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308A -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308A
KR20130127308A KR1020120051131A KR20120051131A KR20130127308A KR 20130127308 A KR20130127308 A KR 20130127308A KR 1020120051131 A KR1020120051131 A KR 1020120051131A KR 20120051131 A KR20120051131 A KR 20120051131A KR 20130127308 A KR20130127308 A KR 2013012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block
processing
separation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광
Priority to KR102012005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7308A/ko
Publication of KR2013012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48Air blast acting on edges of, or und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1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 B65H2406/113Details of the part distributing the air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재 적재대에 2매 이상부터 수십 매까지 적층된 가공용 자재중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부터 낱장의 상태로 자재 적재대로부터 상방향으로 픽업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에 있어서, 자재 리프터의 리프트 프레임의 외곽부 일측에 설치되어 가공용 자재의 상면 영역중 모서리부 내측에 위치한 내측 영역부를 흡착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를 바로 아래의 자재와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자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분리수단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최상단부 자재의 모서리부에 접촉 후 이를 가압하는 자재 분리 블럭과; 자재 분리 블럭이 모서리부를 가압 상태로 접촉 또는 비가압 상태로 비접촉되도록 상기 자재 분리 블럭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블럭 위치 변경수단을 포함하며, 분리수단에 의해 자재의 내측 영역부가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이 일정 높이 상승한 경우 블럭 위치 변경수단에 의해 자재 분리 블럭이 모서리부에 접촉 후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의해 자재 적재대에 2매 이상부터 수십 매까지 적층된 가공용 자재중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부터 낱장의 상태로 자재 적재대로부터 상방향으로 픽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A workpiece separation apparatus of sheet-like workpiece lifter}
본 발명은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재 적재대에 2매 이상부터 수십 매까지 적층된 가공용 자재중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부터 낱장의 상태로 자재 적재대로부터 상방향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한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가공용 자재 원판을 레이저 가공기의 가공 테이블위에 낱장의 상태로 자동 로딩하거나, 가공 완료된 스크랩 상태의 자재를 가공 테이블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자동으로 언로딩하는 자동 이송장치가 있다.
이 자동 이송장치는 크게 2매 이상부터 수십매까지 적층된 가공용 자재가 탑재된 자재 적재대와, 이 자재 적재대에 탑재된 가공용 자재중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를 낱장의 상태로 자재 적재대에 대해 상방향으로 진공 픽업한 후 상기 레이저 가공기측으로 이송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레이저 가공을 위한 자재의 종류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또는 연강(mild steel)등의 철 금속판,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의 비철 금속판 등 다양하게 있는데, 이들 자재는 2매 이상부터 수십 매 까지 자재 적재대에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자재중 스테인레스 스틸은 그 표면에 보호비닐이 부착된 상태로, 연강은 녹방지 오일이 그 표면에 사전 도포되어 있는 상태로 2매 이상부터 수십 매까지 자재 적재대에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재 적재대에 적층된 자재를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 픽업할 때, 오일의 점착력 또는 보호비닐의 흡착력, 비철 금속판간의 흡착력에 의해 최상단의 자재 바로 아래의 자재도 리프트 장치와 함께 들어 올려지는 2매 리프팅 현상이 간헐적으로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2매 리프팅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일례로, 일본 실용신안공보 실공평07-34050호에 개시된 자력을 이용하여 철판을 분리하는 철판분리장치를 자재 적재대의 일측에 다수 설치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력을 이용한 철판분리장치는 비철금속 재질의 가공용 자재 분리에전혀 적용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가공용 자재의 재질이 철 금속인지 또는 비철금속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낱장 분리가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해 리프트에 에어 분사 철판분리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가공용 자재의 재질이 철 금속인 경우에는 자력을 이용한 분리 기능과 에어 분사를 이용한 분리 기능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자재를 분리할 수 있었으나, 간혹 2매씩 분리되는 현상이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공용 자재의 재질이 비철 금속인 경우에는 에어 분사를 이용한 분리 기능 단독으로는 자재 분리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가공용 자재의 재질에 철금속 또는 비철 금속 여부에 관계없이 낱장의 상태로 확실하게 분리하여 리프팅할 수 있도록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재 적재대에 2매 이상부터 수십 매까지 적층된 가공용 자재중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부터 낱장의 상태로 상기 자재 적재대로부터 상방향으로 픽업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재 리프터의 리프트 프레임의 외곽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용 자재의 상면 영역중 모서리부 내측에 위치한 내측 영역부를 흡착하여 상기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를 바로 아래의 자재와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자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수단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최상단부 자재의 모서리부에 접촉 후 이를 가압하는 자재 분리 블럭과; 상기 자재 분리 블럭이 상기 모서리부를 가압 상태로 접촉 또는 비가압 상태로 비접촉되도록 상기 자재 분리 블럭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블럭 위치 변경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자재의 내측 영역부가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이 일정 높이 상승한 경우 상기 블럭 위치 변경수단에 의해 상기 자재 분리 블럭이 상기 모서리부에 접촉 후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용 자재의 재질에 철금속 또는 비철 금속 여부에 관계없이 낱장의 상태로 확실하게 분리하여 리프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레이저 가공용 자재 리프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시선 "A"인 본 발명의 자재 분리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재 분리장치만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 자재 적재대상에 올려진 자재들중 최상부에 위치한 자재를 낱장의 상태로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작동 과정을 수행한 후, 리프트 프레임이 자재 적재대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서, 자재가 2매가 리프팅된 경우에 최상부측 자재 바로 아래의 자재가 분리되도록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 핵심 구성 이외에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리프트 프레임(310)에 적용되어 있는 공지의 기술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리프트 프레임(310)은 모터 및 체인 또는 대용량의 유압실린더등의 승강수단(315)에 의해 자재 적재대(10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된다.
그리고, 리프트 프레임(310)의 하면측에는 일례로, 행렬 배열 방식으로 메인 진공 흡착패드(317)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메인 진공 흡착패드(317)들은 자재 적재대(100)에 올려진 자재를 진공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리프트 프레임(310)의 상승시 자재가 낙하되지 않도록 일정한 진공 압력으로 흡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인 진공 흡착패드(317)들이 자재를 진공 흡착하는 영역은, 자재(110)의 모서리부(11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그리고, 자재 적재대(100)의 일측에는 자력을 이용한 자재 분리장치(15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공지의 구성에서 자재 적재대(100)에 2매 이상부터 수십 매까지 적층된 가공용 자재(110)중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110)부터 낱장의 상태로 자재 적재대(100)로부터 상방향으로 픽업하는 레이저 가공용 자재 리프터(300)의 자재 분리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장치는, 자재 리프터(300)를 구성하는 리프트 프레임(310)의 외곽부 일측에 설치되어 가공용 자재(110)의 상면 영역중 모서리부(112) 내측에 위치한 내측 영역부(114)를 흡착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110)를 바로 아래의 자재와 분리하는 분리수단(200)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자재(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분리수단(200)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최상단부 자재(110) 모서리부(112)에 접촉 후 이를 가압하는 자재 분리 블럭(250)과, 이 자재 분리 블럭(250)이 모서리부(112)를 가압 상태로 접촉 또는 비가압 상태로 비접촉되도록 자재 분리 블럭(250)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분리수단(200)에 의해 자재(110)의 내측 영역부(114)가 흡착된 상태에서 리프트 프레임(310)이 일정 높이(H) 상승한 경우,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에 의해 자재 분리 블럭(250)이 모서리부(112)에 접촉 후 가압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분리수단(200)은, 자재 리프터(300)의 리프트 프레임(310)의 외곽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지지 아암(210)과, 이 지지 아암(210)이 리프트 프레임(310)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220)와, 상기 내측 영역부(114)를 흡착할 수 있도록 지지 아암(210)에 설치되는 흡착패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엑츄에이터(220)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또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린더를 사용하였다. 상기 흡착패드(230)는 전술한 메인 진공 흡착패드(317)와 같이, 진공압을 이용하여 흡착 대상물을 픽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수단(200)의 결합 및 구조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리프트 프레임(310)의 외곽부 일측에 브라켓트(BR1)를 매개로 수직으로 높낮이 조절 기능을 하는 실린더(350)가 수직으로 설치되되 로드(351)가 자재(11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높낮이 조절 기능을 하는 실린더(350)의 작동에 의해 흡착패드(230)가 자재의 모서리부(112)의 내측에 위치한 내측 영역부(114)에 접촉되거나 접촉 상태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 로드(351)의 단부에는 일정한 길이의 판상체로 된 연결부재(360)가 설치된다.
즉, 연결부재(360)의 일측단부가 로드(351)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연결부재(360)의 타측단부의 하면에는 브라켓트(BR2)가 고정 설치되며, 이 브라켓트(BR2)의 끝단부에는 힌지핀(370)을 매개로 지지 아암(2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엑츄에이터(220)를 구성하는 실린더는 연결부(36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엑츄에이터(220)인 실린더의 로드(221)는 지지 아암(210)의 상면에 돌출된 연결 브라켓트(BR3)에 힌지핀(22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엑츄에이터(220)인 실린더 몸체는 연결부(360)에 힌지핀(224)를 매로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은 지지 아암(210)의 끝단부(210a)에 로드(271)가 최상단측 자재의(110) 모서리부(112)를 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이고, 이 로드(271)의 단부에는 자재 분리 블럭(250)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를 구성하는 실린더로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로드(271)를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으로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슬라이더 및 랙(rack)/피니언(pinion)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사용할 경우에는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장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실린더에 비해 가격이 비싼 모터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 생산성 측면에서 볼 때 비효율적인 단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220)의 구동에 지지 아암(210)이 리프트 프레임(3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될 때,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을 구성하는 실린더 및 자재 분리 블럭(250)이 지지 아암(210)과 함께 회전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아암(210)을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엑츄에이터(220)인 실린더내의 작동 압력을 크게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 이유로는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의 구성으로 사용되는 실린더의 하중이 모터, 슬라이더 및 랙(rack)/피니언(pinion)의 총 하중보다 현저하게 작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터를 적용하는 것보다 실린더를 적용하는 측면이 유리한 이점은 모터에 자재 분리 블럭(250)이 상하 이동시 특정 시점에서 정지되어야 하는 데, 이때, 셀프 로킹수단이 있는 모터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 측면에서 실린더보다 고가이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인 실린더를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리프트 프레임(3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즉, 지지 아암(210)과 별개로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아암(210)에 한 몸체가 되도록 설치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볼 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인 실린더를 지지 아암(210)에 고정 설치하게 되면, 자재간의 분리가 확실하게 발생되도록 자재 분리 블럭(250)에서 전달받은 수직 가압력이 자재(110)의 모서리부(112)에 모두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지지 아암(210)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리프트 프레임(310)에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인 실린더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자재 분리 블럭(250)의 가압력이 수직 가압력이 아니기 때문에 자재간의 분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되며, 결국에는 리프트 프레임(310)이 상승된 경우에 최상부 자재 바로 아래의 자재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 아암(210)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리프트 프레임(310)에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인 실린더를 설치할 경우에는 자재 분리 블럭(250)의 자세를 수직 가압력 발생 구조로 변경하도록 구조 개선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220)에 의해 지지 아암(210)이 회전될 때 모서리부(112)를 향해 최상부측 자재와 바로 아래의 자재 사이로 가압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노즐(24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기체 공급 노즐(240)은 일정한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라운딩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재(110)의 모서리부(112)에 대응되는 자재 분리 블럭(250)의 측부는 가공용 자재(110)에 대해 0°이상 90°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압부(251)를 구비하여 모서리부(112)측 영역이 하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라운딩지게 벤딩되도록 하여, 최상부 자재 바로 아래의 자재가 낙하되도록 한다. 이 가압부(251)에는 요철부(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재 분리 블럭(250)의 내부에는 자재 분리용 기체 공급통로(253)가 관통 형성되며, 기체 공급통로(253)의 출구(254) 방향은 최상부 자재와 바로 아래의 자재 사이로 기체가 분사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는 가압 상태의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재 분리 블럭(250)의 상면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255)이 상방향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재 분리 블럭(250)으로부터 가압 상태의 공기를 최상부 자재와 바로 아래의 자재 사이로 분사시키면, 최상부 자재와 바로 아래의 자재의 분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자재 분리 블럭(250)에 의해 최상부 자재가 가압되면 최상부 자재와 바로 아래의 자재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이격 공간 사이로 가압된 공기가 유입되면, 이 가압 공기 분사력과 자재 분리 블럭(250)의 가압력의 2가지 분리 요인에 의해 최상부 자재 바로 아래의 자재가 완벽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체 공급통로(253)의 출구와 기체 공급 노즐(240)의 출구(241)간의 위치 관계는, 초기 상태, 즉 자재 분리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기체 공급 노즐(240)의 출구(241)보다 기체 공급통로(253)의 출구가 항상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자재 분리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 단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자재 리프터(300)의 리프트 프레임(310)을 수직 하강시켜 메인 진공패드(317)들이 자재(110)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함과 아울러, 높낮이 조절용 실린더(350)를 작동시켜 진공패드(230)가 자재의 모서리부(112)의 내측 영역부(114) 상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제2 단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엑츄에이터(220)인 실린더의 로드(221)가 후진되도록 작동(화살표 b 방향)시키면 지지 아암(210)은 힌지핀(37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화살표 c)의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최상부측 자재(110)의 모서리부(112)의 내측 영역부(114)가 도 3에 도시된 가상의 절곡라인(L1)을 기준으로 하여 상향 벤딩되면서 바로 아래의 자재와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자재가 메인 진공패드(317)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리프트 프레임(310)을 수직 상승시키면 최상부측 자재만이 낱장의 상태로 리프팅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종래 기술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자재 적재대에 적층된 자재를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 픽업할 때, 오일의 점착력 또는 보호비닐의 흡착력, 비철 금속판간의 흡착력에 의해 최상단의 자재 바로 아래의 자재도 리프트 장치와 함께 들어 올려지는 2매 리프팅 현상이 간헐적으로 발생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2매 리프팅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잇다.
<제3 단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작동 과정을 수행한 후, 리프트 프레임(310)이 자재 적재대(110)로부터 일정 높이(H) 상승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을 이루는 실린더를 작동시켜 로드(271)가 자재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면, 로드(271)의 단부에 설치된 자재 분리 블럭(250)이 모서리부(112)를 가압하게 되며, 이후, 모서리부(112)가 라운딩지게 휘어지게 되며 그 결과 자재와 자재 사이가 이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모서리부(112) 및 내측 영역부(114) 부근에서 자재와 자재 사이가 이격되며, 상기 모서리부(112) 및 내측 영역부(114)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면서 자재 하중에 의해 최상부측 자재 아래의 자재가 완전 분리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인 자재 분리 블럭(250)에 의한 모서리부(112)의 가압시 기체 공급통로(253)를 통해 자재 분리 블럭(250)의 출구로부터 에어가 고압으로 모서리부(112)를 향해 공급되기 때문에 자재 분리가 더욱 촉진되어, 완벽하게 자재 분리를 실현할 수 있다.
100 : 자재 적재대
110 : 가공용 자재
112 : 모서리부
114 : 내측 영역부
200 : 분리수단
210 : 지지 아암
220 : 엑츄에이터
230 : 흡착패드
240 : 기체 공급 노즐
250 : 자재 분리 블럭
251 : 가압부
252 : 요철부
253 : 기체 공급통로
270 : 블럭 위치 변경수단
271 : 로드
300 : 자재 리프터
310 : 리프트 프레임

Claims (9)

  1. 자재 적재대(100)에 2매 이상부터 수십 매까지 적층된 가공용 자재중 최상부에 위치한 자재부터 가공용 자재(110)를 낱장의 상태로 상기 자재 적재대(100)로부터 상방향으로 픽업하는 자재 리프터(300)의 자재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재 리프터(300)의 리프트 프레임(310)의 외곽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용 자재(110)의 상면 영역중 모서리부(112) 내측에 위치한 내측 영역부(114)를 흡착하여 상기 최상부에 위치한 가공용 자재를 바로 아래의 자재와 분리하는 분리수단(200)과;
    상기 자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수단(200)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최상단부 자재의 모서리부(112)에 접촉 후 이를 가압하는 자재 분리 블럭(250)과;
    상기 자재 분리 블럭(250)이 상기 모서리부(112)를 가압 상태로 접촉 또는 비가압 상태로 비접촉되도록 상기 자재 분리 블럭(250)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수단(200)에 의해 상기 자재의 내측 영역부(114)가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310)이 일정 높이 상승한 경우 상기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에 의해 상기 자재 분리 블럭(250)이 상기 모서리부(112)에 접촉 후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200)은, 상기 자재 리프터(300)의 리프트 프레임(310)의 외곽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아암(210)과; 상기 지지 아암(210)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310)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220)와; 상기 내측 영역부(114)를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아암(210)에 설치되는 흡착패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럭 위치 변경수단(270)은 상기 지지 아암(210)에 로드(271)가 상기 모서리부(112)를 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이고, 상기 로드(271)의 단부에는 상기 자재 분리 블럭(250)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220)에 의해 상기 지지 아암(210)이 회전될 때 상기 모서리부(112)를 향해 상기 최상부측 자재와 바로 아래의 자재 사이로 가압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노즐(2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112)에 대응되는 상기 자재 분리 블럭(250)의 측부는 상기 가공용 자재에 대해 0°이상 90°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압부(25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51)에는 요철부(2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용 자재 리프터의 자내 분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분리 블럭(250)의 내부에는 자재 분리용 기체 공급통로(253)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기체 공급통로(253)의 출구 방향은 최상부 자재와 바로 아래의 자재 사이로 기체가 분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가압 상태의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220)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또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통로(253)의 출구는 상기 기체 공급통로(253)의 출구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KR1020120051131A 2012-05-14 2012-05-14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KR20130127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31A KR20130127308A (ko) 2012-05-14 2012-05-14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31A KR20130127308A (ko) 2012-05-14 2012-05-14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308A true KR20130127308A (ko) 2013-11-22

Family

ID=4985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131A KR20130127308A (ko) 2012-05-14 2012-05-14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73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1902A (zh) * 2018-07-25 2018-12-21 昆山艾易得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铜箔破真空分拣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1902A (zh) * 2018-07-25 2018-12-21 昆山艾易得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铜箔破真空分拣机构
CN109051902B (zh) * 2018-07-25 2023-11-10 艾易得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铜箔破真空分拣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6046B (zh) 一种“u”形梁三面冲孔工艺及其使用的生产设备
CN2934159Y (zh) 钢板自动上料机构
CN205589981U (zh) 一种适用于柔性板材的防掉落自动化上下料装置
CN107879108B (zh) 金属板材搬运装置
CN209008130U (zh) 上料撕膜机构
CN105690073A (zh) 一种衬套压合机构
CN207077363U (zh) 一种用于汽车前端模块铆接板装配的装卡装置
KR20100129992A (ko) 디스태킹 행거 장치
KR20130141004A (ko)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EP2613908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oeuvring and support of panels
CN104495193B (zh) 电容器夹持工装及电容器夹持机构
CN210366264U (zh) 一种自动裁切贴膜装置
CN113560728B (zh) 一种铝片镍片极耳自动焊接机
KR20130127308A (ko) 자재 리프터의 자재 분리장치
CN108972591A (zh) 一种取料、搬运、冲压、码垛一体化的机器人
JP6369843B2 (ja) 板材分離装置、その板材分離装置を備えた板材搬送装置、及び板材の分離方法
KR20130120699A (ko) 3매 자동정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용접시스템
CN205652870U (zh) 一种片状物料分离装置
CN207016161U (zh) 一种自动分张器
CN206925322U (zh) 一种自动上下料机械手
CN205129313U (zh) 一种鸟喙状压头的转向节压紧机构及压紧设备
CN107199511A (zh) 贴砂纸装置
CN211168825U (zh) 上料装置
JP2009095844A (ja) プレス装置
CN105800345A (zh) 一种片状物料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