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279B1 - 토석류 방호 구조물 - Google Patents

토석류 방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279B1
KR101317279B1 KR1020110106400A KR20110106400A KR101317279B1 KR 101317279 B1 KR101317279 B1 KR 101317279B1 KR 1020110106400 A KR1020110106400 A KR 1020110106400A KR 20110106400 A KR20110106400 A KR 20110106400A KR 101317279 B1 KR101317279 B1 KR 10131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work
protection structure
base
scour prevention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224A (ko
Inventor
김경석
이상래
박영호
팽우선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10106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2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110); 기초(110)의 상부에 형성된 토석류 방호부(120); 기초(110)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세굴방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을 제시함으로써, 토석류로 인한 도로(1) 유실을 방지하고 재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토석류 방호 구조물{EARTHFLOW PROT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토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산지가 전 국토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우리나라는 급경사지가 매우 많으며, 매년 여름철 장마와 태풍 그리고 집중 호우로 인해 급경사지가 파괴되어 많은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산지부 급경사지에서는 파괴된 토사가 계곡의 물과 합쳐지면서 급격히 흘러내리는 토석류가 발생하여 하류측 시설물 파손과 경작지 황폐화를 유발시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토석류는 계곡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토사와 큰 암석 그리고 다량의 유목을 포함하게 되며, 흐름의 선단부에 이러한 큰 암괴와 유목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큰 파괴력을 지니게 된다.
자연지형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계곡을 따라 먼 거리를 이동하다가 지형 경사가 완만해지거나 저수지가 있는 경우 큰 피해 없이 퇴적되지만 이동 경로에 가옥이나 도로 등의 시설물 등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완전히 파손시키거나 토사로 완전히 매몰시키는 형태의 큰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산지 비탈면을 인접하여 지나는 도로의 경우에는 계곡부에서 발생하는 유량을 도로하부로 통과시키기 위해 소교량, 횡단 배수시설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들 계곡부에서 토석류가 발생하면 1차적으로 소교량을 파손시키거나 횡단 배수시설을 완전히 막고, 2차적으로 다량의 토석과 유목이 도로에 유입시켜 도로의 기능을 장시간 마비시키며, 3차적으로는 계곡부에서 발생한 유수가 도로를 월류하면서 도로성토체를 세굴, 파괴시키는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버트러스 강재 사방댐'(한국특허 등록번호 10-0491444,2005.05.17)등이 있으며, 사방댐, 스크린댐은 하상구배가 큰 계곡에 설치되어 급류가 강바닥을 파고 양쪽 산기슭을 깎아서 산사태를 일으키는 현상과 토사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였다.
하지만 이 기술들은 하천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충격에 의한 파손이 많아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토석류로 인한 도로 유실을 방지하고 재해를 최소화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은 기본적으로, 기초(110); 상기 기초(110)의 상부에 형성된 토석류 방호부(120); 상기 기초(110)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세굴방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굴방지부(130)는 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 상면에는, 우천시 유수(2)가 월류하도록 돌출부(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31)의 외측면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31)는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돌출부(131) 사이에는 평상시 유수 유출부(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에는 고정부(133)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는 중량체(13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석류 방호부(120)는 평상시 유수(2)의 수위에 잠기지 않도록, 상기 기초(110) 상부에 형성된 기둥부재 받침부(121); 상기 기둥부재 받침부(121) 상부에 설치된 기둥부재(122); 상기 기둥부재(122)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수평부재(1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석류 방호부(120)는 상기 수평부재(12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기초(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재(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석류 방호부(120)는 상기 수평부재(12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기초(1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기둥부재(122) 사이에 형성된 핀 부재(12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토석류로 인한 도로(1) 유실을 방지하고 재해를 최소화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토석류 방호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토석류 방호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의 측면도.
도 5는 세굴방지부의 측면도.
도 6은 기둥부재의 일실시예에 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핀 부재의 일실시예에 관한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기초(110); 기초(110)의 상부에 형성된 토석류 방호부(120); 기초(110)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세굴방지부(1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도 1).
종래에는, 도로(1) 인근 계곡부(20)에서 토석류(10)가 발생하면 도로(1) 하부의 횡단 배수시설(20)을 막음으로써 도로(1) 기능이 마비되거나 시설물 파손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토석류(10)로부터 도로(1)와 배수시설을 방호하여 도로(1)의 기능 상실을 방지하고,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을 제시하는 것이다(도 2,3).
지금까지는 산지재해에 대한 대책으로 예방보다는 복구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환경적, 경제적 기여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토석류 방호부(120)는 본 구조물에서 가장 먼저 토석류와 접촉하는 부재로써, 폭우 또는 홍수에 의해 떠내려오는 나무 및 암석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도 1,4).
세굴 방지부(130)는 토석류 방호부(120)가 비탈면 상부에서 유입된 부유토사나 나무 등에 의한 세굴현상으로 전복 또는 슬라이딩 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부재이다(도 4,5).
우천시 유수(2)에 의한 세굴방지부(130) 내측의 세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 상면에 평상시 유수(2)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로 돌출부(131)를 형성하여 유수(2)가 월류하도록 한다(도 5).
월류된 유수(2)는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보다 더 내측으로 멀리 낙하함으로써,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인접 부위의 세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31)는 상기 기능을 충족시키는 구조이면 어느 구조나 관계없으나, 외측면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구조를 취할 경우, 월류한 유수(2)의 낙하지점이 더 멀리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돌출부(131)는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가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돌출부(131) 사이에는 평상시 유수 유출부(132)가 형성된다(도 1).
평상시 유수 유출부(132)는 평상시 수위에서 유수(2)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세굴방지부(130) 내에 고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에는 고정부(133)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도5).
이러한 고정부(133)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을 계곡부(20)에 고정시키고, 본 구조물의 하단부가 세굴 현상에 의해 침식되지 않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에 토석류(10)에 의한 세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량체(134)를 설치하여 지지되도록 한다(도 5).
중량체(134)로는 쇄석, 돌망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토석류 방호부(120)는 평상시 유수(2)의 수위에 잠기지 않도록, 기초(110) 상부에 형성된 기둥부재 받침부(121); 기둥부재 받침부(121) 상부에 설치된 기둥부재(122); 기둥부재(122)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수평부재(123);로 구성된다(도 1).
여기서, 기초(110) 및 기둥부재 받침부(121)의 재료는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기둥부재(122) 및 수평부재(123)의 재료는 강재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토석류(10)가 발생하면 본 구조물에서 기둥부재(122) 및 수평부재(123)만 파손되기 때문에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본 구조체(100)가 설치될 계곡부(20)의 환경과 공사 여건에 따라 기둥부재(122) 및 수평부재(122)의 개수와 간격을 조절하여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둥부재 받침부(121)는 평상시 유수(2)의 수위에서 기둥부재(122)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여, 기둥부재(122)의 부식을 방지한다(도 6).
수평부재(123)로는 가드레일을 사용할 수 있다.
토석류 방호부(120)에는 수평부재(12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기초(110)의 상부 양측에 날개부재(124)가 형성될 수 있다(도 1,4).
날개부재(124)는 기초(110)와 함께 콘크리트 구조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기초(110)의 상부 중앙 및 복수의 기둥부재(122) 사이에는 평상시 유량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로 돌출시킨 핀 부재(125)가 형성될 수 있다(도 7).
여기서 핀 부재(125)는 기본적으로 수평부재(123)의 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더 나아가, 핀 부재(125)는 계곡의 폭이 넓은 경우에 설치됨으로써, 수평부재(123)로 지지되는 부분을 단축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핀 부재(125)는 기초(110)와 함께 콘크리트 구조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재(124)와 핀 부재(125)는 기초(110)와 함께 콘크리트 구조로써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토석류(10)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둥부재(122)와 수평부재(123)만 항복하게 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도로 123 : 수평부재
2 : 유수 124 : 날개부재
10 : 토석류 125 : 핀 부재
20 : 횡단 배수시설 130 : 세굴방지부
100 : 토석류 방호 구조물 131 : 돌출부
110 : 기초 132 : 평상시 유수 유출부
120 : 토석류 방호부 133 : 고정부
121 : 기둥부재 받침부 134 : 중량체
122 : 기둥부재

Claims (10)

  1. 기초(110);
    상기 기초(110)의 상부에 형성된 토석류 방호부(120);
    상기 기초(110)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세굴방지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토석류 방호부(120)는
    평상시 유수(2)의 수위에 잠기지 않도록, 상기 기초(110) 상부에 돌출 형성된 기둥부재 받침부(121);
    상기 기둥부재 받침부(121) 상부에 설치된 기둥부재(122);
    상기 기둥부재(122)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수평부재(123);
    상기 수평부재(12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기초(110)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기둥부재(122) 사이에 형성된 핀 부재(125);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123)는 상기 기둥부재(122)와 상기 핀 부재(125)의 전면(前面)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부(130)는 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 상면에는, 우천시 유수(2)가 월류하도록 돌출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1)의 외측면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1)는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돌출부(131) 사이에는 평상시 유수 유출부(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에는 고정부(133)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부(130)의 내측 단부는 중량체(13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석류 방호부(120)는
    상기 수평부재(12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기초(110)의 상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날개부재(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 구조물(100).
  10. 삭제
KR1020110106400A 2011-10-18 2011-10-18 토석류 방호 구조물 KR10131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400A KR101317279B1 (ko) 2011-10-18 2011-10-18 토석류 방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400A KR101317279B1 (ko) 2011-10-18 2011-10-18 토석류 방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224A KR20130042224A (ko) 2013-04-26
KR101317279B1 true KR101317279B1 (ko) 2013-10-10

Family

ID=4844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400A KR101317279B1 (ko) 2011-10-18 2011-10-18 토석류 방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257A (ko) 2014-11-18 2016-05-2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토석류 피해 저감 구조물 및 설치방법
KR20160122105A (ko) 2016-10-11 2016-10-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토석류 피해 저감 구조물 및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7485A1 (en) * 2014-03-12 2015-09-17 Remac, Llp Insole for Mid- to High-Heel Shoes
RU2562845C1 (ru) * 2014-04-03 2015-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ОКОГОРНЫЙ ГЕОФИЗ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ФГБУ ВГИ) Сквозное противоселевое сооружение
CN109371862A (zh) * 2018-11-03 2019-02-22 浙江杭博生态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泥石流防治装置及方法
CN110424283B (zh) * 2019-07-31 2021-08-27 四川农业大学 一种竹制泥石流拦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905Y1 (ko) * 1984-12-29 1986-08-16 주식회사의성휀스 낙석 방지벽
KR100965467B1 (ko) * 2009-12-17 2010-06-24 대한민국 에코-필라 사방댐
KR20110045823A (ko) * 2009-10-28 2011-05-04 권영제 와이어네트 사방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905Y1 (ko) * 1984-12-29 1986-08-16 주식회사의성휀스 낙석 방지벽
KR20110045823A (ko) * 2009-10-28 2011-05-04 권영제 와이어네트 사방댐
KR100965467B1 (ko) * 2009-12-17 2010-06-24 대한민국 에코-필라 사방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257A (ko) 2014-11-18 2016-05-2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토석류 피해 저감 구조물 및 설치방법
KR20160122105A (ko) 2016-10-11 2016-10-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토석류 피해 저감 구조물 및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224A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279B1 (ko) 토석류 방호 구조물
KR101551174B1 (ko)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KR100965467B1 (ko) 에코-필라 사방댐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KR20060098723A (ko) 해안선 침식 방지 흡파제와 반사파의 제어 방법
KR100776621B1 (ko)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용 말뚝 구조물
KR102351049B1 (ko) 측벽일체식 사방댐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CN110593205B (zh) 一种高位碎屑流多级自适应障桩群减灾结构及实施方法
Rudolf-Miklau et al. Managing risks related to drift wood (woody debris)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101052295B1 (ko)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KR101788623B1 (ko) 리모델링으로 홍수 및 토석류 조절기능을 강화한 사방댐
Barnes et al. The Lincolnshire coastline and the 1953 storm flood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Jakob et al. Engineering for debris flows in New Zealand
CN219490844U (zh) 一种用于上段河道防洪护岸围栏结构
KR102234137B1 (ko) 친환경 투수 바이오 폴리머 콘크리트 블록
Sistermans et al. Holderness Coast (United Kingdom)
KR101077624B1 (ko) 하천용 옹벽
RU2270292C1 (ru) Поперечное сквозное берег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Waterfall Loup Loup Creek Fish Passage Project
Weerts et al. The 1421 St. Elisabeth flooding ‘event’and the loss of “De Groote Waard”, the Netherlands.
NOLAN SLIPS AND WASHOUTS ON THE HILL SECTION OF THE ASSAM-BENGAL RAILWAY.(INCLUDES APPENDIX AND PLATES AT BACK OF VOLUME).
KR101077623B1 (ko) 하천용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