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487A - 테이프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테이프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487A
KR20130127487A KR1020137018012A KR20137018012A KR20130127487A KR 20130127487 A KR20130127487 A KR 20130127487A KR 1020137018012 A KR1020137018012 A KR 1020137018012A KR 20137018012 A KR20137018012 A KR 20137018012A KR 20130127487 A KR20130127487 A KR 20130127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ibers
fibrous
polymeric
polymeric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470B1 (ko
Inventor
뢸로프 마리센
반 ? 푸텐
안툰 마리아 베르스파겐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3012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D04H3/04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for net manufactur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2Plate construction
    • F41H5/04Plate construction composed of more than one layer
    • F41H5/0471Layered armour containing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 F41H5/0485Layered armour containing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all the layers being only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두께 및 테이프 폭을 갖고, 6% 이하의 테이프 폭을 가로지른 테이프 두께의 변이 계수(CV)를 특징으로 하고, 융합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질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TAPE AN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합체성 섬유가 함께 융합되어 있는 섬유질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이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테이프를 함유하는 여러 가지 제품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성 섬유가 함께 융합되어 있는 섬유질 테이프는 예를 들면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2009/0056286 호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여기에는 단일방향 방식으로 섬유를 정렬시키고, 인접한 섬유들을 기계적으로 융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인접한 섬유들의 기계적인 융합은 인접한 섬유들 간에 적어도 일부 중첩이 있도록 섬유를 스프레딩(spreading)하고, 섬유의 융점 이하 및 높은 압력에서 섬유를 압축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2009/0056286 호의 실시예에서, 수용 판 주변으로 필라멘트를 권취시키고, 수용 판을 회전시키고, 연속 층 내의 섬유 방향이 이전 층 내의 섬유 방향에 대해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섬유의 연속 층을 권취시킴으로써 다층화된 시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필라멘트의 몇몇 층으로 권취된 수용 판을 수압 프레스에 삽입시킴으로써 다층화된 구조의 섬유를 기계적으로 융합시켰다.
비록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2009/0056286 호에 따라 생성된 섬유질 테이프는 높은 품질의 테이프이고 비교적 평평하지만, 이들 테이프의 특성은 더욱 더 개선될 수 있다. 특히,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2009/0056286 호에 따라 생성된 테이프의 두께는 테이프 폭을 가로질러 두께 변이를 나타내고, 이러한 두께 변이는 테이프의 성능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의 폭을 가로질러 테이프의 두께에 거의 변이가 없는,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섬유질 테이프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두께 및 테이프 폭을 가지며, 6% 이하의 테이프 폭을 가로지른 테이프 두께의 변이 계수(CV)를 특징으로 하고, 융합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질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섬유질 테이프의 두께는 테이프 폭에 따른 변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프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제품에서 상기 테이프의 성능은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테이프는 공지된 섬유질 테이프와 비교할 경우 대탄도탄 제품에서 사용될 때 증가된 성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테이프의 테이프 두께의 CV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본 발명자들의 지식으로는 이러한 낮은 CV를 갖는 섬유질 테이프가 지금까지 생성된 적이 없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섬유질 테이프"는 중합체성 섬유가 전구체 물질로서 사용되는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테이프로 이해된다. 섬유질 테이프는 섬유질 테이프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테이프로 융합된 전구체 섬유의 경계선이 식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중합체성 분말을 압축하거나, 중합체성 분말의 용액 또는 용융물을 방사함으로써 수득되는 비섬유질 테이프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융합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질 테이프"는 각 중합체성 섬유가 섬유 길이를 갖는 접경하는 중합체성 섬유들을 포함하되, 접경하는 중합체성 섬유들이 접경하는 길이를 걸쳐 서로 융합되어 있는 테이프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접경하는 길이는 섬유 길이의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섬유의 접경하는 길이는 섬유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접경하는 중합체성 섬유가 서로 융합되어 있는 접경하는 길이는 섬유의 융합 정도의 척도이다. 섬유의 융합 정도는 하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조절될 수 있고, 접경하는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조절가능한 피사계 심도 및/또는 콘트라스트(contrast) 향상기 장치가 장착된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두 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합된 섬유와 두 개의 비융합된 섬유 간의 차이는 섬유가 밀접한 접촉을 유지하는 융합된 부분 상에서 융합된 섬유는 하나가 서로에 대해 움직이는데 방해를 받는다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테이프는 폭 및 두께 및 단면 종횡비, 즉 바람직하게는 5: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00:1 이상, 훨씬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0:1 이상의 폭 대 두께 비율을 갖는 연장체로 이해된다. 섬유질 테이프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00 mm,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600 mm, 훨씬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40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0 mm이다. 섬유질 테이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이다. 본원에서 폭은 테이프의 길이에 수직인 테이프 단면의 주변 상의 두 개의 지점들 사이의 가장 긴 치수로서 이해된다. 본원에서 두께는 상기 단면의 주변 상의 두 개의 지점들 사이의 거리로서, 테이프의 폭에 수직인 거리로서 이해된다. 테이프의 폭 및 두께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컨대 각각 자 및 현미경 또는 마이크로미터의 도움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섬유는 그의 횡단 치수보다 훨씬 더 큰 길이를 갖는 연장체로 이해된다. 섬유는 규칙 둥근 단면, 예컨대 타원형 또는 원형; 또는 불규칙 단면, 예컨대 엽형, C-형 또는 U-형을 가질 수 있다. 섬유는 필라멘트로서 당해 분야에 공지된 연속 길이, 또는 스테이플 섬유로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불연속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테이플 섬유는 필라멘트를 절단하거나 신장-파단하여 통상적으로 수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얀은 다수의 섬유를 함유하는 연장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단면 종횡비, 즉 섬유의 단면의 주변 상의 두 개의 지점들 사이의 가장 큰 치수와 동일 주변 상의 두 개의 지점들 사이의 가장 낮은 치수의 비율이 5: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이하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중합체성 섬유의 예는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아르아마이드, 예컨대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마이드)(케브라(Kevlar, 등록상표명)로서 공지됨);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2,6-다이이미다조-[4,5b-4',5'e]피리디닐렌-1,4-(2,5-다이하이드록시)페닐렌}(M5로서 공지됨); 폴리(p-페닐렌-2,6-벤조바이속사졸)(PBO)(자일론(Zylon, 등록상표명)으로서 공지됨);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마이드)(나일론 6,6으로서 공지됨), 폴리(4-아미노뷰티르산)(나일론 6으로서 공지됨); 폴리에스터,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1,4-사이클로헥실리덴다이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알콜; 미국 특허 제 4,384,016 호로부터 공지된 굴열성 액정 중합체(LCP);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합체성 섬유가 폴리올레핀 섬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섬유인 경우 우수한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섬유는 고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이다. 폴리에틸렌 섬유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기법, 바람직하게는 용융 또는 겔 방사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섬유는 겔 방사 UHMWPE 섬유, 예컨대 네덜란드 소재의 디에스엠 다이니마(DSM Dyneema)에 의해 다이니마(Dyneema, 등록상표명) 명칭으로 시판되는 것이다. 용융 방사 공정을 사용하는 경우,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출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600,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0 내지 2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용융 방사 공정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서 인용되는 유럽 특허 제 1,350,868 호에 개시되어 있다. 겔 방사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3 dl/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dl/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 dl/g 이상의 고유 점도(IV)를 갖는 UHMWPE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IV는 40 dl/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dl/g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dl/g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UHMWPE는 100개의 탄소 원자 당 1개 이하의 측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개의 탄소 원자 당 1개 이하의 측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UHMWPE 섬유는 유럽 특허 제 0205960 A 호, 유럽 특허 제 0213208 A1 호, 미국 특허 제 4413110 호, 영국 특허 제 2042414 A 호, 영국 특허 제 A-2051667 호, 유럽 특허 제 0200547 B1 호, 유럽 특허 제 0472114 B1 호,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01/73173 A1 호, 유럽 특허 제 1,699,954 호 및 문헌[Advanced Fiber Spinning Technology , Ed. T. Nakajima, Woodhead Publ. Ltd (1994), ISBN 185573 182 7]을 비롯한 수 많은 문헌에 기재된 겔 방사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중합체성 섬유의 인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2 G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GPa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GPa 이상이다. 중합체성 섬유의 인장 모듈러스는 바람직하게는 5 G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GPa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GPa 이상이다. 중합체성 섬유가 2 G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GPa 이상의 인장 강도 및 바람직하게는 50 G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GPa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GPa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 UHMWPE 섬유인 경우, 최적 결과가 획득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의 인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 G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GPa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GPa 이상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의 인장 모듈러스는 바람직하게는 60 G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GPa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GPa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GPa 이상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에 대해 이러한 인상적인 기계적 특성의 획득은, 일반적으로 치수 특징을 개선시키는 것이 기계적 특성의 손실을 야기하는 것으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에게 놀라운 것이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테이프의 기계적 특성은 그의 제조에 이용되는 섬유의 기계적인 특성과 유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지금까지 중합체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테이프의 기계적인 특성은 중합체성 섬유의 특성보다 일반적으로 훨씬 낮기 때문에 상기 관찰 또한 놀라운 것이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테이프의 인장 강도는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합체성 섬유의 인장 강도보다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낮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테이프의 인장 모듈러스는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합체성 섬유의 인장 모듈러스보다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낮다. 다양한 인장 강도 및 모듈러스를 갖는 복수개의 중합체성 섬유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테이프를 제조하는 경우, 고려되는 중합체성 섬유의 인장 강도 또는 모듈러스는 다양한 중합체성 섬유의 평균 인장 강도 및 모듈러스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a) 융점(Tm)을 갖는 복수개의 중합체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b) 중합체성 섬유의 망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층을 캘린더의 닙(nip)으로 도입시켜, 상기 층을 중합체성 섬유의 Tm 미만의 온도에서 100 N/mm 이상의 캘린더링 라인 압력으로 캘린더링시켜 융합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테이프를 바람직하게는 실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공지된 섬유질 테이프와 비교하여 감소된 두께 변이를 갖는 테이프가 수득될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a)에서, 복수개의 중합체성 섬유는 꼬이거나 꼬이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얀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얀으로 함께 그룹화된다.
일반적으로, 중합체성 섬유는 융점(Tm)을 특징으로 한다. 융점은 10℃/분의 가열 속도에서 인듐 및 주석으로 보정되는 전력 보상 퍼킨엘머(PerkinElmer) DSC-7 기구 상에서 DSC에 의해 당해 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DSC-7 기구의 보정(2개 지점의 온도 보정)을 위해, 2 이상의 소수 자리로 칭량된 인듐 약 5 mg 및 주석 약 5 mg을 사용한다. 온도 및 열류 보정을 위해 인듐을 사용하고, 온도 보정만을 위해서는 주석을 사용한다. 상이한 융점을 갖는 복수개의 여러 가지 중합체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본원에서 융점은 여러 가지 중합체성 섬유의 최고 융점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단계 (b)에서, 중합체성 섬유는 섬유의 망으로 형성된다. 본원에서 망은 여러 가지 유형의 형태로 정렬된 섬유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중합체성 섬유는 편성 또는 직조 펠트, 예컨대 평직, 바구니, 새틴, 크로우 피트(crow feet) 형태; 또는 예컨대 평행한 배열로 정렬되는 정돈된 또는 무작위 배향 섬유를 포함할 수 있는 부직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섬유의 망은 단일방향 망으로서, 이때 섬유의 대부분, 예컨대 망을 형성하는 섬유의 총 질량의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질량%는 공통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올풀림되도록 정렬된다.
중합체성 섬유의 망을 포함하는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캘린더링 단계 (d) 후에 테이프의 목적하는 두께를 산출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중합체성 섬유를 사용하기 전 또는 후에 그의 Tm 미만으로 예열하여 섬유의 망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추가 단계 (b1)을 포함한다. 중합체성 섬유의 예열은 예열 온도에서 오븐 세트 내에 체류 시간 동안 섬유를 유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열 온도는 Tm 내지 Tm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Tm 내지 Tm -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Tm 내지 Tm - 5℃이다.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초,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초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c)에서, 중합체성 섬유의 망을 포함하는 층은 캘린더링을 위한 캘린더의 닙으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은 1 m/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m/분 이상의 인라인 속도로 상기 닙에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하고 후술한 바와 같이 캘린더링 라인 압력으로도 지칭되는 캘린더링을 위해 사용되는 라인 압력은 100 N/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N/mm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00 N/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 N/mm 이상이다. 라인 압력이 보다 높을수록 테이프의 융합 정도는 더 높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캘린더는 예컨대 서로 접경하는 닙을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역회전 캘린더링 롤을 포함하고, 상기 닙이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폐쇄력을 상기 롤에 인가함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당해 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폐쇄력은 일반적으로 힘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다. 따라서, 캘린더링 라인 압력은 힘 측정기에 의해 측정되는 폐쇄력을 섬유의 망을 포함하는 층의 폭으로 나눔으로써 쉽게 측정될 수 있다.
캘린더링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섬유의 T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Tm 내지 Tm - 1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Tm 내지 Tm -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Tm 내지 Tm - 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캘린더링 공정이 수행되는 온도는 가열된 캘린더링 롤을 사용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일상적인 실험에 의해 캘린더링 공정이 발생하는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주로 캘린더링 롤의 직경, 적용되는 경우, 중합체성 섬유가 예열되는 온도, 및 인라인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mm의 직경을 갖는 캘린더링 롤이 사용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캘린더링 롤이 가열되는 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상기 캘린더링 롤의 직경이 클수록, 높은 인라인 속도가 사용될 수 있음을 알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a) 융점(Tm)을 갖는 복수개의 중합체성 섬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섬유, 보다 바람직하게는 UHMWPE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b) 복수개의 중합체성 섬유를 단일방향으로 정렬시키고 스프레딩하여 접경하고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중합체성 섬유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b1) 단계 (b)를 수행하기 전 및/또는 후에 Tm 미만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0℃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49℃의 온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47℃의 온도에서 중합체성 섬유를 예열하는 단계; (c) 접경하고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중합체성 섬유의 층을 3 m/분의 인라인 속도에서 캘린더의 닙으로 도입시키고, 상기 층을 Tm 미만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50℃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49℃의 온도에서 500 N/mm 이상의 캘린더링 라인 압력으로 캘린더링시켜 융합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테이프를 바람직하게는 실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단계 (d)에서, 테이프는, 테이프의 온도가 25℃ 이상으로 감소되도록, 바람직하게는 테이프가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냉각된다.
중합체성 섬유의 단일방향 정렬은 인접한 섬유들이 중첩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틈이 없도록,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섬유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열을 생성할 수 있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여러 가지 표준 기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서 인용되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2009/0056286 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접경하고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층은 적합하게는 정렬 수단, 예컨대 복수개의 스프레더 바(spreader bar)를 수반하는 리드(reed)를 통해, 장력하에 권출 장소로부터 중합체성 섬유를 공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중합체성 섬유에 인가된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계산된 중합체성 섬유의 인장 강도의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캘린더 앞의 섬유 상의 장력은 0.3 cN/dtex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캘린더 앞의 섬유 상의 장력은 10.0 cN/dtex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캘린더 앞의 섬유 상의 장력은 3.0 cN/dtex 이하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캘린더 뒤의 섬유 상의 장력은 0.3 cN/dtex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cN/dtex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cN/dtex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캘린더 뒤의 섬유 상의 장력은 10.0 cN/dtex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cN/dtex 이하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캘린더 앞의 섬유 상의 장력 및 캘린더 뒤의 섬유 상의 장력은 0.3 cN/dtex 이상, 10.0 cN/dtex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cN/dtex 이하이고, 이때 캘린더 뒤의 섬유 상의 장력은 캘린더 앞의 섬유 상의 장력보다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접경하고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층을 수득하는데 사용되는 중합체성 섬유는 복수개의 얀으로 그룹화되며, 이때 각각의 얀은 바람직하게는 220 dtex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0 dtex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760 dtex 이상의 타이터(titer)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얀은 바람직하게는 20000 dtex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dtex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7000 dtex 이하의 타이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얀은 0.3 얀/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얀/c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얀/cm 이상의 리드 카운트로 스프레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드 카운트는 25 얀/c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얀/c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얀/c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접경하고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층의 두께는 개별 중합체성 섬유의 두께의 1.0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배 이상이다. 상이한 두께를 갖는 중합체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본원에서 개별 섬유의 두께는 이용되는 섬유의 평균 두께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의 최대 두게는 개별 중합체성 섬유의 두께의 20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배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 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배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캘린더링 단계 (c) 후에, 바람직하게는 냉각 단계 (d) 전에, 추가의 연신 단계 (c1)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때 테이프는 1.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의 연신비로 연신된다. 별도의 연신 단계 (c1)에 의해 더욱 개선된 특성을 갖는 섬유질 테이프가 수득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단계 (c)의 동일한 캘린더링 조건하에 수행되는 2차 캘린더링 단계 (c')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이 추가의 연신 단계 (c1)을 포함하는 경우, 단계 (c')는 단계 (c1) 전 또는 후에, 바람직하게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 (c')를 수행하기 전에, 섬유질 테이프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섬유의 Tm 미만의 예열 온도에서 예열될 수 있다. 2차 캘린더링 단계 (c') 후에, 본 발명의 방법은 추가의 연신 단계 (c'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때 테이프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의 연신 비로 연신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양태에 따른 방법이 더욱 더 개선된 특성을 갖는 섬유질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은 이전에 결코 이용가능하게 제조되지 않았던 테이프, 즉 기계적 특성의 독특한 조합을 갖는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각 2.6 GPa 이상 및 3.25 x 10-2 이하의 인장 강도 및 인장 강도/인장 모듈러스 비율을 갖는 UHMWPE 테이프를 허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신규한 테이프는 2.7 GPa 이상 및 2.5 x 10-2 이하의 인장 강도 및 인장 강도/인장 모듈러스 비율을 갖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신규한 테이프는 2.9 GPa 이상 및 2.2 x 10-2 이하의 인장 강도 및 인장 강도/인장 모듈러스 비율을 갖는다. 이러한 테이프는 대탄도탄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경우 뛰어난 성능을 일으킨다. 이러한 높은 성능은 대탄도탄 제품 분야에서 예기치 않은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대탄도탄 제품의 개발에 적용되고 참조되는 쿠니프(Cunnif)의 이론에 따르면, 우수한 대탄도탄 성능은 낮은 모듈러스와 함께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일정한 강도에 대해서 모듈러스가 낮을 때 보다 우수한 성능이 수득되는 것으로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테이프는 이러한 원리를 따르지 않았는데도, 놀랍게도 높은 대탄도탄 성능을 나타내었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섬유질 테이프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섬유질 테이프를 함유하는 단층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시트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층은 상기 테이프를 함유하는 직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층은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섬유질 테이프를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층은 섬유질 테이프로부터 직조된 직물을 함유한다. 또한, 단층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다. 결합제의 목적은 단층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시트의 작동의 용이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상기 섬유질 테이프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예컨대 유럽 특허 제 0191306 B1 호, 유럽 특허 제 1170925 A1 호, 유럽 특허 제 0683374 B1 호 및 유럽 특허 제 1144740 A1 호에 기재되어 있다. 단층, 시트 또는 패널이 임의의 결합제, 또는 섬유질 테이프를 함께 유지시키는 것이 목적인 임의의 다른 물질을 갖지 않는 경우, 우수한 결과가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기계적인 융합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용융 결합도 일으키지 않는 압력, 온도 및 시간의 조합하에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DSC(10℃/분)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어떠한 검출가능한 용융 결합도 존재하지 않는다. 검출가능한 용융 결합이 없다는 것은 샘플을 3회 분석할 경우 부분적으로 용융 재결정화된 섬유와 일치되는 명백한 흡열 효과가 검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적합하게는 섬유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고압을 적용하면 그 결과 검출가능한 양의 용융 재결합된 섬유가 나타나지 않음이 밝혀졌고, 이는 용융 결합의 실질적인 부재와 일치한다.
본원에서,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섬유질 테이프를 함유하는 단층은 단층 내의 섬유질 테이프의 대부분, 예컨대 상기 단층 내의 섬유질 테이프의 총 질량의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질량%가 공통 방향을 따라 올풀림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층 내의 섬유질 테이프의 방향은 인접한 단층 내의 섬유 방향에 대해 α 각도이고, 여기서 α 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0°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패널은 중합체 섬유의 Tm 미만의 온도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Tm 내지 Tm - 30℃의 온도에서, 100 bar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bar 이상의 압력으로 압축되어 강직 패널이 수득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패널을 포함하는 장갑(armor)에 관한 것이다. 장갑의 예는 헬멧, 흉갑, 차량 차체 및 차량 도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본 발명은 자동차 용도(차 부품 등), 해양 용도(배, 보트, 패널 등), 항공 우주 용도(비행기, 헬리콥터, 패널 등), 방어/생명-보호 용도(탄도 방호, 방탄복, 방탄 조끼, 방패, 방탄 헬멧, 탄도 차량 방호 등), 건축학 용도(창문, 도어, (의사)-벽, 수화물 도어, 수화물 벽, 레이돔, 외장 등)에 대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제품은 본 발명의 테이프 또는 패널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추가로 설명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측정 방법
● 패널의 굽힘 강도는 ASTM D790-07에 따라 측정된다. 패널의 다양한 두께를 개조하기 위해, 제품의 두께의 두 배인 지지체 노즈 반경 및 하중과 32의 전장 대 깊이 비를 채택함으로써 ASTM D790-07의 단락 7.3에 따라 측정한다.
● 면 밀도(AD)는 바람직하게는 0.1 g의 오차를 갖는 0.4 m x 0.4 m의 샘플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 폴리에틸렌에 대한 고유 점도(IV)는 데칼린 중 135℃에서, 16 시간의 용해 시간에서, 항산화제로서 2 g/L 용액의 양의 DBPC를 사용하여, 상이한 농도에서 측정된 점도를 0 농도로 외삽함으로써, 방법 PTC-179(문헌[Hercules Inc. Rev. Apr. 29, 1982]), 또는 다르게는 ASTM D-1601에 따라 결정된다.
● 폴리에틸렌 또는 UHMWPE 샘플 내의 측쇄는 NMR 측정을 기준으로 한 검량선을 사용하여 1375 cm-1에서 흡수량을 정량화함으로써, 2 mm 두께의 압축 몰딩된 필름 상에서 FTIR에 의해 결정된다(예컨대, 유럽 특허 제 0 269 151 호에서와 같음).
● 섬유의 인장 특성, 즉 강도 및 모듈러스는 500 mm의 섬유의 공칭 표점 길이, 50%/분의 크로스헤드 속력 및 인스트론(Instron) 2714 클램프를 사용하여, ASTM D885M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유형 파이바 그립(Fiber Grip) D5618C의 다중필라멘트 얀에 대해 결정한다. 강도 계산을 위해, 측정된 인장력을 섬유 10 m를 칭량함으로써 결정되는 타이터로 나누고, GPa 값은 중합체, 예컨대 UHMWPE에 대한 천연 밀도를 0.97 g/cm3로 가정하여 계산된다.
● 테이프의 인장 특성: 인장 강도, 인장 모듈러스 및 파단시 신장은 440 mm의 테이프의 공칭 표점 길이, 50 mm/분의 크로스헤드 속력을 사용하여, ASTM D882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2mm의 폭을 갖는 테이프에 대해 25℃에서 정의되고 결정된다.
● 중합체성 섬유 또는 섬유질 테이프의 융점(또한 용융점으로서 지칭됨)은 10℃/분의 가열 속도로 인듐 및 주석으로 보정되는 전력 보상 퍼킨엘머 DSC-7 기구 상에서 DSC에 의해 측정된다. DSC-7 기구의 보정(2개 지점의 온도 보정)을 위해, 2 이상의 소수 자리로 칭량된 인듐 약 5 mg 및 주석 약 5 mg이 사용된다. 온도 및 열류 보정을 위해 인듐이 사용되고, 온도 보정만을 위해서는 주석이 사용된다.
DSC-7의 노 블록을 4℃의 온도를 갖는 물로 냉각시킨다. 이를 수행하여 일정한 블록 온도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보다 안정한 베이스라인 및 보다 우수한 샘플 온도 안정성이 생성된다. 노 블록의 온도는 첫 번째 분석의 출발 전에 1 시간 이상 동안 안정해야 한다.
적합하게는 광 현미경 검사를 통해 관찰될 수 있는, 인접한 섬유들의 접합하는 주변 섬유 표면의 대표적인 단면이 획득되도록 샘플을 취한다. 샘플을 5 mm 최대 폭 및 길이의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여 약 1 mg(+/- 0.1 mg) 이상의 샘플 중량을 획득한다.
샘플을 알루미늄 DSC 샘플 팬(50 ㎕)에 놓고, 이를 알루미늄 뚜껑(둥근 면이 위로 하여)으로 덮고, 밀봉한다. 샘플 팬(또는 뚜껑)에서, 작은 구멍을 뚫어 압력 증강(팬 변형을 일으켜 악화된 열 접촉이 생김)을 방지해야 한다.
샘플 팬을 보정된 DSC-7 기구에 놓는다. 참조용 노에, 빈 샘플 팬(뚜껑으로 덮고 밀봉됨)을 놓는다.
하기 온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5분, 40℃(안정화 기간);
10℃/분으로 40에서 200℃로 상승(제 1 가열 곡선);
5분, 200℃;
200에서 40℃로 하강(냉각 곡선);
5분, 40℃;
10℃/분으로 40에서 200℃로 상승(제 2 가열 곡선).
DSC 노의 샘플 면 중 빈 팬을 사용하여 동일한 온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빈 팬 측정).
제 1 가열 곡선 분석을 사용한다. 샘플 곡선으로부터 빈 팬 측정치를 차감하여 베이스라인 곡률을 보정한다. 피크 앞 뒤의 평평한 부분에서(예컨대, UHMWPE에 대해서 60 및 190℃에서) 베이스라인을 정렬시킴으로써 샘플 곡선의 경사 보정을 수행한다. 피크 높이는 베이스라인으로부터 피크의 상부까지의 거리이다. 예를 들면, UHMWPE의 경우, 제 1 가열 곡선에 대해 두 개의 흡열 피크가 예상되는데, 이 경우 두 개의 피크의 피크 높이를 측정하고, 피크 높이의 비율을 결정한다. 중합체성 섬유가 구속 조건하에 있는 경우, 그의 융점이 증가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하중이 상기 섬유에 가해지는 경우가 바로 그러하다. 구속 조건하에 중합체성 섬유의 융점을 측정하기 위해, 2 mm 직경을 갖는 알루미늄 막대기 상에서 섬유를 손으로 권취한다.
● 주요 용융 피크 앞의 흡열 피크 전이의 엔탈피 계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흡열 효과가 주요 용융 피크에 겹쳐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주요 용융 피크의 곡선이 수반되도록 S자 형 베이스라인을 선택하고, 피크 전이의 좌측 한계와 우측 한계로부터 탄젠트를 그려 퍼킨엘머 피리스(Pyris, 상표명) 소프트웨어에 의해 베이스라인을 계산한다. 계산된 엔탈피는 작은 흡열 피크 전이와 S자 형 베이스라인 사이의 피크 면적이다. 엔탈피를 중량%와 상관시키기 위해, 보정 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
● 테이프의 폭을 가로지른 테이프의 두께의 변이의 계수는 테이프의 단면을 사용하여 테이프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테이프의 단면은 에폭시 수지 내에 테이프를 삽입시키고, 삽입된 테이프-수지 시스템의 슬라이스를 절단함으로써 수득된다. 테이프의 폭을 가로질러 고르게 분포된 5개 이상의 위치를 사용하여 이러한 위치 각각에 상응하는 국소 두께를 측정한다. 두께 측정은 현미경을 사용하여 적합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테이프의 폭이 테이프의 두께의 약 40배이도록 확대를 선택한다. 이러한 테이프의 폭에 따라 5개의 측정치를 취한다. 이렇게 획득된 5개 이상의 값을 평균화하고, 표준 편차를 계산한다. %로 표현된 변이 계수는 표준 편차를 평균 값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CV는 가압된 패널에 대해, 오직 상기 패널이 이용가능한 경우에, 결정될 수 있다. 샘플 예비처리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개별 테이프가 오직 층으로서만 볼 수 있는 경우, 상기 층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테이프로서 처리되고, 5개의 측정은 상기 층 상에서 수행된다. CV 측정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패널의 단면을 통해 5개의 테이프(또는 층)에 대해 수행되고, 이러한 5개의 층의 평균 결과를 CV로서 기록한다.
● 결합제 및 매트릭스 물질의 인장 모듈러스는 25℃에서 ASTM D-638(84)에 따라 측정한다.
● 내부 슈팅 템플릿 상의 20 mm FSP를 사용하여 NIJ 0101.04 수준 IIIA에 따라 배면 변형을 시험한다.
● 표준(STANAG) 17 mm FSP 및 9 mm 파라벨륨(Parabellum)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슈팅 시험에 장갑을 가하여 방탄 성능을 측정한다. 총알의 50%가 봉쇄될 것으로 예상되는 발사체 속력(V50)으로 첫 번째 총알을 발포한다. 충격 전에 단 거리에서 실제 탄환 속력을 측정한다. 봉쇄가 생기면, 다음 총알을 이전 속력보다 10% 더 빠른 예상 속력으로 발포한다. 천공이 생기면, 다음 총알을 이전 속력보다 10% 더 느린 속력으로 발포한다. 실험적으로 획득된 V50 값에 대한 결과는 두 개의 최고 봉쇄와 두 개의 최저 천공의 평균이다. 장갑의 총 면 밀도로 V50에서의 탄환의 운동 에너지를 나눔으로써 이른바 Eab 값이 획득된다. Eab는 장갑의 중량/두께에 대한 장갑의 봉쇄력을 나타낸다. Eab가 높을수록 장갑은 보다 우수하다.
● 발사체의 통로에 수직으로 위치한 한 쌍의 드렐로(Drello) 적외선(IR) 스크린 유형 LS19i3을 사용하여 발사체 속력을 측정한다. 발사체가 첫 번째 광 스크린을 통해 통과하는 순간 IR 빔의 교란으로 인해 첫 번째 전기 펄스가 생성될 것이다. 발사체가 두 번째 광 스크린을 통해 통과할 때 두 번째 전기 펄스가 생성될 것이다. 첫 번째 전기 펄스와 두 번째 전기 펄스가 발생하는 시간 내에 모멘트를 기록하고, 광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여 발사체 속력을 즉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실시예 1
UHMWPE 섬유를 포함하고 약 1769 dtex의 타이터를 갖는 40개의 얀을 30 얀/10 cm의 리드 카운트로 스프레딩하여 단일방향으로 정렬되고 중첩된 UHMWPE 섬유의 층을 생성하였고, 이때 상기 층은 약 100 ㎛의 두께를 갖는다. 스프레딩 동안 얀에 대한 장력은 280 cN이었다. 얀은 디에스엠 다이니마에 의해 다이니마(등록상표명) SK76으로 시판되는 것이다.
층 내의 섬유를 적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145℃의 온도로 예열하였고, 예열된 섬유를 갖는 층을, 각각 400 mm의 직경 및 800 mm의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역회전 롤로 구성된 캘린더의 닙으로 도입시켰다. 롤 모두는 3 m/분의 속력으로 회전하였다. 롤 모두를 156℃로 가열하였다.
닙은 800 mm 폭이었고, 약 50 ㎛의 높이를 가졌고, 약 500 N/mm의 일정한 라인 압력을 층에 가하였다. 캘린더링 공정 동안, 층 내의 섬유는 함께 융합하여 120 mm 폭의 테이프가 생성되었다. 그 후, 테이프를 실온(약 22℃)으로 냉각시켰다. 수득된 테이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2
캘린더링 단계 직후, 따라서 테이프를 냉각시키기 전에, 테이프를 153℃의 온도로 설정된 오븐에 도입시키고 약 1.1의 연신비로 연신시키는 것을 추가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그 후, 테이프를 실온(약 22℃)으로 냉각시켰다. 수득된 테이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3
수득된 테이프를 145℃의 온도에서 다시 예열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다시 캘린더링시키는 것을 추가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캘린더링 후에, 테이프를 153℃의 온도로 설정된 오븐에 도입시키고 약 1.2의 연신비로 연신시켰다. 그 후, 테이프를 실온(약 22℃)으로 냉각시켰다. 각 개별 테이프의 두께는 약 45 ㎛이었다. 수득된 테이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비교 실시예 1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2009/0056286 호의 실시예 하나 이상을 반복하였다. 알루미늄 수용 판 주변에서, 10개의 스프레더 바 상으로 인도되는, 35.3 cN/dtex의 점착력 및 약 19 ㎛의 필라멘트 두께를 갖는 고 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를 권취시켜 샘플을 제조하였다. 섬유를 판 주변으로 권취시켜 약 30 ㎛의 권취 층의 표적 두께를 갖는 제 1 섬유 층을 수득하였다. 섬유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접경하도록 섬유 층 내의 섬유를 권취하였다. 하나의 섬유 층을 형성한 후, 수용 판을 회전시키고, 제 1 섬유 층을 갖는 수용 판 주변으로 섬유를 권취시켜 새로운 섬유 층을 생성시켰다. 제 2 층 내의 섬유의 배향이 제 1 섬유 층 내의 섬유 방향에 대해 90°각도를 이루도록 수용 판을 회전시켰다. 총 114개의 섬유 층을 생성하였고, 이때 각 층 내의 섬유 방향은 인접한 섬유 층에 대해 90°각도를 이루었다.
이렇게 수득된 섬유 층을 갖는 수용 판을 300 bar 및 138℃에서 1 시간 동안 가압시키고 80℃로 냉각하였다. 가압된 섬유 층을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2009/0056286 호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용 판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수득된 가압된 생성물을 칭량하고, 2.6 kg/m2의 면 밀도를 가졌다. 이는 가압된 생성물 내의 섬유 층 각각의 평균 두께가 23 ㎛임을 의미한다. CV는 샘플의 두께를 통한 5개의 개별 층에서의 것이었다. 이러한 5개의 층에 대해 측정된 평균 CV는 22.7이었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두께(㎛) CV(%) 인장 강도(GPa) 인장 모듈러스(GPa)
실시예 1 47 2.2 2.5 60
실시예 2 46 2.3 2.7 120
실시예 3 45 2.2 2.9 132
비교 실시예 1 23 22.7
실시예 4
두 개의 인접한 테이프들이 서로 접경하지만 중첩되지 않도록 단일방향 방식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실시예 3에 따라 수득된 10개의 테이프로부터 단층을 형성하였다. 테이프들 간의 틈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의를 요한다. 63개의 단층을 교차-플라이(ply) 방식(즉, 두 개의 인접한 단층 내의 테이프의 정렬 방향이 90° 각도 미만)으로 스택하였다. 300 bar의 압력 및 약 145℃의 온도에서 30 분 동안 단층의 스택을 압축하였고, 이 후 이를 압력하에 실온으로 냉각하여 강직 패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패널의 특성을 표 2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테이프로부터 강직 패널을 제조하였다. 특성을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비교 실시예 A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2009/0056286 호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비교 실험 A로부터의 패널을 방탄 성능에 대해 시험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Figure pct00001

Claims (15)

  1. 테이프 두께 및 테이프 폭을 갖고, 6% 이하의 테이프 폭을 가로지른 테이프 두께의 변이 계수(CV)를 특징으로 하고, 융합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질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프 폭을 가로지른 테이프 두께의 CV가 3% 이하인 섬유질 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테이프의 폭 대 두께의 비율이 5:1 이상인 섬유질 테이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 폭이 1 mm 내지 2000 mm인 섬유질 테이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 두께가 1 ㎛ 내지 200 ㎛인 섬유질 테이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섬유가 폴리올레핀 섬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섬유,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인 섬유질 테이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섬유의 인장 강도가 1.2 GPa 이상인 섬유질 테이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섬유의 인장 모듈러스가 5 GPa 이상인 섬유질 테이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G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 섬유질 테이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0 GPa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 섬유질 테이프.
  11. (a) 융점(Tm)을 갖는 복수개의 중합체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b) 중합체성 섬유의 망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층을 캘린더의 닙으로 도입시켜, 상기 층을 중합체성 섬유의 Tm 미만의 온도에서 100 N/mm 이상의 캘린더링 라인 압력으로 캘린더링시켜 융합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테이프를 바람직하게는 실온으로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섬유질 테이프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중합체성 섬유를, 편성 또는 직조 펠트, 예컨대 평직, 바구니, 새틴, 크로우 피트(crow feet) 형태; 또는 예컨대 평행한 배열로 정렬되는 정돈된 또는 무작위 배향 섬유를 포함할 수 있는 부직조 형태로 형성하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접경하고 단일방향으로 정렬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층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합체성 섬유를 복수개의 얀으로 그룹화하되, 상기 얀이 220 dtex 이상의 타이터(titer)를 갖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섬유질 테이프를 함유하는 단층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시트의 스택을 포함하는 패널.
  15.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섬유질 테이프 또는 제 14 항에 따른 패널을 함유하는, 자동차 용도, 예컨대 차 부품; 해양 용도, 예컨대 배, 보트, 패널; 항공 우주 용도, 예컨대 비행기, 헬리콥터, 패널 등; 방어/생명-보호 용도, 예컨대 탄도 방호, 방탄복, 방탄 조끼, 방패, 방탄 헬멧, 탄도 차량 방호; 건축학 용도, 예컨대 창문, 도어, (의사)-벽, 수화물 도어, 수화물 벽, 레이돔, 외장 등의 제품.
KR1020137018012A 2010-12-14 2011-12-13 테이프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 KR101879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94966.7 2010-12-14
EP10194966 2010-12-14
PCT/EP2011/072645 WO2012080274A1 (en) 2010-12-14 2011-12-13 Tape an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487A true KR20130127487A (ko) 2013-11-22
KR101879470B1 KR101879470B1 (ko) 2018-07-17

Family

ID=4353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012A KR101879470B1 (ko) 2010-12-14 2011-12-13 테이프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67290B2 (ko)
EP (1) EP2652190B1 (ko)
KR (1) KR101879470B1 (ko)
CN (1) CN103260868B (ko)
CA (1) CA2820423C (ko)
ES (1) ES2584985T3 (ko)
IL (1) IL226798B (ko)
WO (1) WO20120802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61U (ko) * 2016-12-21 2018-06-2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방탄 헬멧 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3418B2 (en) 2012-05-17 2016-03-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ybrid fiber unidirectional tape and composite laminates
CN102877668A (zh) * 2012-10-11 2013-01-16 衡阳泰豪通信车辆有限公司 一种具有壁板防穿透兼结构雷达隐身的方舱
US10690452B2 (en) 2013-08-12 2020-06-23 F.Lli Citterio Spa Ballistic protection with multi-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rigid elements
US20170153090A1 (en) * 2014-06-16 2017-06-01 Dsm Ip Assets B.V. Fibrous tape
KR102457104B1 (ko) 2014-10-31 2022-10-19 하드와이어 엘엘씨 연질 방탄복
CN111491792B (zh) 2017-12-18 2023-09-26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防弹成形制品
KR20200101410A (ko) 2017-12-18 2020-08-2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만곡형 방탄 성형품
CN113400691A (zh) * 2021-05-24 2021-09-17 上海化工研究院有限公司 高性能超高分子量聚乙烯带材及其制备方法
KR20240029739A (ko) 2021-06-04 2024-03-06 아비엔트 프로텍티브 머티리얼스 비.브이. 압축 성형된 탄도-저항성 물품
IL309112A (en) 2021-06-04 2024-02-01 Avient Protective Mat B V Ballistic resistant hybrid cast i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814A (ko) * 2000-12-05 2002-10-19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연마기포 및 연마방법
US20060258995A1 (en) * 2004-10-20 2006-11-16 Pendharkar Sanyog M Method for making a reinforced absorbable multilayered fabric for use in medical devices
WO2009056286A1 (en) * 2007-11-01 2009-05-07 Dsm Ip Assets B.V. Material sheet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7444A (en) * 1963-04-19 1967-02-01 Monsanto Co Thermo-chemical joining of nylon yarns
FR1457328A (fr) 1965-06-09 1966-01-24 Assemblage en nappes notamment de fils, fibres, mèches et tresses
US4233350A (en) * 1975-10-31 1980-11-11 Hopeman Brothers, Inc. Formaminous sheet
NL177759B (nl) 1979-06-27 1985-06-17 Stamicarbo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polyetheendraad, en de aldus verkregen polyetheendraad.
NL177840C (nl) 1979-02-08 1989-10-16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polyetheendraad.
US4413110A (en) 1981-04-30 1983-11-01 Allied Corporation High tenacity, high modulu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ers and intermediates therefore
US4384016A (en) 1981-08-06 1983-05-17 Celanese Corporation Mutiaxially oriented high performance laminates comprised of uniaxially oriented sheets of thermotropic liquid crystal polymers
DE3485470D1 (de) * 1983-10-05 1992-03-05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thermoplastischer kunststoffolien oder fuellstoffhaltiger kunststoffolien.
US4663101A (en) 1985-01-11 1987-05-05 Allied Corporation Shaped polyethylene articles of intermediate molecular weight and high modulus
US4623574A (en) 1985-01-14 1986-11-18 Allied Corporation Ballistic-resistant composite article
WO1986004936A1 (en) 1985-02-15 1986-08-28 Toray Industries, Inc. Polyethylene multifilament yarn
JPH06102846B2 (ja) 1985-05-01 1994-12-14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延伸物の製造方法
EP0205960B1 (en) 1985-06-17 1990-10-24 AlliedSignal Inc. Very low creep, ultra high moduls, low shrink, high tenacity polyolefin fiber having good strength retention at high temperatures and method to produce such fiber
IN170335B (ko) 1986-10-31 1992-03-14 Dyneema Vof
EP0344318A4 (en) * 1987-11-30 1990-05-14 Hagihara Ind NON-WOVEN FABRICS AND DEVICE THEREFOR.
US5149391A (en) * 1988-12-09 1992-09-22 Allied-Signal Inc. Prepreg machine with a single endless conveyor belt
US5437905A (en) 1994-05-17 1995-08-01 Park; Andrew D. Ballistic laminate structure in sheet form
DE19707125C2 (de) * 1996-12-09 2000-02-03 Epo Faser 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unidirektionalen Geleges aus parallel einlaufenden Hochleistungsfasern
TR200102066T2 (tr) 1999-01-18 2001-11-21 Twaron Products Gmbh Yüksek doğrusal yoğunluk oranında iki iplik grubuna sahip kumaş içeren delinmeye dirençli malzeme
US6448359B1 (en) 2000-03-27 2002-09-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tenacity, high modulus filament
IL144100A (en) 2000-07-06 2006-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based on MAC address in communication restriction
AU2002221091A1 (en) 2000-12-11 2002-06-24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igh strength polyethylene fiber
US20040092183A1 (en) * 2002-11-12 2004-05-13 Shalom Geva Antiballistic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stinct types of fibers
ES2375278T3 (es) 2004-01-01 2012-02-28 Dsm Ip Assets B.V. Procedimiento para producir hilo multifilamento de polietileno de alto rendimiento.
JP2006144141A (ja) * 2004-11-17 2006-06-08 Kuraray Co Ltd 耐熱性粘着テープ用基材
US7294384B2 (en) 2005-09-27 2007-11-13 Milliken & Company Moldable construction incorporating bonding interface
JP2009056286A (ja) * 2007-08-06 2009-03-19 Olympus Corp 輸液加温装置および細胞処理装置
DK2257421T3 (da) * 2008-04-02 2012-04-16 Dsm Ip Assets Bv Forbedre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antiballistisk artik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814A (ko) * 2000-12-05 2002-10-19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연마기포 및 연마방법
US20060258995A1 (en) * 2004-10-20 2006-11-16 Pendharkar Sanyog M Method for making a reinforced absorbable multilayered fabric for use in medical devices
WO2009056286A1 (en) * 2007-11-01 2009-05-07 Dsm Ip Assets B.V. Material sheet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20100087305A (ko) * 2007-11-01 2010-08-04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재료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61U (ko) * 2016-12-21 2018-06-2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방탄 헬멧 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0423A1 (en) 2012-06-21
EP2652190A1 (en) 2013-10-23
CN103260868B (zh) 2019-10-25
WO2012080274A1 (en) 2012-06-21
EP2652190B1 (en) 2016-04-27
ES2584985T3 (es) 2016-09-30
IL226798B (en) 2018-12-31
US20130337235A1 (en) 2013-12-19
KR101879470B1 (ko) 2018-07-17
US10767290B2 (en) 2020-09-08
CN103260868A (zh) 2013-08-21
CA2820423C (en)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470B1 (ko) 테이프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
EP2822756B1 (en) Composite panel
KR101756608B1 (ko) 재료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EP2670900B1 (en) High strength tape articles from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KR20120123314A (ko) 다층 물질 시트의 제조 방법, 다층 물질 시트 및 이의 용도
JP6743340B2 (ja) 繊維状テープ
EP3606982B1 (en) High performance fibers composite sheet
JP2024521342A (ja) ハイブリッド防弾(ballistic-resistant)成形物品
WO2022254041A1 (en) Hybrid ballistic-resistant molded article
JP2024521341A (ja) 圧縮成形防弾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