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053Y1 - 하천용 징검다리 - Google Patents

하천용 징검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053Y1
KR200456053Y1 KR2020090001303U KR20090001303U KR200456053Y1 KR 200456053 Y1 KR200456053 Y1 KR 200456053Y1 KR 2020090001303 U KR2020090001303 U KR 2020090001303U KR 20090001303 U KR20090001303 U KR 20090001303U KR 200456053 Y1 KR200456053 Y1 KR 200456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ing
natural stone
water
present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132U (ko
Inventor
박찬묵
Original Assignee
박찬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묵 filed Critical 박찬묵
Priority to KR2020090001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05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0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심 하천에 설치되는 징검다리에 관한 것으로, 물 흐름에 방해를 최소로 하여 수위 상승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수위가 높아지는 계절에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용 징검다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징검다리를 구성하는 자연석의 측면이 함몰되게 함몰부위를 형성하여 자연석의 측면 함몰부위에서 많은 유량의 통과로 징검다리가 물에 잠기게 되는 경우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징검다리, 자연석, 물 흐름, 함몰부위

Description

하천용 징검다리{Stepping stones for across a stream}
본 고안은 도심 하천에 설치되는 징검다리에 관한 것으로, 물 흐름에 방해를 최소로 하여 수위 상승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수위가 높아지는 계절에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용 징검다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도심 하천은 하상을 정비하여 호안블록으로 좌안과 우안을 만들어 물 흐름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도심 하천의 좌안과 우안에는 각각 산책로 등을 설치하여 도심 하천에 대한 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주민들에게 운동과 산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도심 하천에는 하천의 좌안과 우안을 연결하는 징검다리를 자연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사람이 하천의 좌안을 통하여 일정거리를 이동한 후 징검다리를 건너서 하천의 우안으로 되돌아 온 후 다시 징검다리를 건너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마치 길다란 타원형의 동선을 그리며 산책이나 조깅 또는 하이킹을 즐기고 있다.
이 같이 도심하천에는 하천의 좌안과 우안을 지나는 사람이 건널 수 있는 징검다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징검다리는 평상시 유지하는 하천의 수위보다 높 게 설치되어 있어 수위가 높아 징검다리가 잠기지 않을 경우 징검다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된 징검다리는 비가 오지 않거나 수위가 낮을 경우에는 수면에 노출되어 있어 사용에 하등 문제가 되지 않으나, 비가 조금 오거나 비가 내린 후 또는 상류에 많은 비가 와서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징검다리가 잠기게 되어 사용을 하지 못하거나, 사용을 하는 경우 위험이 따르게 된다.
특히 하천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징검다리가 빨리 물에 잠기는 이유는 징검다리가 설치된 부위에서 징검다리를 이루는 자연석이나 콘크리트 블록이 물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하천에서 물이 흐를 수 있는 단면적이 감소되기 때문에 징검다리가 빨리 물에 잠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운동이나 산책을 하는 사람이 징검다리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한편 물에 잠긴 징검다리는 건널 때 위험이 있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징검다리는 일정 구간이 이격되어 있는 관계로 자전거를 타고 운동을 하는 사람이 징검다리를 건널 경우 자전거를 들고 징검다리를 건널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힘이 약한 아이들이나 부녀자는 징검다리를 건널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도심 하천에 설치된 징검다리가 유량이 증가하여도 쉽게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징검다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천의 수위가 증가할 경우 쉽게 물에 잠기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자전거를 들지 않고 자전거를 밀면서 징검다리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심하천에 설치된 징검다리를 지나는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하천의 유량이 증가하여도 징검다리가 물에 쉽게 잠기게 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징검다리를 구성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연석의 측면을 함몰되게 형성하여 자연석의 측면 함몰부위에서 많은 유량의 통과로 징검다리가 물에 잠기게 되는 경우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징검다리를 구성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연석의 일측 상부에 일정폭을 갖는 도복판을 고정시켜 보복판 위를 자전거 바퀴가 지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를 들지 않고도 징검다리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징검다리를 이루는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 측면에 물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함몰부위를 형성시킴으로써 징검다리가 설치된 부위에서 물 흐름이 정체되어 징검다리가 잠기게 되는 경우를 없애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자연석의 상부 일측으로 도복판을 설치하여 자연석을 연결함으로써 자전거를 끌고 도복판위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심 하천에 설치되는 징검다리를 이루는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 측면으로 물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함몰부위를 형성시킴으로써 하천을 가로질러 자연석으로 징검다리를 설치하여도 징검다리가 설치된 곳에서 물 흐름이 정체되어 빠르게 징검다리가 물에 잠기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징검다리를 이루는 자연석은 하천의 바닥을 콘크리트로 기초한 다음 그 위에 안정되게 설치하거나, 하천의 바닥을 자갈 등으로 안정화시킨 후 자연석을 놓고 시멘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설치하는 것으로, 자연석을 도심하천에 설치하여 징검다리를 구성하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며, 본 고안은 징검다리로 인하여 물 흐름이 방해되어 빠르게 징검다리가 잠기게 되는 현상을 늦추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징검다리는 자연석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연석의 측면에 형성되는 함몰부위는 다양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나, 다만 자연석의 상부 면적과 하부 면적은 감소되지 않아야 자연석의 설치가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한편 상부 면적이 줄어들지 않아 밟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징검다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심 하천(1)을 가로질러 일정 간격을 두고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20)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자연석(20)을 한 줄로 설치하거나 두 줄로 설치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자연석(20)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한편 양 측면으로 다양한 형태의 함몰부위(21)가 형성되게 되는 것으로, 함몰부위(21)를 형성하는 이유는 함몰부위(21)를 통하여 많은 량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고안의 자연석(20)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자연석(20)은 하천 바닥(2)에 콘크리트 기초를 한 후 설치하거나, 자갈을 깐 후 자연석(20)을 놓고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 9와 같이 자연석(20)의 하부를 하천 바닥(2)의 콘크리트 기초에 묻히게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징검다리(100)는 상기와 같이 측면으로 함몰부위(21)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20)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도 5및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장소에 기존의 육면체형 자연석(10)으로 설치된 징검다리를 설치하는 경우와 함몰부위(21)가 형성된 자연석(20)으로 징검다리(100)를 설치하는 경우를 비교하면 동일한 량의 유량이 흐를 경우 도 5의 기존 자연석(10)으로 이루어진 징검다리는 자연석(10)이 물 흐름을 방해하여 자연석(10)이 잠기게 되나, 도 6의 본 고안 자연석(20)으로 이루어진 징검다리는 자연석(20)의 함몰부위(21)를 통하여 물이 빠르게 빠져 나가게 되므로, 자연석(20)이 잠기지 않게 된다.
즉, 본 고안과 같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연석(20)의 측면에 함몰부위(21)를 형성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자연석(10)으로 징검다리를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함몰부위(21) 만큼 더 유량이 흐르게 되므로, 동일한 유량에 의하여 자연석(10)은 잠기더라도 자연석(20)은 잠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육면체 형상을 갖는 자연석(20)을 이용하여 징검다리(100)를 구성하는 경우 유량이 증가하더라도 자연석(20)이 잠기게 되는 경우가 줄어들게 되어 안전하게 징검다리(1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자연석(20)의 일측에 도복판(30)을 볼트(31)로 고정시켜 자전거를 들지 않고 끌고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도복판(30)은 하천(1)의 하류쪽 끝단에 설치하여 부유물이 도복판(30)에 걸리게 되는 경우를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도복판(30)은 자연석(20)의 상부 일측을 서로 연결하게 되므로, 자전거를 탄 사람이 징검다리(100)를 건널 때 기존과 같이 자전거를 들고 징검다리(100)를 건너지 않고 자전거를 끌면서 징검다리(100)를 건널 수 있게 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징검다리(100)를 건널 수 있다.
상기 도복판(30)은 상류쪽으로 설치되지 않고 하류쪽으로 설치하여야만 부유되어 떠내려오는 부유물질이 걸리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도 1은 기존 징검다리용 자연석 사시도
도 2는 기존 징검다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징검다리용 자연석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징검다리 사시도
도 5는 기존 징검다리의 물 흐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징검다리의 물 흐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자연석에 고정되는 도복판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자연석에 고정되는 도복판 분리 상태 측면도
도 9 는 본 고안 자연석의 설치상태 실시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자연석 21 : 함몰부위
30 : 도복판 31 : 볼트
100 : 징검다리

Claims (3)

  1. 징검다리를 이루는 육면체 형상의 자연석에 물이 흐르는 방향의 양측면으로 함몰부위를 형성시키고, 상기 자연석의 상부에는 하류 쪽으로 도복판을 볼트로 고정하여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징검다리.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1303U 2009-02-06 2009-02-06 하천용 징검다리 KR200456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303U KR200456053Y1 (ko) 2009-02-06 2009-02-06 하천용 징검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303U KR200456053Y1 (ko) 2009-02-06 2009-02-06 하천용 징검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32U KR20100008132U (ko) 2010-08-16
KR200456053Y1 true KR200456053Y1 (ko) 2011-10-11

Family

ID=4445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303U KR200456053Y1 (ko) 2009-02-06 2009-02-06 하천용 징검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05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573Y1 (ko) * 2000-11-22 2001-04-02 김달환 징검다리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573Y1 (ko) * 2000-11-22 2001-04-02 김달환 징검다리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32U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335B1 (ko) 월류부와 비월류부가 함께 설치된 I형 어도블록을 이용한풀(Pool)타입과 수로타입어도의 시공방법
KR101317279B1 (ko) 토석류 방호 구조물
KR200456053Y1 (ko) 하천용 징검다리
KR100530273B1 (ko) 교각기초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세굴방지대
KR101359998B1 (ko) 징검다리
KR102498890B1 (ko) 투과형 징검다리
KR101059140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KR101131117B1 (ko) 단차형 생태통로댐
KR101194390B1 (ko) 교각에 설치되어 수위변화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천 횡단 자전거 부교
KR20180086936A (ko) 부유식 수영장
CN209538021U (zh) 一种桥梁排水装置
KR200440356Y1 (ko) 자동 징검다리용 블록
CN204626346U (zh) 景观式悬挂水闸布置结构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CN205530160U (zh) 一种跌水消能装置
CN214219574U (zh) 一种挑流式人造瀑布景观坝
KR200235670Y1 (ko) 어도 블럭
CN212834849U (zh) 堤顶步道结构
CN215367057U (zh) 一种岸边挑流消能的尾水排放口
CN211947896U (zh) 管道穿越桥梁人行道地埋敷设结构
CN210049128U (zh) 一种位于涵洞出口处的结构
KR100649368B1 (ko) 하천용 회랑형 낙차공
KR200426009Y1 (ko) 어도여울블럭
KR10078206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보도부를 이용한교량의 배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050233B1 (ko)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