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941A -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941A
KR20130127941A KR1020130054291A KR20130054291A KR20130127941A KR 20130127941 A KR20130127941 A KR 20130127941A KR 1020130054291 A KR1020130054291 A KR 1020130054291A KR 20130054291 A KR20130054291 A KR 20130054291A KR 20130127941 A KR20130127941 A KR 20130127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electrode
electrode
center electrode
igni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339B1 (ko
Inventor
뵈른 디룸담
잉고 빌케
Original Assignee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3012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2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arthed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02Details
    • H01T13/14Means for self-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46Sparking plugs having two or more spark gaps
    • H01T13/467Sparking plugs having two or more spark gaps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8Indicating or safety devices
    • F01M1/20Indicating o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pressure
    • F01M1/22Indicating o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pressure rendering machines or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on pressure failure
    • F01M1/26Indicating o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pressure rendering machines or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on pressure failure acting on engine ignitio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4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e.g. caused by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2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distributors
    • F02P7/021Mechanical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6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 F02P7/063Mechanical pick-up device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contact-breakers
    • F02P7/0632Mechanical pick-up device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contact-breakers with rotary contacts

Landscapes

  • Spark Plug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10)로서, 중앙 전극(11) 및 상기 중앙 전극(11) 둘레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접지 전극(1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전극(11)과 상기 접지 전극(12) 사이에 링형 점화 갭(13)이 상기 중앙 전극(11)과 상기 접지 전극(12) 사이에 형성된 전기 점화 스파크를 통해 연료 혼합물을 점화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접지 전극(12)은, 상기 접지 전극(12)의 영역 내로 도달한 입자들이 중력의 영향 하에 상기 점화 갭(13)으로부터 멀리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SPARK PLU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점화 플러그는 내연기관에서 연소될 연료 혼합물의 전기 점화를 위해 사용된다. 점화 플러그의 소위 중앙 전극과 소위 접지 전극 사이에 점화 갭이 형성되고, 상기 점화 갭 내에서 연료 혼합물의 점화를 위해 전기 점화 스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점화 플러그는 기본적으로 후크형 접지 전극을 가진 점화 플러그와 링형 접지 전극을 가진 점화 플러그로 구분된다. DE 10 2008 061 242 A1은 후크형으로 형성된 접지 전극을 가진 점화 플러그를 구비한 내연기관을 개시한다. 이 경우, 점화 갭은 중앙 전극의 축 방향으로 볼 때 중앙 전극의 하나의 단부와 후크형 접지 전극의 하나의 단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링형 접지 전극을 가진 점화 플러그는 DE 101 45 944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중앙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의 점화 갭은 방사 방향으로 중앙 전극 둘레에 연장된다.
본 발명은 중앙 전극 둘레로 연장되며 연료 혼합물의 점화를 위해 내부에서 전기 점화 스파크가 형성되는, 중앙 전극과 상기 중앙 전극 둘레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접지 전극 사이의 링형 점화 갭을 가진 점화 전극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에서 연소될 연료 혼합물이 연소실 내로 유입되기 전에 필터링됨에도 불구하고, 항상 오염 입자가 연소실 내로,특히 점화 플러그의 영역 내로 도달하여 중앙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의 점화 갭 내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
중앙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의 점화 갭 내에 입자들이 축적되면, 전극들 사이에 단락이 생기므로, 점화 스파크가 형성될 수 없다. 이 경우, 연료 혼합물은 점화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내연기관용 새로운 점화 플러그 및 이러한 점화 플러그를 구비한 내연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접지 전극은, 접지 전극의 영역 내로 도달한 입자들이 중력의 영향 하에 점화 갭으로부터 멀리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접지 전극의 영역 내로 도달한 입자들이 중력의 영향 하에 점화 갭으로부터 멀리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중앙 전극 둘레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점화 플러그가 제시된다. 이로 인해, 접지 전극의 영역 내로 도달한 입자들이 점화 갭 내에 축적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단락이 방지되고 연료 혼합물의 확실한 점화가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지 전극이 중앙 전극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섹션 및 중앙 전극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섹션을 포함한다. 중앙 전극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 전극의 섹션 사이에 점화 갭이 형성되고, 접지 전극은 중앙 전극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섹션의 상부 면에서, 상기 면이 점화 갭과의 간격 증가에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램프형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접지 전극의 이러한 구성은 매우 간단하고, 점화 갭 내에 입자들의 축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중앙 전극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섹션의 상부 면에는 싱크가 형성된다. 상기 싱크는 바람직하게 접지 전극을 관통하는, 연료 혼합물용 관통 홀에 인접하게, 즉 중앙 전극의 방사방향으로 볼 때 관통 홀과 점화 갭 사이에서 관통 홀에 대해 비교적 작은 방사방향 간격으로 그리고 점화 갭에 대해 비교적 큰 방사방향 간격으로 형성된다. 접지 전극의 상기 디자인은 중력의 영향 하에 입자를 점화 갭으로부터 멀리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은 청구항 제7항에 규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 설명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해, 내연기관용 새로운 점화 플러그 및 이러한 점화 플러그를 구비한 내연기관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화 플러그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점화 플러그의 확대도.
도 1 및 도 2는 점화 플러그(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인 확대도로 도시한다. 점화 플러그(10)는 중앙 전극(11) 및 상기 중앙 전극(11)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접지 전극(12)을 포함한다. 접지 전극(12)은 바람직하게 링형으로 구성되며 링 전극으로서 구현된다.
중앙 전극(11)과 접지 전극(12) 사이에는 링형 점화 갭(13)이 형성되며, 상기 갭 내에서 중앙 전극(11)과 접지 전극(12) 사이의 연료 혼합물의 점화를 위해 전기 점화 스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접지 전극(12)은 도 1 및 도 2에 따라 중앙 전극(1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섹션(14) 및 중앙 전극(11)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섹션(15)을 포함하고, 중앙 전극(11)과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접지 전극(12)의 제 2 섹션(15)의 자유 단부 사이에 링형 점화 갭(13)이 형성된다.
연료 혼합물을 점화 갭(13)의 영역 내로 안내하기 위해, 점화될 연료 혼합물용 관통 홀(16)이 접지 전극(12) 내로 관통한다.
필터링에도 불구하고 연료 혼합물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 입자가 점화 갭(13)의 영역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 전극(12)은, 접지 전극(12)의 영역 내에 또는 점화 갭(13)의 영역 내로 도달한 입자가 중력의 영향에 의해 점화 갭(13)으로부터 멀리 안내될 수 있도록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지 전극(12)은 중앙 전극(11)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섹션(15)의 상부 면(17)에서, 상기 상부 면(17)이 점화 갭(13)과의 간격 증가에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램프형으로 연장되도록, 즉 싱크(18)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싱크(18)는 방사방향 간격을 두고 점화 갭(13) 둘레에 링형으로 연장된다.
싱크(18)는 중앙 전극(1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접지 전극의 제 1 섹션(14)과, 중앙 전극(11)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접지 전극(12)의 제 2 섹션(15) 사이의 전이 영역에, 즉 관통 홀(16)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중앙 전극(11)의 방사방향으로 볼 때 싱크(18)는 관통 홀(16)과 점화 갭(13)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즉, 점화 갭(13)과의 비교적 큰 방사방향 간격으로 그리고 관통 홀(16)과의 비교적 작은 방사방향 간격으로 위치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점화 플러그(10)의 접지 전극(12)의 영역에 도달된 입자가 중력의 영향을 이용해서 점화 갭(13)으로부터 멀리 안내됨으로써, 입자가 점화 갭(13)의 영역에 축적되는 않는 것이 확실히 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앙 전극(11)과 접지 전극(12) 사이의 단락이 방지되고 연료 혼합물의 확실한 점화가 보장된다.
10 점화 플러그
11 중앙 전극
12 접지 전극
13 점화 갭
14 섹션
15 섹션
16 관통 홀
17 면
18 싱크

Claims (7)

  1.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로서, 중앙 전극(11) 및 상기 중앙 전극(11) 둘레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접지 전극(1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전극(11)과 상기 접지 전극(12) 사이에 링형 점화 갭(13)이 상기 중앙 전극(11)과 상기 접지 전극(12) 사이에 형성된 전기 점화 스파크를 통해 연료 혼합물을 점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12)은, 상기 접지 전극(12)의 영역 내로 도달한 입자들이 중력의 영향 하에 상기 점화 갭(13)으로부터 멀리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12)은 상기 중앙 전극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섹션(14) 및 상기 중앙 전극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섹션(15)을 포함하고, 상기 점화 갭(13)은 상기 중앙 전극(11)과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접지 전극의 섹션(15)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 전극은 상기 중앙 전극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섹션(15)의 상부 면(17)에, 상기 면이 상기 점화 갭과의 간격 증가에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램프형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12)은 상기 중앙 전극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섹션(14)과 상기 중앙 전극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섹션(15)을 포함하고, 상기 점화 갭(13)은 상기 중앙 전극(11)과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접지 전극의 섹션(15)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 전극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섹션(15)의 상부 면(17)에는 싱크(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18)는 상기 점화 갭(13) 둘레로 방사방향 간격을 두고 링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18)는 상기 중앙 전극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지 전극(12)의 섹션(14)과 상기 중앙 전극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접지 전극(12)의 섹션(15) 사이의 전이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18)는 상기 접지 전극(12)을 관통하는 상기 연료 혼합물용 관통 홀(16)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즉 상기 중앙 전극(11)의 방사방향으로 볼 때 상기 관통 홀(16)과 상기 점화 갭(13) 사이에서 상기 관통 홀(16)에 대해 비교적 작은 방사방향 간격으로 그리고 상기 점화 갭(13)에 대해 비교적 큰 방사방향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7. 기체 연료 및 공기로 이루어진 연료 혼합물의 연소를 위한 내연기관, 즉 오토(Otto) 가스 엔진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점화 플러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20130054291A 2012-05-15 2013-05-14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 KR101981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8069.4 2012-05-15
DE102012208069A DE102012208069A1 (de) 2012-05-15 2012-05-15 Zündkerz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941A true KR20130127941A (ko) 2013-11-25
KR101981339B1 KR101981339B1 (ko) 2019-05-22

Family

ID=4951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291A KR101981339B1 (ko) 2012-05-15 2013-05-14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0382B2 (ko)
JP (1) JP6116348B2 (ko)
KR (1) KR101981339B1 (ko)
CN (1) CN103427336B (ko)
DE (1) DE102012208069A1 (ko)
FI (1) FI1256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2503A (zh) * 2013-12-25 2014-04-30 柳州正菱集团有限公司 火花塞
CN103746293A (zh) * 2013-12-25 2014-04-23 柳州正菱集团有限公司 火花塞
DE102017221137A1 (de) 2017-11-27 2019-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ündkerze
DE102018110571A1 (de) 2018-05-03 2019-11-07 Man Energy Solutions Se Zündkerz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8110580A1 (de) 2018-05-03 2019-11-07 Man Energy Solutions Se Zündkerz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1651A (en) * 1988-11-24 1991-09-24 Tadaharu Fujiwara Ignition plug with a hollow cylindrical ground electrode and an ignition process by the use thereof
KR200193476Y1 (ko) * 2000-03-03 2000-08-16 파렌 인터내셔널 캄퍼니 리미티드 스파크 플러그 구조체
JP2001525982A (ja) * 1997-05-20 2001-12-11 ドーソン・ロイヤルティーズ・リミテッド スパークプラ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8338U (ko) * 1976-12-02 1978-06-29
DE2806358A1 (de) * 1978-02-15 1979-08-16 Bosch Gmbh Robert Zuendkerze zum einbau in eine vorkammer
CH624509A5 (ko) * 1980-05-30 1981-07-31 Espada Anstalt
US4730582A (en) * 1986-12-15 1988-03-15 Lindsay Maurice E Performing spark plug
JPH01292777A (ja) * 1988-05-19 1989-11-27 Bandou Kiko Kk 点火プラグ
JPH02142080A (ja) * 1988-11-24 1990-05-31 Ryohei Kashiwabara 点火栓の速燃焼装置
US6013973A (en) * 1997-10-24 2000-01-11 Sato; Jun Spark plug having a sub-combustion chamber for use in fuel ignition systems
DE10145944A1 (de) 2001-09-18 2003-04-03 Ruediger Ufermann Zündkerze mit integrierter Laserzündung
DE10155404A1 (de) * 2001-11-10 2003-05-28 Bosch Gmbh Robert Zündkerze und Brennraumanordnung
DE102008061242A1 (de) 2008-12-09 2010-06-10 Man Diesel Se Brenn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1651A (en) * 1988-11-24 1991-09-24 Tadaharu Fujiwara Ignition plug with a hollow cylindrical ground electrode and an ignition process by the use thereof
JP2001525982A (ja) * 1997-05-20 2001-12-11 ドーソン・ロイヤルティーズ・リミテッド スパークプラグ
KR200193476Y1 (ko) * 2000-03-03 2000-08-16 파렌 인터내셔널 캄퍼니 리미티드 스파크 플러그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12692A1 (en) 2013-11-28
FI125699B (en) 2016-01-15
JP6116348B2 (ja) 2017-04-19
DE102012208069A1 (de) 2013-11-21
US9450382B2 (en) 2016-09-20
KR101981339B1 (ko) 2019-05-22
FI20135484A (fi) 2013-11-16
CN103427336B (zh) 2015-11-18
CN103427336A (zh) 2013-12-04
JP2013238221A (ja)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339B1 (ko)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
US8350457B2 (en) Pre-chamber spark plug including a gas thread cavity
KR101892627B1 (ko) 비대칭 점화 팁을 구비한 코로나 점화장치
US20110148274A1 (en) Spark Plug for a Gas-Opera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246947A1 (en) Plasma igniter and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741762B2 (en) Dual-spark pre-chambered spark igniter
KR101011567B1 (ko) 점화 플러그
JP5149295B2 (ja) スパークプラグ
US20160305393A1 (en) Plasma ignition device
US20120256531A1 (en) Spark plug having a hole for adjustment
US10833485B2 (en) Pre-chamber spark plug
KR20130127940A (ko) 내연기관용 점화 플러그
US8853925B2 (en) High efficiency spark plug
US9574540B2 (en) Corona ignition device
US7952263B1 (en) Multi-spark inducing spark plug and associated method
KR200262294Y1 (ko) 점화 스파크 플러그
US8985078B2 (en)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by using preheating net and spark plug to ignite
CN114846708B (zh) 火花塞
US8994256B2 (en) Igni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T5904B (lt) Uždegimo kibirkštinė žvakė
CN210182777U (zh) 一种火花塞
CN202888613U (zh) 一种火花塞及其接地电极
RU2004114083A (ru) Свеча зажига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102611005A (zh) 一种火花塞及其接地电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