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041A - 징검다리 - Google Patents

징검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041A
KR20130127041A KR1020120050619A KR20120050619A KR20130127041A KR 20130127041 A KR20130127041 A KR 20130127041A KR 1020120050619 A KR1020120050619 A KR 1020120050619A KR 20120050619 A KR20120050619 A KR 20120050619A KR 20130127041 A KR20130127041 A KR 20130127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tepping
support piece
support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998B1 (ko
Inventor
이용헌
정장호
박재용
정환록
박종태
박태순
김영덕
김인덕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KR102012005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9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에 고정된 지지편의 단부에 받침편이 형성되고, 받침편의 상측에 디딤편을 배치하여 하천의 양안(兩岸)을 건널 수 있도록 한 구조로부터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하천의 수질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하천에서 물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어류 등 수생 동물의 자유로운 왕래를 도모하여 생태계 및 환경 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징검다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징검다리{STEPPING STONES}
본 발명은 징검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하천의 수질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징검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양안(兩岸)을 사람이 건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량을 건설하기도 한다.
그러나, 교량 건설에는 많은 비용과 시공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교량을 건설한 후에도 실족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홍수시에는 교량의 교각에 다량의 이물질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수심이 얕아 교량을 건설할 필요까지는 없는 얕은 하천에서 사람이 건널 수 있도록 한 것이 징검다리이다.
징검다리는 수심이 얕은 하천의 양안을 사람이 건널 수 있도록 하천의 수면 위로 노출되게 자연석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징검다리는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직교되게 형성되므로, 홍수나 장마 등 하천의 유량이 많은 계절에는 토사와 함께 일부 또는 전부가 휩쓸려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징검다리 또한 하천에서 물의 흐름을 대부분 차단하므로, 하천의 상, 하류에 걸쳐 어류의 자유로운 왕래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하천의 유속을 저하시키고, 이물질이 다량으로 걸려서 자정 능력을 저감시키는 문제 또한 있었던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2-0049263호 특허출원 제10-2005-0061526호 특허출원 제10-2006-0100054호 특허출원 제10-2010-0018951호 특허출원 제10-2010-0033362호 실용신안출원 제20-2000-0032670호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40218호 실용신안출원 제20-2009-00013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하천의 수질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징검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천에서 물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어류 등 수생 동물의 자유로운 왕래를 도모하여 생태계 및 환경 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징검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의 양안(兩岸)을 상호 연결하며 하천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평행한 받침편; 상기 받침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편; 및 상기 받침편에 장착되는 석재 또는 목재인 디딤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의 단부 가장자리는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지지편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는 연장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디딤편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편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편은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받침편과,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받침편을 포함하며, 상기 디딤편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2 받침편으로 지지되고, 상기 제2 받침편과 연결된 상기 지지편의 폭은 상기 제1 받침편과 연결된 상기 지지편의 폭보다 넓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직교되게 상기 디딤편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디딤편과 인접한 디딤편 상호 간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연결 디딤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하천의 하류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에 결합되는 경사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천의 물은 상기 받침편의 하측을 거쳐 상기 경사편의 상측 가장자리를 통하여 넘겨 보내지며, 상기 경사편의 상측 가장자리는 상기 하천의 수면과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경사편의 상측 가장자리는 상기 지지편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경사편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통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류 가이드와, 상기 경사편과 인접한 경사편 각각의 가장자리를 상호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지지편의 양측 가장자리 중 상기 하천의 하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하천의 상류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편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제2 슬릿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경사편과 인접한 경사편 각각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호 접촉되는 제1 접촉편과, 상기 제1 접촉편 각각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호 겹쳐지는 제2 접촉편과, 상기 경사편 또는 인접한 경사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접촉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제2 접촉편을 덮는 마감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지지편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천의 하류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고 점차 좁아지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양단 관통의 수류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유로는 위 또는 아래로 볼록한 제1 원호와, 상기 제1 원호와 다른 방향으로 볼록한 제2 원호가 상호 연결된 형상이며, 상기 수류 덕트의 하류측 단부는 수면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석재 또는 목재인 디딤편이 탑재되는 받침편으로부터 연장된 지지편이 베이스에 고정되어 하중을 분산 지지하면서도 기존의 자연석에 비하여 경량화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하천에서 물의 흐름이 받침편의 하측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자연석에 의한 징검다리에 비하여 하천의 흐름을 저해하는 요소가 거의 없어 자정 작용 또한 자연 하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사편과 수류 덕트 등 다양한 부재를 지지편에 장착하여 일정 정도의 와류를 형성하거나 작은 폭포 또는 분수와 같은 효과를 일반 하천에서도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경관 향상을 도모하고 용존 산소량을 늘려 하천의 정화 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5는 도 3의 B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7 내지 도 13은 도 3의 C 시점에서 바라본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의 실제 적용예 및 응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고정된 지지편(300)의 단부에 받침편(200)이 형성되고, 받침편(200)의 상측에 디딤편(400)을 배치하여 하천(500)의 양안(兩岸)을 건널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류(u)'는 도 1 내지 도 3, 도 6, 그리고 도 13의 사시도를 기준으로 도면의 좌측 하단 부근의 영역을 나타내며, '하류(d)'는 도 1 내지 도 3, 도 6, 그리고 도 13의 사시도를 기준으로 도면의 우측 상단 부근의 영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류(u)'는 도 4 및 도 6의 D 부분 확대도를 기준으로 도면의 좌측 영역을 나타내며, '하류(d)'는 도 4 및 도 6의 D 부분 확대도를 기준으로 도면의 우측 영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류(u)'는 도 5를 기준으로 도면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방향을 나타내며, '하류(d)'는 도 5를 기준으로 도면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류(u)'는 도 7 내지 도 13을 기준으로 도면의 하측 영역을 나타내며, '하류(d)'는 도 7 내지 도 13을 기준으로 도면의 상측 영역을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하천(500)의 물이 앞서 정의한 '상류(u)'측에서 '하류(d)'측으로 흐르는 것이라 정의한다.
우선, 베이스(100)는 하천(500)의 양안을 상호 연결하며 하천(50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지편(30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가 토사 등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받침편(200)은 베이스(1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베이스(100)의 상면과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된 것으로, 디딤편(4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편(300)은 받침편(20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베이스(100)에 고정되되는 것으로, 디딤편(40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디딤편(400)은 석재 또는 목재로 제작된 부재로 받침편(20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하천(500)의 양안을 건널 때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고 발 디딜 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지지편(300)의 단부 가장자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50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평행을 이루므로, 하천(500)의 수류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으며, 여간한 시간당 유량에도 지지편(300)이 물살에 유실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베이스(100)는 수면(501) 위로 노출된 부분과 수면(501) 아래에 잠긴 부분 모두 물살에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통상 콘크리트를 양생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편(30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되기 전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미리 지지편(300)의 단부가 매설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기성품 상태로 제공된 베이스(100) 상에 지지편(300)을 볼트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지지편(300)은 베이스(100)와의 확실한 고정 상태 유지를 위하여 지지편(30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베이스(100)에 매설되는 연장편(31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편(310)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성품 상태로 제공된 베이스(100) 상에 볼트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시각적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지지편(300)의 상측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디딤편(40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커버편(410)을 연장하여 지지편(30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받침편(200)은 도 4와 같이 디딤편(400)의 상류(u)측 및 하류(d)측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여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위하여 제1, 2 받침편(210, 220)을 배치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제1 받침편(210)은 하천(50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상류(u)측에 배치되고, 제2 받침편(220)은 하천(50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하류(d)측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간이 보 역할을 하고, 월류(越流)하는 물의 형상으로부터 경관 감상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경사편(600)을 더 구비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경사편(600)은 하천(500)의 하류(d)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지지편(300)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하천(500)의 물은 받침편(200)의 하측을 거쳐 경사편(600)의 상측 가장자리를 통하여 넘겨 보내지며, 경사편(600)의 상측 가장자리는 하천(500)의 수면(501)과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제2 받침편(220)과 연결된 지지편(300')의 폭(W2)은 결합된 경사편(600)을 지지하고, 경사편(600)의 표면에 가해지는 물로 인한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받침편(210)과 연결된 지지편(300)의 폭(W1)보다 넓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사편(600)은, 경사편(60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류 가이드(610)를 원통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부드럽게 낙하하는 물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수류 가이드(610)는 원통 형상으로 절곡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경사편(60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류(d)측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물이 월류하도록 다양한 구조적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류 가이드(61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사편(60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빗살 모양으로 물이 월류하도록 한다든가, 하천(50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경사편(600)의 상측 가장자리를 자른 단면의 형상이 날개 또는 지느러미와 같이 유선형으로 제작하여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물이 월류하도록 유도하는 등의 설계적 변경 및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경사편(600)의 상측 가장자리는 간이 보의 역할을 하면서도 하천(500)에서 수류를 막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편(300)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편(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300')의 양측 가장자리 중 하천(500)의 하류(d)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천(500)의 상류(u)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슬릿(330)과, 제1 슬릿(3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편(600)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제2 슬릿(630)이 상호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사편(600)은 도 5와 같이 인접한 경사편(600') 각각의 가장자리를 상호 결합하는 체결부(6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620)는 하천(500)의 양안을 전체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물막이하여 하천(500)을 청소하거나 하는 등의 관리 차원에서 수밀 작용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씰 부재(이하 미도시)를 장착할 수도 있다.
체결부(62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2 접촉편(621, 621', 622, 622')의 단부를 마감편(623)이 마감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 5의 확대부와 같은 단면 형상은 경사편(600)과 인접한 경사편(600') 각각이 슬라이딩 체결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접촉편(621, 621')은 경사편(600)과 인접한 경사편(600') 각각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호 접촉되며, 제2 접촉편(622, 622')은 제1 접촉편(621, 621') 각각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호 겹쳐지고, 마감편(623)은 경사편(600) 또는 인접한 경사편(600) 중 어느 하나의 제2 접촉편(622, 622')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제2 접촉편(622, 622')을 덮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경관 향상을 도모하면서 하천(500)에서 물의 흐름에 작은 분수 또는 폭포와 같은 효과를 구현하여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고 수질 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수류 덕트(700)가 구비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수류 덕트(700)는 지지편(300) 각각에 장착되고, 베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하천(500)의 하류(d)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고 점차 좁아지는 내부 유로(710)가 형성된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여기서, 내부 유로(710)는 전체적으로 위 또는 아래로 볼록한 제1 원호(711)와, 제1 원호(711)와 다른 방향으로 볼록한 제2 원호(712)가 상호 연결된, 이른바 물결 형상이며, 수류 덕트(700)의 하류(d)측 단부는 전술한 분수 및 폭포 효과의 구현을 위하여 수면(501)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 내지 도 13과 같이 하천(500)의 양안을 자전거나 휠체어로 건너거나 손수레 등을 지참하여 건널 때 등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결 디딤편(420)을 디딤편(400)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디딤편(420)은 구체적으로는 하천(50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직교되게 디딤편(400)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디딤편(400)과 인접한 디딤편(400) 상호 간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 디딤편(420)과 인접한 디딤편(400) 또는 인접한 연결 디딤편(420) 상호간에는 열 수축 또는 팽창 등의 열변형에 따른 공차를 감안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켜 두는 것이 좋다.
이때, 연결 디딤편(420)은 제1, 2 받침편(210, 220, 도 4 참고)으로 지지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결 디딤편(42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디딤편(400)의 상류(u)측 또는 하류(d)측 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 또는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일반적인 보행자와 자전거 통행자가 불가피하게 동시 통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결 디딤편(420)은 도 9와 같이 디딤편(400)의 상류(u)측 및 하류(d)측 단부 양측으로부터 공히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工(공)'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휠체어 탑승자가 하천(500)의 양안을 건널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 디딤편(420)은 도 10과 같이 디딤편(400)의 하류(d)측 단부 일측으로부터 인접한 디딤편(400)의 하류(d)측 단부 타측까지 근접하게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디딤편(400)의 하류(d)측 가장자리를 따라 휠을 구비한 운송 수단이 지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디딤편(420)은 도 11과 같이 디딤편(400)의 상류(u)측 단부 일측으로부터 인접한 디딤편(400)의 상류(u)측 단부 타측까지 근접하게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디딤편(400)의 상류(u)측 가장자리를 따라 휠을 구비한 운송 수단이 지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디딤편(420)은 도 12와 같이 디딤편(400)의 상류(u)측 및 하류(d)측 단부 일측으로부터 인접한 디딤편(400)의 상류(u)측 및 하류(d)측 단부 타측까지 근접하게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180도 회전된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일반적인 보행자와 자전거 통행자가 불가피하게 동시 통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결 디딤편(420)은 도 13과 같이 디딤편(400)의 상류(u)측 단부 일측 및 하류(d)측 단부 타측으로부터 인접한 디딤편(400)의 상류(u)측 단부 타측 및 하류(d)측 단부 일측까지 근접하게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일반적인 보행자와 자전거 통행자가 불가피하게 동시 통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은 도 14와 같이 디딤편(400)의 상측에 엘이디 등기구(800)와 같이 저전력의 조명장치를 배치하여 야간 또는 악천후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야간의 경관 조명용으로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5의 (a) 및 (b)와 같이 지지편(300")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디딤편(400)을 지지하거나 도 15의 (c)와 같이 경사편(600, 도 3 내지 도 5 참고)이 체결된 부분에 걸리는 수압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디딤편(4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지지편(300'")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6과 같이 디딤편(400)의 하측에 다양한 형상의 지지편(300)들을 배치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하천의 수질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하천에서 물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어류 등 수생 동물의 자유로운 왕래를 도모하여 생태계 및 환경 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징검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베이스 200...받침편
300...지지편 400...디딤편
500...하천 600...경사편
700...수류 덕트

Claims (11)

  1. 하천의 양안(兩岸)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하천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평행한 받침편;
    상기 받침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편; 및
    상기 받침편에 장착되는 석재 또는 목재인 디딤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의 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지지편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는 연장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디딤편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편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은,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받침편과,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받침편을 포함하며,
    상기 디딤편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2 받침편으로 지지되고,
    상기 제2 받침편과 연결된 상기 지지편의 폭은 상기 제1 받침편과 연결된 상기 지지편의 폭보다 넓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직교되게 상기 디딤편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디딤편과 인접한 디딤편 상호 간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연결 디딤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하천의 하류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에 결합되는 경사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천의 물은 상기 받침편의 하측을 거쳐 상기 경사편의 상측 가장자리를 통하여 넘겨 보내지며,
    상기 경사편의 상측 가장자리는 상기 하천의 수면과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경사편의 상측 가장자리는 상기 지지편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경사편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통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류 가이드와,
    상기 경사편과 인접한 경사편 각각의 가장자리를 상호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지지편의 양측 가장자리 중 상기 하천의 하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하천의 상류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편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제2 슬릿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경사편과 인접한 경사편 각각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호 접촉되는 제1 접촉편과,
    상기 제1 접촉편 각각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호 겹쳐지는 제2 접촉편과,
    상기 경사편 또는 인접한 경사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접촉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제2 접촉편을 덮는 마감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징검다리는,
    상기 지지편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천의 하류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고 점차 좁아지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양단 관통의 수류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는 위 또는 아래로 볼록한 제1 원호와, 상기 제1 원호와 다른 방향으로 볼록한 제2 원호가 상호 연결된 형상이며,
    상기 수류 덕트의 하류측 단부는 수면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KR1020120050619A 2012-05-14 2012-05-14 징검다리 KR10135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19A KR101359998B1 (ko) 2012-05-14 2012-05-14 징검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19A KR101359998B1 (ko) 2012-05-14 2012-05-14 징검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41A true KR20130127041A (ko) 2013-11-22
KR101359998B1 KR101359998B1 (ko) 2014-02-07

Family

ID=4985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19A KR101359998B1 (ko) 2012-05-14 2012-05-14 징검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375B1 (ko) 2019-05-03 2021-05-06 김덕환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KR102498890B1 (ko) 2021-05-24 2023-02-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투과형 징검다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536A (ja) * 1996-04-02 1997-10-14 Fujita Corp 水域排水装置
JPH10114927A (ja) * 1996-10-11 1998-05-06 Hokuetsu:Kk 人の歩行や生態系に配慮した護床ブロックおよび護床工
KR200271632Y1 (ko) * 2001-12-26 2002-04-12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하천용 징검다리
KR101031616B1 (ko) 2010-08-27 2011-04-27 석성기업주식회사 천연자연석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998B1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7088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101727124B1 (ko) 행어를 이용한 교량용 보도 및 그 시공 방법과, 경관용 인도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359998B1 (ko) 징검다리
KR20130042224A (ko) 토석류 방호 구조물
KR100530273B1 (ko) 교각기초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세굴방지대
KR101132310B1 (ko) 이중 래버린스보
CN108330813B (zh) 一种新型桥梁
JP2007270591A (ja) 魚道に設ける粗石工作物
KR101194390B1 (ko) 교각에 설치되어 수위변화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천 횡단 자전거 부교
KR101179735B1 (ko) 배수구 덮개
KR200456053Y1 (ko) 하천용 징검다리
JP6429198B2 (ja) 魚道構造体
KR20090042885A (ko) 소공원을 구비한 다리
KR101505986B1 (ko) 인공어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낚시환경 조성구조물
KR20180086936A (ko) 부유식 수영장
CN211340367U (zh) 一种美观防滑园林拱桥
KR102498890B1 (ko) 투과형 징검다리
KR20110047800A (ko)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KR101029144B1 (ko) 교량용 보도
RU2291930C1 (ru) Регу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900835B1 (ko) 집수정식 어도를 구비한 자연형 보
KR200318234Y1 (ko) 어도 블럭
KR101147468B1 (ko) 조립식 징검다리
KR100649368B1 (ko) 하천용 회랑형 낙차공
KR101307668B1 (ko) 경계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