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90B1 - 투과형 징검다리 - Google Patents

투과형 징검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90B1
KR102498890B1 KR1020210066117A KR20210066117A KR102498890B1 KR 102498890 B1 KR102498890 B1 KR 102498890B1 KR 1020210066117 A KR1020210066117 A KR 1020210066117A KR 20210066117 A KR20210066117 A KR 20210066117A KR 102498890 B1 KR102498890 B1 KR 10249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ing
river
installation surface
adjacent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389A (ko
Inventor
이효상
지재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형 징검다리에 관한 것으로, 설치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디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딤부는 단일부재가 복수 구부러져 형성되어 연속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디딤부를 단일부재가 복수 구부러져 형성되면서 이웃한 디딤부는 베이스를 서로 교류하고 있다. 디딤부는 하천의 좌안에서 우안의 방향으로 연속 연결되어 있다. 디딤부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지 않고 일체화된 구조로 설치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과형 징검다리{Penetration type stepping-stone}
본 발명은 투과형 징검다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도심하천은 하상을 정비하여 호안블록으로 좌안과 우안을 만들어 물 흐름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도심 하천의 좌안과 우안에는 각각 산책로 등을 설치하여 도심 하천에 대한 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주민들에게 운동과 산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도심하천에는 하천의 좌안과 우안을 지나는 사람이 건널 수 있는 징검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징검다리는 다수의 큰돌을 겹겹이 쌓아서 만들거나, 모래를 담은 마대를 겹겹이 쌓아서 만들고, 좀더 튼튼하 게 만들려면 하천에 거푸집을 만들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물막이 보를 만든다.
그러나 홍수 시 징검다리를 건너던 시민이 발을 헛디딜 경우 급류에 휩쓸려 실족할 수 있다.
또한, 징검다리가 하천의 물 흐름을 수직으로 차단하므로 물 흐름이 원활하지 않는다. 또한 하천수가 징검다리 월류하는 시점에는 징검다리로 유입되는 하천흐름과 달리 징검다리 상부부분은 흐름이 급격히 사류로 변하여 유속이 급격히 변하여, 징검다리를 건너는 사람이 실족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하천의 중앙부분에서 휩쓸리는 경우 다시 하천가로 나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632호 (2002.03.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9998호 (2014.01.28.)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어 좌안과 우안에 근접한 징검다리 부분이 강우 발생으로 수위가 상승할 때 초기에 잠길 수 있도록 하여 강우 발생 시 사람들이 징검다리를 건너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된 징검다리가 보와 같이 흐르는 물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여 물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징검다리는 설치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디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딤부는 단일부재가 복수 구부러져 형성되어 연속 연결되어 있다.
하천의 좌안 및 우안과 근접한 디딤부의 높이는 하천의 중앙에 위치한 디딤부의 높이보다 상기 설치면을 기준으로 낮을 수 있다.
상기 디딤부와 이웃한 디딤부의 사이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일부재는 플라스틱, 금속 및 콘크리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디딤부는 하천의 바닥에서 떨어져 있고 밟을 수 있는 도음판, 상기 도음판의 양측에서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교각 및 상기 교각에서 하천의 좌안 및 우안의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한 디딤부는 상기 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디딤부는 상기 단일부재가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복수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디딤부의 폭과 이웃한 디딤부의 사이 간격은 같을 수 있다.
상기 디딤부는 상기 단일부재가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복수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디딤부의 폭과 이웃한 디딤부의 사이 간격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단일부재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황동재질의 입자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딤부를 단일부재가 복수 구부러져 형성되면서 이웃한 디딤부는 베이스를 서로 공유하고 있다. 디딤부는 하천의 좌안에서 우안의 방향으로 연속 연결되어 있다. 디딤부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지 않고 일체화된 구조로 설치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안 및 우안과 이웃한 디딤부가 하천의 중앙에 위치한 디딤부보다 설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낮다. 이에 강우, 상류 수위 상승 등으로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면 좌안 및 우안과 이웃한 디딤부가 하천의 중앙에 위치한 디딤부보다 물에 먼저 잠길 수 있다. 이에 하천의 수위 상승 시 좌안 및 우안의 보행자가 징검다리를 건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딤부와 이웃한 디딤부의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투과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징검다리는 물 흐름을 차단하지 않는다. 이에 물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월류 시 급격한 수위 상승과 유속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유속 등에 의해 징검다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딤부의 폭과 이웃한 디딤부의 사이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징검다리를 건너는 사람들의 재미를 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딤부를 형성하고 있는 단일부재의 표면에 황동재질의 입자가 도포되어 있다. 황동재질의 입자에 의해 디딤부의 표면에 물 때, 이끼 등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물 때, 이끼 등에 의해 징검다리를 건너는 사람이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징검다리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징검다리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징검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징검다리 양측이 물에 잠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징검다리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징검다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징검다리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징검다리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징검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징검다리 양측이 물에 잠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징검다리(1)는 하천을 건너는 사람들이 밟을 수 있는 디딤부(10)들을 형성하고 있다. 투과형 징검다리(1)는 하천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안 및 우안에 근접한 부분이 강우 발생으로 수위가 상승할 때 낮은 수위에 잠길 수 있도록 하여 강우 발생 시 사람들이 징검다리를 건너지 않도록 한다. 또한, 투과형 징검다리(1)는 하천에 설치되어 하천을 흐르는 물을 차단하지 않도록 한다.
징검다리(1)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따위로 이루어져 기설정된 넓이,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재 형태의 단일부재가 복수 구부러져 디딤부(10)들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단일부재는 디지털 신호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디딤부(10)들의 폭(W)과 이웃한 디딤부의 간격(S)은 같다. 이에 징검다리(1)가 하천에 설치되었을 때 디딤부(10)들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한편, 징검다리(1)를 하천에 설치하였을 때 디딤부(10)들은 설치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H)를 갖는다. 설치면은 하천의 바닥이다. 하천 바닥이 평탄하지 않아 최하점과 최고점을 갖는 경우 최고점이 설치면이 될 수 있다. 설치면은 가상의 수평선일 수도 있다.
그리고 징검다리(1)를 하천에 설치하였을 때 좌안 및 우안과 근접한 디딤부의 높이가 하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디딤부의 높이보다 설치면을 기준으로 낮다. 디딤부(10)들의 높이는 설치면을 기준으로 좌안 및 우안에서 하천의 중앙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높아진다. 그러나 하천의 중앙에 위치한 디딤부는 설치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딤부(10)는 도음판(11), 교각(12) 및 베이스(13)를 포함한다.
도음판(11)은 징검다리(1)가 하천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천의 바닥과 떨어져 있다. 하천을 건너는 사람들은 도음판(11)을 밟고 건널 수 있다.
교각(12)은 하천의 좌안(100a) 및 우안(100b)을 향하는 도음판(11)의 양측에서 하천의 바닥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교각(12)은 도음판(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웃한 교각(12)의 사이로 하천의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공간(1a)이 형성된다.
교각(12)이 도음판(11)을 지지할 수 있는 최소의 두께를 가지며, 도음판(11)의 아래에 물이 통과하는 투과공간(1a)이 형성되어 교각(12)은 하천의 물 흐름을 차단하지 않는다.
베이스(13)는 교각(12)의 하단에서 좌안(100a) 및 우안(100b)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3)는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설치면에는 베이스(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콘크리트 블록 따위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3)는 콘크리트 블록에 앵커 볼트(anchor bolt) 따위의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투과공간(1a)은 도음판(11)의 아래와 이웃한 디딤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징검다리(1)는 하천의 물 흐름을 차단하지 않아 급류에 휩쓸려 붕괴되지 않는다.
디딤부(10)들을 단일부재가 복수 구부러져 형성되면서 이웃한 디딤부(10)들은 베이스(13)를 서로 공유하고 있다. 디딤부(10)들은 하천의 좌안에서 우안의 방향으로 연속 연결되어 있다. 디딤부(10)들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지 않고 일체화된 구조로 설치되어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디딤부(10)를 사각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징검다리(1)의 디자인에 따라 디딤부(10)의 모양은 사다리꼴, 마름모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징검다리(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도 4를 더 참고하면, 징검다리(1)는 하천(100)에 배치되어 있으며, 베이스(13)는 설치면(G)의 콘크리트 블록에 고정되어 있다. 징검다리(1)는 하천(100)에서 사람들이 건널 수 있도록 좌안(100a)과 우안(100b)을 연결하고 있다.
좌안(100a) 및 우안(100b)과 이웃한 디딤부(10)가 하천의 중앙에 위치한 디딤부(10)보다 설치면(G)을 기준으로 높이가 낮다. 이에 강우, 상류 수위 상승 등으로 하천(100)의 수위가 상승하면 좌안(100a) 및 우안(100b)과 이웃한 디딤부(10)가 하천의 중앙에 위치한 디딤부(10)보다 물에 먼저 잠길 수 있다. 이에 하천의 수위 상승 시 좌안(100a) 및 우안(100b)의 보행자가 징검다리(1)를 건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디딤부(10)들과 이웃한 디딤부(10)들의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투과공간(1a)이 형성되어 있어 징검다리(1)는 물 흐름을 차단하지 않는다. 이에 물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월류 시 급격한 수위 상승과 유속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유속 등에 의해 징검다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2)는 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딤부(10)들의 폭(W)과 이웃한 디딤부(10)들의 사이 간격(S)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디딤부(10)들의 폭(W)과 사이 간격(S)이 다르게 형성되어 징검다리(2)를 건너는 사람들의 재미를 더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는 디딤부(10)들을 형성하고 있는 단일부재의 표면에는 황동재질의 입자가 도포되어 있다. 황동은 구리에 아연을 넣어 만든 것으로 녹슬지 않는다. 황동재질의 입자는 디딤부(10)들의 표면에 물 때, 이끼 등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물 때, 이끼 등에 의해 징검다리를 건너는 사람이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징검다리 1a: 투과공간
10: 디딤부 11: 도음판
12: 교각 13: 베이스
G: 설치면

Claims (8)

  1. 설치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디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디딤부는 단일부재가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복수 구부러져 하천의 좌안에서 우안의 방향으로 연속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디딤부는
    상기 설치면에서 떨어져 있고 밟을 수 있는 도음판,
    상기 도음판의 양측에서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교각 및
    상기 교각의 하단에서 하천의 좌안 및 우안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져 상기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를 포함하고,
    이웃한 디딤부는 상기 베이스를 공유하며, 상기 디딤부의 폭과 이웃한 디딤부의 사이 간격은 상이하고,
    하천의 좌안 및 우안과 근접한 디딤부의 높이는 상기 설치면을 기준으로 하천의 중앙에 위치한 디딤부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도음판의 아래와 이웃한 디딤부의 사이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공간이 형성된
    투과형 징검다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단일부재는 플라스틱, 금속 및 콘크리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진 투과형 징검다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단일부재에는 황동재질의 입자가 도포되어 있는 투과형 징검다리.
KR1020210066117A 2021-05-24 2021-05-24 투과형 징검다리 KR10249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117A KR102498890B1 (ko) 2021-05-24 2021-05-24 투과형 징검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117A KR102498890B1 (ko) 2021-05-24 2021-05-24 투과형 징검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89A KR20220158389A (ko) 2022-12-01
KR102498890B1 true KR102498890B1 (ko) 2023-02-09

Family

ID=8444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117A KR102498890B1 (ko) 2021-05-24 2021-05-24 투과형 징검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73Y1 (ko) * 2011-05-27 2013-11-27 정내관 다단 징검돌
KR101359998B1 (ko) * 2012-05-14 2014-02-07 (주)리버앤텍 징검다리
KR101699203B1 (ko) * 2016-03-15 2017-02-02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이끼, 조류발생 방지용 트라프 패널 및 이끼, 조류발생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632Y1 (ko) 2001-12-26 2002-04-12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하천용 징검다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73Y1 (ko) * 2011-05-27 2013-11-27 정내관 다단 징검돌
KR101359998B1 (ko) * 2012-05-14 2014-02-07 (주)리버앤텍 징검다리
KR101699203B1 (ko) * 2016-03-15 2017-02-02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이끼, 조류발생 방지용 트라프 패널 및 이끼, 조류발생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89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342B1 (ko) 친환경 사방댐 설치공법
US20130078037A1 (en) Debris flow drainage canal based on cascade antiscour notched sill group and application thereof
US5174681A (en) Permeable breakwater
US5011328A (en) Permeable breakwater
McKinley et al. A proposed correction of migratory fish problems at box culverts
KR102498890B1 (ko) 투과형 징검다리
KR20130042224A (ko) 토석류 방호 구조물
JP3211107B2 (ja) 冠水ダム工法
JP7212581B2 (ja) 土石流堆積工
Odgaard et al. Sediment control in bridge waterways
RU2703421C1 (ru) Грунтовая плотина с фильтрующим водосбросом
JP7022630B2 (ja) 流木の捕捉施設
JP6067249B2 (ja) 流路調整ブロック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KR200456053Y1 (ko) 하천용 징검다리
JP7098039B2 (ja) 流木の捕捉施設
CN210049128U (zh) 一种位于涵洞出口处的结构
CN117845833B (zh) 一种水利工程边坡的抗冲击结构及其应用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JP2704210B2 (ja) 魚ののぼりやすい河川横断工作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3017505U (ja) 魚 道
JP6366780B2 (ja) 魚道建設用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埋設枠
JP3025831U (ja) 魚ののぼりやすい河川横断工作物
KR200411833Y1 (ko) 소하천 물막이 가시설
KR101077623B1 (ko) 하천용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