한 모든 필획으로 구성된 핸드라이팅 문자의 컬러를 어두워지게 하는 바(본 실시예에서는 옅은 회색으로 필획 컬러가 어두워진 것을 표시함), 해당 해당 문자는 어두워진 문자로 정의된다.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컬러를 다르게 하도록 한다.
[210 단계] 새로운 필획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2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60 단계로 진행한다.
[220 단계] 종료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4 단계에 있어서,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현재 쓰여진 필획의 기하학적 위치와 이전에 입력된 모든 필획이 구성하는 문자의 기하학적 위치 정보 이전의 관계에 의하여 판단을 진행하는 바,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41 단계: 현재 필획이 사용자가 입력한 첫 번째 필획인지 판단하여, 만일 그렇다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142 단계로 진행하며;
142 단계: 현재 필획이 그 전 필획 우측의 새로 쓰여진 문자의 필획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만일 속한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43 단계로 진행하며;
143 단계: 현재 필획이 쓰여진 다른 필획과 중첩되는지 판단하여, 만일 중첩된다면 144 단계로 진행하고, 중첩되지 않는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4 단계: 현재 필획과 쓰여진 필획의 중첩 정도가 어느 역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만일 이상이라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이상이 아니라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5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할 수 있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며;
146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하지 않는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서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 유닛을 통하여 문자를 쓰며; 제i번재 문자를 쓴 후, 제i+1번째 문자를 제i번째 문자 상에 중첩되도록 쓰며;
사용자가 쓰기할 때, 사용자가 현재 쓴 필획이 제i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제i+1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판단하며;
사용자가 중첩되게 제i+1번째 문자를 쓰기 시작한다고 판단하면, 자동적으로 제i+1번째 문자 디스플레이 컬러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컬러를 다르게 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 상에서 자기가 쓴 새로운 문자의 궤적을 확실하게 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방식에 따라 정지함이 없어 임의로 다수의 문자를 쓰며, 제i+2번째 문자를 쓸 때, 제i번째 문자는 스크린에서 자동으로 소실되고, 제i+1번째 문자 컬러가 자동으로 어두워지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2번째 문자의 컬러가 다르게 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 스크린 상에서 쓰기할 때, 사람들의 자연적인 쓰기 습관에 따라 연속적으로 핸드라이팅을 진행하도록 하고, 연속하여 다수의 핸드라이팅 문자를 쓱 수 있고, 핸드라이팅 식별 엔진은 자동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필적에 대하여 식별 수출을 진행하여 핸드라이팅 입력의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기재와 응용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상기 실시예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 공개된 실시예는 변형과 개변이 가능한 것으로서, 당업계의 기술인원에게 있어서, 실시예의 교체와 등가의 부품은 공지의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기타 형식, 구조, 배치, 비례 및 기타 어셈블리, 재료와 부품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여기에서 공개된 실시예에 대하여 기타 변형과 개변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 내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5)

  1.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즉
    11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여 필획을 입력하기 시작하며; 프로그램은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는 이벤트를 탐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필획 궤적을 기록하기 시작하며;
    12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고, 프로그램이 사용자 라이팅 궤적을 기록하고 터치 스크린 상의 핸드라이팅 영역에서 상응한 필획 궤적을 디스플레이하며;
    13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을 떠나고 현재 필획의 입력을 종료하며;
    140 단계: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속한다면 150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70 단계로 진행하며;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현재 쓰여진 필획의 기하학적 위치와 이전에 입력된 모든 필획이 구성하는 문자의 기하학적 위치 정보 이전의 관계에 의하여 판단을 진행하는데,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즉
    141 단계: 현지 필획이 사용자가 입력한 첫 번째 필획인지 판단하여, 만일 그렇다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142 단계로 진행하며;
    142 단계: 현재 필획이 그 전 필획 우측의 새로 쓰여진 문자의 필획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만일 속한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43 단계로 진행하며;
    143 단계: 현재 필획이 쓰여진 다른 필획과 중첩되는지 판단하여, 만일 중첩된다면 144 단계로 진행하고, 중첩되지 않는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4 단계: 현재 필획과 쓰여진 필획의 중첩 정도가 어느 역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만일 이상이라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이상이 아니라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5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할 수 있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며;
    146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하지 않는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며;
    150 단계: 새로운 필획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2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60 단계로 진행하며;
    160 단계: 현재 쓴 문자 궤적을 식별 엔진에 제출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출력하며; 220 단계로 진행하며;
    170 단계: 터치 스크린 상에 어두워진 문자가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8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90 단계로 진행하는 바, 상기 어두워진 문자는 이미 입력 완성되고 또한 식별을 진행한 핸드라이팅 문자이고, 이의 필획 컬러는 200 단계의 처리를 거친 것이며;
    180 단계: 전의 어두워진 문자를 제거하며;
    190 단계: 현재 필획을 제외한 모든 필획으로 하나의 핸드라이팅 문자를 구성하여 식별 엔진에 제출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출력하며;
    200 단계: 현재 필획을 제외한 모든 필획으로 구성된 핸드라이팅 문자의 컬러를 어두워지게 하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문자의 컬러를 다르게 하는 바, 해당 문자는 어두워진 문자로 정의되며;
    210 단계: 새로운 필획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2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60 단계로 진행하며;
    220 단계: 종료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
  2.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즉
    11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여 필획을 입력하기 시작하며;
    12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고, 이를 기록하고 터치 스크린 상의 핸드라이팅 영역에서 필획 궤적을 디스플레이 하며;
    130 단계: 라이팅 펜 또는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을 떠나고 현재 필획의 입력을 종료하며;
    140 단계: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속한다면 150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70 단계로 진행하며;
    150 단계: 새로운 필획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2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60 단계로 진행하며;
    160 단계: 현재 쓴 문자 궤적을 식별 엔진에 제출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출력하며; 220 단계로 진행하며;
    170 단계: 터치 스크린 상에 어두워진 문자가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8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90 단계로 진행하는 바, 상기 어두워진 문자는 이미 입력 완성되고 또한 식별을 진행한 핸드라이팅 문자이고, 이의 필획 컬러는 200 단계의 처리를 거친 것이며;
    180 단계: 전의 어두워진 문자를 제거하며;
    190 단계: 현재 필획을 제외한 모든 필획으로 하나의 핸드라이팅 문자를 구성하여 식별 엔진에 제출하여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출력하며;
    200 단계: 현재 필획을 제외한 모든 필획으로 구성된 핸드라이팅 문자의 컬러를 어두워지게 하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문자의 컬러를 다르게 하는 바, 해당 문자는 어두워진 문자로 정의되며;
    210 단계: 새로운 필획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만일 있다면 120 단계로 진행하고, 없다면 160 단계로 진행하며;
    220 단계: 종료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
  3. 제2항에 있어서,
    140 단계에 있어서, 현재 쓰여진 필획과 이전에 입력된 필획이 한 문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현재 쓰여진 필획의 기하학적 위치와 이전에 입력된 모든 필획이 구성하는 문자의 기하학적 위치 정보 이전의 관계에 의하여 판단을 진행하는데,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즉
    141 단계: 현지 필획이 사용자가 입력한 첫 번째 필획인지 판단하여, 만일 그렇다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142 단계로 진행하며;
    142 단계: 현재 필획이 그 전 필획 우측의 새로 쓰여진 문자의 필획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만일 속한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43 단계로 진행하며;
    143 단계: 현재 필획이 쓰여진 다른 필획과 중첩되는지 판단하여, 만일 중첩된다면 144 단계로 진행하고, 중첩되지 않는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4 단계: 현재 필획과 쓰여진 필획의 중첩 정도가 어느 역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만일 이상이라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이상이 아니라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5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할 수 있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며;
    146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하지 않는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
  4.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즉
    터치 유닛을 통하여 문자를 쓰며; 제i번재 문자를 쓴 후, 제i+1번째 문자를 제i번째 문자 상에 중첩되도록 쓰며;
    사용자가 쓰기할 때, 사용자가 현재 쓴 필획이 제i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제i+1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판단하며;
    사용자가 중첩되게 제i+1번째 문자를 쓰기 시작한다고 판단하면, 자동적으로 제i+1번째 문자 디스플레이 컬러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번째 컬러를 다르게 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 상에서 자기가 쓴 새로운 문자의 궤적을 확실하게 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방식에 따라 정지함이 없어 임의로 다수의 문자를 쓰며, 제i+2번째 문자를 쓸 때, 제i번째 문자는 스크린에서 자동으로 소실되고, 제i+1번째 문자 컬러가 자동으로 어두워지거나, 또는 제i+1번째 문자, 제i+2번째 문자의 컬러가 다르게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재 쓴 필획이 제i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제i+1번째 문자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즉
    141 단계: 현지 필획이 사용자가 입력한 첫번째 필획인지 판단하여, 만일 그렇다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142 단계로 진행하며;
    142 단계: 현재 필획이 그 전 필획 우측의 새로 쓰여진 문자의 필획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만일 속한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고, 속하지 않는다면 143 단계로 진행하며;
    143 단계: 현재 필획이 쓰여진 다른 필획과 중첩되는지 판단하여, 만일 중첩된다면 144 단계로 진행하고, 중첩되지 않는다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4 단계: 현재 필획과 쓰여진 필획의 중첩 정도가 어느 역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만일 이상이라면 146 단계로 진행하고, 이상이 아니라면 145 단계로 진행하며;
    145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할 수 있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며;
    146 단계: 현재 입력된 필획과 전에 입력된 필획이 동일한 문자에 속하지 않는다는 판단 결과를 리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
KR1020137014848A 2010-12-10 2011-08-03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방법 KR101802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5835822A CN102156608B (zh) 2010-12-10 2010-12-10 多字符连续书写的手写输入方法
CN201010583582.2 2010-12-10
PCT/CN2011/077942 WO2012075820A1 (zh) 2010-12-10 2011-08-03 多字符连续书写的手写输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412A true KR20130128412A (ko) 2013-11-26
KR101802876B1 KR101802876B1 (ko) 2017-11-29

Family

ID=4443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848A KR101802876B1 (ko) 2010-12-10 2011-08-03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23456B2 (ko)
EP (1) EP2650766B1 (ko)
JP (1) JP5854442B2 (ko)
KR (1) KR101802876B1 (ko)
CN (1) CN102156608B (ko)
ES (1) ES2626258T3 (ko)
PT (1) PT2650766T (ko)
WO (1) WO2012075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4172B2 (en) 2007-01-05 2011-12-06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CN102156608B (zh) * 2010-12-10 2013-07-24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多字符连续书写的手写输入方法
CN102368188A (zh) * 2011-10-09 2012-03-07 北京捷通华声语音技术有限公司 一种滚动书写方法及装置
CN103513898A (zh) * 2012-06-21 2014-01-15 夏普株式会社 手写字符切分方法和电子设备
CN103034332B (zh) * 2012-12-14 2016-04-06 深圳市维尚境界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层显示书写的方法、装置和系统
US9846536B2 (en) * 2012-12-17 2017-12-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osition of handwritten message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9898187B2 (en) 2013-06-09 2018-02-20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WO2015075930A1 (en) 2013-11-19 2015-05-28 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k data generation, ink data rendering, ink data manipulation and ink data communication
US9224038B2 (en) 2013-12-16 2015-12-29 Google Inc. Partial overlap and delayed stroke input recognition
US9881224B2 (en) 2013-12-17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for overlapping handwritten text input
US9524440B2 (en) 2014-04-04 2016-12-20 Myscript System and method for superimposed handwriting recognition technology
CN116185209A (zh) * 2014-08-11 2023-05-30 张锐 手写输入字符的处理、数据拆分和合并及编解码处理方法
CN104238811A (zh) * 2014-08-21 2014-12-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字符识别方法及装置
WO2016170691A1 (ja) 2015-04-24 2016-10-27 富士通株式会社 入力処理プログラム、入力処理装置、入力処理方法、文字特定プログラム、文字特定装置、及び文字特定方法
WO2016181566A1 (ja) * 2015-05-14 2016-11-17 富士通株式会社 文字認識方法、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CN105243921B (zh) * 2015-10-23 2018-09-2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练字方法及系统
JP6500830B2 (ja) * 2016-04-27 2019-04-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手書き文字入力方法
US10146429B2 (en) 2016-06-10 2018-12-04 Apple Inc.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DK179374B1 (en) 2016-06-12 2018-05-28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monitors
US10895954B2 (en) * 2017-06-02 2021-01-19 Apple Inc. Providing a graphical canvas for handwritten input
CN107678595B (zh) * 2017-09-30 2020-11-03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盲文识别装置、终端设备和盲文识别方法
CN109992123A (zh) * 2018-01-02 2019-07-0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方法、装置和机器可读介质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CN110471608B (zh) * 2019-08-02 2020-12-22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手写笔迹显示方法、手写阅读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86A (ja) * 1985-06-26 1987-01-07 Toshiba Corp 文字入力装置
US5677710A (en) * 1993-05-10 1997-10-14 Apple Computer, Inc. Recognition keypad
JPH08286808A (ja) * 1995-04-18 1996-11-01 Canon Inc 軌跡入出力電子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5940534A (en) * 1995-07-17 1999-08-1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n-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using affine transformation to maximize overlapping of corresponding input and reference pattern strokes
US6970599B2 (en) * 2002-07-25 2005-11-29 America Online, Inc. Chinese character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JP3945767B2 (ja) * 2002-09-26 2007-07-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テキスト編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40117173A1 (en) * 2002-12-18 2004-06-17 Ford Daniel Alexander Graphical feedback for semantic interpretation of text and images
US6911991B2 (en) * 2003-03-20 2005-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programming a window ID configuration based on an application environment
US7194690B2 (en) * 2003-04-17 2007-03-20 Lenovo (Singapore) Pte. Ltd. Remote support for computer or other electronic device
WO2004097722A1 (ja) * 2003-05-02 2004-11-11 Fujitsu Limited 手書き文字入力装置および手書き文字入力処理方法
US7346856B2 (en) * 2003-08-21 2008-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ortions of large web images to fit smaller constrained viewing areas
CN1272691C (zh) * 2003-09-29 2006-08-30 摩托罗拉公司 用于手写的连写字符的识别方法及其装置
US7454717B2 (en) * 2004-10-20 2008-11-18 Microsoft Corporation Delimiters for selection-action pen gesture phrases
US8341556B2 (en) * 2007-04-30 2012-1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attention-free user input on a computing device
KR101361063B1 (ko) * 2007-07-31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7502017B1 (en) * 2007-11-20 2009-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writing recognizer user interface methods
CN101620501B (zh) 2009-07-28 2012-04-18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手写输入系统及方法、电子设备
CN102156608B (zh) * 2010-12-10 2013-07-24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多字符连续书写的手写输入方法
US8094941B1 (en) * 2011-06-13 2012-01-10 Google Inc. Character recognition for overlapping textual user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876B1 (ko) 2017-11-29
CN102156608A (zh) 2011-08-17
ES2626258T3 (es) 2017-07-24
JP2014505919A (ja) 2014-03-06
EP2650766A1 (en) 2013-10-16
EP2650766A4 (en) 2014-01-15
JP5854442B2 (ja) 2016-02-09
PT2650766T (pt) 2017-06-01
WO2012075820A1 (zh) 2012-06-14
US9323456B2 (en) 2016-04-26
US20130314363A1 (en) 2013-11-28
CN102156608B (zh) 2013-07-24
EP2650766B1 (en)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8412A (ko) 다문자 연속 쓰기의 핸드라이팅 입력기
KR101825154B1 (ko) 중첩 쓰기 핸드라이팅 입력방법
KR101417286B1 (ko) 텍스트 사용자 입력을 오버랩하기 위한 문자 인식
US10606474B2 (en)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CN100587660C (zh) 一种手写字符预测识别的方法和装置
JP2016071819A (ja) 電子機器および方法
CN102184074B (zh) 键盘输入与手写输入之间自动切换方法及装置
US9884257B2 (en) Method for preventing misoperations of intelligent terminal, and intelligent terminal
CN104077065A (zh) 触摸屏终端显示虚拟键盘的方法及触摸屏终端
CN101859177B (zh) 一种在智能电子装置上调用和操作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CN110850982B (zh) 基于ar的人机交互学习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1881683A (zh) 关系三元组的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8846339B (zh) 一种文字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8958511A (zh) 交互显示设备、书写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6557175A (zh) 文字输入方法和电子设备
CN104951083A (zh) 一种远距离手势输入法及输入系统
CN112163400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991718A (zh) 一种实现手写输入的装置
CN109690446B (zh) 一种交互方法及电子设备
CN102156616B (zh) 触摸屏写键输入方法
CN113311987B (zh) 听写设备的控制方法、装置、听写设备和存储介质
EP2722749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based on user input for the same
CN1271883A (zh) 汉字智能书写输入方法及手写输入板
US10671450B2 (en) Coalescing events framework
CN115238042A (zh) 一种文本覆盖率的计算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